KR101054176B1 - 코받침이 없는 안경 - Google Patents

코받침이 없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176B1
KR101054176B1 KR1020090048735A KR20090048735A KR101054176B1 KR 101054176 B1 KR101054176 B1 KR 101054176B1 KR 1020090048735 A KR1020090048735 A KR 1020090048735A KR 20090048735 A KR20090048735 A KR 20090048735A KR 101054176 B1 KR101054176 B1 KR 10105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ousing
glasses
ea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073A (ko
Inventor
심종석
정우식
Original Assignee
정우식
심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식, 심종석 filed Critical 정우식
Priority to KR102009004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의 코받침 대신에 관자놀이 부위에 받침대를 만들어 안경착용으로 인한 코눌림 통증을 제거할 수 있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쌍의 렌즈; 각각 상기 1쌍의 렌즈를 지지하며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1쌍의 렌즈고정부; 각각 선단부가 상기 1쌍의 렌즈고정부로부터 일단이 굴곡지게 연장되는 1쌍의 전방다리부; 각각 상기 전방 다리부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1쌍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단부가 사용자의 귀까지 연장되는 1쌍의 후방다리부; 및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을 갖는 1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 브리지 및 1쌍의 렌즈고정부는 고강도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는 고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경, 통증, 코받침, 안경 받침, 관자놀이, 받침대

Description

코받침이 없는 안경{Glasses having no nose pad}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안경의 코받침 대신에 관자놀이 부위에 받침대를 만들어 안경착용으로 인한 코눌림 통증을 제거할 수 있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렌즈테에 설치되는 한쌍의 렌즈부와, 각각 일단이 한쌍의 렌즈테에 힌지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타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한쌍의 다리와, 각각 상기 한쌍의 렌즈테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코등의 양측면과 접촉하는 한쌍의 코받침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쌍의 렌즈부는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안경은 한쌍의 코받침과 한쌍의 다리 후단부에 의해 사용자의 코등과 귀에 지지되고 있으며, 렌즈부분의 선단부가 다리 후단부에 비하여 더 무겁기 때문에 안경의 대부분의 중량은 코받침에 의해 코등에 가해지고 있다.
안경의 코받침(nose pad)은 착용시 안경을 사용자의 코에 걸쳐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렌즈를 사용자의 눈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함에 의해 시력교정용 렌즈를 적정 위치에 설정하여 물체의 상이 정확하게 망막에 맺히 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장시간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코받침에 의해 코등에 눌린 흔적이 나타나며, 또한, 코눌림으로 인하여 압박감 뿐 만 아니라 심하면 통증을 유발한다. 즉, 코받침에 의해 눌려지는 비갑개(코뼈)는 사람의 뇌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인 논리적인 사고와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전두엽 및 전두골(전두골은 전두엽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뼈)과 붙어 있으며, 비갑개 주변의 많은 신경조직과 모세혈관은 전두엽과 연결되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학생, 수험생 및 학자 등과 같이 안경을 착용하고 장시간 책을 보는 사람들은 코받침에 의해 코등이 오랜 시간 눌려지면 전두엽을 자극하고 전두엽의 활동에 영향을 주어 뇌기능 장애와 집중력 및 사고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축농증이나 비염 등의 환자의 경우, 코 주변의 혈관과 신경조직이 안구나 전두엽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코 주변에 생긴 염증으로 인한 두통 등의 자각증상은 혈관과 신경조직을 통해 코를 거쳐 뇌로 전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경의 코받침이 코뼈를 누르면서 비갑개와 피부사이의 모세혈관을 누르게 되어 코 주변 혈관의 흐름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여 뇌와 눈의 기능을 저하시켜 코주변에 심한 이물감과 두뇌의 집중력 저하와 두통, 눈 충혈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면 시력이 저하됨에도 안경착용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대해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일예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5189호에 제안되어 있으며, 하기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안경(100)은 콜릿부(120)의 내측에 연결되어 안경의 렌즈(170)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A)가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위를 지지하도록 안경의 콜릿부(120) 양측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종래의 안경(100)은 귀걸이부(110), 콜릿부(120), 주다리(130), 안경다리 결합부(140), 연결다리(150), 렌즈고정틀(160), 안경 렌즈(170), 코다리(180)로 구성되며,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5189호에서는 이와 같은 안경(100)의 구조적 변경 없이 일반적인 안경(100)에 지지부(A)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이 되어 안경이 밑으로 흐르거나, 코받침이 사용자의 콧대 양측에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귀걸이부(110)는 안경(100)의 다리 끝부분에 형성되어 귀가 걸리도록 하고, 상기 콜릿부(120)는 안경(100)의 다리 중에서 상기 주다리(130)와 상기 귀걸이부(110)가 연결되며, 상기 주다리(130)는 안경(100)의 귀걸이부(110)와 안경다리 결합부(140)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 결합부(140)는 안경의 주다리(130)와 연결다리(150)를 체결 연결하여 안경몸체 내측으로 구부러지며 접히도록 하며, 상기 연결다리(150)는 안경(100)의 몸체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 고정틀(160)은 가공된 상기 안경 렌즈(170)를 고정하며, 상기 코다리(180)는 2개의 렌즈 고정틀(160)을 연결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상기 지지부(200)는 탄성판으로 한쪽 끝단부에 사각형 결합공(250)으로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지지대(260)와 고정지지부(21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지지부(2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밀착편(220)과 상기 밀착편(220)의 중앙에 한면에 굴곡이 있는 정육면체의 형태로 돌출되어 끝단부 양측면에 결합홈(230)이 형성된 결합돌기(24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종래의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관자놀이부위와 귀부위 두 위치에서 힌지 형태로 밀착 지지되어 안경을 코받침 없이 착용할 수 있기는 하나, 고정지지대(260)인 탄성판의 단부에는 반력이 존재할 수 없으므로 단부의 고정지지대(260)는 탄성판의 휨강성에만 의존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고정지지대인 탄성판의 휨강성이 적으면 고정지지대(260)의 지지력(밀착도)이 떨어져 귀부위와 관자놀이부위의 지지상태가 현저히 저하되어 실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성판의 휨강성이 커서 고정지지대(260)가 견고하게 관자놀이부에 밀착하게 되더라도, 반력에 의해서 탄성판이 연결된 귀걸이부분이 귀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어 귀에 걸리는 부분이 헐거워져서 귀걸이의 귀 밀착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불안정한 안경착용을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안경은 고정지지대의 소재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이 형태상으로 보면 금속, 플라스틱 등의 단일 소재인 것으로 파악되어 피부에 닿았을 때 밀착성이 낮은 상태이므로 안경이 피부와 접촉하면 미끄러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안경은 탄성판의 두께가 얇거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휨강성 저하로 인한 고정지지대의 지지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고정지지대의 변형에 대한 구속력이 떨어져서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비틀림 변형까지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착용시에 휨변형 및 코너부 각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강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방다리부의 단부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받침대를 설치하며, 단부의 외측에 연결된 후방다리부는 고탄성 재질을 사용하고 그 후단에 마련된 귀걸이부가 귀에 밀착되도록 후방다리부보다 안쪽으로 굽어진 구조를 이루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경 전면부의 무게에 의해 움직임에 많을 경우 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 뒷부분을 일부 감싸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고, 받침대는 관자놀이에 밀착되므로 이중 지지구조를 가지므로 안정적인 안경착용이 가능한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대를 안경의 다리 중간에 스프링을 내장하여 피부면을 따라 밀착하도록 하여 착용감이 우수한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쌍의 렌즈; 각각 상기 1쌍의 렌즈를 지지하며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1쌍의 렌즈고정부; 각각 선단부가 상기 1쌍의 렌즈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후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1쌍의 전방다리부;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 지지되는 1쌍의 받침대; 각각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단부가 사용자의 귀까지 연장되는 1쌍의 후방다리부; 및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을 갖는 1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1쌍의 받침대는 각각 상기 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삽입홈을 갖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결합시 내부에 안착되는 적어도 1쌍의 스프링과, 상기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일면에 설치된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 브리지 및 1쌍의 렌즈고정부는 고강도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는 고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1쌍의 렌즈; 각각 상기 1쌍의 렌즈를 지지하며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1쌍의 렌즈고정부; 각각 선단부가 상기 1쌍의 렌즈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후단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하우징에 삽입홈이 구비된 1쌍의 전방다리부; 각각 상기 제2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 지지되는 1쌍의 받침대; 각각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단부가 사용자의 귀까지 연장되는 1쌍의 후방다리부; 및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을 갖는 1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1쌍의 받침대는 각각 상기 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삽입홈을 갖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결합시 내부에 안착되는 적어도 1쌍의 스프링과, 상기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일면에 설치된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 브리지 및 1쌍의 렌즈고정부는 고강도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는 고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후방다리부의 후단부와 귀걸이부는 귀걸이부가 귀에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굽어진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귀걸이부는 움직임이 많을 경우 전방다리부의 무게에 의해 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 뒷부분을 일부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곡선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경은 다리부를 착용시에 휨변형 및 코너부 각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방다리부와, 전방다리부의 외측에 연결되며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후방다리부로 구성하고, 후방다리부의 후단에 마련된 귀걸이부가 귀에 밀착되도록 후방다리부보다 안쪽으로 굽어진 구조를 형성하고, 전방다리부의 단부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받침대를 설치함에 의해 안경의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코받침으로 인한 불편함을 없애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안경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1쌍의 렌즈(1a, 1b), 상기 1쌍의 렌즈(1a, 1b)를 지지하며 브리지(2c)로 연결된 1쌍의 렌즈 고정부(2a, 2b), 렌즈고정부(2a, 2b)에 일측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되는 1쌍의 전방다리부(5a, 5b), 굴곡 연장된 전방다리부(5a, 5b)의 일측과 타측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4a, 4b), 전방다리부(5a, 5b)의 타측 단부에 마련된 1쌍의 받침대(3a, 3b), 1쌍의 전방 다리부(5a,5b)의 후단부 바깥쪽으로 각 연결부(7a, 7b)에 의해 연결되는 1쌍의 후방다리부(6a, 6b), 및 후방다리부(6a, 6b)의 끝단에 사용자의 귀에 안경이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1쌍의 귀걸이부(8a, 8b)를 포함한다.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5a, 5b)는 각각의 렌즈고정부(2a, 2b)의 측면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받침대(3a, 3b)까지 연장되며, 전방다리부(5a, 5b)는 굴곡진 부분의 휨변형 및 각변형이 없도록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 및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방다리부(5a, 5b)는 굴곡진 부분으로부터 받침대(3a, 3b)를 지지해야하기 때문에 고강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방다리부(5a, 5b)의 후단부의 내측에 받침대(3a, 3b)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후단부의 외측으로는 연결부(7a, 7b)에 의해 후방다리부(6a, 6b)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후방다리부(6a, 6b)는 전방다리부(5a, 5b)와 비교하여 탄성력이 큰 소재의 고탄성재질을 사용하고 두께가 전방다리부(5a, 5b)보다 얇게 이루어진다. 후방다리부(5a,5b)가 고탄성을 나타내므로 그 후단에 마련된 귀걸이부(8a, 8b)가 귀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후방다리부(5a, 5b)의 후단부는 각각 전방다리부(5a, 5b)와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굽어진 구조를 이루며, 귀걸이부(8a, 8b)는 그의 후단부가 후방다리부(5a, 5b)의 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계속하여 휘어진 형상을 이룬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안경을 착용할 때 후방다리부(5a, 5b)와 귀걸이부(8a, 8b)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더욱 귀에 밀착되고, 받침대(32a, 3b)는 관자놀이에 밀착되므로 이중 지지구조를 가지고 안정적인 안경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귀걸이부(8a, 8b)의 형상은 전방다리부(5a, 5b)의 무게에 의해 움직임이 많을 경우 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 뒷부분을 일부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곡선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받침대(3a, 3b)가 구비된 전방다리부(5a, 5b)는 견고하여 받침대(3a, 3b)의 수평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힘 때문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후방다리부(6a, 6b)도 받침대(3a, 3b)의 수평이동과 무관하게 탄성을 유지하여 연결된 귀걸이부(8a, 8b)가 귀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6의 사용상태도 및 도 3 또는 도 4를 참고하면, 안경을 착용했을 때, 받침대(3a, 3b)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완충부(31a, 31b) 표면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분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후방다리부(6a, 6b)의 후단부와 귀걸이부(8a, 8b)는 내측으로 휘어져 있던 부분이 선형상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얼굴의 측면과 귀를 지지하도록 변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받침대(3a, 3b)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면에 착용감을 고려하여 연질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점착력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완충부(31a, 31b)와, 완충부(31a, 31b)가 마련된 제1하우징(32a, 32b)을 갖는다.
도 4의 부분 확대도를 보면, 좌측 받침대(3b)는 전방다리부(5b)의 단부에 마련된 삽입홈을 갖는 제2하우징(35b)과, 상기 제2하우징(35b)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32b)과, 상기 제1하우징(3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제2하우징(35b)과 제1하우징(32b)의 결합시 내부에 안착되는 적어도 1쌍의 스프링(34b)과, 제1하우징(32b)이 제2하우징(35b)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3b)와, 제1하우징(32b)의 상부로 착용자의 관자놀이와 접촉하는 완충부(3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다리부(5b)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2하우징(35b)은 속이 텅 빈 직사각형상의 요홈을 형성하며, 제2하우징(35b)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제1하우징(32b)은 제2하우징(35b)과의 사이에 유격이 작게 교차하도록 크기를 설정함에 의해 안경 착용시의 받침대(3b)가 전체적으로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착용자의 관자놀이가 완충부(31b)에 접촉되면, 피부곡면을 따라 스프링(34b)이 탄성 변형되어 제1하우징(32b) 상부의 완충부(31b)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받침대(3b)가 전체적으로 관자놀이에 밀착되면서 지지된다. 즉, 받침대(3b)의 제1하우징(32b)은 내측의 스프링(34b)에 의해 관자놀이접촉면 쪽으로 삽입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경 착용자의 피부곡선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이며 관자놀이 접촉면에 밀착 지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코받침 대신에 얼굴 측면의 관자놀이에 받침대(3a, 3b)를 위치시키면 약간의 눌림은 있지만 안경 착용으로 인한 코 눌림 등의 불편함과 두뇌 활동의 장애 등은 피할 수 있어 편안한 안경의 착용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브리지(2c)와 1쌍의 렌즈 고정부(2a, 2b)는 전방다리부(5a, 5b)와 동일한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강성의 전방다리부(5a, 5b)가 휨변형 및 각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받침대(3a, 3b)가 얼굴 측면의 관자놀이에 대한 밀착력을 보유하는 데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실시예 설명에서는 받침대(3a, 3b)가 전방다리부(5a, 5b)의 후단부에 구비된 제2하우징(35b)의 삽입홈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전방다리부(5a, 5b)의 후단부에, 받침대(3a, 3b)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도록, 제2하우징(35b)이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제2하우징(35b)에 받침대(3a, 3b)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안경과 동일구조의 안경에 받침대(3a, 3b)의 외측과 후방다리부(6a, 6b)가 별도의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된 구조이다. 그 결과 제2실시예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기능적인 측면은 동일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하였으나, 얼굴의 측면에 받침을 형성할 수 있는 받침대에 해당하는 기술이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안경의 종류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자명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사시도,
도 4는 도 3 안경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렌즈 2a,2b : 렌즈고정부
3a,3b : 받침대 4a,4b : 힌지부
5a,5b : 전방다리부 6a,6b : 후방다리부
7a,7b : 연결부 8a,8b : 귀걸이부
2c : 브리지 31a,31b : 완충부
32a,32b : 제1하우징 33b : 스토퍼
34b : 스프링 35b : 제2하우징

Claims (6)

1쌍의 렌즈;
각각 상기 1쌍의 렌즈를 지지하며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1쌍의 렌즈고정부;
각각 선단부가 상기 1쌍의 렌즈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후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1쌍의 전방다리부;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 지지되는 1쌍의 받침대;
각각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단부가 사용자의 귀까지 연장되는 1쌍의 후방다리부; 및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을 갖는 1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1쌍의 받침대는
각각 상기 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삽입홈을 갖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결합시 내부에 안착되는 적어도 1쌍의 스프링과,
상기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일면에 설치된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 브리지 및 1쌍의 렌즈고정부는 고강도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는 고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1쌍의 렌즈;
각각 상기 1쌍의 렌즈를 지지하며 브리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1쌍의 렌즈고정부;
각각 선단부가 상기 1쌍의 렌즈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후단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하우징에 삽입홈이 구비된 1쌍의 전방다리부;
각각 상기 제2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 지지되는 1쌍의 받침대;
각각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단부가 사용자의 귀까지 연장되는 1쌍의 후방다리부; 및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을 갖는 1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1쌍의 받침대는
각각 상기 전방다리부의 후단부에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삽입홈을 갖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결합시 내부에 안착되는 적어도 1쌍의 스프링과,
상기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일면에 설치된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전방다리부, 브리지 및 1쌍의 렌즈고정부는 고강도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1쌍의 후방다리부는 고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삭제
삭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다리부의 후단부와 귀걸이부는 귀걸이부가 귀에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굽어진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는 움직임이 많을 경우 전방다리부의 무게에 의해 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 뒷부분을 일부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곡선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20090048735A 2009-06-02 2009-06-02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105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35A KR101054176B1 (ko) 2009-06-02 2009-06-02 코받침이 없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35A KR101054176B1 (ko) 2009-06-02 2009-06-02 코받침이 없는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73A KR20100130073A (ko) 2010-12-10
KR101054176B1 true KR101054176B1 (ko) 2011-08-03

Family

ID=4350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735A KR101054176B1 (ko) 2009-06-02 2009-06-02 코받침이 없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2095A (zh) * 2017-06-26 2017-08-25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佩戴牢固的智能眼镜
WO2020004722A1 (ko) * 2018-06-29 2020-01-02 황윤기 안경 다리를 튕겨서 열 수 있는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3044B2 (ja) * 2019-09-06 2023-07-2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982A (ko) * 1992-11-05 1994-06-22 김태원 코 받침이 없는 안경
KR200190646Y1 (ko) 2000-03-08 2000-08-01 김형식 안경다리의 귀 걸이부재 구조
KR20080109170A (ko) * 2007-06-12 2008-12-17 김경원 코받침 없는 안경의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982A (ko) * 1992-11-05 1994-06-22 김태원 코 받침이 없는 안경
KR200190646Y1 (ko) 2000-03-08 2000-08-01 김형식 안경다리의 귀 걸이부재 구조
KR20080109170A (ko) * 2007-06-12 2008-12-17 김경원 코받침 없는 안경의 지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2095A (zh) * 2017-06-26 2017-08-25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佩戴牢固的智能眼镜
WO2020004722A1 (ko) * 2018-06-29 2020-01-02 황윤기 안경 다리를 튕겨서 열 수 있는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73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01591A (en) Head engaging spectacle structure
US11474375B1 (en) Temple mounted eyeglass fram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054176B1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US5583586A (en) Mounting supports for eyeglass frames
KR101562750B1 (ko) 머리고정형 안경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KR20100035415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CN215416148U (zh) 眼镜
CN212460222U (zh) “工”字结构镜托
CN210222389U (zh) 一种便于更换鼻托的眼镜
GB2444807A (en) Spectacle side arm counterweight with optional brow pad.
KR20190087223A (ko)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
KR20130003817A (ko) 기능성 안경의 구조
KR200348930Y1 (ko)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KR200425132Y1 (ko) 밀착형 다리구조를 가지는 안경
CN213457555U (zh) 一种用于保护鼻梁的可调节眼镜架
CN215729135U (zh) 运动眼镜
KR200332390Y1 (ko) 안경
CN201707507U (zh) 一种防下滑的护眼眼镜
CN210348097U (zh) 一种新型可调节软鼻托眼镜架
CN208224639U (zh) 一种减压镜
CN212575072U (zh) 一种护目镜
CN216351597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眼镜
CN217561865U (zh) 术后防护眼镜
CN212234931U (zh) 一种医用防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