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910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910B1
KR101053910B1 KR1020080068094A KR20080068094A KR101053910B1 KR 101053910 B1 KR101053910 B1 KR 101053910B1 KR 1020080068094 A KR1020080068094 A KR 1020080068094A KR 20080068094 A KR20080068094 A KR 20080068094A KR 101053910 B1 KR101053910 B1 KR 10105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blocked
list
specific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454A (ko
Inventor
안호정
최진우
정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910B1/ko
Priority to US12/499,418 priority patent/US8442194B2/en
Publication of KR2010000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과,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과정과, 일시적으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 과도한 로밍 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원하지 않는 통화품질을 겪지 않아도 되며, 원하지 않는 부가 기능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단말, 로밍, 차단 네트워크(Blocking Network), 자동 네트워크 선택(Automatic Network Selection), 메뉴얼 네트워크 선택(Manual Network Selection)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SPECIFIC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수신을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Blocking Network)로 설정하고, 이를 운용 및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구현된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특히 유럽지역과 같이 여러 국가가 인접해 있는 지역의 사용자는, 단말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Automatic Network Selection)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접 국가의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자신이 가입한 홈 네트워크(Home PLMN)의 신호 세기보다 센 경우, 자신도 모르게 원하지 않는 로밍 네트워크(Roaming Network)를 사용하고, 이로 인해 과중한 로밍 요금을 지불하게 되는 불편함을 종종 경험한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단말의 메뉴얼 네트워크 선택(Manual Network Selection) 기능을 사용한다. 상기 단말의 메뉴얼 네트워크 선택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Available PLMN)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원하는 특정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뉴얼 네트워크 선택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자동 네트워크 선택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와 다르게, 자신이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뉴얼 네트워크 선택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한다. 먼저, 상기 메뉴얼 네트워크 선택 기능을 사용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만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가 약한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임시적으로 제한적 서비스(Limited Service)를 수신하는 상태가 되거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No Service)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호(Call) 수발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가입한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가 약할 경우, 다른 네트워크로의 로밍은 허용한다 하더라도, 특정 네트워크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지 않는 특정 네트워크로는, 로밍 요금을 많이 내야 하는 사업자 네트워크, 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한 네트워크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특정 네트워크를 제외한 다른 네트워크들에서 서비스 받는 것에 대해서는 허용을 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호 네트워크(Preferred Network)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호 네트워크 기능은, 로밍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 리스트 내에서 네트워크들의 사용 우선 순위(Priority)를 정하는 기능이다. 상기 선호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매번 네트워크 리스트를 확인하고,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수고를 해야 하며, 자신이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자신도 모르게 사용하는 경우를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특정 네트워크를 제외한 다른 네트워크들에서 서비스 받는 것에 대해서는 허용을 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서비스 수신을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Blocking Network)로 설정하고, 이를 운용 및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경우, 기 설정된 단말 동작 방식에 따라,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여 이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고,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한된 서비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은,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과,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과정과, 일시적으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는,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고,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한 후, 일시적으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와,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서비스 수신을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Blocking Network)로 설정하고, 이를 운용 및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 과도한 로밍 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원하지 않는 통화품질을 겪지 않아도 되며, 원하지 않는 부가 기능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럽의 스위스와 같이, 인접한 국가가 많거나, 각 국가마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이 존재하거나, 각 네트워크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의 경계점이 겹치거나, 단말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로밍 환경이 빈번하게 바뀔 경우,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서비스 수신을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Blocking Network)로 설정하고, 이를 운용 및 해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을 원하지 않는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로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도록 차단된 네트워크만이 특정 시점에 오직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인 경우 해당 차단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수신할 것인지 수신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를 미리 정해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로밍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A(100), B(110), C_1(120-1), C_2(120-2), D_1(130-1), D_2(130-2) 네트워크는 각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들이다. 그 중 상기 C_1(120-1)와 C_2(120-2), 상기 D_1(130-1)와 D_2(130-2)는 각각 같은 국가에 속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이고, 이외의 A(100), B(110)는 서로 다른 국가에 속한 네트워크들이다. 단말(140)은 각기 다른 네트워크가 상존하는 지역에 위치하여 있고, 단말 사용자는 국경 지역에 생활권을 가지고 있어, 움직이는 반경에 따 라 로밍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200), 저장부(210),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220), 통신부(230), 입력부(240), 표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수신을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Blocking Network)로 설정하고, 이를 운용 및 해제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저장부(2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를 저장한다.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서비스 수신을 차단하기 위해 선택한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여 차단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기 설정된 단말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설정된 차단 네트워크를 운용한다. 즉,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경우,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기 설정된 단말 동작 방식에 따라,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여 이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고,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한된 서비스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차단 해제를 위해 선택한 네트워크를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해당 네트워크의 차단을 해제한다.
상기 통신부(23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240)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숫자 및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차단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차단 네트워크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차단 네트워크 설정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차단 네트워크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차단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종류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차단 네트워크 설정 메뉴가 선택되지 않을 시, 상기 3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단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종류로 검색 설정과 직접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여러 실시 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차단 네트워크 설정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검색 설정 혹은 직접 설정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검색 설정 혹은 직접 설정이 선택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303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검색 설정이 선택될 시, 상기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주변 네트워크 신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네트워크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Available Network List)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9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차단 네트워크로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차단 네트워크로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가 선택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307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차단 네트워크로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가 선택될 시, 상기 단말은 31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305단계에서 직접 설정이 선택될 시, 상기 단말은 31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차단 네트워크로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를 직접 입력받고, 상기 31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MCC(Mobile Country Code)/MNC(Mobile Network Code)를 이용하여 차단 네트워크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9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 혹은 상기 31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여 차단 네트워크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추가적으로, 이후 단말의 이동에 따라 해당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의 사용가능 네트워크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경우에 대한 이후 단말의 동작에 대해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준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은 315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경우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를 수신할 것인지 수신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질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7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수신 여부 질의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응답에 따라 단말의 동작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종료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차단 네트워크 운용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은 401단계에서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사용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403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사용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기 설정된 단말 동작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경우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를 수신할 것인지 수신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에 대해 기 설정된 단말 동작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5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경우에 대해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405단계에서 해 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을 시, 상기 단말은 407단계에서 상기 존재하는 차단 네트워크를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차단 네트워크에 위치를 등록한 후, 그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1단계에서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외에 사용가능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외에 사용가능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413단계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수신을 종료하고, 상기 존재하는 사용가능 네트워크에 위치를 등록한 후, 그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고, 415단계에서 일시적으로 제거되었던 상기 차단 네트워크를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다시 추가한다. 반면,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외에 사용가능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409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405단계에서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시, 즉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외에 사용가능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만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시, 상기 단말은 417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위치 등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가 없으므로,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9단계에서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외에 사용가능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외에 사용가능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421 단계에서 상기 제한된 서비스 상태를 종료하고, 상기 존재하는 사용가능 네트워크에 위치를 등록한 후, 그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반면,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외에 사용가능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417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401단계에서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만이 존재하는 상황이 아닐 시, 상기 단말은 423단계에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는 차단 네트워크를 제외한 사용가능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차단 네트워크 해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5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차단 네트워크 해제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차단 네트워크 해제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단말은 503단계에서 차단 네트워크 해제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차단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있는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반면, 상기 차단 네트워크 해제 메뉴가 선택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5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505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차단 네트워크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차단 네트워크가 선택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503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차단 네트워크가 선택될 시, 상기 단말은 507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차단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차단을 해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차단 네트워크 해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검색 해제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직접 해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MCC(Mobile Country Code)/MNC(Mobile Network Code)를 직접 입력받아 해당 네트워크를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로밍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차단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차단 네트워크 운용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차단 네트워크 해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Claims (16)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과,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과정과,
    일시적으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외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수신을 종료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다시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사용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를 수신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 정보로서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로서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를 수신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한된 서비스 수신 상태를 유지하는 도중,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외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제한된 서비스 수신 상태를 종료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외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은,
    차단 네트워크 설정 메뉴 선택에 따라,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특정 네트워크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은,
    차단 네트워크 설정 메뉴 선택에 따라, 차단을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MCC(Mobile Country Code) 혹은 MNC(Mobile Network Code)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MCC 혹은 MNC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차단 네트워크 해제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고,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한 후, 일시적으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와,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외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수신을 종료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며,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다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는,
    상기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만이 존재할 시, 사용가능 네트워크로 차단 네트워크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를 수신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설정 정보로서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는,
    상기 설정 정보로서 해당 차단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수신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를 수신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한된 서비스 수신 상태를 유지하는 도중,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외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제한된 서비스 수신 상태를 종료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는,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외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할 시,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는,
    차단 네트워크 설정 메뉴 선택에 따라,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사용가능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특정 네트워크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MCC(Mobile Country Code) 혹은 MNC(Mobile Network Code)를 입력받아,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네트워크 관리부는,
    차단 네트워크 해제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68094A 2008-07-14 2008-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05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94A KR101053910B1 (ko) 2008-07-14 2008-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12/499,418 US8442194B2 (en) 2008-07-14 2009-07-08 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specific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94A KR101053910B1 (ko) 2008-07-14 2008-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54A KR20100007454A (ko) 2010-01-22
KR101053910B1 true KR101053910B1 (ko) 2011-08-04

Family

ID=4150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094A KR101053910B1 (ko) 2008-07-14 2008-07-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42194B2 (ko)
KR (1) KR101053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3225A1 (en) * 2011-02-28 2012-08-29 Gemalto SA Method for roaming about a border for a subscriber to a 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device and system
KR101348003B1 (ko) * 2011-12-09 2014-01-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해외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20150138964A1 (en) * 2012-06-14 2015-05-21 Ideaware Inc. Method of managing policy for reducing network load in overloaded area,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3187660A1 (ko) * 2012-06-14 2013-12-19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과부하 지역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JP2014116745A (ja) * 2012-12-07 2014-06-26 Canon Inc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4519479B (zh) * 2013-09-27 2019-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及其锁网和解除锁网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26A (ko) * 1999-10-06 2001-05-07 박성찬, 민대훈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파 차단 장치
KR100561685B1 (ko) 2004-03-10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호연동 운용부를 통한 핸드오버를 위한 교환기간 핸드오버 전용 중계선 관리 방법
KR100678131B1 (ko) 2005-06-2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762165B1 (ko) 2005-08-17 2007-10-01 주식회사 사라콤 이동통신기기의 통화 차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832A (en) * 1995-12-21 1999-05-11 Nokia Mobile Phones L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enhanced system selection capability
US20050064821A1 (en) * 2003-09-22 2005-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ternative service management
US7826842B2 (en) * 2005-07-01 2010-11-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rbidden network lists on a wireless user equipment (U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26A (ko) * 1999-10-06 2001-05-07 박성찬, 민대훈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파 차단 장치
KR100561685B1 (ko) 2004-03-10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호연동 운용부를 통한 핸드오버를 위한 교환기간 핸드오버 전용 중계선 관리 방법
KR100678131B1 (ko) 2005-06-2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762165B1 (ko) 2005-08-17 2007-10-01 주식회사 사라콤 이동통신기기의 통화 차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8487A1 (en) 2010-01-14
US8442194B2 (en) 2013-05-14
KR20100007454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2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file of terminal in mobile network
US8225082B2 (en) Card device for loading applications to a mobile device
US7356337B2 (en) Dialing services on a mobile handset and remote provisioning therefor
KR1010539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EP3306985B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cess method, terminal, and server
EP1988699A1 (en) Call cost indicator for mobile devices
KR20110037487A (ko) 듀얼 심카드 단말기에서 주 심카드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937017A2 (en) Method for selecting a network by a mobile apparatus
KR101022027B1 (ko) 글로벌 로밍시의 사업자 네트워크 선택절차 개선을 위한 로밍설정방법 및 사용자 단말
CN112673659A (zh) 用于在esim中的多个简档之间自动切换的方法和电子设备
US20230127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ly selecting a network
KR101852895B1 (ko)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기
JP2002135848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US11129026B1 (en) ESIM switching platform
US8688116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selecting method
KR200000444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CN113891333B (zh) 网络的选择方法、选择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1648123A1 (en) Over the air programming of a mobile handset for short code dialling and preferred network selection
KR100803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1045608A1 (en) A method for network selection for mobile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EP17085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81167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trol of at least one cellular telephone
CN115002732A (zh) 获得网络服务的方法和用户终端、提供网络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30009013A (ko)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MXPA00010902A (en)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