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07B1 -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07B1
KR101053607B1 KR1020040093114A KR20040093114A KR101053607B1 KR 101053607 B1 KR101053607 B1 KR 101053607B1 KR 1020040093114 A KR1020040093114 A KR 1020040093114A KR 20040093114 A KR20040093114 A KR 20040093114A KR 101053607 B1 KR101053607 B1 KR 101053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insertion hole
cabinet
drying apparatus
clos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423A (ko
Inventor
박수원
정성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의 상면의 외관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이드 캐비닛 및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캐비닛과; 상기 본체 캐비닛의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가 본체 캐비닛에 대하여 상부로 회동되어 개폐가능하도록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에 의하면, 탑플레이트를 개방하고자 할 때 건조장치의 본체를 앞으로 끌어낼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건조장치, 탑플레이트, 힌지, 회동개폐

Description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Opening/closing structure for top-plate in drying device}
도 1 은 종래의 건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건조장치의 콘트롤 패널과 패널 프레임의 결합부위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적용된 건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의 힌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힌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도 3의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본체 캐비닛 110 : 사이드 캐비닛
120 : 백커버 130 : 탑플레이트
136 : 제 2 삽입공 140 : 힌지부
141 : 힌지편 143 : 축
145 : 플랜지 146 : 제 1 삽입공
147 : 플랜지 볼트 148a : 결합나사
148b : 결합보스 148c : 홈
150 : 고정부 152 : 삽입공
154 : 체결공 156 : 고정나사
158 : 단차부 256 : 돌기
258 : 보스 259 : 삽입홀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장치의 상면의 외관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빨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기로서, 본체 캐비닛 내부에 회동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장치와, 고온건조한 열풍을 만드는 히터가 구비되어,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빨래등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건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원통형상의 건조드럼(미도시)과, 상기 건조드럼(미도시)을 회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드럼(미도시)에는 열풍공급유로(미도시) 및 열풍배출유로(미도시)가 연결되며, 상기 열풍공급유로(미도시)상에는 본체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고온상태로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열풍배출유로(미도시) 상에는 건조드럼(미도시) 내부로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킴과 더불어 건조 완료후의 공기를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의 본체는 본체의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캐비닛(10)과,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10)의 뒤쪽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후면을 구성하는 백커버(20)와, 양측 가장자리와 뒤쪽 가장자리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10)과 백커버(20)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본체의 저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캐비닛(미도시)으로 이루어진 본체 캐비닛과, 전면을 이루며 빨래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커버(50)와, 본체 캐비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의 상면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30)와, 상기 캐비닛커버(50)와 탑플레이트(30)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종 스위치류가 설치되는 콘트롤 패널(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이드 캐비닛(10)의 전방측 상단에 상기 사이드 캐비닛(10)의 강도를 보강하며 상기 콘트롤 패널(40)이 부착되는 패널 프레임(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커버(50)에는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55)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사이드 캐비닛(10)의 상부 가장자리는 본체의 내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면(12)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면(12)에는 고정돌기(14)가 상측으로 복수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탑플레이트(30)의 측면 가장자리는 "
Figure 112004052919486-pat00001
"자 형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면 (32)이 형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30)의 양 측 플랜지면(32)의 하부면에는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상기 탑플레이트(30)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10)의 상면에 올려진후, 앞쪽으로 밀면 상기 사이드 캐비닛(10)의 상부면에 설치된 고정돌기(14)가 상기 탑플레이트(30)의 플랜지면(32)에 형성된 결합홈(32)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상기 탑플레이트(30)가 본체 캐비닛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콘트롤 패널(40)은 상기 패널 프레임(60)의 전면에 부착되는데, 상기 콘트롤 패널(40)은 그 후측면에 나사체결을 위한 보스(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 프레임(60)에는 상기 보스(42)에 대응되도록 결합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 패널(40)은 상기 패널 프레임(60)의 전면에 부착된 후에 상기 패널 프레임(60)의 후측면에서 상기 콘트롤 패널(40)과 패널 프레임(60)을 고정시키는 나사(64)가 상기 결합공(62)과 보스(42)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 프레임(60)에 고정된다.
이러한 콘트롤 패널(40)의 조립은 상기 탑플레이트(30)가 조립되기 전에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콘트롤 패널(40)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탑플레이트(30)가 앞쪽으로 슬라이딩되어 패널 프레임(60)의 후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콘트롤 패널(40)을 고정하는 나사(64)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30)가 패널 프레임(60)에 밀착된 후에 상기 탑플레이트(30)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36)이 상기 탑플레이트(30)와 백커버(20)의 후측에 고정되어 상기 탑플레이트(30)가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트롤 패널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건조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건조장치의 내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탑플레이트를 탈거할 필요가 생긴다.
상기 탑플레이트를 탈거하기 위해선, 탑플레이트의 후측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브라켓을 탈거한 후에, 상기 탑플레이트를 후측으로 밀어 상기 결합홈과 고정돌기를 탈거시켜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그 후측면이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탑플레이트를 후측으로 밀기 위해서는 건조장치의 본체를 앞쪽을 빼내어 후방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허나, 상기 건조장치의 본체는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수리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상기 건조장치가 실내가구와 일체화 되는 빌트인(Built-in)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건조장치를 앞쪽으로 빼내는 작업또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콘트롤 패널(40)의 수리등 상기 콘트롤 패널(40)을 탈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콘트롤 패널(40)을 분리해야 하는데, 상기 콘트롤 패널(40)은 상기 패널 프레임(60)의 후측에서 나사체결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 패널(40)을 고정하는 나사(64)는 탑플레이트(30)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콘트롤 패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트롤 패널을 고정 하는 나사를 탈거해야 하는데, 이는 상기 탑플레이트를 탈거해야 하는 과정을 동반하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장치를 앞쪽으로 빼내지 않고도 탑플레이트를 탈거할 수 있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 캐비닛 및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캐비닛과; 상기 본체 캐비닛의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가 본체 캐비닛에 대하여 상부로 회동되어 개폐가능하도록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사이드 캐비닛과 탑플레이트 측면의 후측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 캐비닛에서 탑플레이트의 측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 1 삽입공을 갖는 힌지편과; 상기 제 1 삽입공에 대응하여 연통되도록 상기 탑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삽입공과; 상기 제 1 삽입공과 제 2 삽입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가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탑플레이트를 본체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에 의하면, 건조장 치의 본체를 앞으로 빼내지 않고도 탑플레이트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 캐비닛(100)이 구비되는데, 상기 본체 캐비닛(100)은 건조장치의 양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캐비닛(110)과,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의 뒤쪽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건조장치의 후면을 구성하는 백커버(120)와, 양측 가장자리와 뒤쪽 가장자리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과 백커버(120)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본체의 저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캐비닛(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조장치의 상면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130)가 상기 본체 캐비닛(10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130)를 본체 캐비닛(10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상부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 캐비닛(100)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장치는 그 후측면이 벽면과 밀착되며, 특히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좌/우측면에도 여유공간이 없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탑플레이트(130)는 건조장치의 전면을 향하는 부분이 상측으로 개방되는 것이 작업공간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후측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힌지부(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 캐비닛(100)에서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측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힌지편(片 : 141)과; 상기 힌지편(141)에 형성된 제 1 삽입공(146)과; 상기 힌지편(141)의 제 1 삽입공(146)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삽입공(146)과 연통되도록 상기 탑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삽입공(136)과; 상기 제 1 삽입공(146)과 제 2 삽입공(136)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힌지편(141)은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의 후측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측면에 연접되도록, 상기 탑플레이트(130)를 향하여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힌지편(141)은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외측면에 연접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내측면에 연접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삽입공(146)과 제 2 삽입공(136)에 삽입된 축(143)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143)의 양 단에는 플랜지(1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플랜지(145)는 상기 제 1 삽입공(146)과 제 2 삽입공(13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140)의 결합 또는 분해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축(143)의 양 단에 형성된 플랜지(145) 중 일측 플랜지(145)는 상기 축과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탈착 가능한 플랜지(145)는 건조장치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플랜지(147)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147)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플랜지(147)는 축(143)을 향하는 면에 나사산이 결합된 결합나사(148a)가 돌출되어 형성된 플랜지 볼트(147)로 형성되며, 상기 축(143)의 일측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나사(148a)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보스(148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 볼트(147)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결합의 편리성을 위하여 드라이버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홈(14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힌지부(140)는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사이드 캐비닛(110)의 양 측면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편(141)의 제 1 삽입공(146)과 탑플레이트(130)의 제 2 삽입공(136)이 연통하도록 상기 탑플레이트(130)를 위치시키고, 상기 축(143)을 상기 제 1 삽입공(146)과 제 2 삽입공(136)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상기 플랜지 볼트(147)를 상기 축(143)에 체결시키면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본체 캐비닛(100)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플레이트(130)를 본체 캐비닛(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힌지부(140)가 설치된 반대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고정되는 고정부(150)의 위치가 상기 힌지부(140)에서 이격될 수록 적은 힘으로도 확실한 고정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부(140)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과 탑플레이트(130)의 후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탑플레이트(130)와 사이드 캐비닛(110)의 전방측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상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52)과,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154)과; 상기 삽입공(152)에 삽입되고, 그 끝단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5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상측면에 삽입공(1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측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면(132)에도 상기 고정나사(156)가 삽입되는 삽입공(1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의 상측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면(132)에 상기 삽입공(152)에 대응하는 체결공(154)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삽입공(152)은 상기 고정나사(156)의 나사산에 반드시 치합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상기 체결공(154)은 상기 고정나사(156)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나사(156)의 나사머리가 위치하는 삽입공(152)의 주위는 내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158)가 이루어져 상기 고정나사(156)의 나사머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나사(156)가 삽입공(152)에 삽입되어 탑플레이트(130)의 플랜지면(132)에 형성된 삽입공(152)을 관통하고 사이드 캐비닛(110)의 플랜지면(112)에 형성된 체결공(154)에 체결되므로,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본체 캐비닛(100)에 고정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130)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드라이버등의 공구로서 상기 고정나사(156)를 탈거시킨 후에 탑플레이트(130)의 전면부를 들어올리면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상기 힌지부(14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를 삽입공과, 체결공과, 삽입공에 삽입되어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를 돌기와, 상기 돌기가 압입되는 보 스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한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고정부의 다른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250)는 상기 탑플레이트(230)의 하측면에서 상기 본체 캐비닛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256)와; 상기 본체 캐비닛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230)가 닫힐 때, 상기 돌기(256)가 압입되는 삽입홀(259)을 가진 보스(2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돌기(256)는 상기 본체 캐비닛(100 : 도 3 참조)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탑플레이트(230)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탑플레이트(230)의 측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면(232)에 상기 돌기가 설치되는 돌기 고정구(25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256)가 상기 돌기 고정구(25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스(258)는 상기 사이드 캐비닛(110 : 도 3 참조)의 상측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면(212)에 보스 고정구(254)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 고정구(254)에 보스(258)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스(258)는 상기 탑플레이트(230)가 닫힐 때, 상기 돌기(256)가 삽입되는 삽입홀(259)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홀(259)은 상기 돌기(256)가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스(258)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256)의 반 복적인 삽입 및 탈거에도 그 압입력(壓入力)을 잃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탑플레이트(230)가 닫히게 되면, 상기 탑플레이트(230)에 구비된 돌기(256)가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플랜지면(212)에 구비된 보스(258)의 삽입홀(259)에 삽입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돌기(256)는 상기 보스(258)의 삽입홀에 압입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작은 힘에 상기 탑플레이트(230)가 개방되는것이 방지되며, 상기 탑플레이트(230)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탑플레이트(230)의 전면부를 힘주어 밀어 올리면, 상기 돌기(256)가 보스(258)에서 탈거되어 개방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탑플레이트를 개방하고자 할 때 고정부의 고정을 해제시킨다음 상기 탑플레이트의 전면부를 들어올리면 되므로, 건조장치의 본체를 앞으로 끌어낼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콘트롤 패널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상기 탑플레이트를 들어올려 개방시킨 후에 콘트롤 패널을 고정하는 나사를 탈거시키면 되므로, 건조장치의 본체를 앞으로 끌어낼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사이드 캐비닛 및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캐비닛;
    상기 본체 캐비닛의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가 본체 캐비닛에 대하여 상부로 회동되어 개폐가능하도록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사이드 캐비닛과 탑플레이트의 후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 캐비닛에서 탑플레이트의 측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 1 삽입공을 갖는 힌지편;
    상기 제 1 삽입공에 대응하여 연통되도록 상기 탑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삽입공;
    상기 제 1 삽입공과 제 2 삽입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을 포함하여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이 상기 제 1 삽입공과 제 2 삽입공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의 양 단에 상기 제 1 삽입공과 제 2 삽입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 형성된 플랜지중 일측 플랜지는 상기 축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플레이트가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탑플레이트를 본체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
    상기 사이드 캐비닛의 상측면에 형성된 체결공;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그 끝단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주위는 상기 고정나사의 나사머리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면에서 본체 캐비닛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
    상기 본체 캐비닛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가 닫힐 때, 상기 돌기가 압입되며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진 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KR1020040093114A 2004-11-15 2004-11-15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KR101053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14A KR101053607B1 (ko) 2004-11-15 2004-11-15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14A KR101053607B1 (ko) 2004-11-15 2004-11-15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23A KR20060053423A (ko) 2006-05-22
KR101053607B1 true KR101053607B1 (ko) 2011-08-04

Family

ID=3715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114A KR101053607B1 (ko) 2004-11-15 2004-11-15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32B1 (ko) * 2012-09-20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746U (ko) * 1995-09-29 1997-04-25 세탁기
KR19980031814U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세탁기의 판넬캡
KR0130599Y1 (ko) * 1996-02-29 1998-12-15 배순훈 세탁물 건조기용 2중도어
KR19990013963U (ko) * 1997-09-30 1999-04-26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746U (ko) * 1995-09-29 1997-04-25 세탁기
KR0130599Y1 (ko) * 1996-02-29 1998-12-15 배순훈 세탁물 건조기용 2중도어
KR19980031814U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세탁기의 판넬캡
KR19990013963U (ko) * 1997-09-30 1999-04-26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23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5079B2 (ja) 家電機器用キャビネット
US20110025178A1 (en) Door fram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US20060289533A1 (en) Laundry dryer
JPH10122731A (ja) 冷蔵庫
KR20160097890A (ko) 의류 건조기
KR101360907B1 (ko)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053607B1 (ko)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KR101203547B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EP1607514B1 (en) Clothing dryer and method of assembling a clothing dryer
KR101137320B1 (ko) 건조장치의 콘트롤 패널 고정구조
US20060048406A1 (en) Clothing dryer
CN106436198B (zh) 洗涤和/或烘干装置
KR101095550B1 (ko) 의류건조기
KR20160062333A (ko) 건조 장치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비데
KR100452369B1 (ko)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KR100465703B1 (ko) 건조기의 도어 장착 구조
JPH0319360Y2 (ko)
KR100452370B1 (ko) 건조기
KR20150137468A (ko) 의류건조기
KR101122068B1 (ko) 의류건조기의 전원 연결부의 구조
KR101306041B1 (ko)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030021052A (ko) 가전기기의 드럼벨트 조립구조
KR100587295B1 (ko) 빨래건조기의 프론트 캐비닛 조립구조
KR960003763Y1 (ko) 전동차의 라인플로우팬용 그릴아세이(Line flow Fan Grille)
KR20040012003A (ko) 빨래건조기의 톱커버 및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