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05B1 -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05B1
KR101053605B1 KR1020040091417A KR20040091417A KR101053605B1 KR 101053605 B1 KR101053605 B1 KR 101053605B1 KR 1020040091417 A KR1020040091417 A KR 1020040091417A KR 20040091417 A KR20040091417 A KR 20040091417A KR 101053605 B1 KR101053605 B1 KR 101053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lothes dryer
connection hole
drawer
type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674A (ko
Inventor
윤명기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축된 수분을 펌핑하는 모터펌프와 연결되는 펌프 호스와, 상기 펌프 호스와 연결되며, 펌핑된 수분을 저장하는 드로워(drawer)로 펌핑된 수분을 유도하는 드로워 호스를 구비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 호스와 상기 드로워 호스 사이에는 상기 펌프 호스로 펌핑된 수분을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 또는 상기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응축식 의류건조기, 배수장치

Description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water-supply-device of condensing dryer}
도 1a는 종래 배수 호스와 드로워 호스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종래 배수 호스와 외부 배수 호스가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조작구의 Ⅰ-Ⅰ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Ⅱ-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7...배수 호스 48...드로워 호스
53...외부 배수 호스 100...배수장치
101...제1연결홀 102...제2연결홀
103...제3연결홀 104...관통홀
110...상부 케이스 120...하부 케이스
125...안착홈 150...조작대
180...조작구 181...제1연통홀
182...제2연통홀 183...삽입홈
본 발명은 응축식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조장치는 팬과 히터로 외부 공기를 강제 인입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드럼 내부로 송풍시킴으로써 세탁수분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조장치는 드럼과 연결되는 순환유로 상에 설치된 팬과 히터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면서 가열하고,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드럼 내부로 보내 세탁수분을 건조시킨 다음,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재가열하여 건조행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건조장치의 건조행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드럼 내부의 젖은 세탁수분을 건조시키고 순환유로로 배출되는 공기는 많은 습기를 머금고 있는 바,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다습한 공기가 드럼 내부로 재인입되므로 건조 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에 최근에는 순환유로 상에 증발기 및 응축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 클을 설치하여 제습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도 개발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응축식 의류건조기는 건조동작 중 응축된 수분을 내부에 설치된 모터 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수분을 드로워(drawer) 호스 또는 외부 배수 호스를 통하여 배수하게 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이러한 종래의 배수 호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일측 하부에는 개구부(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7)가 형성된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내측에는 모터 펌프(미도시)와 연결된 펌프 호스(37) 및 드로워(미도시)와 연결된 드로워 호스(48)가 구비되며, 상기 펌프 호스(37) 및 드로워 호스(48)는 연결관(83)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연결관(83)과 상기 드로워 호스(48)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서 개구부(7)를 통하여 손을 넣어 드로워 호스(48)를 연결관(83)과 분리한 후, 따로 연결관(83)을 외부에 구비된 외부 배수 호스(53)에 연결하여 외부로 펌핑된 수분을 배수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연결관(83)과 드로워 호스(48)를 분리하였다 체결하였다 하는 과정 이 상당히 번거로운 과정일 뿐 아니라, 이와 같이 분리 및 체결과정을 반복하면서 드로워 호스(48)가 헐거워져서 연결관(83)과 잘 체결이 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로워 호스 또는 외부로의 선택적 배수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배수장치가 구비된 응축식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응축된 수분을 펌핑하는 모터펌프와 연결되는 펌프 호스와, 상기 펌프 호스와 연결되며, 펌핑된 수분을 저장하는 드로워(drawer)로 펌핑된 수분을 유도하는 드로워 호스를 구비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 호스와 상기 드로워 호스 사이에는 상기 펌프 호스로 펌핑된 수분을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 또는 상기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장치는 일측으로는 상기 펌프 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홀을, 타측으로는 상기 드로워 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홀을, 그리고, 또 다른 타측으로는 상기 배수 호스와 연결되는 제3연결홀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홀과 연통된 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홀과 제3연결홀 중 임의의 홀과는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구조가 가능한 조작구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구에 연결되는 조작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응축식 의류건조기는 응축된 수분을 펌핑하는 모터펌프(미도시)에 연결되는 펌프 호스(37;도 1b 참조)와, 상기 펌프 호스와 연결되며, 펌핑된 수분을 저장하는 드로워(drawer)(미도시)로 펌핑된 수분을 유도하는 드로워 호스(48;도 1b 참조)를 연결하기 위한 배수장치(100)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장치(100)는 일측으로는 상기 펌프 호스(37:도 1b 참조)와 연결되는 제1연결홀(101)을, 타측으로는 상기 드로워 호스(48:도 1b 참조)와 연결되는 제2연결홀(102)을, 그리고, 또 다른 타측으로는 상기 외부 배수 호스(53:도 1b 참조)와 연결되는 제3연결홀(103)을 구비하는 케이스(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30)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로 나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홀(101) 및 제3연결홀(103)은 상기 상/하부케이스(110,120)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홈 또는 리브(101a,101b,103a,103b)가 결합 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측에는 반구형의 홈(125)이 형성되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10)에도 내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 대응하는 구조로 반구형의 홈(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30)에서 제1연결홀(101)의 반대면에는 관통홀(104)이 상/하부케이스(110,120)에 반원형의 홈(104a,104b)이 결합 시 형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는 상기 제1연결홀(101)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결홀(102)과 제3연결홀(103) 중 임의의 홀과는 선택적으로 연통된 구조가 되도록 하는 조작구(18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구(180)는 구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하부 케이스(110,120)에 각각 반구형으로 형성된 홈(115,125)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상기 조작구(180)는 제1연결홀(101)에 연결되는 제1연통홀(181)과, 상기 제1연통홀(181)과 연통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조작대(15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홀(102)과 제3연결홀(103) 중 임의의 홀과는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2연통홀(18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홀(101)을 관통한 후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연통홀(181)의 둘레를 따라서는 원형리브(18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통홀(181)의 반대쪽으로 상기 조작구(180)에는 상기 조작대(1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18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83)의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케이스(130)에 형성된 관통홀(104: 도 4 참조)을 관통하는 원형리브(183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홀(102) 및 제3연결홀(103)은 상기 조작구(180)의 제2연통홀(182)이 회전 중에 연통되는 구조가 되도록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대(150)는 상기 삽입홈(183)에 삽입되는 삽입부(151)와, 상기 케이스(130)의 외부에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삽입부(151)에 수직으로 절곡된 구조의 조작부(15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부케이스(110,120) 각각에 구비된 안착홈(115,125)에 상기 조작구(180)를 안착시킨 후, 상기 상/하부케이스(110,120)를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제1연통홀(181) 입구 주위에 형성된 원형리브(181)가 상기 케이스(130)의 제1연결홀(101)을 관통하며, 상기 삽입홈(183) 주위에 형성된 원형리브(183a)가 상기 관통홀(104)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조작대(150)가 상기 관통홀(104)을 지나 상기 조작구(180)의 삽입홈(183)에 삽입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홀(101)은 펌프 호스(37:도 1b 참조)에 연결되고, 제2연결홀(102)은 드로워 호스(48:도 1b 참조)에 연결된다.
또한, 드로워 호스(48)가 아닌 외부로 펌핑된 수분을 가이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3연결홀(103) 주위에 형성된 원형리브(103a,103b)에 외부 배수 호스(37)를 연결한 후, 조작대(150)를 회전시켜 조작구(180)의 제2연통홀(182)이 제3연결홀(103)에 연통된 구조를 이루게 한다.
이렇게 하고, 제1연결홀(101)을 통하여 펑핌되는 수분을 받으면, 결국 제3연결홀(103)을 통하여 수분이 외부 배수 호스(37)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 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단히 조작대만을 작동시킴으로써, 펌핑된 수분을 드로워 호스를 통하여 드로워에 수분을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 배수 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수분을 배수시킬 수 있게 되어 그 사용이 편리해진다.
둘째, 드로워 호스를 상황에 따라 분리하였다 떼어내었다 하지 않아도 되므로, 드로워 호스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응축된 수분을 펌핑하는 모터펌프와 연결되는 펌프 호스와, 상기 펌프 호스와 연결되며, 펌핑된 수분을 저장하는 드로워(drawer)로 펌핑된 수분을 유도하는 드로워 호스를 구비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 호스와 상기 드로워 호스 사이에는 상기 펌프 호스로 펌핑된 수분을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 또는 상기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일측으로는 상기 펌프 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홀을, 타측으로는 상기 드로워 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홀을, 그리고, 또 다른 타측으로는 상기 배수 호스와 연결되는 제3연결홀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홀과 연통된 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홀과 제3연결홀 중 임의의 홀과는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구조가 가능한 조작구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구에 연결되는 조작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는,
    상기 제1연결홀에 연결되는 제1연통홀과,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조작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홀과 제3연결홀 중 임의의 홀과는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연통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연통홀의 둘레를 따라서는 원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의 반대쪽 상기 조작구에는 상기 조작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의 삽입홈의 둘레를 따라서는 원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삽입홈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리브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대는,
    상기 관통홀 및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수직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는 조작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KR1020040091417A 2004-11-10 2004-11-10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KR10105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417A KR101053605B1 (ko) 2004-11-10 2004-11-10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417A KR101053605B1 (ko) 2004-11-10 2004-11-10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674A KR20060042674A (ko) 2006-05-15
KR101053605B1 true KR101053605B1 (ko) 2011-08-03

Family

ID=3714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417A KR101053605B1 (ko) 2004-11-10 2004-11-10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25U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세탁기의 배수구 변환장치
KR200154937Y1 (ko) 1994-03-29 1999-08-16 전주범 세탁기의 배수유로방향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937Y1 (ko) 1994-03-29 1999-08-16 전주범 세탁기의 배수유로방향 전환장치
KR19980031925U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세탁기의 배수구 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674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018B2 (en) Dryer, and drain structure of the same
KR10069702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US9702080B2 (en) Clothing dryer
EP1659208A2 (en) Washing/drying machine
KR20060107036A (ko) 건조 겸용 세탁기
EP3779028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aerated collector for condensed water
US20090071031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condensed water discharge device for use in laundry treatment machine
EP3081688A2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KR101053605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배수장치
JP424333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352803B2 (ja) 洗濯乾燥機
KR100697021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1054397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746427B (zh) 滚筒式洗衣机
KR101246374B1 (ko) 세탁기
KR200466585Y1 (ko) 세탁기
KR101225962B1 (ko) 세탁 건조기의 증기 역류 방지 제어 방법
KR101137319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리버서블 도어 구조
KR100465192B1 (ko) 건조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20110097125A (ko) 세탁물 처리장치
JP3990325B2 (ja) 洗濯乾燥機
KR100661646B1 (ko) 세탁기
KR100481198B1 (ko) 의류건조기의 응축기출입구 개폐구조
KR0176895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
KR101241877B1 (ko) 세탁장치의 사이펀 작용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