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609B1 -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609B1
KR101052609B1 KR1020090078646A KR20090078646A KR101052609B1 KR 101052609 B1 KR101052609 B1 KR 101052609B1 KR 1020090078646 A KR1020090078646 A KR 1020090078646A KR 20090078646 A KR20090078646 A KR 20090078646A KR 101052609 B1 KR101052609 B1 KR 101052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ame
guide
main body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1068A (en
Inventor
조필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네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to KR102009007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609B1/en
Publication of KR2011002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및 승강 운동을 연속적으로 하면서 개폐되도록 하여 커버의 개방시 커버와 본체 간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커버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Z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마운트 프레임과; 상기 마운트 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일정 거리 슬라이딩했을 때 상기 마운트 프레임 및 가이드 프레임이 본체 쪽으로(Z축 방향) 하강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module of a slide type mobile terminal which can minimize the step between the cover and the body when the cover is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sliding and lifting movement continuous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hinge module of th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base frame fixed to a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 guide fram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cover (Z-axis direction);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guide frame to the base frame in such a way that the guide frame can be lifted and lowered; A mount frame fixed to the cover and sliding in a Y-axis direction by the guide frame; And lifting means for lowering the mount frame and the guide frame toward the main body (Z-axis direction) when the mount frame is sli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uide frame.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힌지모듈 Slide, handheld terminal, hinge module

Description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Hinge module for slide type mobile terminal {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개폐되는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커버와 본체 사이에 구성되어, 휴대단말기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수평하게 슬라이딩 및 승강 운동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module of a mobile terminal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slide type, and more particularly, is configur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sliding and lifting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t relates to a hinge module of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PCS,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이다. 통상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office or home telephon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CS, a cellular phone, or a PD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usually ca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r portable terminals because they provide portability and mobility to users.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종류는 크게 바형(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de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such a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user with tex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 game, etc., beyond the step of delivering only simple audio information. The type of the mobile terminal is largely a bar type and a flip type with a cover. It can be divided into flip type and folder type.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형 또는 플립형 휴대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folding type mobile terminal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older when calling or carrying, so it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bar type or flip type portable terminal is long, but the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is easily damaged. There is a problem.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커버(통상적으로 이 커버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구성됨)가 슬라이딩 방식(sliding type)으로 반자동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형 휴대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형 휴대단말기의 개폐 작동은 본체와 커버 사이에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cover (usually a display device is formed on the cover) is semi-automatically moved up and down in a sliding type is used for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ing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by a hinge module configur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딩형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단순히 슬라이딩 운동만 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개방되었을 때 본체와 커버 간에 커버의 두께만큼 단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단차는 휴대단말기의 심미성을 저해하는 원인일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의 커버의 전방면과 본체의 전방면 하부에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소자를 장착하여, 커버의 개방시 커버의 디스플레이소자와 본체의 디스플레이소자가 함께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창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커버와 본체 간의 단차는 이러한 기능을 제한하게 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since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s simply configured to slide on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hen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by slid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may occur. There was only. Such a step may not only cause the aesthetics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impaired, but also act as a cause of limiting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of a touch screen type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display element of the cover and the display element of the main body together realize a large display window. If so, the step between the cover and the body will limit this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및 승강 운동을 연속적으로 하면서 개폐되도록 하여 커버의 개방시 커버와 본체 간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step between the cover and the body when opening the cov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sliding and lifting movement to the body continuously. It is to provide a hinge module of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커버와 본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본체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커버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Z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마운트 프레임과; 상기 마운트 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일정 거리 슬라이딩했을 때 상기 마운트 프레임 및 가이드 프레임이 본체 쪽으로(Z축 방향) 하강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hinge module of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to open and close the cover sliding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fixed base frame; A guide fram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cover (Z-axis direction);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guide frame to the base frame in such a way that the guide frame can be lifted and lowered; A mount frame fixed to the cover and sliding in a Y-axis direction by the guide frame; Provides a hinge module of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means for lowering the mount frame and the guide frame toward the main body (Z-axis direction) when the mount frame sliding a certain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는 상기 커버와 마주보는 전방부에 일정 높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본체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후방부에 상기 본체플레이트와 대응하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 성되는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낮은 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body plate which is formed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front portion facing the cover, and the cover corresponds to the body plate at the rear portion facing the main body. The cover plate is formed to be stepped in the form, wherein the bas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late.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며 Z축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록과, 상기 마운트프레임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means is fixed to the base frame and the guide block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Z-axis direction, and formed to protrude into the mount fram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protrusion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판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connecting member,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in the Z-axis direction around the hinge axis, the other side is made of a rotating plate connected to the guide frame to be mov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힌지모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마운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시 천이점을 지나지 않은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고, 천이점을 지난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mount frame, and provides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closed within a distance not exceeding a transition point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in addition to the distance past the transition poin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v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커버를 개방시 커버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및 하강 운동하여 개방되므로 커버와 본체 간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개방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by sliding and lowering th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o minimize the step betwee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when opening the cover, the mobile terminal Various functions can be given t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hinge module of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모듈이 적용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및 그의 개방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주로 키패드(미도시), 배터리(미도시), 메인보드(미도시) 등이 장착되는 구성부이며, 상기 커버(20)는 전방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장착되는 구성부이나, 본체(10) 및 커버(20)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하다. 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hin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n opening operation thereof, th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Y axi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cover 20 is slidably coupled in a direction. The main body 10 is a component to which a keypad (not shown), a battery (not shown), a main board (not shown), etc. are mainly mounted, and the cover 20 includes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on a front surface thereof. The components to be mounted, but component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additions are possible.

상기 커버(20)는 본체(1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본체 방향(Z축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면서 개폐된다. 상기 본체(10)와 커버(20) 사이에는 이러한 커버(20)의 슬라이딩 및 승강 운동의 복합적인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힌지모듈이 구성된다. The cover 20 is opened and closed while sli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lifting in the main body direction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hinge module is configur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to implement a complex movement of the sliding and lifting movement of the cover 20.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커버(20)와 마주보는 전방부에 중간 부분이 일정 높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본체플레이트(11)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와 마주보는 후방부에 상기 본체플레이트(11)와 대응하는 형태로 중간 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21)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ncludes a main body plate 11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front portion facing the cover 20, and the cover 20 faces the main body 10. The back plate has a cover plate 21 in which a middle portion is formed stepp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main body plate 11.

상기 본체플레이트(11)의 단차진 부분과 커버플레이트(21)의 단차진 부분은 본체(10)에 대한 커버(20)의 하강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pped portion of the body plate 11 and the stepped portion of the cover plate 21 ar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Y-axis direction) so that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cover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can be performed smoothly. It is preferably formed.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들로, 본 발명의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본체(10)(도 1 및 도 2 참조)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Z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1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구성된 회동판(150)과, 휴대단말기의 커버(20)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마운트 프레임(13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마운트 프레임(130) 및 가이드 프레임(120)이 Z축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블록(140)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과 마운트 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2개의 토션스프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3 to 1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see Figs. 1 and 2) of the portable terminal. A base frame 110, a guide frame 120 which is installed to be elevated in the Z-axis direction on the base frame 110, and the guide frame 120 to b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0 to be elevated Rotating plate 150 configured as a connecting member, a mount frame 130 fixed to the cov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guide frame 120, and the base frame 110 A guide block 140 fixed to both ends of the guide frame 140 to guide the mount frame 130 and the guide frame 120 to descend in the Z-axis direction, and installed between the guide frame 120 and the mount frame 130 to have elastic force. 2 provid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rsion spring (16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기다란 직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플레이트(11)(도 1 및 도 2 참조)의 낮은 부분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블록(140)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부에는 상기 회동판(15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핀(155)이 삽입되는 핀홀(112)들이 형성되어 있다. The base frame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longated rectangular plate, and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11 (see FIGS. 1 and 2).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block 140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0. In addition, pin holes 11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0 in which hinge pins 155 are inserted to rotatably connect the pivoting plate 150.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은 상기 회동판(150)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Z축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의 양단부에는 상기 마운트 프레임(1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편(122)이 절곡되게 형성 되며, 이 가이드편(122)의 하측 부분에 상기 회동판(15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ㄷ'자형 회동가이드(124)들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frame 120 is configured to be elevated in the Z-axis direction on the base frame 110 by the rotatable plate 15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like the base frame 110. At both ends of the guide frame 120, the guide piece 12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unt frame 130 is formed to be bent, and the rotating plate 150 rotate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iece 122. A plurality of 'c' shaped rotation guides 124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to be bent.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에는 상기 토션스프링(160)들을 연결하기 위한 홀(126)들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frame 120 is formed so that the holes 126 for connecting the torsion springs 160 pass therethrough.

상기 회동판(150)은 일측부에 상기 힌지핀(155)이 삽입되는 한 쌍의 관통홀(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의 회동가이드(124)들에 삽입되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돌기(153)들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은 상기 회동판(150)이 힌지핀(155)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Z축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게 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프레임(120)을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서 상기 회동판(150)이 구성되었으나, 이와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 pivoting plate 150 has a pair of through holes 152 into which the hinge pin 155 is inserted, a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uides 124 of the guide frame 120 at one side thereof. The guide protrusions 153 sliding in the X-axis direction are formed to protrude. Accordingly, the guide frame 120 moves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on the base frame 110 as the pivoting plate 150 rotates about the hinge pin 155. Of course, in this embodiment, the pivoting plate 150 is configured as a connecting memb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guide frame 120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but it may be possible to configure the connecting member in various other ways. .

그리고, 상기 마운트 프레임(130)은 커버플레이트(21)(도 1 및 도 2 참조) 중 높은 부분에 고정되며, 직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마운트 프레임(130)의 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에 대한 마운트 프레임(1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부(132)가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32)에는 가이드 프레임(120)에 대한 마운트 프레임(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가이드바아(135)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편(122)은 상기 가이드바아(135)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된 홈(136)에 삽입되어 마운트 프레임(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마운트 프레 임(130)에도 상기 토션스프링(160)의 다른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2개의 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unt frame 130 is fixed to a high portion of the cover plate 21 (see FIGS. 1 and 2)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mount frame 130, guide rails 13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unt frame 130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120 are bent in a substantially 'c' shape. The guide rail 132 is inserted with a guide bar 135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smooth sliding movement of the mount frame 130 relative to the guide frame 120, the guide piece 122 is the guide bar ( 13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6 formed in the Y-axis direction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unt frame 130. In addition, two holes 134 are formed at the mount frame 130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160.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마운트 프레임(130) 및 가이드 프레임(120)의 Z축 방향 승강 운동을 일으키는 승강수단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블록(140)에는 Z축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홈(142)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마운트 프레임(13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블록(140)에 형성된 가이드홈(142)에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마운트 프레임(130) 및 가이드 프레임(120)의 하강 운동을 발생시키는 가이드돌기(14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록(140)의 가이드홈(142)은 마운트 프레임(130)의 가이드돌기(144)가 가이드홈(142)에 걸리면서 자연스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진행방향 전방에 위치한 부분이 진행방향 후방에 위치한 부분보다 상측으로 약간 튀어나오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lifting means for causi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Z-axis direction of the mount frame 130 and the guide frame 120 relative to the base frame 110, the guide block 140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Z-axis direction The photo guide groove 142 is formed to be open upward, the mount frame 130 and the guide fram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42 formed in the guide block 140 at both ends of the mount frame 130 and guided Guide protrusions 144 for generating a downward movement of the 1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Here, the guide groove 142 of the guide block 140 is a portion located in the front of the traveling direction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144 of the mount frame 130 is naturally lowered while being caught by the guide groove 142 in the rear of the traveling direction. It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slightly above the position where it is loc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모듈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The hinge modu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도 4와 도 7과 도 10은 휴대단말기의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도 1 및 도 2의 (A)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힌지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5와 도 8과 도 11은 휴대단말기의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되고 있는 상태(도 1 및 도 2의 (B)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힌지모듈의 상태이며, 도 6과 도 9와 도 12는 휴대단말기의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해 완전히 개방된 상태(도 1 및 도 2의 (C)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힌지모듈의 상태를 나타낸다. 4, 7 and 10 show the state of the hinge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20 of the mobile terminal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1 and 2 (A)). 5, 8, and 11 illustrate a hing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20 of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while slid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1 and 2 (B)). 6, 9 and 12 show a state in which the cov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letely ope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1 and 2 (C)). Indicates the status of the hinge module.

먼저, 도 4와 도 7과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20)에 고정된 마운트 프레임(130)은 본체플레이트(11)의 높은 부분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회동판(150)도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First, the mount frame 130 fixed to the cover 20 in the state shown in Figures 4, 7 and 10 is mounted on the high portion of the body plate 11 and is supported, so that the rotating plate ( 150 is also rotated upward.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커버(20)를 Y축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도 5와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운트 프레임(130) 양단의 가이드바아(135)가 가이드 프레임(120)의 가이드편(122)의 안내를 받아 마운트 프레임(130)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When the user pushes up the cover 20 in the Y-axis direction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5, 8, and 11, the guide bars 135 at both ends of the mount frame 130 are guide frames 120. The mount frame 130 is slid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guide piece 122.

상기 마운트 프레임(130)이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돌기(144)가 가이드블록(140)의 가이드홈(142) 상에 위치하게 되면, 커버(20)의 후단이 본체(10)의 단차진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마운트 프레임(130)이 본체플레이트(11)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mount frame 130 slides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144 is positioned on the guide groove 142 of the guide block 140, the rear end of the cover 20 is positioned at the stepped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mount frame 130 is no longer supported by the body plate 11.

이에 따라, 도 6과 도 9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운트 프레임(130) 및 가이드 프레임(120)이 자중에 의해 Z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동판(150)은 힌지핀(155)을 중심으로 Z축 방향 아래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판(150)이 회전하면서 마운트 프레임(130) 및 가이드 프레임(120)이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144)가 가이드블록(140)의 경사진 가이드홈(142)을 따라 안내되므로 마운트 프레임(130)은 Z축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Y축 방향으로도 약간 이동하게 된다. 즉, 마운트 프레임(130)은 Z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하면서 사선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6, 9, and 12, the mount frame 130 and the guide frame 120 are lowered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ir own weight. At this time, the rotating plate 150 is rotated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around the hinge pin (155). As the rotating plate 150 rotates as the mount frame 130 and the guide frame 120 descend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rotrusion 144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guide groove 142 of the guide block 140. The mount frame 130 moves slightly in the Y-axis direction while desc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the mount frame 130 is lowered in an oblique direction while moving in combination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한편, 상기 커버(20)를 본체(1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밀어서 개방시킬 때, 상기 토션스프링(160)들은 상기 커버(20)를 개방시키는 동안 서서히 압축되다가 천이점을 지나면서 펼쳐지면서 커버(20)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커버(20)의 개방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력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20 is pushed open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torsion springs 160 are gradually compressed while opening the cover 20, the cover is unfol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ransition point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20 is opened to assist the opening of the cover 20 more smoothly.

상기 커버(20)를 본체(10)에 대해 폐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는 역순으로 힌지모듈이 작동한다. 즉, 도 6과 도 9와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20)를 본체(10)에 대해 닫히는 쪽으로 힘을 가하면, 마운트 프레임(130)의 가이드돌기(144)가 가이드블록(140)의 가이드홈(142)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상승하여 마운트 프레임(130) 및 가이드 프레임(120)이 상승한 다음, 마운트 프레임(130)이 가이드 프레임(120)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닫히게 된다. 물론, 이 때에도 상기 토션스프링(160)들은 천이점을 지나는 지점에서부터 탄성력을 제공하여 폐쇄 작동을 조력한다. When the cover 20 is to be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hinge module operates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cover 20 is applied to the clo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in the state shown in Figures 6, 9 and 12, the guide protrusion 144 of the mount frame 130 of the guide block 140 The mount frame 130 and the guide frame 120 are raised along the guide groove 142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n the mount frame 130 is guided by the guide frame 120 to slide in the Y-axis direction to close. do. Of course, even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s 160 provide elastic force from the point passing through the transition point to assist the closing operation.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커버(20)를 개방시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한 다음, 커버(20)의 후단이 커버(20)의 단차진 부분을 벗어나는 지점에서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하여 개방된다. 따라서, 커버(2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커버(20)와 본체(10) 간의 단차가 거의 없어지게 되고, 커버(20)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할 경우에는 커버(20)의 외면과 본체(10)의 외면이 거의 동일면이 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20 of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the cover 20 slide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nd then the rear end of the cover 20 is covered with the cover 20. At the point beyond the stepped part of), it is naturally lowered and opened by its own weight. Therefore, when the cover 20 is completely open, the step between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is almost eliminated. When the thickness of the cover 20 is made very th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are reduced. The outer surface of) may be almost the same plane.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힌지모듈이 적용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및 그의 개폐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equentially showing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in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re sequentially performed,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힌지모듈의 구성 및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4 to 6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of FIG.

도 7 내지 도 9는 도 3의 힌지모듈의 구성 및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7 to 9 are sid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of FIG.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힌지모듈의 구성 및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정면도10 to 12 are front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11 : 본체플레이트10: main body 11: main body plate

20 : 커버 21 : 커버플레이트20: cover 21: cover plate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가이드 프레임110: base frame 120: guide frame

122 : 가이드편 124 : 회동가이드122: guide 124: rotation guide

130 : 마운트 프레임 135 : 가이드바아130: mount frame 135: guide bar

140 : 가이드블록 142 : 가이드홈140: guide block 142: guide groove

144 : 가이드돌기 150 : 회동판144: guide protrusion 150: rotating plate

160 : 토션스프링160: torsion spring

Claims (5)

휴대단말기의 커버와 본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본체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에 있어서,In the hinge module of th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to open and close the cover sliding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과;A base frame fixed to the main body;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커버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Z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A guide fram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cover (Z-axis direction);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guide frame to the base frame in such a way that the guide frame can be lifted and lowered; 상기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마운트 프레임과;A mount frame fixed to the cover and sliding in a Y-axis direction by the guide frame; 상기 마운트 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대해 일정 거리 슬라이딩했을 때 상기 마운트 프레임 및 가이드 프레임이 본체 쪽으로(Z축 방향) 하강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lifting means for lowering the mount frame and the guide frame toward the main body (Z-axis direction) when the mount frame is slid a distance from the guide frame;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며 Z축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록과, 상기 마운트프레임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The lifting means is fixed to the base frame and the guide block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Z-axis direction,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mount frame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The hinge module of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는 상기 커버와 마주보는 전방부에 일정 높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본체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후방부에 상기 본체플레이트와 대응하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낮은 쪽에 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The body of claim 1, wherein th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body plate which is formed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a front portion facing the cover, and the cover corresponds to the body plate at a rear portion facing the body. And a cover plate which is formed to be stepped, and wherein the base frame is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The slide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in a Z-axis direction about a hinge axis,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of a pivoting plate movably connected to the guide frame. Hinge module of type portable terminal. 제1항과 제2항과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마운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시 천이점을 지나지 않은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고, 천이점을 지난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mount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mount frame, and the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closed within a distance not exceeding a transition point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The hinge module of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hinge module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at a distance beyond the transition point.
KR1020090078646A 2009-08-25 2009-08-25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1052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46A KR101052609B1 (en) 2009-08-25 2009-08-25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46A KR101052609B1 (en) 2009-08-25 2009-08-25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068A KR20110021068A (en) 2011-03-04
KR101052609B1 true KR101052609B1 (en) 2011-07-29

Family

ID=4393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646A KR101052609B1 (en) 2009-08-25 2009-08-25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60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338A (en)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le to be opend horizontally in line its body and slide c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338A (en)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le to be opend horizontally in line its body and slide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068A (en)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114B1 (en) module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US8180416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0068B1 (en) Sliding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KR100735304B1 (en) Slid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20120069167A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54594B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1052609B1 (en)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200425749Y1 (en) a slide type cellular phone
KR100573452B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0719518B1 (en) Simple type slide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KR100945480B1 (en) Cellular phone
KR101016523B1 (en)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712188B1 (en) Slide hinge module and portable phone comprising it
KR200326418Y1 (en) Sliding means of mobile phone of slide type
KR100650254B1 (en) Mobile phone having slide hinge type module
KR100905318B1 (en) Sliding type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KR20070068666A (en)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67232B1 (en) Swing type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350570Y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376816Y1 (en) Slide type Module of cellular phone
KR100721173B1 (en) Sliding devic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810220B1 (en) Port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53356Y1 (en) module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050111717A (en) Mobile phone of slide type
KR101007846B1 (en)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