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311B1 - 폴리우레탄 면진받침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면진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311B1
KR101052311B1 KR1020080070017A KR20080070017A KR101052311B1 KR 101052311 B1 KR101052311 B1 KR 101052311B1 KR 1020080070017 A KR1020080070017 A KR 1020080070017A KR 20080070017 A KR20080070017 A KR 20080070017A KR 101052311 B1 KR101052311 B1 KR 10105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elastic
elastic body
rub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26A (ko
Inventor
이인숙
Original Assignee
이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숙 filed Critical 이인숙
Priority to KR102008007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3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2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laminated structures of alternating elastomeric and rigid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받침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탄성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의 취약점인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강도가 약하다는 점을 선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기둥을 이용하여 해소하는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 기둥의 강성을 다양한 값으로 조절함으로써 실제로 건설되는 교량 현황에 알맞은 경제적인 교량받침의 설계 및 시공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탄성재료층 및 강성재료층이 번갈아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여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받침이 제공된다.
폴리우레탄, 면진, 받침

Description

폴리우레탄 면진받침{polyurethane seismic isolation device}
본 발명은 면진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받침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탄성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의 취약점인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강도가 약하다는 점을 선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해소하는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의 강성을 다양한 값으로 조절함으로써 실제로 건설되는 교량 현황에 알맞은 경제적인 교량받침의 설계 및 시공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구상에 있는 모든 구조물은 지구중력과 같은 수직하중에는 대체적으로 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수평하중에 대해서는 취약한 경우가 많다.
문명이 그다지 발달하지 못했던 옛날에는 지진이나 바람 등의 수평하중을 정확히 고려할 필요가 없이 구조물이 부서지면 다시 건설하면 되었으나, 사회가 발달하고 경제규모가 커짐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중요한 구조물이나 고층빌딩 및 교량과 같은 대형구조물의 지진피해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동반하므로 만일의 경우를 대비한 내진설계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내진설계는 경제력이나 기술력이 취약하여 말 그대로 의식주의 해결 이 급급하던 시절에는 내진설계 자체가 다소 사치스러운 발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으나, 점차적으로 인구의 집중화와 이에 따라 대도시가 발달하고 각종 주요구조물과 일반구조물이 공존하고 있는 우리의 환경현실에서는 지진이라는 자연재해에 대하여 중요도에 따른 다소의 가중치는 두더라도 전반적 균형을 이루는 방비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교량구조물은 구조적으로 지진에 대해 취약한 형식이며 지진방재의 측면에서는, 지진발생 후 피해복구의 생명줄로서 지진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고 2차적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비상통로로서의 막중한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량 등 토목구조물의 시공시에는 지진 등의 피해를 예방하고 토목구조물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내진 설계를 필요로 한다.
교각의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는 일반적인 교량구조물의 경우, 상부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의 교각의 단면으로서는 교량구조물의 고유주기를 지진에너지가 강한 주기대역을 벗어나게 할 수는 없으므로 (일반적인 교량구조물의 교축직각방향 고유주기는 0.3초~0.6초 정도임), 고무와 같은 수평강성이 약한 재료를 사용하여 교량구조물의 고유주기를 인위적으로 길게 하여 지진파의 강한 주기대역을 벗어나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한 고무받침만으로는 교량구조물과 같이 큰 사하중에 대하여 좌굴현상을 나타내므로 고무와 고무사이에 보강용 강판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수직하중에 대하여는 안정적으로 견디면서 수평하중에 대해서는 고무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상부구조물의 고유주기를 인위적으로 길게 하는 탄성받침이 고무재질의 발달과 더불어 실용화되게 되었다.
상기 탄성받침은 고무판을 적층하되 그 사이에 보강용 강판 매입형성하여 하중의 재하시 고무판의 측면 팽출(bulging) 현상을 억제하도록 한 고무받침을 말한다.
교량상판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강성이 약한 탄성받침을 설치하면 바람하중이나 차량의 제동하중에 의해 교량상판이 많이 흔들리는 단점이 발생하며, 주기가 긴 구조물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이러한 변위를 억제하지 않으면 상시 하중에 큰 변위가 발생하여 구조물의 사용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지진시에는 큰 변위가 발생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여 저항력이 크게 되는 점성댐퍼나 재료의 비선형거동으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변위를 억제하게 하는 특별한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한 방편으로 탄성받침의 내부에 코아(CORE)의 형태로 납을 삽입하여 탄성받침에 의해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늘여주는 기능과 납의 비선형거동으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갖춘 납면진받침(LRB)이 개발되어 미국 및 일본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속의 비선형을 이용한 강재 댐퍼형 면진받침, 미끄럼판의 마찰력을 이용한 마찰받침, 고무 자체에 감쇠기능을 첨가한 고감쇠 고무받침, 환경 친화적이라는 이미지로 납을 대신하는 주석면진받침, 이외에도 스프링을 사용한 면진받침 등이 소개되어 한국이 전 세계적으로 면진제품의 전시장으로 착각할 만큼 다양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즉, 지진격리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감쇠고무받침(high damping rubber bearing)은 도로교량이나 철도교량 및 기타 특수한 기능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전달하며, 회전 및 상부 구조물의 변형으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거동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면진받침 종류 중 하나이다.
상기 고감쇠고무받침은 탄성받침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지만 고무의 배합을 달리하여 보다 향상된 면진성능을 부여한 것으로, 도 2의 그림과 같이 그래프의 면적이 지진에의한 지진력을 없애주는 것으로 탄성받침에 댐핑성능을 부여한 제품이다.
상기 고감쇠고무받침은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 적용되어 자중이 수톤 내지 수천 톤까지 이르는 큰 하중의 상부 구조물의 변위에 대응하면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게 되는데, 철판으로 된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ㆍ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고감쇠 고무와, 상기 고감쇠 고무 내부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개재되어 강성재료층을 형성하는 금속판과, 상부 및 하부측 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직 하중에 대하여는 고무의 좌굴 현상 없이 지탱할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진동은 고감쇠 고무에서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탄성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은 공히 수평강성이 약하여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탄성받침의 경우에는 교량받침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굳이 단점을 지적하자면 수평강성이 매우 약하다.
그리고, 탄성받침의 경우에 있어서 고무의 전단탄성계수를 높여서 수평강성을 높이는 것은 극히 어렵다. 즉, 통상 탄성고무받침은 전단탄성계수 G=0.9MPA 또는 1.15MPA인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탄성고무받침의 수평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단탄성계수를 더 증가시켜야만 하지만, 고무의 재료 특성상 전단탄성계수를 더 높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탄성받침의 경우에는 상시 풍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받침 옆에 쐐기를 설치하기도 하나, 이는 지진시 지진력에 의하여 쐐기가 부러졌을 경우 쐐기를 다시 보수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고감쇠고무받침은 고무의 배합을 탄성받침과 달리하여 더욱 우수한 면진성능을 부여하고 있긴 하지만, 탄성받침과 마찬가지로 수평강성이 약하여 풍하중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한편, 교량의 장주기화 및 감쇠성능이 우수하여 면진받침으로 많이 적용되는 제품으로 탄성받침에 납봉이 삽입된 형태인 납면진받침(LRB; Lead Rubber Bearing)이 있긴 하지만, 면진성능이 납의 소성변형과 탄성받침의 변형으로 발휘되는 납면진받침은 지진이 끝난 후 상온에서 납의 재결정이 이루어지는데 완벽히 재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고, 납이 탄성받침 내부에 있어 내부의 손상을 외부에서 확인을 할 수가 없으며, 강진이 발생하게 되면 모든 받침을 교체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받침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탄성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의 취약점인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강도가 약하다는 점을 선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해소하는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의 강성을 다양한 값으로 조절함으로써 실제로 건설되는 교량 현황에 알맞은 경제적인 교량받침의 설계 및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재료층 및 강성재료층이 번갈아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탄성체와, 이 탄성체를 관통하여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받침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은 그 전단방향에서 탄성체에 빈틈없이 구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의 경도는 쇼와(Shore) 경도값 기준으로 A50~100 범위 내의 값으로 형성되거나 이보다 더 높은 쇼와 경도값인 D1~30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은 그 직경이 폴리우레탄을 감싸고 있는 받침 전체 면적의 1/20~1/2 범위 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은 봉 형태로 미리 제작되어 탄성체 내부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탄성체에 형성된 기둥형상의 홈 내부에 2액형 우레탄을 혼합해서 부어 넣어 반응시킴에 따라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탄성고무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의 수평강성을 높여 우수한 풍하중 저항 강도를 지닐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평강성을 다양한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납면진받침 대신 큰 교량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 탄성고무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은 수평강성이 약해 풍하중 작용시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이를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계시 톤수가 큰 것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나, 기둥형상의 우레탄 지지체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탄성고무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은 우레탄 지지체를 통해 수평강성을 조절하여 교량의 현황에 맞는 톤수의 받침을 설계 및 시공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3은 본 발명의 기둥형태의 우레탄이 적용된 탄성받침을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받침에 적용되는 폴리우레탄의 경도를 변화시키면서 기존 탄성받침과 본 발명의 탄성받침의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실시예의 탄성받침은, 탄성재료층(1) 및 강성재료층(2)이 번갈 아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탄성체(3)와; 상기 탄성체(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서 형성된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재료층(1)은 고리형상의 고무이고, 강성재료층(2)은 고리형상의 강성판이다.
한편, 상기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4)은 그 전단방향에서 탄성체(3)에 빈틈없이 구속되며, 받침의 단면을 위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그 면적이 받침 전체 면적의 1/20~1/2 범위 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 면적비는 후술하는 폴리우레탄의 쇼아 경도값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난 값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 탄성받침의 고무 경도는 쇼아(Shore) 경도값으로 A40~50정도 이므로, 상기 폴리우레탄(4)의 경도는 쇼아(Shore) 경도값 기준으로 A50~100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거나, 이보다 더 큰 쇼아(Shore) 경도값인 D1~30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된다.
참고로, 쇼아 경도는 재료의 시험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 ho에서 낙하시킨 해머(다이아몬드 또는 소입탄소강)의 반발높이 h가 재료의 단단한 정도에 비례한다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서 1996년 A.F.Shore가 제안한 것이다. 즉, 이 시험법은 금 1온스의 무게, 직경 0.02in의 다이아몬드구를 10in 높이에서 유리관 내에서 연직방향으로 낙하시켜서 그 반발높이로부터 경도를 측정한다. 경도값의 기준은 1.2% 탄소강을 소입한 시료의 평균 반발높이(6.5in)를 쇼아경도 100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4)은 봉 형태로 미리 제작되어 탄성체(3) 내부에 압입되거나, 상기 탄성체(3)에 형성된 기둥형상의 홈 내부에 2액형 우레탄을 혼합해서 부어 넣어 반응시킴에 따라 형성된다.
한편, 미 설명부호 5,6은 상,하부 엔드플레이트이고, 미설명 부호7,8은 상,하부 연결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4) 기둥을 갖는 탄성받침의 제조 과정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탄성받침을 제조할 경우에는, 먼저 고리형상의 고무판과 강성판을 번갈아 적층하고, 그 하면 및 상면에 고리형상의 엔드플레이트를 각각 배치한 다음, 틀 안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가황 접착하여 일체형으로 된 고리형상의 탄성체(3)를 준비한다.
이어 기둥형상으로서 미리 제조된 폴리우레탄(4)을 탄성체(3)에 형성된 중공부에 밀어 넣는다.
폴리우레탄(4)을 중공부로 밀어 넣는 작업은 기둥형상인 폴리우레탄(4)이 탄성체(3)에 의해 중공부에서 틈새없이 구속되도록 이루어지게 되는데, 유압 램 등에 의해 강제로 밀어 넣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폴리우레탄(4)을 밀어 넣은 후에는 탄성체(3) 하부와 상부측에 교각과 상부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플레이트를 부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실시예의 탄성받침은, 기본적으로 탄성받침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탄성체(3) 내부에 배치된 폴리우레탄(4) 기둥으로 인해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대해서도 우수한 저항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4)은 탄성체(3) 내부에서 강성을 나타내면서도, 탄성재로서 신율도 탄성체(3)를 구성하는 고무 이상이어서 탄성체(3)와 같이 선형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탄성받침은, 지진 등의 진동을 절연할 뿐만 아니라 납면진받침과는 달리 지진 종료후에는 탄성체(3)가 탄성재료층(1)을 구성하는 고무와 더불어 폴리우레탄(4) 기둥의 탄성 회복력으로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탄성받침은 그 수평강성을 높이고자 할 때에는 상기 폴리우레탄(4)의 사이즈를 키우면 되며, 이때 폴리우레탄(4)의 사이즈는 기둥형태의 폴리우레탄(4)의 단면적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체(3)를 관통하는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4)이 여러 개 배치됨으로써 각 폴리우레탄(4)의 단면적의 합을 통해 전체 단면적이 증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폴리우레탄(4) 사이즈를 동일하게 할 경우에는 폴리우레탄(4)의 경도를 높은 것을 사용하면 된다.
즉, 도 4의 그래프에서 (가)는 기존 탄성받침의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나)와 (다)는 폴리우레탄(4)의 경도를 변화시킬 경우에 있어서의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나),(다)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4)의 경도를 높이면 기울기가 점점 급해지면서 풍하중 저항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실시예2]
도 5는 본 발명의 기둥형태의 폴리우레탄(4)이 적용된 고감쇠고무받침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받침에 적용되는 폴리우레탄(4)의 경도를 변화시키면서 기존 고감쇠고무받침과 본 발명의 고감쇠고무받침의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은, 탄성재료층(1a) 및 강성재료층(2)이 번갈아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탄성체(3)와; 상기 탄성체(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서 형성된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재료층(1a)을 구성하는 고리형상의 고무 재질 자체가 감쇠력이 갖는 고무로 구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은 도 4의 받침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지만 고무의 배합이 다르다.
상기 강성재료층(2)은 고리형상의 강성판이고, 상기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4)은 그 전단방향에서 탄성체(3)에 빈틈없이 구속되며, 받침의 단면을 위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그 면적이 받침 전체 면적의 1/20~1/2 범위 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 면적비는 후술하는 폴리우레탄의 쇼아 경도값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난 값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우레탄(4)의 경도는 쇼아(Shore) 경도값 기준으로 A50~100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거나, 이보다 더 큰 쇼아(Shore) 경도값인 D1~30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폴리우레탄(4)은 봉 형태로 미리 제작되어 탄성체(3) 내부에 압 입되거나, 상기 탄성체(3)에 형성된 기둥형상의 홈 내부에 2액형 우레탄을 혼합해서 부어 넣어 반응시킴에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은 고무의 배합이 탄성받침과 다른데,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강성이 큰 폴리우레탄(4) 재질의 기둥이 받침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수평강성이 증가하여,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 작용시 효과적으로 감쇠력을 발휘하면서 수평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폴리우레탄(4) 기둥이 삽입된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은 소성변형이 없이 고감쇠고무받침의 면진성능과 기둥형상인 폴리우레탄(4)의 강성에 의해서 도 6과 같이 면진성능을 조절할 수 있어 교량의 현황에 맞는 제품설계를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에 있어서도 폴리우레탄(4)의 단면 사이즈를 키우거나 사이즈를 그대로 두는 대신 경도를 높이면, 받침의 수평 저항력이 커지고 감쇠 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 역시, 폴리우레탄(4)은 탄성체(3) 내부에서 강성을 나타내면서도, 탄성재로서 신율도 탄성체(3)를 구성하는 고무 이상이어서 탄성체(3)와 같이 선형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고감쇠고무받침도 지진 등의 진동을 절연할 뿐만 아니라, 지진 종료후에는 탄성체(3)가 탄성재료층(1a)을 구성하는 고무와 더불어 폴리우레탄(4) 기둥의 탄성 회복력으로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1,2에 개시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존 탄성고무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의 수평강성을 높여 풍하중에 대해 우수한 저항 강도를 지닐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평강성을 다양한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납면진받침 대신 큰 교량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 탄성고무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은 수평강성이 약해 풍하중 작용시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이를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계시 더 큰 규격의 받침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기둥형상의 우레탄 지지체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탄성고무받침 및 고감쇠고무받침은 우레탄 지지체를 통해 수평강성을 조절하여 교량의 현황에 맞는 톤수의 받침을 설계 및 시공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 예들에서는 면진받침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체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면진받침의 전체적인 형상(profile)이 사면체를 포함한 다면체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의 형상도 원통체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폴리우레탄도 전체적인 형상이 사면체를 포함한 다면체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배흘림기둥 모양 또는 가운데의 횡단면이 가장 넓고 양단으로 갈수록 그 횡단면이 줄어드는 타원체 형태를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탄성받침의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고감쇠고무받침의 감쇠력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기둥형태의 우레탄이 적용된 탄성받침을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받침에 적용되는 폴리우레탄의 경도를 변화시키면서 기존 탄성받침과 본 발명의 탄성받침의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기둥형태의 폴리우레탄이 적용된 고감쇠고무받침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받침에 적용되는 폴리우레탄의 경도를 변화시키면서 기존 고감쇠고무받침과 본 발명의 고감쇠고무받침의 힘과 변위와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탄성재료층 2:강성재료층
3:탄성체 4:기둥형상 폴리우레탄
5,6:상,하부 엔드플레이트 7,8:상,하부 연결판

Claims (6)

  1. 탄성재료층 및 강성재료층이 번갈아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여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을 구비하되,
    상기 폴리우레탄의 경도는 쇼와(Shore) 경도값 기준으로 A50~100 범위 내의 값 또는 D1~30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은 그 전단방향에서 탄성체에 빈틈없이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받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상의 폴리우레탄은 그 단면적이 폴리우레탄을 감싸고 있는 받침 전체 단면적의 1/20~1/2 범위 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받침.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봉 형태로 미리 제작되어 탄성체 내부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받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탄성체에 형성된 기둥형상의 홈 내부에 2액형 우레탄을 혼합해서 부어 넣어 반응시킴에 따라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받침.
KR1020080070017A 2008-07-18 2008-07-18 폴리우레탄 면진받침 KR10105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17A KR101052311B1 (ko) 2008-07-18 2008-07-18 폴리우레탄 면진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17A KR101052311B1 (ko) 2008-07-18 2008-07-18 폴리우레탄 면진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26A KR20100009226A (ko) 2010-01-27
KR101052311B1 true KR101052311B1 (ko) 2011-07-27

Family

ID=4181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17A KR101052311B1 (ko) 2008-07-18 2008-07-18 폴리우레탄 면진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952B1 (ko) 2021-04-09 2021-10-08 한국이미지시스템(주) 면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226B1 (ko) * 2011-10-13 2012-04-26 (주) 에스아이이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CN116950238A (zh) * 2023-09-12 2023-10-27 广州大学 防过载变刚度厚肉橡胶震振双控支座及其设计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5712A (ko) * 1995-08-04 1997-10-09 에쿠사 도시유키 면진장치(免震裝置)(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JP2002081499A (ja) * 2000-09-06 2002-03-22 Toyo Tire & Rubber Co Ltd 免震用積層ゴム体
JP2003074612A (ja) * 2001-09-05 2003-03-12 Bridgestone Corp ゴム支承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5712A (ko) * 1995-08-04 1997-10-09 에쿠사 도시유키 면진장치(免震裝置)(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JP2002081499A (ja) * 2000-09-06 2002-03-22 Toyo Tire & Rubber Co Ltd 免震用積層ゴム体
JP2003074612A (ja) * 2001-09-05 2003-03-12 Bridgestone Corp ゴム支承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952B1 (ko) 2021-04-09 2021-10-08 한국이미지시스템(주) 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26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g et al. Performance of an innovative self-centering buckling restrained brace for mitigating seismic responses of bridge structures with double-column piers
Di Sarno et al. Innovative strategies for seismic retrofitting of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Silwal et al. Seismic collapse evaluation of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with superelastic viscous damper
Sause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a self-centering rocking concentrically-braced frame
Roke et al. Self-centering seismic-resistant steel concentrically-braced frames
Yuan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cable-sliding friction bearing system for isolated bridges
Guerrini et al. Self-centering precast concrete dual-steel-shell columns for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seismic performance, analysis, and design
KR101052311B1 (ko) 폴리우레탄 면진받침
US20100319271A1 (en) Ductile Seismic Shear Key
Darani et al. Development of a new self-centring structural connector for seismic protection of structures
Abbasi et al. Effect of shear keys on seismic response of irregular bridge configurations
Rele et al. Application of controlled-rocking isolation with shape memory alloys for an overpass bridge
Kanitkar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conventional multi-storey buildings with open ground floors for vehicular parking
Sause et al. Self-centering damage-free seismic-resistant steel frame systems
Jahnel et al. Design approach for friction spring dampers in steel framed buildings. Experiences from Christchurch/NZ
Sause et al. Large-scale experimental studies of damage-free self-centering concentrically-braced frame under seismic loading
Waheeb Keys to Successful Design of Earthquake-Resistant Buildings
Roy et al. Dynamic behavior of the multi span continuous girder bridge with isolation bearings
Reddy et al. Seismic base isolation of structures
Al-Mamoori Seismic redesign of precast portal RC frames using yield C-devices
El-Hawat et al. The Effectiveness of Restrainers to Enhance the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with Rocking Foundations
Wankhade Performance analysis of RC moment resisting frames using different rubber bearing base isolation techniques
Soleimanloo et al.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fiber-reinforced elastomeric bearings for seismic isolation and retrofitting of bridges
Son et al. Blast protection of cable-stayed and suspension bridges
OLIVER-SAIZ et al. Shake-table tests of a reinforced concrete frame retrofitted with hysteretic dampers connected using an improved joi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