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99B1 -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 Google Patents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99B1
KR101052299B1 KR1020110057350A KR20110057350A KR101052299B1 KR 101052299 B1 KR101052299 B1 KR 101052299B1 KR 1020110057350 A KR1020110057350 A KR 1020110057350A KR 20110057350 A KR20110057350 A KR 20110057350A KR 101052299 B1 KR101052299 B1 KR 10105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unlock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준석
Original Assignee
채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준석 filed Critical 채준석
Priority to KR102011005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론트블럭의 배면 가장자리에 결합된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하부 수평부재의 양측에 좌,우측 수직부재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의 양측단에 결합돌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의 양측단에 결합요부가 형성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와 좌,우측 수직부재가 결합된 모서리의 전,후면에 각각 안착홈이 형성되어 코너블럭이 맞대어져 볼트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과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이 맞대어져 잠금블럭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LED DISPLAY FRAME}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의 모서리가 코너블럭에 의하여 볼트결합되어지는 가운데 LED모듈이 결합된 프론트블럭의 배면 가장자리가 프레임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전 시스템은 CRT 또는 LCD 등의 표시장치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그 표시장치들을 다수의 행과 열로 배치하여 대화면을 이루는 것으로 각 단위 표시장치에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화면을 각 단위 표시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멀티비전용 표시장치로는 초기의 CRT 브라운관을 이용한 멀티비전을 거쳐 소정 크기의 박스 안에 투과형 스크린과 프로젝터를 설치한 멀티큐브, LCD모니터를 이용한 제품, DLP를 이용한 멀티큐브 등의 제품이 포함되며, 이러한 멀티비전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 대형무대, 빅 이벤트, 콘서트, 브랜드 프레젠테이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시각적 정보전달 장치로써 갈수록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비전 시스템은 옥내외 전광판과 같이 고정 설치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에서 필요에 따라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대화면으로의 설치 및 해체를 반복하는 렌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비전용 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 소정 폭 및 길이를 갖는 상자 모양의 프레임 또는 하우징을 포함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표시장치를 횡열로 배치하여 대화면을 구성하고자 할 때 별도의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단위 표시장치마다 무게 및 부피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특히 렌털 시 반복되는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기존 CRT, LCD, DLP 등을 이용한 멀티비전용 표시장치에 비해 더욱 밝고 가벼우며 반영구적인 LED를 이용한 표시장치가 종래의 옥외 고정용 전광판 용도뿐만 아니라 렌털용 멀티비전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통상적인 LED 표시장치는 복수의 LED로 구성된 LED모듈이 하나의 엘이디 패널 고정 프레임에 일정한 배열로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고정 프레임이 가로 및 세로로 맞대어져 나사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렌털시 요구되는 화면 크기의 변화나 화면형태의 변화에 따라 각각 별도의 고정프레임을 제작하여야하므로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설치화면의 크기 및 형태에 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에서 LED 표시장치가 사용되어지는 과정중에 특정한 LED모듈이 단선이나 누전 등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게 될 경우, 하나의 엘이디 패널 고정 프레임에 LED모듈이 분리되지 못하게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히 방송 또는 콘서트와 같은 이벤트 현장의 유연성을 떨어뜨려 연출에 많은 제약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에서 LED 표시장치가 사용되어지는 과정중에 특정한 LED모듈이 단선이나 누전 등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게 될 경우,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엘이디 모듈이 구비된 프론트 블록 전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방송 또는 콘서트와 같은 이벤트 현장의 유연성을 높여 연출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설치화면의 크기 및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론트블럭(30)의 배면 가장자리에 결합된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에 좌,우측 수직부재(12)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단에 결합돌부(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2)의 양측단에 결합요부(121)가 형성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11)와 좌,우측 수직부재(12)가 결합된 모서리의 전,후면에 각각 안착홈(13)이 형성되어 코너블럭(40)이 맞대어져 볼트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이 맞대어져 잠금블럭(20)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너블럭(40)은 ㄱ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ㄱ자형의 수직과 수평인 전면에 각각 단턱관통홀(41)이 관통되어 볼트머리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코너블럭(40)의 두께는 안착홈(13)의 깊이와 일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블럭(30)의 전방에는 LED모듈(34)이 다수개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프론트 블럭(30)은 양측에 직사각형태를 갖는 LED모듈 안착홈(31)이 상하로 반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LED모듈 안착홈(31)의 양측에 관통홀(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LED모듈 안착홈(31)에 간격유지돌기(3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블럭(20)은 프레임(10)의 내부를 대각선으로 구분지어 일측 내부에 언록킹요부(21)가 구비되고, 대향되는 타측 내부에 언록킹철부(22)가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록킹요부(21)는 핀관통홀(213-1)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213)가 맞대어져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 양측으로 언록킹편(214)이 열리고 닫히도록 힌지(215)로 각각 결합되어지며, 상기 언록킹철부(22)는 철부관통홀(221)에 언록킹핀(222)이 슬라이드되게 끼워진 가이드플랜지(226)가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지고, 상기 언록킹핀(222)의 하단에 숫나사(222-5)가 형성되어 고정캡(223)이 나사결합되어지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언록킹철부(22)의 언록킹핀(222)이 맞대어지는 또 다른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언록킹요부(21)의 철부삽입홀(211)과 가이드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로 관통되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언록킹요부(21)의 철부삽입홀(211)이 관통된 배면 내측에 탄성압착부(21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탄성압착부(212)는 상기 언록킹편(21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 앞쪽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홀(213-2)에 상기 탄성압착부(212)의 가이드핀(212-1)이 각각 삽입되어지고, 상기 가이드핀(212-1)은 암나사(212-1a)가 형성된 하부핀부재(212-1b)와, 상기 하부핀부재(212-1b)의 상부에 상단으로 링홈(212-1c)이 형성된 상부핀부재(212-1d)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암나사(212-1a)에 인장스프링(212-2)의 일측이 고정나사(212-3)로 결합되어지며, 다른 암나사(212-1a)에 인장스프링(212-2)의 타측이 다른 고정나사(212-3)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핀부재(212-1d)는 가이드플레이트(213)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13-2)로 노출되어 스냅링(212-4)이 링홈(212-1c)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모서리가 코너블럭에 의하여 볼트결합되어지는 가운데 LED모듈이 결합된 프론트블럭의 배면 가장자리가 프레임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에서 LED 표시장치가 사용되어지는 과정중에 특정한 LED모듈이 단선이나 누전 등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게 될 경우,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LED모듈이 구비된 프론트블록 전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통해 방송 또는 콘서트와 같은 이벤트 현장의 유연성을 높여 연출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구비된 잠금블럭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구비된 잠금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6a,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구비된 잠금블럭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LED모듈(34)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된 프론트블럭(30)의 배면 가장자리가 가이드블럭(50)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0)은 프런트블럭(30)이 안정되게 지지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프레임(10)의 진직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이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는 기능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은 상,하부에 구비된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으로 좌,우측에 구비된 각각의 좌,우측 수직부재(12)가 맞대어져 사각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단에는 결합돌부(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2)의 양측단에는 상기 결합돌부(111)에 삽입되어지는 결합요부(121)가 형성되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지는 것 즉,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11)와 좌,우측 수직부재(12)가 결합된 각각의 모서리 전,후면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안착홈(13)이 형성되어 코너블럭(40)이 맞대어지게 삽입되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짐으로써, 직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이 맞대어지는 부분에는 도4 내지 도6a,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블럭(20)이 구비되어 각각의 프레임(10)이 서로 용이하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블럭(20)은 일측의 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탈착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프레임(10)의 내부를 대각선으로 구분지어 일측 내부에 언록킹요부(21)가 구비되고, 대향되는 타측 내부에 언록킹철부(22)가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요부(21)는 언록킹철부(22)의 언록킹핀(222)이 록킹 또는 언록킹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핀관통홀(213-1)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213)가 맞대어져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 양측으로 언록킹편(214)이 열리고 닫히도록 힌지(215)로 각각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철부(22)는 철부관통홀(221)에 언록킹핀(222)이 슬라이드되게 끼워진 가이드플랜지(226)가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지고, 상기 언록킹핀(222)의 하단에 숫나사(222-5)가 형성되어 고정캡(223)이 나사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짐으로써,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언록킹철부(22)의 언록킹핀(222)이 맞대어지는 또 다른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언록킹요부(21)의 철부삽입홀(211)과 가이드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로 관통되어 결합되어지게 된다.
상기 언록킹요부(21)의 철부삽입홀(211)이 관통된 배면 내측에 탄성압착부(212)가 구비되어 언록킹핀(222)이 용이하게 삽입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완전하게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록킹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압착부(212)는 상기 언록킹편(21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 앞쪽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홀(213-2)에 상기 탄성압착부(212)의 가이드핀(212-1)이 각각 삽입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212-1)은 암나사(212-1a)가 형성된 하부핀부재(212-1b)와, 상기 하부핀부재(212-1b)의 상부에 상단으로 링홈(212-1c)이 형성된 상부핀부재(212-1d)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212-1a)에는 인장스프링(212-2)의 일측이 고정나사(212-3)로 결합되어지며, 다른 암나사(212-1a)에 인장스프링(212-2)의 타측이 다른 고정나사(212-3)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핀부재(212-1d)는 가이드플레이트(213)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13-2)로 노출되어 스냅링(212-4)이 링홈(212-1c)에 끼워져 결합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편(214)은 언록킹핀(222)이 용이하게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언록킹핀(222)이 고정(록킹)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된 언록킹핀(222)이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언록킹편(214)은 탄성압착부(212)에 의하여 닫혀진 입구측에 입구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부(214-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경사가이드부(214-1)의 단부에 가이드푸싱편(214-2)이 수직되게 상부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경사가이드부(214-1)의 후방으로는 오목한 걸림부(214-3)가 형성되어 상기 언록킹편(214)의 걸림부(214-3)에 상기 언록킹핀(222)의 고정홈(222-1)이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핀(222)은 프레임(10)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언록킹편(214)에 의하여 언록킹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언록킹핀(222)은 고정홈(222-1)이 형성된 상단에 테이퍼부(222-4)가 형성되어지며, 하단에 숫나사(222-5)가 형성되어 고정캡(223)에 나사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핀(222)의 외주연부에 길이방향으로 키홈(222-6)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랜지(226)에 결합된 스크류키(226-1)가 키홈(222-6)에 끼워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캡(223)은 상부에 걸림턱(223-1)이 형성된 내주연부에 고정암나사(223-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정 암나사(223-2)의 하부 외측으로 로드걸림홈(223-3)이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고정암나사(223-2)의 하부 내측에 로드힌지부재(224-1)가 구비된 고정편(224)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로드힌지부재(224-1)에 로드(225)가 힌지핀(225-1)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캡(223)의 외면에 너얼링(223-4)(223-4)이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블럭(30)은 다수개의 LED모듈(34)이 안정되게 결합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프레임(10)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패널로 이루어진 상기 프론트 블럭(30)의 전방에는 LED모듈(34)이 다수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프론트 블럭(30)은 양측에 직사각형태를 갖는 LED모듈 안착홈(31)이 상,하로 반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LED모듈 안착홈(31)의 양측에 관통홀(32)이 형성되어 LED모듈(34)에 형성된 접속단자부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접속되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LED모듈 안착홈(31)에 간격유지돌기(33)가 형성되어 LED모듈(31)의 배면이 프론트 블록(30)의 전면으로 부터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너블럭(40)는 일측이 상,하부 수평부재(11)에 볼트로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타측이 좌,우측 수직부재(12)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직각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ㄱ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코너블럭(40)의 ㄱ자형태인 수직과 수평인 전면에는 각각 단턱관통홀(4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볼트머리의 내측이 단턱관통홀(41)에 걸려짐으로써, 코너블럭(40)이 상,하부 수평부재(11) 및 좌,우측 수직부재(12)에 긴결되게 결합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코너블럭(40)의 두께는 상,하부 수평부재(11) 및 좌,우측 수직부재(12)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13)의 깊이와 일치되게 형성됨으로써, 코너블록(40)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50)은 가이드블럭이고, (51)은 프론트블럭(30)의 배면에 결합되어지는 프론트 가이드블럭이고, (52)는 프레임(10)에 결합되어지는 프레임 가이드블럭이고, (53)은 스프링로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먼저,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에 좌,우측 수직부재(12)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돌부(111)가 좌,우측 수직부재(12)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요부(121)에 삽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상,하부 수평부재(11)와 좌,우측 수직부재(12)가 결합된 모서리의 전,후면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13)에 코너블럭(4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이 결합되어지게 된다.
다음, 프레임(10)의 내측에 잠금블럭(20)이 결합되어지도록 한 후 프론트블럭(30)의 전면에 LED모듈(34)이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이후 프론트 블럭(30)의 배면에 스프링로드(53)가 구비된 프론트 가이드블럭(51)이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프론트 가이드블럭(51)에 대응되는 프레임(10)의 내부에 각각 프레임 가이드블록(52)이 구비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프론트블럭(30)의 배면 가장자리가 프레임(10)의 전방에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스프링로드(53)를 당겨 스프링로드(53)의 단부가 프레임 가이드블럭(52)에 걸려지도록 하는 것을 반복하여 프레임(10)에 프론트 블럭(30)이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프론트 블럭(30)이 결합된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10)의 결합은 먼저, 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이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언록킹철부(22)의 고정캡(223)을 프레임(1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언록킹핀(222)이 가이드플랜지(226) 및 철부관통홀(211)을 통해 인출되어지며, 인출된 언록킹핀(222)은 이어 철부삽입홀(211)과 가이드플레이트(213)에 형성된 핀관통홀(213-1)을 통해 다른 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게 된다.
이때, 언록킹핀(222)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222-4)가 언록킹편(214)에 형성된 걸림부(214-3)를 외측으로 밀리면서 삽입되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언록킹편(214)이 힌지(215)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압착부(212)의 인장스프링(212-2)이 인장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언록킹핀(222)에 형성된 고정홈(222-1)으로 언록킹편(214)에 형성된 걸림부(214-3)가 위치됨과 동시에 인장스프링(212-2)의 인장력에 의하여 언록킹편(214)의 걸림부(214-3)가 언록킹핀(222)에 형성된 고정홈(222-1)에 삽입되어지는 것으로 고정된다.
다음, 고정캡(223)에 형성된 로드(225)를 회동시켜 로드(225)가 로드걸림홈(223-3)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로정캡(22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고정캡(223)의 고정암나사(223-2)에 결합된 숫나사(222-5)가 당겨짐으로써, 언록킹핀(222)이 스크류키(226-1)를 따라 고정캡(223)이 있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언록킹편(214)의 밑면이 가이드플레이트(213)의 윗면에 압착되어지게 된다. 이때, 걸림부(214-3)의 내측 하부로 형성된 걸림돌기(214-4)가 가이드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에 삽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언록킹편(214)에 형성된 경사가이드부(214-1) 또는 가이드푸싱편(214-2)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언록킹핀(222)에 형성된 고정홈(222-1)으로부터 걸림부(214-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언록킹철부(22)가 언록킹요부(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되어진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로드(225)를 이용하여 고정캡(22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언록킹핀(222)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언록킹편(214)에 형성된 경사가이드부(214-1)를 향하여 손가락을 밀어넣음과 동시에 손가락의 끝이 가이드푸싱편(214-2) 사이로 삽입됨과 동시에 언록킹편(214)이 힌지(215)를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언록킹편(214)의 고정홈(222-1)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부(214-3)가 고정홈(222-1)으로부터 분리되어 간섭이 제거된다.
다음, 간섭이 제거된 언록킹편(214)이 핀관통홀(213-1)과 철부삽입홀(211)을 통해 빠져나옴과 동시에 각각의 프레임(10)이 분리되어지게 된다.
10:프레임 11:상,하부 수평부재
12:좌,우측 수직부재 13:안착홈
20:잠금블럭 30:프론트블럭
40:코너블럭 111:결합돌부
121:결합요부

Claims (5)

  1. 프론트블럭(30)의 배면 가장자리에 결합된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에 좌,우측 수직부재(12)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11)의 양측단에 결합돌부(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12)의 양측단에 결합요부(121)가 형성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11)와 좌,우측 수직부재(12)가 결합된 모서리의 전,후면에 각각 안착홈(13)이 형성되어 코너블럭(40)이 맞대어져 볼트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이 맞대어져 잠금블럭(20)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블럭(40)은 ㄱ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ㄱ자형의 수직과 수평인 전면에 각각 단턱관통홀(41)이 관통되어 볼트머리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코너블럭(40)의 두께는 안착홈(13)의 깊이와 일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블럭(30)의 전방에는 LED모듈(34)이 다수개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프론트 블럭(30)은 양측에 직사각형태를 갖는 LED모듈 안착홈(31)이 상하로 반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LED모듈 안착홈(31)의 양측에 관통홀(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LED모듈 안착홈(31)에 간격유지돌기(3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블럭(20)은 프레임(10)의 내부를 대각선으로 구분지어 일측 내부에 언록킹요부(21)가 구비되고, 대향되는 타측 내부에 언록킹철부(22)가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록킹요부(21)는 핀관통홀(213-1)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213)가 맞대어져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 양측으로 언록킹편(214)이 열리고 닫히도록 힌지(215)로 각각 결합되어지며, 상기 언록킹철부(22)는 철부관통홀(221)에 언록킹핀(222)이 슬라이드되게 끼워진 가이드플랜지(226)가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지고, 상기 언록킹핀(222)의 하단에 숫나사(222-5)가 형성되어 고정캡(223)이 나사결합되어지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언록킹철부(22)의 언록킹핀(222)이 맞대어지는 또 다른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언록킹요부(21)의 철부삽입홀(211)과 가이드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로 관통되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요부(21)의 철부삽입홀(211)이 관통된 배면 내측에 탄성압착부(21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탄성압착부(212)는 상기 언록킹편(21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3)의 핀관통홀(213-1) 앞쪽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홀(213-2)에 상기 탄성압착부(212)의 가이드핀(212-1)이 각각 삽입되어지고, 상기 가이드핀(212-1)은 암나사(212-1a)가 형성된 하부핀부재(212-1b)와, 상기 하부핀부재(212-1b)의 상부에 상단으로 링홈(212-1c)이 형성된 상부핀부재(212-1d)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암나사(212-1a)에 인장스프링(212-2)의 일측이 고정나사(212-3)로 결합되어지며, 다른 암나사(212-1a)에 인장스프링(212-2)의 타측이 다른 고정나사(212-3)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핀부재(212-1d)는 가이드플레이트(213)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13-2)로 노출되어 스냅링(212-4)이 링홈(212-1c)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KR1020110057350A 2011-06-14 2011-06-14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KR10105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50A KR101052299B1 (ko) 2011-06-14 2011-06-14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50A KR101052299B1 (ko) 2011-06-14 2011-06-14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299B1 true KR101052299B1 (ko) 2011-07-27

Family

ID=4492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350A KR101052299B1 (ko) 2011-06-14 2011-06-14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46A (ko) * 2017-05-22 2018-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185277A (zh) * 2020-10-23 2021-01-05 深圳市联建光电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快速拼装连接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44A (ko) * 2001-04-19 2002-10-30 주식회사 토비스 평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JP3629476B2 (ja) * 2002-05-24 2005-03-16 東芝トランスポー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ユニット連結機構、及び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44A (ko) * 2001-04-19 2002-10-30 주식회사 토비스 평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JP3629476B2 (ja) * 2002-05-24 2005-03-16 東芝トランスポー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ユニット連結機構、及び映像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46A (ko) * 2017-05-22 2018-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9729B1 (ko) 2017-05-22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185277A (zh) * 2020-10-23 2021-01-05 深圳市联建光电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快速拼装连接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698B1 (ko) 엘이디 패널 고정 프레임
KR101712620B1 (ko)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67769B1 (ko)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KR100656174B1 (ko) 전력구의 지중송전케이블 유지 관리용 배열대
US20080141572A1 (en) Front and back serviceable modular interlocking graphics display panel
KR100681385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US10197836B2 (en) Spliced display and display system
KR101075233B1 (ko) 멀티비젼 시스템의 단위 디스플레이 결합장치
KR101052299B1 (ko) Led 디스플레이 프레임
KR101045096B1 (ko)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KR100967794B1 (ko)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KR101052297B1 (ko) 가이드 블럭
US11109495B2 (en) Banner display
US20130128138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Device
KR101044700B1 (ko) 엘이디 표시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20100095793A (ko) 전광판 및 디스플레이 모듈
CN104989994A (zh) 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US20200355317A1 (en) 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406425Y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100940919B1 (ko) 엘이디 표시장치
KR200443184Y1 (ko) 엘이디 표시패널용 연결지지장치
CN218481935U (zh) 一种便于检修维护的多屏宝
KR200446921Y1 (ko) 엘이디 표시패널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WO2008147073A1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connection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448025Y1 (ko) 엘이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