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33B1 - Cable tensioning device - Google Patents

Cable tensio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33B1
KR101052233B1 KR1020090041314A KR20090041314A KR101052233B1 KR 101052233 B1 KR101052233 B1 KR 101052233B1 KR 1020090041314 A KR1020090041314 A KR 1020090041314A KR 20090041314 A KR20090041314 A KR 20090041314A KR 101052233 B1 KR101052233 B1 KR 10105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cable
fix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2327A (en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filed Critical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4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33B1/en
Publication of KR2010012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3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작동공간(12)이 형성되며 작동유체가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주입구(17)가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상기 주입구(17)를 통해 작동유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12) 내외부로 입출되는 피스톤(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공간(12)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피스톤(20)의 일단에는 케이블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2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너트(50)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 입구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피스톤(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ension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rough the inlet (17) and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7) through which the working space 12 is formed and the working fluid is selectively injected therein, As the working fluid is inserted, the piston 20 is introduced into and out of the working space 12. In addition, a cable is fixed to one end of the piston 20 protruding outside the working space 12, and a fixing nut 50 is provided to mov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20, thereby providing the housing 10. By selectively fixed to the inlet edge of the operating space 12 of the) it will limit the movement of the piston (1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환경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프리텐셔닝이나 포스트텐셔닝이 작아진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그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ension of the cable is reduced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even if the pre- tensioning or post-tensioning of the concrete is reduced, the loss amount can be easily compensated by using the cable tensioning device, the maintainability of the structure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improved.

프리스트레스 빔, 케이블, 인장장치 Prestressed beams, cables, tensioning devices

Description

케이블 인장장치{Tensioner for cable}Cable tensioner

본 발명은 케이블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케이블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ensio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tensioning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used in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교량의 건설에는 케이블(cable, 또는 텐던(tendon))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사용하여 보강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빔(PSC BEAM)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prestressed concrete beam (PSC BEAM) structures reinforced with prestress using a cable or tendon a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도 1에는 일반적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빔이 적용된 교량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to which a general prestressed concrete beam is applied.

이에 따르면, 교량(B)에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되고, 상기 빔(1)은 교량(B)에 케이블(C)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빔(1)은 상기 교량(B)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According to this, a plurality of beams are installed in the bridge (B), the beam (1) is connected to the bridge (B) by a cable (C). In addition, a plurality of beams 1 are installed along the bridge B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케이블(C)의 양단은 각각 교량(B)의 상판과 상기 빔(1)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케이블(C)은 적절한 장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케이블(C)에 작 용하는 장력이 작으면 상기 케이블(C)이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게 되고, 장력이 너무 크면 케이블(C)이 손상되거나 설치가 어려워지므로 적절한 장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Both ends of the cable (C) are connected to the top plate of the bridge (B) and the beam (1), respectively, and this cable (C) needs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nsion. That is, if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C) is small, the cable (C) is not enough to play its role, if the tension is too large, the cable (C) is damaged or difficult to install,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ppropriate tension It becomes.

그리고, 상기 케이블(C)에 인장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되면, 상기 케이블(C)의 인장력이 충분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고, 적절한 인장력이 케이블(C)에 가해지더라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케이블(C)의 인장력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nd, if slip occur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tensile force to the cable (C), there is a fear that the tensile force of the cable (C) is not enough, even if a suitabl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C) after a long time of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ss occurs in the tensile force of the cable (C)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reep (creep).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애초에 손실량을 계산하여 상기 케이블(C)에 일정 이상의 인장력을 케이블(C)에 가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케이블(C)의 인장작업은 큰 힘이 필요로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인장과정에서 케이블(C)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mount of loss may be initially applied to the cable C by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tensile force to the cable C. However, since the tension work of the cable C requires a large force, workability is inferior. In addition, the cable C may be damaged during the tensioning process.

또한, 종래에는 케이블(C)의 인장력이 떨어져 프리스트레스 구조에 손실이 발생되더라도, 케이블(C)의 재인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even if the tensile force of the cable (C) is lowered and a loss occurs in the prestressed structure, re-tensioning of the cable (C) i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블에 적절한 장력을 가할 수 있는 케이블 인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able tensioning device that can apply a proper tension to the cab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든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재긴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tension the cable using a cable tensioning device even when the tension of the cable is reduc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연통되키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공간 내부로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 내외부로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공간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에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는 통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의 입출을 제어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opening is formed therein and the inlet for communicating the working space with the outside to selectively inject the working fluid into the working sp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and a working fluid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working space as the working fluid is inser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and a piston is fixed to one end protruding out of the working space.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passes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and is fixed to the operating space inlet edg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nut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piston.

상기 고정너트의 통공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로드부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로드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통 해 상기 로드부를 따라 직선이동된다. Threa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part of the piston, and the fixing nut is linearly moved along the rod through rotation about the rod.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너트를 사이에 두고 고정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커버에는 상기 피스톤의 로드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A fixing cov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with the fixing nu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xing cov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d part of the piston passes.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커버는 서로 나사체결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너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The housing and the fixing cover are screwed together, and a seat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xing nut is formed inside the fixing cover.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주입구는 상기 작동공간의 일단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제1주입구와, 상기 제1주입구와 이격된 상기 작동공간의 타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는 제2주입부로 구성된다. The injection hole provided in the housing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f the operating space, and when the working fluid is injected therein, the first injection port pushes the head of the piston toward the fixed cover, and the operating sp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jection hole. The second injection par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and pushes the head of the pist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cover when the working fluid is injected therethrough.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는 피스톤홀이 형성되는 스토퍼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블록의 피스톤홀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토프블록의 외면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상기 스토퍼블록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topper block is formed therein the piston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passes, the diameter of the piston hole of the stopper block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of the piston and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 bloc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piston, so that the head of the piston is selectively hook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lock.

상기 스토퍼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면에 압입 또는 나사체결되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stopper block is press-fitted or screw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is replaceably coupled.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는 제2고정편이 구비되어 각각 케이블이 연결된다.One 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iece, one end of the piston is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piece is connected to each cable.

상기 피스톤과 상기 제2고정편 사이에는 로드셀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 는 변형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이 측정된다. A load cell is provid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second fixing piece, and a strain sensor is provided in the load cell to measure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cable tens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축조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에 장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abl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using the cable tensioning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을 축조한 후에, 외부 환경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프리텐셔닝이나 포스트텐셔닝이 작아진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그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restressed structure is constructed, even when the tension of the cable is reduced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pretensioning or post-tensioning of the concrete is reduced, the loss amount can be easily compensated by using the cable tensioning device. In addition, the maintainability of the structure is also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스토퍼블록이 교체가능하도록 삽입되므로, 케이블 인장장치의 피스톤의 이동행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pper block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cable tensioning device so as to be replaced, there is also an effect of properly adjusting the movement stroke of the piston of the cable tensioning devic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에 로드셀이 구비되어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을 쉽게 측정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ad cell is provided in the cable tensioning device, it is easy to measure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to check whether the tension of the cable needs to be adjust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가 하우징과 고정커버가 별도의 조립공구 없이 나사체결을 통해 쉽게 결합되므로, 하우징의 조립작업이 수월해지는 효과도 있다. Fi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ble tensioning device is easily coupled by screwing the housing and the fixing cover without a separate assembly tool, the assembly work of the housing can be facilitat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ble tens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각각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b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shown i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블 인장장치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1고정편(f)이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편(f)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어 케이블 인장장치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고정되도록 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able tensioning device are formed by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ne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iece (f). A cab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iece f so that the cable tensioning device is fixed to the poured concret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작동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공간(12)에는 후술할 피스톤(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As shown in FIG. 4, an operating space 12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 The working space 12 is a kind of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10 so that one side is opened. At least a part of the piston 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working space 12 to be moved.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제1결합부(1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5)는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커버(40)의 제2결합부(45)와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15)의 외주면과 제2결합부(45)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체결된다. The first coupling part 15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coupling part 15 protrudes along the edge of the operating space 12 of the housing 10,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45 of the fixing cover 40 to be described below. More precisely, threa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5 to be screwed together.

상기 하우징(10)의 외면(11)에는 주입구(17)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17)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12)을 연통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어 피스톤(20)을 이동시키게 된다. The outer surface 11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hole 17. The inlet 17 communicates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with the working space 12, through which a working fluid is injected to move the piston 20.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17)는 제1주입구(17a)와 제2주입구(17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주입구(17a)와 제2주입구(17b)는 작용유체를 이용하여 피스톤(20)의 헤드부(25)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inlet 17 is composed of a first inlet 17a and a second inlet 17b, and the first inlet 17a and the second inlet 17b use a working fluid. Thereby pushing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in different directions.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주입구(17a)는 상기 작동공간(12)의 일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주입된 작동유체가 피스톤(20)의 헤드부(25)를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제2주입구(17b)는 상기 작동공간(12)의 타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주입된 작동유체가 피스톤(20)의 헤드부(25)를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More precisely, the first inlet 17a communicates with one end of the working space 12 such that the injected working fluid moves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to the righ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o do that. In addition, the second inlet 17b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working space 12 such that the working fluid injected therethrough moves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to the left side based on the drawing.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 내면에는 걸림턱(18)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18)은 후술할 스토퍼블록(30)의 일측이 걸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공간(12)의 내면이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step 18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12 of the housing 10. The locking jaw 18 is to allow one side of the stopper block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12 is formed by stepping.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편(f)이 나사체결되기 위한 나사산(19)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나사산(19)이 형성되지 않고 제1고정편(f)이 하우징(10)에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a thread 19 for screwing the first fixing piece (f). Of course, the thread 19 is not formed and the first fixing piece f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0 by a separate fastener or fixed by welding.

상기 하우징(10)에는 피스톤(20)이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작동공간(12)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블의 일단 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블이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로드셀(60)을 매개로 하여 케이블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iston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he piston 20 enters into and out of the working space 12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piston 20 is inserted into the working space 12 of the housing 10, thereby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cable. To this end, one end of the cable, although not shown, the cable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cable via the load cell 60.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피스톤(20)은 바형상의 로드부(21)와,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에 구비되는 헤드부(25)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21)는 실질적으로 작동공간(12) 내외부로 입출되는 부분이고, 헤드부(25)는 상기 주입구(17)를 통해 주입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밀리게 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26는 오링으로 작동유체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piston 20 includes a bar-shaped rod portion 21 and a head portion 25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d portion 21. The rod portion 21 is a portion that is substantially entered into and out of the working space 12, the head portion 25 is a portion that is pushed by the operating fluid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17. Reference numeral 26 serves to prevent the working fluid from leaking out by the O-ring.

그리고,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산(22)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너트(50)의 제2나사산(52)에 대응되는 것으로, 고정너트(50)가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고정너트(50)가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first screw thread 2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portion 21 of the piston 20. The first screw thread 22 corresponds to the second screw thread 52 of the fixing nut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fixing nut 50 rotates about the rod 21 of the piston 20. By doing so, the fixing nut 50 can be linearly moved.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는 스토퍼블록(30)이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블록(30)은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토퍼블록(30)의 블록몸체(31) 일단(37)에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가 걸어짐으로서 피스톤(20)의 돌출정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block 30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space 12 of the housing 10. The stopper block 30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space 12 of the housing 10, and serve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iston 20. That is, as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is hooked to one end 37 of the block body 31 of the stopper block 30,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piston 20 is limited.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토퍼블록(30)의 내부에는 피스톤(20)이 통과하는 피스톤홀(33)이 형성되는데, 상기 피스톤홀(33)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토퍼블록(30)의 외면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가 상 기 스토퍼블록(3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되는 것이다. More precisely, a piston hole 33 through which the piston 20 passes is formed in the stopper block 30, and the diameter of the piston hole 33 is equal to that of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Smaller than the diameter and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lock 3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is the stopper block The outer surface of the (30) is selectively walked.

이때, 상기 스토퍼블록(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35)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 나사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블록(30)은 교체를 통해 그 길이가 다른 스토퍼블록(30)으로 대체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행정도 변하게 된다. 도면부호 32는 오링으로 작동유체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thread 3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block 30 is screwed into the operating space 12 of the housing 10. Accordingly, the stopper block 30 may be replaced by the stopper block 30 having a different length through replacement,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piston 20 is changed. Reference numeral 32 serves to prevent the working fluid from leaking out by the O-ring.

다음으로, 고정커버(4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고정커버(40)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커버(40)의 커버몸체(41) 내부에는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21)가 이를 통과하게 된다. Next, the fixed cover 40 is described, the fixed cover 4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wrap the rod 21 of the piston 20. That is, a through hole 42 is formed in the cover body 41 of the fixing cover 40 so that the rod part 21 passes therethrough.

상기 고정커버(40)의 내부에는 안착공간(4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43)은 상기 관통홀(42)의 직경이 더 커지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홀(42)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안착공간(43)에는 고정너트(50)가 안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안착공간(43)은 고정너트(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A seating space 43 is formed inside the fixing cover 40. The seating space 43 is formed while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42 is larger, and may be viewed as a part of the through hole 42. The fixing nut 5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43. The seating space 4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ationary nut 50.

상기 안착공간(43)의 내주면에는 제2결합부(45)가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부(45)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와 대응되는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5)와 나사체결된다. A second coupling part 45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43. The second coupling part 45 corresponds to the first coupling part 15 of the housing 10,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to screw the first coupling part 15.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는 상기 제2결합부(45)에 둘러싸이므로, 제1하우징(10)과 고정커버(40)는 연속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upling part 15 of the first housing 10 is surrounded by the second coupling part 45,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fixed cover 40 may have a continuous outer surface. .

이때, 상기 고정커버(40)의 관통홀(42)에는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가 끼워지므로, 상기 고정커버(40)는 로드부(21)를 따라 직선이동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에 접하는 과정에서 회전을 통해 제1결합부(15)와 제2결합부(45)가 나사체결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rod part 21 of the piston 20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42 of the fixed cover 40, the fixed cover 40 may be linearly moved along the rod part 21. The first coupling part 15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45 are screwed through rotation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housing 10.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에는 고정너트(5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너트(50)는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 입구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입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rod 21 of the piston 20 is provided with a fixing nut 50. The fixing nut 50 is movably coupled to the rod portion 21 of the piston 20, and selectively fixed to the inlet edge of the working space 12 of the housing 10 to enter and exit the piston 20. Serves to control.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너트(50)의 내부에는 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51')은 상기 로드부(21) 일부를 감싸게 되는 것으로, 즉 상기 고정너트(50)는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More precisely, a through hole 51 ′ is formed in the fixing nut 50, and the through hole 51 ′ surrounds a part of the rod part 21, that is, the fixing nut 50 is approximately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이때, 상기 통공(51')의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52)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22)과 나사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너트(50)가 상기 로드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로드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a second screw thread 5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51 ′ and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2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part 21. Accordingly, when the fixing nut 50 is rotated about the rod 21, the fixing nut 50 is linear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21.

상기 고정너트(50)가 상기 로드부(2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 가장자리에 고정되면, 상기 피스톤(20)은 입출되지 않고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너트(50)는 로드부(21)를 따라 직선이동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10)의 일측에 지지되므로, 피스톤(20)이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When the fixing nut 50 is fixed to the edg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of the housing 10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rod portion 21, the piston 20 is fixed without being drawn out. That is, the fixing nut 50 may be linearly moved along the rod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nut 50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thereby fixing the piston 20 in a moved state.

보다 정확하게는, 도 4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고정너트(50)가 회전되 어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에 걸어지면, 상기 피스톤(20)은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우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왜냐하면, 상기 피스톤(20)은 고정너트(50)와 나사체결된 상태이고, 고정너트(50)는 다시 하우징(1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도면부호 51은 플랜지부로, 상기 제1결합부(15)에 실질적으로 접하게 되는 부분이다. More precisely, referring to FIG. 4, when the fixing nut 50 is rotated and moved to the right side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5 of the housing 10, the piston 20 is left. Is fixed in a protruding state and cannot be moved to the right. This is because the piston 20 is screwed with the fixing nut 50 and the fixing nut 50 is supported by the housing 10 again. Reference numeral 51 is a flange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ich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한편, 도 4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피스톤(20)이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은 상기 고정커버(4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커버(40)가 상기 고정너트(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10)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고정너트(50)는 상기 고정커버(40)의 안착공간(43)에 안착되어 좌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고정너트(50)와 나사체결된 피스톤(20) 역시 작동공간(12) 외측으로 돌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when the piston 20 is completely moved to the right, the movement of the piston 20 may be prevented by the fixing cover 40. That is, when the fixing cover 4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housing 10 with the fixing nut 5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xing nut 5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43 of the fixing cover 40. Therefore, movement to the left side is prevented, and thus the fixing nut 50 and the screwed piston 20 also cannot protrude out of the working space 12.

도면부호 51은 플랜지부를 나타낸다. 상기 플랜지부(51)는 상기 고정너트(50)의 외면에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에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부분이다. Reference numeral 51 denotes a flange portion. The flange portion 51 is a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nut 50, the portion directly supported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of the housing 10.

한편,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피스톤(20)의 일단에는 로드셀(60)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셀(60)은 장력을 받으면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되는데, 이 변형량을 변형센서(65)가 전기신호로 검출한 뒤 디지털신호로 바꾸면 장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one end of the piston 20 is provided with a load cell (60). The load cell 60 is deformed, such as being compressed or stretched under tension. When the deformation sensor 65 detects this deformation as an electrical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the load cell 60 can be accurately measured.

즉, 상기 로드셀(60)은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로드셀(60)의 외면에는 변형센서(65)가 구비되고, 상 기 변형센서(65)에는 전선(66)이 연결되어 제어컴퓨터(미도시)에 전기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That is, the load cell 60 serves to accurately measure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To this end, a deformation sensor 65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ad cell 60, and a wire 66 is connected to the deformation sensor 65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o a control computer (not shown).

상기 로드셀(60)의 일단에는 고정블록(7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70)에는 제2고정편(f')이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편(f')에는 프리스트레스 빔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된다. A fixed block 7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ad cell 60, and a second fixing piece f ′ is installed at the fixed block 70. One end of a cable connected to the prestress beam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iece f '.

결과적으로, 상기 제2고정편(f')에 고정된 케이블은 상기 피스톤(20)이 입출됨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70) 및 로드셀(60)과 함께 피스톤(20)을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cable fixed to the second fixing piece f 'is stretched or reduced along the piston 20 together with the fixing block 70 and the load cell 60 as the piston 20 is inputted and received.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편(f)과 제2고정편(f')에는 각각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이고, 제2고정편(f')에 연결된 케이블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cab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piece (f) and the second fixing piece (f ') is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taking an example of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iece (f').

도 4를 참조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커버(40)를 분리시켜야 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고정커버(40)를 하우징(10)에 대해 상대회전시켜 둘 사이의 나사체결을 해제하고,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화살표 ①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 with reference to Figure 4, first the operator must separate the fixing cover 4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That is, the worker releases the screw between the two by rotating the fixing cover 40 relative to the housing 10, and linearly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10, that is, the arrow ① direction.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고정너트(50)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화살표 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피스톤(20)이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여유를 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50)의 이동거리 는 작동공간(12) 내부에서 피스톤(20)이 이동될 수 있는 거리(L)보다 크거나 같은 정도가 되어야 한다. Next, the operator rotates the fixing nut 50 to move away from the housing 10,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②. This is to allow the piston 20 to move to the right. Therefo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xing nut 50 should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L) that can move the piston 20 in the working space (12).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1주입구(17a)에 유압장치를 연결하여 제1주입구(17a)를 통해 작동유체를 주입시킨다.(화살표 ③방향).In this state, the operator connects the hydraulic device to the first inlet 17a to inject the working fluid through the first inlet 17a. (Arrow ③ direction).

작동유체를 주입되면, 상기 스토퍼블록(30)과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 사이로 작동유체가 주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헤드가 우측(화살표④방향)으로 이동된다. When the working fluid is injected, the working fluid is injected between the stopper block 30 and the head portion 25 of the piston 20 so that the head of the piston 20 moves to the right (arrow ④ direction).

이때,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에는 상기 고정너트(50)가 나사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너트(50) 역시 우측, 즉 화살표⑤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장력이 커지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nut 50 is screwed to the rod portion 21 of the piston 20, the fixing nut 50 is also linearly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that is, the arrow ⑤ direction. In this process, the tension of the cabl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iston 20 is increased.

한편, 작업자는 이와 같은 상태, 즉 상기 피스톤(20)이 케이블을 당기면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너트(50)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너트(50)가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 외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해야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must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piston 20 is moved to the right while pulling the cable, for this purpose, the fixing nut 50 is rotated so that the fixing nut 50 is the housing 10 ) Should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고정커버(40)를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에 나사체결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커버(40)의 안착공간(43)에는 상기 고정너트(50)가 안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Next, the worker moves the fixing cover 40 to screw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of the housing 10. In this process, the fixing nut 5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43 of the fixing cover 40 and is firmly fixed.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고정커버(40)에 결합된 고정너트(50)와 나사체결된 상태이고, 동시에 상기 고정커버(40)는 하우징(10)의 제1결합 부(15)에 나사체결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피스톤(20)이 다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iston 20 is screwed with the fixing nut 50 coupled to the fixing cover 40,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cover 40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of the housing 10. Since the screw is in the state of), as a result, the piston 2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left again.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단순히 상기 고정커버(40)와 고정너트(50)를 회전시켜 나사체결시켜주면 되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worker simply rotates the fixing cover 40 and the fixing nut 50 to screw them together, and thus can easily work without a separate tool.

이와 반대로,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이 너무 큰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정커버(4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주입구(17b)에 작동유체를 주입하여(화살표 ⑦방향) 다시 피스톤(20)의 로드부(21)가 작동공간(1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On the contrary, if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is too large, first, the fixing cover 40 is removed from the housing 10, and a working fluid is injected into the second inlet 17b (arrow ⑦) to return the piston. The rod portion 21 of the 20 is projected out of the working space 12.

그리고, 상기한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너트(50)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에 밀착시키면, 작동유체를 더 이상 주입시키지 않아도 상기 피스톤(20)은 이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xing nut 50 is rotat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5 of the housing 10, the piston 20 is moved even if the working fluid is not injected any more. Can be maintained.

이는 상기 피스톤(20)은 고정너트(50)와 나사체결된 상태인데, 상기 고정너트(50)는 하우징(10)의 제1결합부(15)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제1결합부(15)에 지지되어 우측으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The piston 20 is screwed with the fixing nut 50, the fixing nut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of the housing 1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Is not supported and cannot be moved to the right.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고정커버(40)를 상기 하우징(10)에 다시 조립시켜 고정너트(50)를 차폐하여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Finally, the worker finishes the work by assembling the fixing cover 40 back to the housing 10 to shield the fixing nut 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 환경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프리텐셔닝이나 포스트텐셔닝이 작아진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그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최초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ension of the cable is reduc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pretensioning or posttensioning of the concrete is reduced, the loss amount can be easily compensated by using the cable tensioning device. Of course, the cable tensioning device can also be used during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cable.

한편,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스토퍼블록(30)을 교체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스토퍼블록(30)의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피스톤(20)의 이동행정도 가변되므로, 케이블의 장력 조절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can replace the stopper block 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In this case, since the movement of the piston 20 is variabl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stopper block 30, the tension of the cable can be more precisely performed.

그리고, 작업자는 로드셀(60) 및 변형센서(65)를 통해 케이블의 장력을 확인하여 케이블의 장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너무 강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or may check the tension of the cable through the load cell 60 and the deformation sensor 65 to prevent the tension of the cable from weakening or becoming too strong.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블록(30)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었으나, 상기 스토퍼블록(30)이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 내면이 단차짐으로써 상기 피스톤(20)의 이동행정을 제한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opper block 3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but the stopper block 30 is omitt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rating space 12 of the housing 10 is stepped so that the piston 20 It can also limit the travel administration of.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너트(50)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15)의 외면에 완전히 조립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너트(50)가 상기 제1결합부(15)에 단순히 걸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 4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으로의 이동 역시 방지되도록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And,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nut 50 may be completely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 by a separate fastener. That is, the fixing nut 50 is not simply hooked on the first coupling part 15, but when viewed based on FIG. 4, the fixing nut 50 may be fixed by the fastener so that movement to the left side is also prevented.

도 1은 일반적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빔이 적용된 교량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bridge to which a conventional prestressed concrete beam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ble tens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2: 작동공간10: housing 12: working space

15: 제1결합부 17: 주입구15: first coupling portion 17: injection hole

20: 피스톤 21: 로드부20: piston 21: rod portion

22: 제1나사산 25: 헤드부 22: first screw thread 25: head portion

30: 스토퍼블록 33: 피스톤홀30: stopper block 33: piston hole

40: 고정커버 42: 관통홀40: fixing cover 42: through hole

43: 안착공간 45: 제2결합부 43: seating space 45: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0: 고정너트 51': 통공50: fixing nut 51 ': through hole

52: 제2나사산 60: 로드셀 52: second thread 60: load cell

65: 변형센서 70: 고정블록65: strain sensor 70: fixed block

f,f': 제1고정편, 제2고정편f, f ': 1st, 2nd

Claims (9)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공간 내부로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n oper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injec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operating space with the outside so that a working fluid is selectively injected into the working space;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 내외부로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공간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에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피스톤과,At least a portion of the piston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working fluid is inser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is provid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inside and outside the working space and a cable is fixed to one end protruding outside the working space,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는 통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passes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and is fixed to the operating space inlet edge of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nut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너트를 사이에 두고 고정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커버에는 상기 피스톤의 로드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A fixing cov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with the fixing nu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xing cov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d part of the piston passes.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주입구는The injection hole provided in the housing 상기 작동공간의 일단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제1주입구와,A first inlet for pushing the head of the piston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cover once the working flui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rating space once injected; 상기 제1주입구와 이격된 상기 작동공간의 타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는 제2주입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And a second inle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end of the working sp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let to push the head of the pist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ing cover when a working fluid is injected there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의 통공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로드부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로드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통해 상기 로드부를 따라 직선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hol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and the ro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st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xing nut is linearly moved along the rod through the rotation around the rod portion Cable tension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커버는 서로 나사체결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너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The cable tensioning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housing and the fixing cover are screwed together, and a seat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xing nut is formed in the fixing c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는 피스톤홀이 형성되는 스토퍼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블록의 피스톤홀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토프블록의 외면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상기 스토퍼블록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4] The stopper block of claim 3, wherein a stopper block having a piston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passes is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diameter of the piston hole of the stopper block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piston and the stopper.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bloc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of the piston, the cable 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piston is selectively hoo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lo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면에 압입 또는 나사체결되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The cable tensioning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block is press-fitted or screwed into an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to be replaceably coupl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는 제2고정편이 구비되어 각각 케이블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6. The cable tensioning device of claim 5, wherein a first fixing pie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fixing piec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iston, respective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제2고정편 사이에는 로드셀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는 변형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이 측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7. The cable tension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a load cell is provid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second fixing piece, and a strain sensor is provided on the load cell to measure a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41314A 2009-05-12 2009-05-12 Cable tensioning device KR101052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14A KR101052233B1 (en) 2009-05-12 2009-05-12 Cable tensio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14A KR101052233B1 (en) 2009-05-12 2009-05-12 Cable tensio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27A KR20100122327A (en) 2010-11-22
KR101052233B1 true KR101052233B1 (en) 2011-07-29

Family

ID=4340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14A KR101052233B1 (en) 2009-05-12 2009-05-12 Cable tensio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09A (en) * 2022-08-22 2024-02-29 홍진성 Cable extens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202B1 (en) * 2014-08-21 2014-10-31 짚라인코리아 (주) Leisure flying construction
KR102228773B1 (en) * 2019-03-13 2021-03-16 안승환 Cable tension adjustment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04U (en) * 1993-08-24 1995-03-17 隆通 高橋 Cable tension device for cable cylinder
KR200154884Y1 (en) * 1997-03-03 1999-08-16 백승기 Anchor wire tension regulator for a wall board of foundation pits
KR100855206B1 (en) *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Cable tension adjus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04U (en) * 1993-08-24 1995-03-17 隆通 高橋 Cable tension device for cable cylinder
KR200154884Y1 (en) * 1997-03-03 1999-08-16 백승기 Anchor wire tension regulator for a wall board of foundation pits
KR100855206B1 (en) *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Cable tension adjus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09A (en) * 2022-08-22 2024-02-29 홍진성 Cable extension device
KR102663435B1 (en) 2022-08-22 2024-05-07 홍진성 Cable exten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27A (en)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06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restressing jack when tensioning a tendon
KR102336380B1 (en) A cable anchorage having a sealing element, a prestressing system comprising the anchorage, and a method of tensioning and installing a sheathed elongation element.
KR101308693B1 (en) Loading device for load cell calibration
WO2018072589A1 (en) Automated and synchronized control system for bundled steel strand anchoring
KR101052233B1 (en) Cable tensioning device
KR20120116041A (en) Steel wire anchorage for prestredssed girder
JP2002235303A (en) Method for assembling and tensing tensed tension member, particularly diagonal cable for bracing-cable bridge and anchor device for executing its method
KR20110111907A (en) Saddle assembly
CN109653531B (en) External prestress steel strand connector and matched tensioning device
KR101052234B1 (en) Cable tensioning device
KR20120041470A (en) Prestressing method of tendon using socket and turnbuckle
JP4563747B2 (en) Method for reinforcing a structure and associated fixing unit
JP2003055911A (en) Structure for saddle exit part of diagonal cable
CN109724740B (en) Cable force measuring device for inhaul cable bridge
KR20110111905A (en) Saddle exit sturcture
KR102118120B1 (en) Anchorage apparatus for retensioning and anchorage method using the same
JPH11256827A (en) Re-tensioning method of anchor and re-tensioning jig
JP7294968B2 (en)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Tension control chart creation method
KR101149581B1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tensile force in strand
KR102663435B1 (en) Cable extension device
CN209525038U (en) Drag-line bridge cable force measurement device
KR101178574B1 (en) Barrel type cable anchorage apparatus with compression grip of strand
JP2019138017A (en) Prestress introduction method and prestress introduction structure
CN210216180U (en) Prestressed carbon fiber stretching and collimating device
KR102454482B1 (en) External tendon restressing type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