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30B1 -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 Google Patents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130B1
KR101052130B1 KR1020080071333A KR20080071333A KR101052130B1 KR 101052130 B1 KR101052130 B1 KR 101052130B1 KR 1020080071333 A KR1020080071333 A KR 1020080071333A KR 20080071333 A KR20080071333 A KR 20080071333A KR 101052130 B1 KR101052130 B1 KR 10105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main body
cooling fan
airflow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85A (ko
Inventor
백윤건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1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4Fluid cooling, e.g. by integral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의 유속에 따라서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적 부품이 냉각되는 이점이 있다.
전기호브, 히트싱크, 인쇄회로기판, 스위칭 소자

Description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Heat sink and electric hob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에 관한 것이다.
전기호브는, 유도가열히터 또는 전기저항히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다. 이와 같은 전기호브에는 상기 히터의 동작을 위한 다수개의 전기적 부품이 설치된다. 또한 전기호브에는 상기 전기적 부품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 및 상기 전기적 부품의 방열을 위한 히트싱크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호브에서는, 상기 히트싱크에 의한 충분한 방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적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는 히트싱크에 있어서: 상기 에어플로의 유속에 따라서 상기 에어플로의 유동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평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방열을 위한 부품과 열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에어플로의 유속이 빠른 부분에서 상기 에어플로의 유속이 느린 부분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호브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전기적 부품의 방열시키는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히트싱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적 부품이 냉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은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1)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자체를 발열시키는 유도가열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상기 전기호브(1)는, 케이싱(10), 탑플레이트(20), 컨트롤 어셈블리(30) 및 인덕션히팅 모듈(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상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저면 및 테두리면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바닥 면에는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의 냉각을 위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흡기구(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후면 외측에는 밴트그릴(13)이 구비된다. 상기 밴트그릴(13)은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을 냉각시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밴트그릴(13)이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을 냉각시킨 공기를 상방을 향하도록 배출시킨다.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탄성지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5)는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지지부(15)는,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보스 및 상기 지지보스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플레이트(20)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안착되는 곳이다. 상기 탑플레이트(20)는, 예를 들면, 세라믹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20)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탑플레이트(20)에는, 용기가 안착되는 곳을 표시하는 용기안착부(21)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는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의 전단부 중앙에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는 상기 전기호브(1)의 동작,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은 실질적으로 유도가열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2개의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이 설치되지만,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은 각각 인버터 어셈블리(100) 및 워킹코일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100)는,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200)의 동작을 위한 인쇄회로기판(151)(155)(도 2 참조)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적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100)는,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200)에 고주파저압을 공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200)는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100)로부터 인가받은 고주파전류에 의하여 동작하여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유도가열하기 위한 교류자계를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를 구성하는 인버터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버터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히트싱크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버터 어셈블리(100)는, 인버터 케이싱(110)(130), 냉각팬(140), 인쇄회로기판(151)(155) 및 히트싱크(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140), 인쇄회로기판(151)(155) 및 히트싱크(160)는, 상기 인버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51)(155) 및 히트싱크(160)는, 상기 인버터 케이싱(110)(13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형 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버터 케이싱(110)(130)은, 상기 냉각팬(140), 인쇄회로기판(151)(155) 및 히트싱크(160)가 설치되는 공간 및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버터 케이싱(110)(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커버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커버 플레이트(130)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대략 상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는, 팬 설치부(111), 히트싱크 설치부(112), 및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가 구비된다. 상기 팬 설치부(111)는, 도면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단부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는, 도면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단부 좌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는, 도면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우단부 우측에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기판 설치부(114)는, 도면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단부 우측에 구비된다. 상기 팬 설치부(111)는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 및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는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 및 제1기판 설치부(113)는 후술할 차폐리브(121) 및 구획리브(137)에 의하여 서로 구획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바닥면 전단부에는 흡기공(115)이 형성된 다. 상기 흡기공(115)은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흡기공(115)은 상기 팬 설치부(111)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바닥면 전단부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도면상 후단, 다시 말하면,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 및 제1기판 설치부(113)의 후단에는 배기개구(116)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개구(116)는,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개구(116)를 통하여 상기 흡기공(115)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51)(155)을 냉각시키고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면 외측에는 다수개의 지지리브(11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117)는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을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리브(117)에는 상기 지지보스가 관통되는 보스관통홀(117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보스가 상기 보스관통홀(117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리브(117)의 저면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인덕선히팅 모듈(40)이 상기 탄성지지부(15)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면 외측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11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118)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면 외측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18)에는 후술할 체결후크(131)가 걸어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면 외측에는 체결보스(119)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119)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고정을 위한 체결구(S)가 체결되는 곳이다.
상기 제1기판 설치부(113)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바닥면 후단 중앙부에는 차폐리브(121)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리브(121)는 전체적으로 폐곡선(closed curve)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차폐리브(121)는 후술할 스위칭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리브(12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단부 하부를,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와 상기 제1기판 설치부(113)로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 설치부(111)와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 및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의 경계부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는 제1 내지 제3에어가이드(123)(124)(1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내지 제3에어가이드(123)(124)(125)는,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를 상기 히트싱크 실치부(112)와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로 구획되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는,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한 에어플로를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와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로 구획되어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는, 상기 팬 설치부(111)의 일측에서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 및 제1기판 설치부(113)의 경계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다.
또한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는, 도면상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의 전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의 전면(124A)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의 후면(124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에 의하여 도면상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로 안내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의 전면(124A) 및 후면(124B)에 의하여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의 상부 또는 하부로 안내된다.
상기 제3에어가이드(125)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로 안내되는 에어플로를 상기 제1기판 설치부(113)와 제2기판 설치부(114)로 구획되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에어가이드(125)는 제1 및 제2가이드부(126)(128)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126)는, 상기 팬 설치부(111)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의 경계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126)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와 대략 평행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다. 상기 제1가이드부(126)는 상기 냉각팬(140)에 의한 에어플로의 일부를 상기 제1기판 설치부(113)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126)에는 상기 공기유동개구(127)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개구(127)는, 상기 제1가이드부(126)에 의하여 안내되는 에어플로의 일부가 상기 제2기판 설치부(114)로 유동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128)는 상기 공기유동개구(127)에 인접하 는 상기 제1가이드부(126)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128)는 상기 공기유동개구(127)를 통하여 상기 제2기판 설치부(114)로 유동되는 에어플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 의하여, 상기 팬 설치부(111), 히트싱크 설치부(112) 및 제1 및 제2기판 설치부(113)(114)가 차폐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냉각팬(140)에 의한 에어플로의 용이한 배출을 위하여, 그 후단이 상기 배기개구(116)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체결후크(13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131)는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13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면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가 수평으로 상대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체결돌기(118)에 걸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테두리에는 1개의 관통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3)은 상기 체결보스(119)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3)은 상기 체결보스(119)에 체결되는 체결구(S)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상면 및 저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35)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135)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상면 또는 저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저면에는 구획리브(137)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리브(137)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단부 상부를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와 제1기판 설치부(113)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획리브(137)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저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냉각팬(1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51)(155)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팬(140)은 상기 팬 설치부(111)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140)의 흡기부(미도시)는 상기 흡기공(115)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140)이 구동하면, 상기 흡기공(115)을 통하여 상기 냉각팬(140)의 흡기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40)의 배기부(미도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단을 향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140)의 배기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단을 향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51)(155)은, 인버터기판(151) 및 필터링기판(155)을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기판(151)은 상기 제1기판 설치부(113)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링기판(155)은 상기 제2기판 설치부(114)에 설치된다. 상기 인버터기판(151)에는,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200)에 고주파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위칭소자(153)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전기적 소자가 설치된다. 상기 인버터기판(151)이 상기 제1기판 설치부(1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칭소자(153)를 상기 인버터기판(151)의 패턴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단자의 용접부는 상기 차폐리브(121)의 내부에 위치되고, 인버터기판(151)의 저면은 상기 차폐리브(121)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기판(155)에는,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기적 소자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싱크(160)는 상기 인버터기판(151), 특히 고발열되는 상기 스위칭소자(153)의 냉각을 위한 것이다. 상기 히트싱크(160)는,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칭소자(153)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153)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히트싱크(160)의 본체부(161)는 소정의 길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61)는,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부분에서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린 부분을 향하여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부(161)는,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한 에어플로의 유동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에어플로의 유속에 따라서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트싱크(160)가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한 에어플로의 유동방향으로의 상기 본체부(161)의 양단부 중 상기 냉각팬(140)의 배출부에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161)의 상면 일단부로부터, 상기 냉각팬(140)의 배출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상기 본체부(161)의 상면 타단부를 향 하여 상기 본체부(161)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각팬(140)의 배출부에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161)의 일단부에는 연결부(16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62)는, 실질적으로, 상기 스위칭소자(153)가 연결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62)는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의 유동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연결부(162)와 상기 스위칭소자(153), 즉 상기 히트싱크(160)와 상기 스위칭소자(153) 사이의 열전달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부(161)의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핀(163)(165)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본체부(161)의 상면에 구비되는 핀(163)을 상부핀(163), 상기 본체부(161)의 하면에 구비되는 핀(165)을 하부핀(165)이라 칭한다. 다만, 상기 상부핀(163)의 상단 및 상기 하부핀(165)의 하단은 각각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은 각각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의 유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은 그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은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때 상기 상부핀(163)은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의 전면에 의하여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의 상부로 안내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고, 상기 하부핀(165)은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의 후면에 의하 여 상기 히트싱크 설치부(112)의 하부로 안내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61)의 상하면에는 온도센서 설치부(167)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 설치부(167)는,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부(161)의 상하면 일부에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이 삭제 또는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감소됨으로써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온도센서 설치부(167)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부(161)의 상하면 일부에서는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 사이가 더 이격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온도센서 설치부(167)는,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 사이의 공간에 비하여,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에 의하여 안내되는 에어플로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유동단면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 설치부(167)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인버터기판(151)의 온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칭소자(153)의 과열여부의 판단을 위하여 상기 히트싱크(160)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히트싱크(16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온도센서 설치부(167)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트싱크(160)를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상기 냉각팬(140)의 구동에 의한 에어플로의 유동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에 직교되는 상기 본체부(161)의 단면이 대략 삼각형, 바람직하게는 예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61)의 3개의 면 중 어느 1개의 면이 그 저면이 되고, 나머지 2개의 면 중 어느 일면이 상기 연결부(162)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61)의 저면이 되는 1개의 면과 나머지 1개의 면의 관계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61)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에서 인버터 어셈블리의 냉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에서 인버터 어셈블리의 내부에서의 에어플로를 보인 평면도이다.
사용자가 전기호브(1)의 동작을 위하여 컨트롤 어셈블리(30)를 조작하여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인버터 어셈블리(100)로부터 워킹코일 어셈블리(200)에 고주파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100)로부터 인가받은 고주파전압에 의하여 동작하여 교류자계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교류자계에 의하여 탑플레이트(20)에 안착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유도가열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기 전기호브(1)의 동작에 의하여 냉각팬(140)이 구동한다. 따라서 흡기공(115)(도 2 및 도 3참조)을 통하여 상기 냉각팬(140)의 흡기부에 공기가 흡입된다. 물론 상기 냉각팬(140)의 흡기부에 흡입되는 공기는 흡기구(11)를 통하여 케이싱(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일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140)의 흡기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냉각팬(140)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냉각팬(140)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제1 내지 제3에어가이드(123)(124)(125)에 의하여 안내되어 히트싱크(160)를 냉각시키는 에어플로, 인버터기판(151)을 냉각시키는 에어플로 및 필터링기판(155)을 냉각시키는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팬(140)의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히트싱크(160)를 향하여 유동되는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160)를 향하는 에어플로는, 다시 상기 제2에어가이드(124)에 의하여 그 일부는 상기 히트싱크(160)의 상부핀(163)을 냉각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히트싱크(160)의 하부핀(165)을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히트싱크(160)에 구비되는 온도센서 설치부(167)는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 사이의 공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유동단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히트싱크(160)를 향하는 에어플로가 상기 온도센서 설치부(167)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고 유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핀(163) 및 하부핀(165)(도 5참조)을 냉각시킨 공기는 배기개구(116)를 통하여 배출된다.
물론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인버터기판(151)을 향하여 유동되지만,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히트싱크(160)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에어가이드(123)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인버터기판(151)을 냉각시키는 부분은 무시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140)의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나머지 중 일부는, 상기 제3에어가이드(125),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에어가이드(125)의 제1가이드부(126)에 의하여 상기 인버터기판(151)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기판(151)을 향하여 유동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인버터기판(151), 특히 상기 인버터기판(151)의 스위칭소자(153)를 냉각시키고 상기 배기개구(116)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40)의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제3에어가이드(125)의 공기유동개구(127)를 통하여 상기 필터링기판(155)으로 유동되는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개구(127)를 통하여 유동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3에어가이드(125)의 제2가이드부(128)에 의하여 상기 필터링기판(155)을 향하도록 안내되어 상기 필터링기판(155)을 냉각시킨다. 상기 필터링기판(155)을 냉각시킨 에어플로는 상기 인버터기판(151)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배기개구(116)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소자(153)의 리드단자가 상기 인버터기판(151)의 패턴에 용접되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차폐리브(121)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소자(153)의 리드단자의 용접부가, 상기 배기개구(116) 등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벌레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체결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체결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면 상단에 커 버 플레이트(130)의 저면을 밀착시킨다. 이때 체결후크(131)는, 체결돌기(118)를 향하여 개구된 상태에서 체결돌기(118)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수평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체결후크(131)가 상기 체결돌기(118)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3)을 관통한 체결구(S)를 체결보스(119)에 체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커버 플레이트(13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에서는, 에어플로의 유속에 따라서 에어플로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히트싱크의 두께가 상이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트싱크의 냉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버터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히트싱크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에서 인버터 어셈블리의 내부에서의 에어플로를 보인 평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호브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체결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는 히트싱크에 있어서:
    상기 에어플로의 유속에 따라서 상기 에어플로의 유동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평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방열을 위한 부품과 열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에어플로의 유속이 빠른 부분에서 상기 에어플로의 유속이 느린 부분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히트싱크.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상기 핀의 상단 또는 하단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히트싱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기 핀의 상단이 위치되는 평면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상기 핀의 하단이 위치되는 평면은 서로 평행한 히트싱크.
  10.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전기적 부품의 방열시키는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히트싱크; 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스위칭소자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전기호브.
KR1020080071333A 2008-07-22 2008-07-22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KR10105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333A KR101052130B1 (ko) 2008-07-22 2008-07-22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333A KR101052130B1 (ko) 2008-07-22 2008-07-22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85A KR20100010385A (ko) 2010-02-01
KR101052130B1 true KR101052130B1 (ko) 2011-07-26

Family

ID=4208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333A KR101052130B1 (ko) 2008-07-22 2008-07-22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949B1 (ko) 2015-06-22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06811B1 (ko) * 2015-06-23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3557U (ko) * 1974-01-30 1975-08-26
KR100765571B1 (ko) * 2006-03-09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호브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3557U (ko) * 1974-01-30 1975-08-26
KR100765571B1 (ko) * 2006-03-09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호브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85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0209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846088B1 (ko) 유로분리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99748B1 (ko) 전기호브
KR101052130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호브
JP6670567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90121790A (ko) 전기호브
KR101004565B1 (ko) 전기호브
JP6858102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2194328B1 (en) Built-in type cooker
JP68931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4350220A1 (en) Electric range
EP4096353A1 (en) Electric range
EP4350219A1 (en) Electric range
EP4351276A1 (en) Microwave oven
EP4096360A1 (en) Electric range
KR101052165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20230023222A (ko) 전기 레인지
US20220394826A1 (en) Electric range
KR20230099250A (ko) 전기 레인지
JP7042234B2 (ja) 加熱調理器
EP4096355A1 (en) Electric range
KR101545746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JP688739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527888B1 (ko) 전기밥솥의 냉각팬 구조
KR200439873Y1 (ko) 전기압력밥솥의 송풍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