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373B1 - 터치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1373B1 KR101051373B1 KR1020100116436A KR20100116436A KR101051373B1 KR 101051373 B1 KR101051373 B1 KR 101051373B1 KR 1020100116436 A KR1020100116436 A KR 1020100116436A KR 20100116436 A KR20100116436 A KR 20100116436A KR 101051373 B1 KR101051373 B1 KR 1010513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path
- path
- light
- branched
- opt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필름과 스페이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의 코어와 클래딩을 나타낸 평면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광로의 출사단의 모식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사단과 광센서사이의 거리로부터 수렴오차범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의 모식도이다.
102 : 분기광로 103 : 스플리터
110 : 광센서 120 : 기판
130 : 클래딩 140 : 볼록곡면
150 : 볼록렌즈형태의 단말부 160 : 스페이서
170 : 터치필름
200 : 코어(세로부) 201 : 주광로
202 : 분기광로 203 : 스플리터
E1,E2 : 수렴오차범위 L1,L2 : 광원
Claims (14)
- 사각형상의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일측변에 인접하여 나란히 연장되는 주광로와 주광로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분기된 복수개의 분기광로로 이루어진 코어;
상기 주광로상에 분기광로의 분기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와 굴절율 차이를 갖고, 주광로로부터 분기광로 방향으로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하도록 입사광에 대하여 지향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스플리터;
상기 주광로가 인접 형성된 변의 대향변을 따라 배치되며, 분기광로의 출사단으로부터 수광 가능하도록 분기광로와 얼라인 된 복수의 광센서; 및
상기 기판상에서 상기 분기광로의 출사단과 광센서 사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가 배치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는 분기광로의 출사단과 대응되는 광센서 사이의 광로가 차단되지 않도록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서 위에서 공간부를 커버하는 터치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광로의 출사단은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며, 이 볼록 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초점거리는 출사단과 광센서사이의 거리로부터 수렴오차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의 광로 양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클래딩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광로의 출사단은 볼록렌즈 형태의 단말부가 부착되어 형성된 터치 센싱 장치.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공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광로의 일측단에 광원이 배치된 터치 센싱 장치.
- 사각형상의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기판의 일측변과 인접하여 나란히 연장되는 주광로와 주광로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분기된 복수개의 분기광로로 이루어진 가로부와 상기 일측변과 수직한 다른 한변에 인접하여 나란히 연장되는 주광로와 주광로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분기된 복수개의 분기광로로 이루어진 세로부로 구성된 코어;
상기 주광로상에 분기광로의 분기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와 굴절율 차이를 갖고, 주광로로부터 분기광로 방향으로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하도록 입사광에 대하여 지향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스플리터;
상기 주광로가 인접 형성된 변의 대향변들을 따라 배치되며, 분기광로의 출사단으로부터 수광 가능하도록 분기광로와 얼라인 된 복수의 광센서; 및
상기 기판상에서 분기광로의 출사단과 광센서 사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가 배치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는 분기광로의 출사단과 대응되는 광센서 사이의 광로가 차단되지 않도록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서 위에서 공간부를 커버하는 터치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광로의 출사단은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며, 이 볼록 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초점거리는 출사단과 광센서사이의 거리로부터 수렴오차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의 광로양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클래딩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싱 장치.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광로의 출사단은 볼록렌즈 형태의 단말부가 부착되어 형성된 터치 센싱 장치.
- 삭제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공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광로의 일측단에 광원이 배치된 터치 센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6436A KR101051373B1 (ko) | 2010-11-22 | 2010-11-22 | 터치 센싱 장치 |
PCT/KR2011/000437 WO2012070717A1 (ko) | 2010-11-22 | 2011-01-21 | 터치 센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6436A KR101051373B1 (ko) | 2010-11-22 | 2010-11-22 | 터치 센싱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1373B1 true KR101051373B1 (ko) | 2011-07-22 |
Family
ID=4492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64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1373B1 (ko) | 2010-11-22 | 2010-11-22 | 터치 센싱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1373B1 (ko) |
WO (1) | WO201207071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5711A (ko) * | 2018-08-21 | 2021-05-17 | 비크락 리미티드 | 광학적 터치 검출 디바이스에 대한 장벽 층 및 촉각적 표면 특징부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89612A1 (en) | 2003-03-27 | 2004-09-30 | Bottari Frank J. | Touch sensor using light control |
KR100954834B1 (ko) | 2009-08-10 | 2010-04-27 | 주식회사 엘엠에스 | 광 도파로 장치 |
US20100123683A1 (en) | 2008-11-14 | 2010-05-20 | Motorola Inc. | Waveguard touch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6995A (ko) * | 2002-04-10 | 2002-05-17 | 김규천 | 광섬유를 이용한 화상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디스플레이 장치 |
US7499615B2 (en) * | 2007-08-01 | 2009-03-0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ystem and methods for routing optical signals |
-
2010
- 2010-11-22 KR KR1020100116436A patent/KR10105137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1-21 WO PCT/KR2011/000437 patent/WO201207071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89612A1 (en) | 2003-03-27 | 2004-09-30 | Bottari Frank J. | Touch sensor using light control |
US20100123683A1 (en) | 2008-11-14 | 2010-05-20 | Motorola Inc. | Waveguard touch panel |
KR100954834B1 (ko) | 2009-08-10 | 2010-04-27 | 주식회사 엘엠에스 | 광 도파로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5711A (ko) * | 2018-08-21 | 2021-05-17 | 비크락 리미티드 | 광학적 터치 검출 디바이스에 대한 장벽 층 및 촉각적 표면 특징부들 |
KR102439724B1 (ko) * | 2018-08-21 | 2022-09-05 | 비크락 리미티드 | 광학적 터치 검출 디바이스에 대한 장벽 층 및 촉각적 표면 특징부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70717A1 (ko) | 201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58853B2 (ja) | 物体の位置を符号化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101659549B1 (ko) | 광 센서 | |
US20120098794A1 (en) | Transmissive Body | |
US9952719B2 (en) | Waveguide-based touch system employing interference effects | |
US11662462B2 (en) | Proximity sensor for alleviating crosstal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20120327039A1 (en) | Infrared touch screen with simplified components | |
US20080106527A1 (en) | Waveguide Configurations for Minimising Substrate Area | |
US7509011B2 (en) | Hybrid waveguide | |
KR20100019997A (ko) | 투과형 몸체 | |
WO2008055318A1 (en) | Planar waveguide lens design | |
US20160170565A1 (en) | Light guide assembly for optical touch sensing, and method for detecting a touch | |
JPH10162698A (ja) | 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付ディスプレイ | |
KR101051373B1 (ko) | 터치 센싱 장치 | |
JP2012093419A (ja) | タッチパネル用光導波路 | |
CN110647257A (zh) | 基于点阵结构分布光栅的触控屏 | |
KR101048815B1 (ko) | 터치 센싱 장치 | |
KR101048812B1 (ko) | 2 층 구조의 터치 센싱 장치 | |
US8975567B2 (en) | Coordinate detector | |
KR100954834B1 (ko) | 광 도파로 장치 | |
US20240072194A1 (en) | Light-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 |
WO2016043047A1 (ja) | 位置センサ | |
TW201610791A (zh) | 位置感測器 | |
WO2016047448A1 (ja) | 位置センサ | |
JP3971440B2 (ja) | 表面凹凸形状検出装置 | |
US20090257704A1 (en) | Gas detection apparatus using optical wavegui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