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040B1 -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040B1
KR101051040B1 KR1020090079245A KR20090079245A KR101051040B1 KR 101051040 B1 KR101051040 B1 KR 101051040B1 KR 1020090079245 A KR1020090079245 A KR 1020090079245A KR 20090079245 A KR20090079245 A KR 20090079245A KR 101051040 B1 KR101051040 B1 KR 10105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locking filtering
macroblock
macroblocks
imag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445A (ko
Inventor
김재곤
조준동
황진우
고형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0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Abstract

영상에 대한 디블럭킹(deblocking) 필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 영상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순서에 따라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I * J (I 및 J 는 홀수)개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 영상에 대한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은 상기 영상의 정 중앙에 위치한 제 1 매크로 블록 및 상기 제 1 매크로 블록과 일측변이 접하는 제 2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매크로 블록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순서에 따라,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서로 인접한 매크로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매크로 블록의 수평 방향 경계와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해서 각각 1회의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디블럭킹 필터링

Description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METHOD FOR DEBLOCKING FILTERING}
본 발명은 영상에 대한 디블럭킹(deblocking) 필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 영상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순서에 따라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영상 처리 시스템은 표준화된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압축된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코덱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이 영상 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권고한 비디오 코덱인 H.261, H.262, H.263 등과 동화상 전문가 그룹(Motion Picture Experts Group: 이하, MPEG라 칭함)에서 권고한 MPEG-1, MPEG-2, MPEG-4이 있다. 또한, 높은 압축률을 구현할 수 있는 H.264 비디오 코덱이 보편화되어 있다.
최근 네트워크 환경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영상 컨텐츠를 구동하는 단말기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 다양한 단말기에 대한 최적의 컨텐츠를 제공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MPEG 위원회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이하 SVC) 방식을 비디오 압축 방식으로 채택하였다.
SVC 방식에서, 하나의 영상 컨텐츠는 다양한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와 화질(Quality), 다양한 프레임률(Frame-rate)을 갖는 하나의 비트 스트림(bit stream)으로 인코딩(encoding)된다. 그리고 각각의 단말은 각각의 단말의 특성 및 성능에 적합하도록 선택되어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decoding)하여 출력한다.
도 1은 일반적인 SVC 방식에 따른 영상 압축 및 디코딩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VC 방식의 영상 압축을 위해서는 SVC 전용의 계층화된 인코더가 필요하다.
SVC 인코더(20)는 영상 데이터(10)로부터 SVC 압축 기법에 따라 기본적으로 가장 좋은 화질과 높은 프레임 수를 가지는 영상부터 다양한 레벨의 화질 및 프레임 수를 가지는 영상까지 영상 데이터(10)를 다양한 레벨로 인코딩한다.
어댑터(30)는 사용자의 단말(41 내지 43)의 플랫폼을 파악하고, SVC 인코더(20)에 의하여 인코딩된 데이터 중 사용자의 단말(41 내지 43)에 적합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41 내지 43)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어댑터(30)는 휴대 단말(41)과 같은 플랫폼에 대해서는 초당 15프레임의 프레임률과 중간 레벨의 해상도(Medium Resolution)를 갖는 영상 데이터 를 전송한다.
또한, 어댑터(30)는 고화질 텔레비전(43, HDTV)과 같은 플랫폼에 대해서는 HD급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초당 60프레임의 프레임률과 고해상도(High Resolution)를 갖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41 내지 43)은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복원한다. 즉, 각각의 단말(41 내지 43)은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어댑터(30)에 의해서 결정된 화질과 프레임률(Frame-rate)을 가지는 영상으로 복원한다.
이러한 SVC 방식은 이종의(Heterogeneous) 네트워크 환경에서 발생하는 대역폭의 다양성 문제, 수신 단말기 성능과 해상도의 다양성 문제, 컨텐츠 소비자의 다양한 선호도 문제 등을 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호화 기술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블럭킹(blocking) 현상이다. 블럭킹 현상(blocking artifacts)은 영상을 블럭 단위로 구분하여 확장함에 따라 각 블럭의 경계가 서로 구분이 되어 화면을 잘게 나눈 형태가 육안으로 구분되는 현상이며, 이는 영상신호를 각 픽셀별로 소정의 배율로 확장하는 경우에 더욱 뚜렷해진다.
이러한 블럭킹 현상은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하여 발생된다.
우선, H.264/AVC와 더불어 대다수의 압축 기법은 일정한 크기의 블럭에 대해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수행하고 양자화 과정을 거치므로 서로 겹쳐지지 않는 블럭 단위의 변환(transform)은 주변 블럭 또는 화소간의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전혀 고려되지 않은 채 독립적으로 변환과 양자화가 수행되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고 블럭킹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블럭 단위로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를 예측하여 영상을 보상하게 되는데 하나의 블럭에 속한 화소는 같은 움직임 벡터를 가지게 되므로 블럭킹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블럭킹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블럭킹 필터가 구현될 필요가 있다. 디블럭킹 필터(deblocking filter)는 블럭 단위의 코딩에서 발생하는 블럭의 경계 오차를 부드럽게 해주며, 이를 통해 최종 복원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i×j 개(i 및 j는 홀수)의 매크로 블럭으로 구성된 영상의 가장자리, 예를 들어 (1,1) 매크로 블럭부터 (1,j) 매크로 블럭까지의 경계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그 후 차례로 하나의 행 또는 열에 따라 디블럭킹이 수행되어 영상 전체에 대하여 디블럭킹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을 구성하는 매크로 블럭이 i행 및 j열로 구성된 경우, 영상의 매크로 블럭 사이에 형성된 경계 중 1행에 형성된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고, 그 후 차례로 2행 내지 i행에 형성된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1행 내지 i행에 형성된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 후, 1열 내지 j열에 형성된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처럼 종래의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에 따르면, 가장자리의 행 또는 열에 형성된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도중에 프로세서의 과부하 등으로 인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중단되고, 일부에 대하여만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영상이 화면에 노출된 경우, 중심 부분에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이 화면에 노출될 수 있다.
시청자의 눈은 화면의 중심 부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이러한 중심 부분이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을 보는 경우 큰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청자에게 노출되는 영상에 대해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시청자의 눈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영상의 중심 부분에 대해 우선적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완전히 수행되지 않은 영상이 노출되더라도 시청자가 영상을 불편을 느끼지 않고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영상의 정 중앙에 위치한 제 1 매크로 블록 및 상기 제 1 매크로 블록과 일측변이 접하는 제 2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매크로 블록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순서에 따라,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서로 인접한 매크로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매크로 블록의 수평 방향 경계와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해서 각각 1회의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I * J (I 및 J 는 홀수)개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 영상에 대한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수의 매크로 블럭으로 구성된 영상에 대하여, 중심 부분의 매크로 블럭부터 시작하여 나선형의 회전하는 순서로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디블럭킹 필터링이 완전히 수행되지 않은 영상이 노출되는 경우 시청자가 느끼게 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따른 영상에서의 디블럭킹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의한 경우, i×j 개의 매크로 블럭으로 구성된 영상(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 1 매크로 블 럭((i+1)/2, (j+1)/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에 따른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매크로 블럭((i+1)/2, (j+1)/2), 제 2 매크로 블럭((i+1)/2 -1, (j+1)/2), 제 3 매크로 블럭((i+1)/2 -1, (j+1)/2 +1), 제 4 매크로 블럭((i+1)/2, (j+1)/2 +1), 제 5 매크로 블럭((i+1)/2 +1, (j+1)/2 +1), ... , 제 i×j 매크로 블럭(1, 1)의 순서로 각 매크로 블럭을 기준으로 디블럭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따르면,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의 눈에 가장 민감하게 인지하는 영상의 중심 부분부터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따라서, 프로세서의 성능의 한계 또는 부하(load)로 인하여 전 매크로 블럭에 대하여 디블럭킹이 수행되지 못하고 화면에 영상이 노출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의해 디블럭킹된 영상은 일단 시청자의 눈에 가장 민감하게 인지되는 중심 부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상태이므로, 시청자는 가능한 좋은 화질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따라 영상에서 디블럭킹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101)에서, i×j 개의 매크로 블럭으로 구성된 영상(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 1 매크로 블럭((i+1)/2, (j+1)/2)과 제 2 매크로 블럭((i+1)/2 -1, (j+1)/2) 사이의 수직 방향에 대해 형성된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 된다.
영상(100)이 i×j 개의 매크로 블럭으로 분할되는 경우, 즉 영상(100)이 i행 및 j열로 분할되는 경우, 행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고 열 방향이 수직 방향이 된다.
단계(S102)에서, 제 2 매크로 블럭((i+1)/2 -1, (j+1)/2)과 제 3 매크로 블럭((i+1)/2 -1, (j+1)/2 +1) 사이의 수평 방향에 대해 형성된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단계(S103)에서, 제 3 매크로 블럭((i+1)/2 -1, (j+1)/2 +1)과 제 4 매크로 블럭((i+1)/2, (j+1)/2 +1) 사이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또한, 제 4 매크로 블럭((i+1)/2, (j+1)/2 +1)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과 인접한 수평 방향 경계, 즉 제 4 매크로 블럭((i+1)/2, (j+1)/2 +1)과 제 1 매크로 블럭((i+1)/2, (j+1)/2) 사이에 형성된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104)에서, 제 4 매크로 블럭((i+1)/2, (j+1)/2 +1)과 제 5 매크로 블럭((i+1)/2 +1, (j+1)/2 +1) 사이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단계(S105)에서, 제 5 매크로 블럭((i+1)/2 +1, (j+1)/2 +1)과 제 6 매크로 블럭((i+1)/2 +1, (j+1)/2) 사이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또한, 제 6 매크로 블럭((i+1)/2 +1, (j+1)/2)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과 인접한 수직 방향 경계, 즉 제 6 매크로 블럭((i+1)/2 +1, (j+1)/2)과 제 1 매크로 블럭((i+1)/2, (j+1)/2) 사이에 형성된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106)에서, 제 6 매크로 블럭((i+1)/2 +1, (j+1)/2)과 제 7 매크로 블럭((i+1)/2 +1, (j+1)/2 -1) 사이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단계(S107)에서, 제 7 매크로 블럭((i+1)/2 +1, (j+1)/2 -1)과 제 8 매크로 블럭((i+1)/2, (j+1)/2 -1) 사이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또한, 제 8 매크로 블럭((i+1)/2, (j+1)/2 -1)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과 인접한 수평 방향 경계, 즉 제 8 매크로 블럭((i+1)/2, (j+1)/2 -1)과 제 1 매크로 블럭((i+1)/2, (j+1)/2) 사이에 형성된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108)에서, 제 8 매크로 블럭((i+1)/2, (j+1)/2 -1)과 제 9 매크로 블럭((i+1)/2 -1, (j+1)/2 -1) 사이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또한, 제 9 매크로 블럭((i+1)/2 -1, (j+1)/2 -1)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과 인접한 수평 방향 경계, 즉 제 9 매크로 블럭((i+1)/2 -1, (j+1)/2 -1)과 제 2 매크로 블럭((i+1)/2 -1, (j+1)/2) 사이에 형성된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109)에서, 제 9 매크로 블럭((i+1)/2 -1, (j+1)/2 -1)과 제 10 매크로 블럭((i+1)/2 -2, (j+1)/2 -1)(도시 생략) 사이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따라 영상에서 디블럭킹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블럭킹 방법은 영상을 구성하는 매크로 블럭에 대하여 시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101)이 i×j 개의 매크로 블럭으로 분할되는 경우, 즉 영상(101)이 i행 및 j열로 분할되는 경우, 행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고 열 방향이 수직 방향이 된다.
단계(S201)에서, 제 n-1 매크로 블럭(X, Y+1) 및 제 n 매크로 블럭(X, Y)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제 n 매크로 블럭(X, Y)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1001)과의 경계, 즉 제 n 매크로 블럭(X, Y) 및 매크로 블럭(100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202)에서, 제 n 매크로 블럭(X, Y) 및 제 n+1 매크로 블럭(X,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203)에서, 제 n+1 매크로 블럭(X, Y-1) 및 제 n+2 매크로 블럭(X+1, Y-1)의 경계 즉,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제 n+2 매크로 블럭(X+1, Y-1)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1001)과의 경계, 즉 제 n+2 매크로 블럭(X+1, Y-1) 및 매크로 블럭(100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204)에서, 제 n+2 매크로 블럭(X+1, Y-1) 및 제 n+3 매크로 블럭(X+2, Y-1)의 경계 즉,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n+3 매크로 블럭(X+2, Y-1)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1002)과의 경계, 즉 제 n+3 매크로 블럭(X+2, Y-1) 및 매크로 블럭(1002)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205)에서, 제 p-2 매크로 블럭(X'-1, Y-1) 및 제 p-1 매크로 블럭(X', Y-1)의 경계 즉,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단계(S206)에서, 제 p-1 매크로 블럭(X', Y-1) 및 제 p 매크로 블럭(X', Y)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제 p 매크로 블럭(X', Y)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계 중 이미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매크로 블럭(1003)과의 경계, 즉 제 p 매크로 블럭(X', Y) 및 매크로 블럭(1003)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도중에 프로세서의 과부하 등에 의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중단된 상태로 노출된 영상을 도 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은 노출되는 영상(200)을 구성하는 매크로 블럭 중 중심에 위치한 매크로 블럭을 시작점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따라서, 영상(200)의 중심부터 디블럭킹 필터링이 적용되어 영상(2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매크로 블럭을 향해 점차적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도중에 프로세서의 과부하 등으로 인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중단되어 영상(200) 전체에 수행되지 않고 화면에 노출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는 영상(200)은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부분(210)과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부분(220)을 포함하게 된다.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 부분(210)은 영상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부분이며,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부분(220)은 영상(200)의 중심부를 둘러싸며 영상(200)의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즉, 영상(200)에 대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 도중에 중단되더라도, 영상(200)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중심 부분에는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된다. 따라서, 영상(200)의 중심 부분은 디블럭킹 필터링에 의하여 품질이 향상된 상태로 노출된다.
이로 인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완전히 수행되지 않은 상태의 영상이 노출되더라도 시청자의 눈에 가장 민감하게 인지되는 중심 부분에 대하여는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므로, 시청자가 보다 인식하기 용이한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 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SVC 방식에 따른 영상 압축 및 디코딩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따른 영상에서의 디블럭킹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따라 영상에서 디블럭킹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형태의 디블럭킹 방법에 따라 영상에서 디블럭킹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도중에 프로세서의 과부하 등에 의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이 중단된 상태로 노출된 영상을 도시한 도면.

Claims (17)

  1. I * J (I 및 J 는 홀수)개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 영상에 대한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영상의 정 중앙에 위치한 제 1 매크로 블록 및 상기 제 1 매크로 블록과 일측변이 접하는 제 2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 1 매크로 블록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순서에 따라,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서로 인접한 매크로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매크로 블록의 수평 방향 경계와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해서 각각 1회의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2)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3)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1, Y)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4)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와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5)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6)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7)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8)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9)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1, Y)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0)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1)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12)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3)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4)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15)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1, Y)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6)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와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7)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18)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9)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20)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21)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 Y+1) 및 제 k+2 매크로블록(X-1, Y+1)의 수직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1, Y)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22)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의 수평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디블럭킹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23) 제 k 매크로 블록(X, Y) 및 제 k+1 매크로 블록(X-1, Y)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b24) 상기 제 k+1 매크로 블록(X-1, Y) 및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의 수평 방향 경계와 상기 제 k+2 매크로 블록(X-1, Y-1) 및 제 k+3 매크로 블록(X, Y-1)의 수직 방향 경계에 대하여 디블럭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KR1020090079245A 2009-08-26 2009-08-26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KR10105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245A KR101051040B1 (ko) 2009-08-26 2009-08-26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245A KR101051040B1 (ko) 2009-08-26 2009-08-26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45A KR20110021445A (ko) 2011-03-04
KR101051040B1 true KR101051040B1 (ko) 2011-07-21

Family

ID=4393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245A KR101051040B1 (ko) 2009-08-26 2009-08-26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3448A (ko) * 2012-10-25 2014-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에서 제1영상에 대한 부호화정보로부터 제2영상을 디블록킹 필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751A (ko) * 2004-06-01 2005-1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측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KR20080076817A (ko) * 2007-02-14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동영상 처리 시스템의 디블록 필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856551B1 (ko) 2007-05-31 2008-09-04 한국과학기술원 H.264/avc에서의 디블록 필터 및 필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751A (ko) * 2004-06-01 2005-1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측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KR20080076817A (ko) * 2007-02-14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동영상 처리 시스템의 디블록 필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856551B1 (ko) 2007-05-31 2008-09-04 한국과학기술원 H.264/avc에서의 디블록 필터 및 필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45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178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EP2813079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ter-layer prediction for scalable video coding
RU2409005C2 (ru) Способ масштабируем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сигнала
CN108111846B (zh) 用于可伸缩视频编码的帧间层预测方法及装置
US8780991B2 (en) Motion estimation in enhancement layers in video encoding
US7907789B2 (en) Reduction of block effects in spatially re-sampled image information for block-based image coding
US20130343648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40254660A1 (en) Video encoder, method of detecting scene change and method of controlling video encoder
JP7250917B2 (ja) 補間フィルタを使用するイントラ予測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5163117B (zh) 一种图像编码方法及装置
CA2882519C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terlayer texture prediction
WO2022121770A1 (zh) 增强层编解码方法和装置
KR20170125154A (ko) 곡선 화면 내 예측을 사용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2352434B (zh) 用于帧内预测的基于宽高比滤波的方法和装置
KR101051040B1 (ko) 디블럭킹 필터링 방법
CN113225558A (zh) 平滑定向和dc帧内预测
Ochoa Dominguez et al. Versatile Video Coding: Latest Advances in Video Coding Standards
CN116760976B (zh) 仿射预测决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Bariani et al. An optimized software implementation of the HEVC/H. 265 video decoder
CN117280683A (zh) 用于对视频进行编码/解码的方法和装置
CN117616750A (zh) 基于模板的帧内模式推导
KR100933331B1 (ko) 비디오 복호화 장치
AU2019433376A1 (en) Intra-frame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5134597A (zh) 增强层编解码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