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708B1 - Smart helmet for welder - Google Patents

Smart helmet for we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708B1
KR101050708B1 KR1020100108702A KR20100108702A KR101050708B1 KR 101050708 B1 KR101050708 B1 KR 101050708B1 KR 1020100108702 A KR1020100108702 A KR 1020100108702A KR 20100108702 A KR20100108702 A KR 20100108702A KR 101050708 B1 KR101050708 B1 KR 10105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unit
central control
control center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환
이철우
박운용
임창선
Original Assignee
(주)텔레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콤랜드 filed Critical (주)텔레콤랜드
Priority to KR102010010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7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PURPOSE: A smart wear for a welder is provided to enable a welder to rapidly deal with an urgent situation at a field. CONSTITUTION: A control module(200B) displays afte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drawing from a central control center of a remote site through wireless telecommunication. The control module senses the information created in around an operator such as main body temperature, roughness, humidity and gas leakage. The control module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in order to help the central control center to recognize situations of a working site. A wearing gear is located on one rear side of the mask body so that the mask body can be steadily put on the head of an operator.

Description

용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 {SMART HELMET FOR WELDER}Smart Wear for Welding Workers {SMART HELMET FOR WELDER}

본 발명은 첨단의 전자적 장비와 통신기능이 장착된 스마트 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wear equipped with advanced electronic equipment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smart wear for welding workers.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헬멧, 벨트, 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특히, 헬멧은 고공의 낙하물이나 예상치 못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의 착용은 작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안전수칙에 해당된다.In general, the wearing of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helmets, belts, gloves, etc. is essential for the safety of workers in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shipyards, machine shops or disaster sites. In particular, the helmet is to protect the operator's head and face from falling objects and unexpected danger of high altitude, wearing the helmet is an essential safety rule on the job site.

오늘날,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현장(예: 토목 또는 건설현장)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현장 작업자는 단순 노동의 수준에서 벗어나, 건설에 투입되는 전자장비와 건설장비를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중앙센터나 다른 작업자들과의 협력작업을 위해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보호장구(헬멧, 벨트, 장갑 등)를 착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연장,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각종 계측장비들을 비롯한 각종 첨단장비들을 소지해야 한다.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s industrial sites (such as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s)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site workers must move beyond the level of simple labor and deal with the electronic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ed for construction. Or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workers in collaboration. In addition, protective equipment (helmet, belt, gloves, etc.), as well as various extensions used in construction sites, radios and mobile terminals for communication with remote workers (or central center), and various measuring equipment And various high-tech equipments.

산업현장에서 작업자들의 안전과 작업의 전문성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해, 통신 및 전자장비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The use of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safety of workers and th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of their work in industrial sites.

철근접합 및 절단작업이 필수적인 기계공장이나 조선소에서, 용접작업에 몰두하는 작업자는 주변의 위험 요소들(예: gas 누출, 낙하물 등)에 쉽게 노출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없다. 또한, 용접된 작업물의 기공, 균열, 개재물, 피로균열 등을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수해야 하나, 이를 위해서는 고가의 검수장비를 필요로 한데다가 협소하고 밀폐된 작업공간에서는 검수장비를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machine shops or shipyards where rebar splicing and cutting are essential, workers who are immersed in welding work are easily exposed to nearby hazards (eg gas leaks, falling objects, etc.) and cannot respond quickly. In addition, the inspection of pores, cracks, inclusions, and fatigue cracks in the welded work must be promptly and accurately inspected on site, but this requires expensive inspection equipment and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inspection equipment in a narrow and confined workspace. There is.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을 필요로 하는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행동과 주변 위험요소를 감지하고, 용접된 작업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수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wear that can detect the worker's behavior and surrounding hazards in an industrial site that requires welding, and can quickly and accurately inspect the welded workpiece.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iv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는 화재진압, 지진, 건물붕괴, 수해 복구 등의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중앙통제 센터로 전달하고, 센터의 지시에 따라 현장의 작업을 원활히 통제하고 현장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l-time information on the site situation (e.g. video information of the scene, risk detection information, etc.) in various disaster sites or industrial sites, such as fire suppression, earthquake, building collapse, flood damage recovery, etc. It can be delivered to a central control center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site's instructions can be smooth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enter's instructions and promptly responded to an emergency in the field.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은 용접 작업을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270)와 검수부(260)를 구비함으로써, 센터(500)로부터 작업에 필요한 모든 설계 도면을 제공받을 수 있고, 고가의 검수장비 없이도 높은 수준의 검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용접작업이 가능하고, 높은 작업능률을 기대할 수 있다.The smart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isplay 270 and the inspection unit 260 for the weld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all the design drawings required for the operation from the center 500, even without expensive inspection equipment A high level of inspec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quick and accurate welding can be performed and high work efficiency can be expect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에 관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의 망 연결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전,후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벨트의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부의 스캐닝과 근접촬영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마트 웨어
200 : 스마트 헬멧
200A : 마스크 본체 200B, 300B : 제어모듈
200C : 착용밴드 200D : 힌지
300 : 스마트 벨트
210, 310 : 센싱부 220, 320 : 제어부
230 : A/V입출력부 240 : 통신부
250, 350 : 전원부 260 : 검수부
270 : 디스플레이 280 : 윈도우
330 : 저장부
340 : 제1통신부 360 : 제2통신부
400 : 액세스 포인트 500 : 중앙통제 센터
1 is an exemplary view of a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connection of the smart wea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ont, rear portion of the smart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mar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canning and close-up photography of the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smart wear
200: smart helmet
200A: Mask Body 200B, 300B: Control Module
200C: Wear Band 200D: Hinge
300: smart belt
210, 310: sensing unit 220, 320: control unit
230: A / V input / output unit 240: communication unit
250, 350: power supply unit 260: inspection unit
270: display 280: window
330: storage unit
340: first communication unit 360: second communication unit
400: access point 500: central control cen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작업을 위한 스마트 헬멧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helmet device for weld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의 두부와 안면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마스크 본체와, 소정의 보호필름으로 코딩된 유리창을 통해 작업진행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는 윈도우와, 검수 검사를 위해, 용접된 작업물에 대한 스캐닝과 근접 촬영을 수행하여 검수정보를 생성하는 검수부와, 상기 생성된 검수정보를 상기 스마트 벨트를 통해 중앙통제 센터로 전송하고 중앙통제 센터로부터 상기 용접된 작업물에 대한 검수결과를 수신하여 합격 여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마스크 본체가 작업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도록 마스크 본체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는 착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mask body worn for protecting the head and face of the operator, a window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to monitor the work progress through a glass window coded with a predetermined protective film, and welding for inspection A inspection unit which generates inspection information by performing scanning and close-up photographing of the finished workpiec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spec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through the smart belt and inspects the welded workpiece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 result to display the pass and a wearing b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of the mask body so that the mask body is worn stably on the operator's hea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에 관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는 헬멧, 벨트, 장갑과 같은 작업자의 보호장구에,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이미지 전송을 위한 카메라, 디스플레이, 배터리, 헤드셋, 검수장비, 각종 센서 등을 실장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dio, a mobile terminal, and image transmission for communication with remote workers (or a central center) to a worker's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a helmet, a belt, and a glove. It is equipped with cameras, displays, batteries, headsets, inspection equipment, and various sensors.

스마트 웨어를 착용한 작업자는 조선소, 건축, 기계, 금속을 다루는 산업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중앙통제 센터로 전달하고, 센터의 통제에 따라 고도의 전문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중앙통제 센터가 작업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작업자 주변의 위험요소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Workers wearing smart wear can be used in industrial sites dealing with shipyards, construction, machinery, and metals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on field conditions (e.g. video footage of scenes, risk detection information, etc.) Communicate and perform highly professional missions under center control.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sent by the worker, the central control center detects the hazards around the worker that the worker does not recognize, and can send a warning signal to the worker.

또한, 스마트 웨어를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Multi Communication)을 통해, 작업상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situation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through multi-communication with nearby workers wearing smart wear.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의 망 연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connection of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지그비 (Zigbee(IEEE 802.15.4))나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업자들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mart we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the operators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Zigbee (IEEE 802.15.4), Wi-Fi, or Wibro.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rovided.

통신규약 IEEE802.15.4로 정의되는 지그비(ZigBee)는 저가, 저전력 구현이 가능하여 가정, 빌딩 및 공장 자동화 등을 목표로 개발된 근거리 저속 무선통신 기술이다. ZigBee, defined as the communication protocol IEEE802.15.4, is a short-range low-spee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ed for home, building, and factory automation by enabling low cost and low power.

지그비(ZigBee)는 20Kbps, 40Kbps, 그리고 250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10m 이내의 거리에서 적용 가능하며, 한 개의 Piconet 당 255개의 무선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1mW의 낮은 출력에도 10m 거리 이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댁내에 산재해있는 센서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로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다. IEEE802.15.4에서 PHY와 MAC에 대한 지그비의 표준을 정의하고 있으며 ZigBee Alliance에서 MAC 이상의 레이어와 응용을 위한 프로파일(Profile)까지 정의하고 있다.ZigBee supports data transfer rates of 20Kbps, 40Kbps, and 250Kbps, and can be applied within a distance of 10m and can connect up to 255 wireless devices per Piconet. In addition, it is the most promising technology as a sensor network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10m distance even with a low output of 1mW, so that sensors scattered in a house can be configured as a single network. IEEE 802.15.4 defines ZigBee's standards for PHY and MAC, and the ZigBee Alliance defines profiles for layers and applications beyond MAC.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와이맥스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중앙통제 센터(500)와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smart we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Fi (Wi-Fi), Wibro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Downlink Packet Ac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웨어의 내부적 장치들(예: 헬멧 & 벨트)간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we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luetooth 3.0 (Bluetooth 3.0) or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IEEE 802.15.4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it is possible to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rnal devices of the smart wear (eg, helmet & belt).

블루투스 3.0(Bluetooth 3.0)은 100m의 전송 범위와 최대 24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고, 기존 블루투스2.1에 비해 8배 빨라진 전송속도를 갖는다.Bluetooth 3.0 delivers a 100m transmission range, up to 24Mbps, and eight times faster than Bluetooth 2.1.

기존 블루투스의 전송대역을 넘어서는 대용량 데이터 통신으로 휴대폰과 컴퓨터 등의 영상 전송, 고정형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간의 영상 동기화, 디지털 카메라와 출력기 간의 프린팅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한층 낮아진 전력소모와 작은 크기, 저렴한 가격을 특징으로 한다. It can be used for video transmission of mobile phones and computers, video synchronization between fixed devices and portable devices, printing between digital cameras and output devices, and more power consumption, smaller size, and lower price. It is characterized by.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은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3, the smart we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helmet 200 and a smart belt 300.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helmet 200 and the smart belt 300 is Bluetooth 3.0 (Bluetooth 3.0) or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 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y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Zigbee (IEEE 802.15.4).

또한,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간은 유선(케이블)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 그에 따른 유선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mart helmet 200 and the smart belt 300 may be connected by a wire (cable), when the cable is connected to set the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ly.

도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전면부(외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4의 b)는 스마트 헬멧의 후면부(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ure 4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utside) of the smart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rear portion (inside) of the smart helmet.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200)은 용접 마스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마스크 본체(200A), 윈도우(280), 제어모듈(200 B), 검수부(260), 착용밴드(200C)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smart helm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welding mask largely, the mask body 200A, the window 280, the control module 200B, the inspection unit ( 260, the wearing band 200C.

상기 마스크 본체(200A)는 작업자의 두부와 안면을 보호하는 장구로서, 전면 일측에 상기 윈도우(280)를 형성하고, 제어모듈(200B), 착용밴드(200C), 힌지(200D)가 장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The mask body 200A is a device for protecting the head and face of the operator, and forms the window 280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control module 200B, the wearing band 200C, and the hinge 200D may be mounted. Provides the foundation.

상기 윈도우(280)는, 작업자가 유리창을 통해 작업진행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00A)의 전면부 일측에 형성된다. 윈도우(280)의 유리는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광선으로부터 사용자의 시각을 보호하기 위한 소정의 보호필름으로 코딩된다. The window 28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sk body 200A as shown in b) of FIG. 4 so that an operator can monitor the work progress through the glass window. The glass of the window 280 is coded with a predetermined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user's vision from harmful rays generated during welding.

상기 착용밴드(200C)는 작업자가 마스크 본체(200A)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200A)의 후면부 일측에 구비된다. The wearing band 200C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sk body 200A so that an operator can wear the mask body 200A stably without shaking.

상기 힌지(200D)는 스마트 헬멧(200)을 착용한 작업자가 상기 마스크 본체(200A)를 상/하 일정각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으로서 동작한다.The hinge 200D operates as a rotating shaft so that a worker wearing the smart helmet 200 can rotate the mask body 200A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검수부(260)는 고도의 용접기술을 요하는 작업에서 용접 부위의 기공, 균열, 개재물, 피로균열 등을 검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파괴 검사를 위한 스캔을 수행하는 제1촬영부(262)와 안수검사를 위해 상기 용접부위에 대한 고해상도의 근접 촬영(예: 접사촬영 등)을 수행하는 제2촬영부(264)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00A)의 전면부 일측에 구비된다.The inspection unit 260 is a device for inspecting the pores, cracks, inclusions, fatigue cracks, etc. of the welded portion in a work requiring a high welding technique,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262 performing a scan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264 which performs a high-resolution close-up (eg, macro photography, etc.) of the welded portion for ordination examination. And, as shown in Figure 4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sk body 200A.

상기 제1촬영부(262)는 초음파 탐상 검사와 같은 비파괴 검사를 위해 상기 스캔된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200B)의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제1촬영부(262)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용접부위를 촬영(스캔)하여 그에 따른 스캔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2촬영부(264)는 제1촬영부(262)에 의한 촬영(스캔)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용접부위에 관한 고해상도(예: 5 메가 바이트(Mbyte) 이상)의 근접 촬영(예: 접사촬영 등)을 수행하고 촬영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262 transfers the scann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ontrol module 200B for a non-destructive inspection such as an ultrasonic flaw inspection.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262 photographs (scans) the weld in a manner of emitting ultrasound and receiving reflected ultrasound to generate sca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264 photographs a close-up photograph of a high resolution (eg, 5 megabytes or more) of the welding portion during photographing (scanning) by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262 (eg, macro shooting). And the like) and transfer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20.

상기 제어 모듈(200B)은 상기 마스크 본체(200A)에 탈부착 가능하며, 센싱부(210), 제어부(220), A/V(Audio/Video) 입출력부(230), 통신부(240), 전원부(250), 디스플레이(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 모듈(200B)은 마스크 본체(200A)의 내/외부 온도, 작업자 주변 조도, 주변 습도, gas누출 여부 등을 감지하고, 라이트 기능(후레쉬), 카메라(사진 및 동영상 촬영), 통신 기능(근거리, 이동통신 등) 등을 수행하여 작업자의 임무수행을 돕고, 작업자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을 감지한 후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송하여, 센터(500)에서 작업현장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module 200B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sk body 200A, and may include a sensing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n A / V (audio / video) input / output unit 230, a communication unit 240, and a power supply unit ( 250, and a display 270. The control module 200B detects the internal / external temperature of the mask body 200A, the ambient light around the operator, the ambient humidity, gas leakage, and the like, and includes a light function (flash), a camera (photograph and video recording),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 Short-range, mobile communication, etc.) to help the worker perform the task, and detect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around the worker and transmits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the center 500 to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work site To help.

상기 센싱부(210)는 마스크 본체(200A)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 센서,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 센서, 인체에 위해한 개스(gas)를 감지하는 개스감지 센서,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고, 각 센서가 발생한 센싱신호를 상기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The sensing unit 210 i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 external temperature of the mask body (200A), an illumin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illumination around the operator,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around the operator, harm to the human body A gas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gas (gas), an impa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and the like,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generated by each sensor to the controller 220.

상기 통신부(240)는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무선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 헬멧(200)과 타 스마트 웨어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240)는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기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240)는 현재 작업지점의 방위와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모듈(예: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40)는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그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24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helmet 200 and the smart belt 300.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helmet 200 and other smart wear.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a Bluetooth 3.0 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 Ultra Wideband (UWB), and a Zigbee (IEEE 802.15.4).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s is provid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for example,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and location of the current work point. When the smart helmet 200 and the smart belt 300 are connected by wire, the communication unit 240 sets a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ly.

상기 A/V(Audio/Video) 입출력부(2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음향출력 모듈(미도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230 is for inputting /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not shown), a microphone (not shown), a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and the like. . The camer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스마트 벨트(300)의 저장부(33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40 or 360)를 통해 외부(예: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스마트 웨어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예: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 헬멧(100)에 후방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작업자는 디스플레이(270)를 통해 자신의 후방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항상 체크할 수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of the smart belt 30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eg,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or 360. The camera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eg, front camera, rear camera, etc.)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wear. When the rear camera is provided in the smart helmet 100, the worker may always check the situation occurring behind his or her back through the display 270.

상기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상기 통신부(240, 360)를 통해 무선 망(예: 액세스 포인트(AP(400))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00A) 내 하측면에 위치하며, 작업자의 입과 최단거리 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phone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convert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In addition, the convert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call mode and output to a wireless network (eg, an access point (AP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or 360. The microphon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b) of the mask body 200A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it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mouth and the shortest point.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통화모드에서 통신부(24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스마트 헬멧(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경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은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00A) 내 양측면에 위치하며, 작업자의 양쪽 귀와 최단거리 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output module outputs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40 in the call mode. In addition, it outputs a sound signal associated with a function (for example, call signal reception sound, warning sound, etc.) performed in the smart helmet 200. The sound output module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As shown in b) of FIG. 4, the sound output module i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mask body 200A, and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earliest distance from both ears of the operator.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00A) 내측 전면부의 윈도우(280) 아래쪽에 형성되며, 스마트 웨어(100)에서 처리된 정보나 중앙통제 센터(500)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작업물의 설계도면 등)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정지영상(또는 동영상)을 표시하거나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70)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디스플레이(270)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4, the display 270 is formed below the window 280 of the inner front portion of the mask body 200A, from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mart wear 100 or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eg design drawings of the workpiece). In addition, a still image (or video) generated from the camera is displayed or a UI or GUI is displayed. When the display 270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270 is an input device other than an output device. It can also be used as.

상기 제어부(220)는 제어모듈(200B)과 스마트 헬멧(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200B)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예: 센싱부(210), A/V(Audio/Video) 입출력부(230), 통신부(240), 전원부(250), 디스플레이(270) 등)과 검수부(260)의 동작과 신호 전달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210), 검수부(260), A/V(Audio/ Video)입출력부(230) 등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들을 무선 통신부(240 or 360)를 통해 외부(예: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200B and the smart helmet 200. For example, elements constituting the control module 200B (eg, the sensing unit 210, the audio / video input / output unit 230, the communication unit 240,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the display 270). And the like and control the signal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210, the inspector 260, the A / V (Audio / Video) input / output unit 230, and the lik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or 360 (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상기 전원부(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외부(예: 스마트 벨트 (300)의 전원부(35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거나, 각 구성요소들(예: 센싱부(210), 제어부(220), A/V(Audio/Video)입출력부(230), 통신부(240), 검수부(260), 디스플레이(27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220)는 상기 전원부(250)의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고,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마트 벨트(300)의 전원부(3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전력공급에 대비하여, 스마트 벨트(300)의 전원부(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용량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25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350 of the smart belt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0, or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210, the control unit ( 220), the A / V (Audio / Video) input / output unit 230, the communication unit 240, the inspection unit 260, the display 270, etc. to supply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The controller 220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350 of the smart belt 300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n preparation for such a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350 of the smart belt 3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large capacity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20 OR 32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OR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220 OR 32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220 OR 3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ler 220 OR 320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PGAs (field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220 OR 320 itself.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200B)은 알람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람부는 중앙통제 센터(500)의 경고신호나 통신 이벤트(예: 호 수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알람부는 오디오 사운드 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램프 점멸, 전기충격,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기충격은 작업에 몰두 중인 작업자나 실신 상태에 있는 작업자에게 강력한 경고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A/V(Audio/Video)입출력부(230)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Control module 2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larm unit (not shown) separately. The alarm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warning signal or a communication event (eg, call reception)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The alarm unit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by, for example, lamp blinking, electric shock, or vibration in addition to audio sound. An electric shock is necessary to give a strong warning signal to a worker who is engaged in work or a worker who is in a state of fainting. The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A / V input / output unit 230.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200)은 조명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엘이디(LED)와 같이 전력소비량이 적은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헬멧(200)에서 동작하는 장치나 기능들을 조작하는 소정의 실행버튼들을 상기 제어모듈(200B)의 일측에 구비한다.Smart helm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lighting unit (not shown). The light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ow power consumption, such as an LED, and controls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or's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execution button on one side of the control module 200B for manipulating a device or functions operating in the smart helmet 200.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벨트의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mar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벨트(300)는 센싱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제1통신부(340), 전원부(350), 제2통신부 (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벨트(300)는 대용량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 헬멧(200)에 전력을 공급하고, High bandwidth 모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모바일 라우터로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 헬멧(200)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예: 센싱 신호 및 영상 신호 등)를 무선 망(예: 액세스 포인트(AP(400))을 통해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송하거나, 반대로, 중앙통제 센터(5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스마트 헬멧(200)으로 전송한다. 3 and 5, the smart bel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ing unit 310, the control unit 320, the storage unit 33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40, the power supply unit 3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60. The smart belt 300 is provided with a large capacity battery to supply power to the smart helmet 200, and performs a high bandwidth modem function. In addition, by operating as a mobile router, various control signals and data signals (eg, sensing signals and video signals, etc.) received from the smart helmet 2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eg, access point (AP 400)) Transmission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or, conversely,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to the smart helmet 200.

상기 센싱부(310)는 작업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 센서,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 센서, 인체에 위해한 개스(gas)를 감지하는 개스감지 센서, 현재 작업지점의 방위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고, 각 센서가 발생한 센싱신호를 상기 제어부(320)로 전달한다.The sensing unit 310 i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worker, an illumin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bient light around the worker,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around the worker, a gas (gas) for the human body And a gas detection sensor,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direction and a position of a current working point,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generated by each sensor to the controller 320.

상기 제1통신부(340)는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 간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해당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예: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그에 따른 케이블 통신을 설정하게 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4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helmet 200 and the smart belt 300. In addition,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for example,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worker may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smart helmet 200 and the smart belt 300 is wired, the cable communication is set accordingly.

상기 제2통신부(360)는 스마트 벨트(300)과 중앙통제 센터(500) 간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스마트 벨트(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벨트(300)과 중앙통제 센터(500)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기를 구비하게 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60 is a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belt 300 and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it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smart belt 300.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belt 300 and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Downlink Packet Access) is provided.

상기 저장부(330)는 제어부(220 or 3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30)에는 호 착신시 또는 각종 이벤트 발생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20 or 320,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still image or a video). It can also be don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that are output when a call is received or when various events occur.

상기 저장부(3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3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disk, optical disk.

상기 제어부(320)는 스마트 벨트(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벨트(300)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예: 센싱부(310), 저장부(330), 통신부(340, 360), 전원부(350) 등)의 동작과 신호 전달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3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belt 300.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mart belt 300 (eg, the sensing unit 310, the storage unit 330, the communication unit 340 and 360, the power supply unit 350, etc.)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re controlled. .

상기 전원부(35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외부(예: 스마트 헬멧(200)의 전원부(25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각 구성요소들(예: 센싱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통신부(340, 36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350 supplies power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50 of the smart helmet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20, or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10, the control unit ( 320), the storage unit 330, the communication unit 340, 360, etc.) to supply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부의 스캐닝과 근접촬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canning and close-up photographing of the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 도6, 그리고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 6, and 7, the operation of the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스마트 벨트(300)와 용접 마스크에 해당하는 스마트 헬멧(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는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3, the smart we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helmet 200 corresponding to the smart belt 300 and a welding mask, and the smart helmet 200 and the smart belt ( 3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3.0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or Zigbee (IEEE 802.15.4). Perform communication.

용접작업은 교량 건설, 조선, 철재 구조물, 기계 부속물 제작, 대형 압력용 기기 등의 제작에 사용되며, 조선소, 건축현장, 기계 제작소, 금속을 다루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는 보호장구로서 스마트 헬멧(200)과 스마트 벨트(300)를 착용한다.Welding work is used in bridge construction, shipbuilding, steel structures, machine accessories, large pressure equipment, etc.In shipyards, construction sites, machine shops, and various industrial sites dealing with metals, workers use smart helmets as protective equipment. 200 and the smart belt 300 is worn.

용접 작업의 수행에 앞서, 작업자는 우선, 상기 스마트 헬멧(200)을 조작(예: 버튼 입력 등)하여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측과 통신로를 개설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측에 용접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작업도면(or 설계도면)을 요구한다. 이때 작업자의 요구 메시지는 마이크를 통해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송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통신부(240)를 통해 스마트 벨트(3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스마트 벨트의 통신부(360)를 통해 다시 무선 망(예: 액세스 포인트(AP(400))으로 출력된다. Prior to performing the welding operation, the operator first opens the communication path with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by operating the smart helmet 200 (for example, inputting a button). And the work drawing (or design drawing) of the object to be welded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side is required. In this case, the operator's request messag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rough a microphone, and the convert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signal of a wireless transmission type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belt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Then, the data is output to the wireless network (eg, the access point (AP 400)) agai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of the smart belt.

이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통제 센터(500)측으로부터 해당 작업도면이 수신되면 스마트 헬멧(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된 작업도면을 디스플레이(270)에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도면을 참고하여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S100, S110)Subsequently, when the corresponding work drawing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side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ler 220 of the smart helmet 200 displays the received work drawing on the display 270 so that the worker The welding can be done by referring to the work drawing. (S100, S110)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면서, 용접상태의 결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는 작업 중 수시로 용접부위를 검수함으로써 용접의 정확도와 결함여부를 체크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check whether the defect of the welding state while working.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welding accuracy and defects by inspecting the welding site from time to time during the operation.

용접부위 검수를 위해, 작업자는 우선, 스캔모드를 실행한다.(S120)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00A)의 검수부(260)를 용접물과 소정 거리 유지한 상태에서, 용접된 부위의 시작부분에서 끝부분까지 이동시킨다. 스캔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제1촬영부(262)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용접부위를 스캔(촬영)하여 그에 따른 스캔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2촬영부(264)는 상기 용접부위에 대해 고해상도(예: 5 메가 바이트(Mbyte) 이상)의 접사 촬영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정보들은 스마트 헬멧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240)를 통해 무선 송출된다. (S130)In order to inspect the welded area, the operator first executes the scan mode (S120). As shown in Fig. 7, the inspection part 260 of the mask body 200A is kep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elded material. Mov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welded area. While the scan mode is executed,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262 scans (photographs) a welded portion in a manner of emitting ultrasonic waves and receiving reflected ultrasonic waves to generate scan information accordingly. In addition,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264 performs macro shooting of a high resolution (eg, 5 megabytes (Mbyte) or more) of the welding site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generated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under the control of the smart helmet controller 220. (S130)

본 발명은 용접부위를 스캔(촬영)할 때, 상기 검수부(260)와 용접물 간의 간격유지와 용접물을 따라 검수부(260)를 일정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20)는 스캔모드 상태에서 카메라를 실행시키고,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는 대상체(예: 작업중인 용접물)의 영상과 소정의 가드 라인과 상기 촬영되는 대상체(예: 작업중인 용접물)와의 거리정보를 디스플레이(270)에 출력한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270)를 통해 상기 가이드 라인과 대상체(예: 작업중인 용접물)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검수부(260) 즉 마스크 본체(200A)를 이동시키고, 또한 디스플레이(270) 상의 거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대상체(예: 작업중인 용접물)와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마스크 본체(200A)를 이동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canning (photographing) a weld, it is important to constantly move the inspector 260 along the weld and the space between the inspector 260 and the weldment.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uns the camera in the scan mode, the image of the object (for example, the weldment being photographed) and the predetermined guard line and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for example, working) And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phosphorus weldment) is output to the display 270. The operator moves the inspector 260, that is, the mask body 200A, while checking whether the guide line and the object (for example, the weldment in operation) match through the display 270, and also the distan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270. The mask body 200A is moved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object (eg, a weldment being worked).

상기 단계(S130)를 거치며 스마트 헬멧(200)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들은 스마트 벨트(300)로 전달되고, 스마트 벨트의 제2통신부(360)를 통해 다시 무선 송출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400)를 거쳐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달된다.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mart helmet 200 through the step S130 are transmitted to the smart belt 300 and wirelessly transmitted agai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60 of the smart belt.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via the access point (400).

일단, 스마트 벨트(300)로부터 상기 스캔정보와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중앙통제 센터(500)는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한 검수 검사를 실시한다. 통제 센터(500)는 우선, 수신된 스캔정보를 초음파 탐상 검사 프로세스에 대입하여 작업중인 용접부위의 기공, 균열, 개재물, 피로균열 등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영상정보에 대해서, 현장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에 의한 안수검사를 실시한다. 이상의 초음파 탐상 검사 프로세스와 안수검사를 통해 용접작업의 합격/불합격 여부가 판정된다. Once the scan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smart belt 300,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performs an inspection tes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control center 500 first inserts the received scan information into an ultrasonic flaw detection process to detect pores, cracks, inclusions, fatigue cracks, and the like in the welded site. In addition,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is subjected to ordination examination by experts with experience in the field. Through the ultrasonic inspection process and ordination te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elding operation is passed or failed.

통제 센터(500)의 판정결과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400)와 스마트 벨트(300)를 거쳐, 스마트 헬멧(200)으로 전달되며, 제어부(220)는 상기 판정결과 (합격 or 불합격)를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S140) 상기 통제 센터(500)의 판정결과는 합격/불합격 여부는 물론, 안수검사를 수행한 전문가의 소견 및 초음파 탐상 검사 프로세스의 세부 검사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결과가 불합격인 경우, 작업자는 해당 용접 부위를 해체하고 합격판정을 받을 때까지 용접작업을 반복 실시한다. (S170)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center 500 is transmitted to the smart helmet 200 via the access point 400 and the smart belt 300,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the determination result (pass or fail) to the worker do. (S140)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center 500 may include not only pass / fail status, but also the findings of the expert who performed the ordination test and the detailed test result of the ultrasonic flaw detection process.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fails, the worker dismantles the welding site and repeats the welding operation until the acceptance decision is made. (S170)

작업자는 전체 작업을 여러 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마다 상기 검수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다. (S150, S160)The operator divides the entire work into several sections, and repeats the inspection process for each section, so that the welding work can be completed quickly and accurately. (S150, S160)

그 외에도, 스마트 헬멧(200)은 작업자가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센싱부(210)를 통해, 마스크 본체(200A)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거나, 인체에 위해한 개스(gas)를 감지하거나,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거나, 현재 작업지점의 방위와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작업자 주변의 영상(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을 입력받거나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는다.In addition, the smart helmet 200 detects the internal / external temperature of the mask body 200A through the sensing unit 210, the illumination around the worker, or the worker's surroundings, while the worker performs the welding operation. Sensing the humidity, gas (gas) for the human body, a shock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or detects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current working point to generate the sensing signal accordingly. In addition, the camera receives images (videos or still images) around the worker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r a sound of the worker or the worker's surroundings through a microphone.

스마트 헬멧의 제어부(220)는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또는 입력된) 정보들을 스마트 벨트(300)와 액세스 포인트(400)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달한다. The controller 220 of the smart helmet then transfers the generated (or input)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through the smart belt 300 and the access point 400.

일단, 스마트 벨트(300)로부터 작업현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중앙통제 센터(5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현장의 상황과 작업자 주변의 안전상황을 추론(혹은 모니터)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 또는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고알림 신호를 해당 스마트 웨어 측으로 전달한다.Once the information on the work site is received from the smart belt 300,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infers (or monitors) the situation of the industrial site and the safety situation around the work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infers the result. Delivers a control signal or a warning notification signal informing the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smart wear.

중앙통제 센터(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의 작업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can control the work situation of the site in a variety of ways.

중앙통제 센터(500)의 숙련된 전문가는 스마트 웨어(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실시간의 정보들(예: 현장을 촬영중인 동영상, 각종 센싱 정보 등)을 모니터하면서 현장의 미숙련 작업자를 통제할 수 있다. 현장의 작업자들은 센터(500)의 통제에 따라 고도의 전문적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An experienced expert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may control unskilled workers in the field while monitoring real-time information (for example, video recording a scen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etc.) transmitted from the smart wear 100. . Workers on site perform a highly specialized task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er 500.

중앙통제 센터(500)는 스마트 웨어(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작업자 주변의 위험요소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may analyz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wear 100 to detect a risk factor around the worker that the worker does not recognize, and may transmit a warning signal to the worker.

중앙통제 센터(500)는 스마트 웨어(100)를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업상황을 상호 공유하고 관리 감독할 수 있다. 현장의 긴급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원활히 대처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may share and supervise the work situ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urrounding workers wearing the smart wear 100. Can respond quickly and smoothly to on-site emergency situations.

중앙통제 센터(500)가 송출한 지령이나 제어신호(예: 경고신호 등)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400)를 거쳐 스마트 벨트(300)의 제2통신부(360)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의 지령(혹은 제어신호)를 감지한 제어부(320)는 제1통신부(340)를 통해 스마트 헬멧(2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A/V입출력부 (230)를 통해 작업자에게 출력한다.The command or control signal (eg, warning signal, etc.) sent by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60 of the smart belt 300 via the access point 4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that detects the command (or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500 transmits to the smart helmet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40. And, it outputs to the worker through the A / V input and output unit 23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ll or some of these may be optionally combin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는 화재진압, 지진, 건물붕괴, 수해 복구 등의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중앙통제 센터로 전달하고, 센터의 지시에 따라 현장의 작업을 원활히 통제하고 현장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disaster sites and industrial sites, such as fire suppression, earthquake, building collapse, flood damage recovery, such as various information on the site situation (e.g. video information on the scene, risk detection information, etc.) It can be delivered in real time to a central control center at a remote location, and according to the center's instructions, it can smoothly control the work on the site and respond quickly to the on-site emergency situation.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은 용접 작업을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270)와 검수부(260)를 구비함으로써, 센터(500)로부터 작업에 필요한 모든 설계 도면을 제공받을 수 있고, 고가의 검수장비 없이도 높은 수준의 검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용접작업이 가능하고, 높은 작업능률을 기대할 수 있다.The smart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isplay 270 and the inspection unit 260 for the weld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all the design drawings required for the operation from the center 500, even without expensive inspection equipment A high level of inspec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quick and accurate welding can be performed and high work efficiency can be expected.

Claims (5)

스마트 헬멧과 스마트 벨트로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에 있어서,
작업자의 두부와 안면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마스크 본체와;
소정의 보호필름으로 코딩된 유리창을 통해 작업진행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는 윈도우와;
검수 검사를 위해, 용접된 작업물에 대한 스캐닝과 근접 촬영을 수행하여 검수정보를 생성하는 검수부와;
상기 스마트 벨트를 통해, 상기 생성된 검수정보를 중앙통제 센터로 전송하고 중앙통제 센터로부터 상기 용접된 작업물에 대한 검수결과를 수신하여 합격 여부를 디스플레이 하고, 작업자가 작업도면을 요청하면, 해당 도면을 원격지의 상기 중앙통제 센터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외부 온도, 작업자 주변 조도, 주변 습도, gas누출 여부와 같이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감지한 후 상기 중앙통제 센터로 전송하여, 중앙통제 센터에서 작업현장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마스크 본체가 작업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도록 마스크 본체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는 착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작업을 위한 스마트 헬멧장치.
In the smart wear composed of a smart helmet and a smart belt,
A mask body worn for protecting the head and face of the worker;
A window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to monitor a work progress through a glass window coded with a predetermined protective film;
An inspec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inspection information by performing scanning and close-up photographing of the welded workpiece for inspection inspection;
Through the smart bel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spec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receives the inspection result for the welded work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to display the acceptance, and if the worker requests a work drawing, the drawing Is received and displayed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at a remote location, and after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around the worker or the worker, such as internal / external temperature of the mask body, ambient light around the worker, ambient humidity, gas leakage, etc.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so as to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work site at the central control center;
Smart helmet device for a welding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aring mean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sk body so that the mask body is worn stably on the operator's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부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용접부위를 스캔하는 제1촬영부와;
상기 스캔이 진행되는 동안 용접부위에 관한 근접 촬영을 수행하는 제2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pection unit
A first photographing unit which scans the welding part by emitting ultrasonic waves and receiving the reflected ultrasonic waves;
Smart helm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hotographing unit for performing a close-up photographing of the welding portion while the scan is in progres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작업자 주변의 온도, 조도, 습도, 충격발생을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작업자 주변의 영상을 입력받거나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센싱부와 입력부를 제어하고 이들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소정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무선 송출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스마트 웨어에서 처리되는 정보나 중앙통제 센터로부터 수신된 작업도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스마트 벨트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거나, 스마트 헬멧의 각 구성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by detecting temperature, illuminance, humidity, and shock generation around the operator;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of an operator's surroundings captured by a camera or a sound of the operator or the operator's surroundings through a microphone;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sensing unit and the input unit and transfer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se devices to a communication unit;
A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a predetermin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ly transmit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mart wear or a work drawing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ler;
Smart helm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ourc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smart belt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 unit, 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smart helm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스캔모드 상태에서
카메라로 촬영되는 대상체의 영상과,
소정의 가드 라인과,
상기 촬영되는 대상체와의 거리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장치.
The display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is in a scan mode.
An image of an object photographed by a camera,
A predetermined guard line,
Smart helm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on the screen.
KR1020100108702A 2010-11-03 2010-11-03 Smart helmet for welder KR101050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02A KR101050708B1 (en) 2010-11-03 2010-11-03 Smart helmet for we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02A KR101050708B1 (en) 2010-11-03 2010-11-03 Smart helmet for we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708B1 true KR101050708B1 (en) 2011-07-20

Family

ID=4492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702A KR101050708B1 (en) 2010-11-03 2010-11-03 Smart helmet for we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708B1 (en)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82B1 (en) 2011-08-22 2013-01-21 (주)티엘씨테크놀로지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314553B1 (en) * 2012-04-13 2013-10-07 민성정보기술(주) Welding state discrimina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image transmission
KR101339414B1 (en) * 2012-04-04 2013-12-12 전덕규 Medical facial mask,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519735B1 (en) * 2013-11-05 2015-05-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Welding mask
WO2016144033A1 (en) * 2015-03-06 2016-09-1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ulti-functional safety protective gear
KR101673416B1 (en) * 2015-05-20 2016-11-07 송기홍 Smart protecter glasses for welding
US9931247B2 (en) 2015-07-09 2018-04-03 Otos Wing Co., Ltd. Interworking controlling method of an electronic eye protection apparatus for welding and a smartphone
KR101835713B1 (en) * 2016-01-26 2018-04-19 양범석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nspecting
JP2018533862A (en) * 2015-09-01 2018-11-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Providing Safety Related Context Information i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s
KR20190108526A (en)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오토스윙 Protector for welder, system for managementing health of worker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KR102022585B1 (en) * 2018-03-14 2019-11-04 주식회사 오토스윙 Protector for welder, system for managementing health of worker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KR102109810B1 (en) * 2018-11-06 2020-05-12 송기홍 Smart protecter glasses for welding
KR102160207B1 (en) * 2019-05-22 2020-09-25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guiding system providing high quality image
KR20200135239A (en)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guiding system providing high quality image
JP2021002356A (en) * 2016-06-23 2021-01-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with analytical stream processing for safety event detection
KR20210034408A (en)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20210109353A (en)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11343598B2 (en) 2016-06-23 2022-05-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with analytical stream processing for safety event de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632A (en) * 2004-04-27 2005-11-01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Automatic digital welding helmet using camera
KR20070064730A (en) * 2005-12-19 2007-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eld-line detection apparatus for welding defect insp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632A (en) * 2004-04-27 2005-11-01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Automatic digital welding helmet using camera
KR20070064730A (en) * 2005-12-19 2007-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eld-line detection apparatus for welding defect inspection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82B1 (en) 2011-08-22 2013-01-21 (주)티엘씨테크놀로지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339414B1 (en) * 2012-04-04 2013-12-12 전덕규 Medical facial mask,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314553B1 (en) * 2012-04-13 2013-10-07 민성정보기술(주) Welding state discrimina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image transmission
KR101519735B1 (en) * 2013-11-05 2015-05-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Welding mask
JP2018513922A (en) * 2015-03-06 2018-05-31 ギガテ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ultifuncti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
WO2016144033A1 (en) * 2015-03-06 2016-09-1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ulti-functional safety protective gear
KR101673416B1 (en) * 2015-05-20 2016-11-07 송기홍 Smart protecter glasses for welding
US9931247B2 (en) 2015-07-09 2018-04-03 Otos Wing Co., Ltd. Interworking controlling method of an electronic eye protection apparatus for welding and a smartphone
JP2018533862A (en) * 2015-09-01 2018-11-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Providing Safety Related Context Information i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s
US11330062B2 (en) 2015-09-01 2022-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viding safety related contextual information in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
US11025725B2 (en) 2015-09-01 2021-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viding safety related contextual information in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
KR101835713B1 (en) * 2016-01-26 2018-04-19 양범석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nspecting
JP2021002356A (en) * 2016-06-23 2021-01-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with analytical stream processing for safety event detection
US11979696B2 (en) 2016-06-23 2024-05-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with analytical stream processing for safety event detection
US11689833B2 (en) 2016-06-23 2023-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with analytical stream processing for safety event detection
US11343598B2 (en) 2016-06-23 2022-05-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with analytical stream processing for safety event detection
US10741039B2 (en) 2018-03-14 2020-08-11 Otos Wing.Co., Ltd. Welding protector, healthcare system for work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ystem
KR102329894B1 (en) * 2018-03-14 2021-11-23 주식회사 오토스윙 Protector for welder, system for managementing health of worker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US10559182B2 (en) 2018-03-14 2020-02-11 Otos Wing.Co., Ltd. Welding protector, healthcare system for work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ystem
KR102022585B1 (en) * 2018-03-14 2019-11-04 주식회사 오토스윙 Protector for welder, system for managementing health of worker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KR20190108526A (en)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오토스윙 Protector for welder, system for managementing health of worker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KR102109810B1 (en) * 2018-11-06 2020-05-12 송기홍 Smart protecter glasses for welding
KR20200135239A (en)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guiding system providing high quality image
KR102160207B1 (en) * 2019-05-22 2020-09-25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guiding system providing high quality image
KR102494142B1 (en) * 2019-05-22 2023-02-01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guiding system providing high quality image
KR20210034408A (en)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2304916B1 (en) 2019-09-20 2021-09-27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20210109353A (en)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2408493B1 (en) 2020-02-27 2022-06-14 주식회사 오토스윙 Wel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08B1 (en) Smart helmet for welder
KR101050710B1 (en) Smart helmet for fireman
KR101079343B1 (en) Smart monitorring control system
KR101282669B1 (en) Smart ware for preventing an accident on workshop
KR101219182B1 (en)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292565B1 (en) Smart software for field work
KR101079344B1 (en) Smart bel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18987B1 (en) Integrated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KR101340008B1 (en) Removable Smart Module for Helmet
KR1011992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t Management by Augmentation Reality
KR101774872B1 (en) A safe monitoring system for workers
JP4970001B2 (en) Portable gas detector
KR101265564B1 (en) Smart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KR101365702B1 (en) Luminous smart safety jacket
KR101431424B1 (en) Plant system for supporting operation/maintenance using smart helmet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48800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488939B1 (en) Construction sit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40605A (en) LPWA network based worker hazard detection system
KR101270132B1 (en) Smart helmet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s
JP6956018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KR20120075033A (en) Mobile system for monitoring power transfer line
JP2006285639A (en) Presenc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presence operation support vehicles
JP5982273B2 (en) Shooting system
CN1128187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management of product processing system
JP2013192202A (en) Work imag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