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671B1 -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 Google Patents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671B1
KR101050671B1 KR1020090073627A KR20090073627A KR101050671B1 KR 101050671 B1 KR101050671 B1 KR 101050671B1 KR 1020090073627 A KR1020090073627 A KR 1020090073627A KR 20090073627 A KR20090073627 A KR 20090073627A KR 101050671 B1 KR101050671 B1 KR 10105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
input key
consonant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6100A (en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671B1/en
Publication of KR2011001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이 개시된다.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자음 입력키의 오른쪽에는 “ㅣ" 모음 입력키가, 상기 자음 입력키의 아래에는 ”ㅡ“ 모음 입력키가 구비되는 입력창; 상기 입력창의 “ㅣ" 또는 ”ㅡ“ 모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는 경우 상기 “ㅣ" 모음 입력키의 왼쪽 또는 ”ㅡ“ 모음 입력키의 위에 해당되는 자음이 초성으로 자동 선택되어, 상기 자음을 입력된 모음과 조합시키는 문자 조합 수단; 상기 조합된 한글을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창; 및 상기 입력창 및 출력창에서의 터치 입력 및 이에 따라 조합된 한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모바일 기기 등에서 활용되는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키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한글 입력에 있어서 최소의 터치 동작에 의해 한글을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입력의 입력 행위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한글 입력의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한된 터치스크린 영역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window having a "ㅣ" vowel input key at the right side of the consonant input key and a vowel input key at the bottom of the consonant input key; When one of the "|" or "vowel input keys" is touched,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combining with the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the combined Hangul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input and the output of the combined Hangul according to the input window and the output window, Character input keys arranged on the touch screen used in mobile devices can be minimized, and Hangul can be combined with a minimum touch in Hangul input. Can simplify the input act of Hangul input on the door, which can be shortened due to the input time of Hangul input, the touch screen can effectively utilize the limited area.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한글 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제한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a Hangul input method,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Hangul input by dramatically reducing the number of touches, and to effectively utilize the limited space of the touch screen. It relates to a Hangul input system using the means.

본 발명은 휴대폰, PMP, MID등의 전자기기 등에 채용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키를 최소화하고, 특유의 문자 입력 방식을 채용하여 한글 입력을 단순화시키고, 빨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haracter input key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on a touch screen employ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MPs, MIDs, etc., and employs a unique character input method to simplify the input of Korean characters and allow quick input. A Kore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최근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터치스크린이 핵심 기술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의 입력키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With the recent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the emergence of touch screens as core technologies, new text input methods are required to replace existing input keys.

특히, 한국인은 영어를 입력하는 경우보다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가 훨씬 많게 되므로,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키패드가 제공된 축소형 문자 입력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Koreans are much more likely to input Hangul than when entering English.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miniature character input device provided with a keypad designed to easily input Hangul.

이에 대하여 공지된 한국특허공개번호 1999-65826은 음소조합방식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음소를 쓰는 개념으로 문자의 타건 방법을 쉽게 익힐 수는 있으나 모음 구성상에서 많은 타건 횟수가 필요하다.Know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65826 is composed of a phoneme combination method, it is a concept of using a phoneme can easily learn the keystroke method of the character, but requires a large number of times in the vowel configuration.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1999-52447은 시각적 재해석에 의하여 구성한 것으로, 자음을 재구성하여 한글을 재구성해야 하므로, 한글의 기본적인 알고리즘에서 벗어나는 시스템이며, 자음의 입력에 많은 타건 횟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문자의 타건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52447 is constructed by visual reinterpretation, and it is a system deviating from the basic algorithm of Hangul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onsonant, and it requires not only a large number of keystrokes to input the consonant, but also There is a discomfort that can not be easily learned how to key.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59191호를 참조하면, 자음 입력시의 키의 타건 횟수를 줄이지 못하고 있으며, 겹모음의 입력시에 사용자가 필기 순서를 파악하는데 곤란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9191, it is not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keystrokes when entering consonants, and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grasp a writing order when inputting multiple vowels.

즉,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은 타건 횟수가 너무 많아 문자 입력시 타건 횟수의 증가로 인한 오입력이 증가하고, 문자 입력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keystrokes is too large, so that an incorrect input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keystrokes is increased, and the character input takes too much tim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최소화하여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한글 입력을 단순하고 빨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hat enables a simple and fast Hangul input by dramatically reducing the number of touches by minimizing the character input key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using a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적용한 터치스크린 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applying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자음 및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을 조합, 완성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음 입력키의 오른쪽에는 “ㅣ" 모음 입력키가, 상기 자음 입력키의 아래에는 ”ㅡ“ 모음 입력키가 구비되는 입력창; 상기 입력창의 “ㅣ" 또는 ”ㅡ“ 모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는 경우 상기 “ㅣ" 모음 입력키의 왼쪽 또는 ”ㅡ“ 모음 입력키의 위에 해당되는 자음이 초성으로 자동 선택되어, 상기 자음을 입력된 모음과 조합시키는 문자 조합 수단; 상기 조합된 한글을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창; 및 상기 입력창 및 출력창에서의 터치 입력 및 이에 따라 조합된 한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한 다. 상기 문자 조합 수단은 상기 모음 입력 후 자음 입력키가 터치,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자음을 한글 음절의 초성으로 하여, 이를 조합하며, 상기 자음 입력키는 복수 개 구비되며, 자음 입력키 각각에는 이에 대응하는 “ㅣ" 및 ”ㅡ“ 모음 입력키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ㅣ” 및 “ㅡ” 모음 입력키는 상호 연결된 그래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입력 모음은 모음 입력키와 연결되는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모음의 형태가 결정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음 입력키 터치 후 드래깅이 없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의 모음이 입력 모음으로 결정되며,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이 있는 경우 상기 모음 + 드래깅 패턴이 결합한 형태로 입력 모음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모음은 사용자에 의해서 모음 입력키가 터치된 후, 터치를 중단하는 시점의 영역에 따라 모음의 형태가 결정된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input device that combines and completes Hangu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from the consonant and vowel input keys. An input window provided with a vowel input key below the consonant input key; when one of the vowel input keys touches the left side of the vowel input key. Or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vowel input key as a consonant and combining the consonant with the inputted vowel, an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the combined Hangul to the outside, and the input window and out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ouch input in a window and an output of the combined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consonant input key is touched and selected after inputting the vowel, the selected consonants are composed of Korean syllables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consonant input keys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ㅣ”. And ”-” vowel input keys, wherein the plural “ㅣ” and “-” vowel input keys are in the form of interconnected grads. In addition, the input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dragging gesture connected to a vowel input ke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dragging after touching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of the vowel input key is an input vowel. If there is dragging from the vowel input key, the input vowel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vowel + dragging patter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vowel input key is touched by the user, the form of the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gion at which the touch is stopp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음 입력키 터치 후의 드래깅이 인접한 또 다른 모음 입력키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드래깅 패턴+상기 연장된 또 다른 모음 입력키가 결합한 형태로 입력 모음이 결정되며,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쳐가 싱글 터치로 인식되면 단모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되면 겹모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한다. 따라서 모음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겹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한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agging after the vowel input key is extended to another adjacent vowel input key, the vowel input key + dragging pattern + the extended vowel input key are combined to form an input vowel. When the dragging gesture from the vowel input key is recognized as a single touch, the dragging gesture is recognized as a short vowel input, and when the dragging gesture from the vowel input key is recognized as the multi-touch, the combined vowel is input. Therefore,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vowel input key, it is recognized as the input of the short vowel 'ㅏ, ㅓ, ㅜ, TT'. Recognize the input as ㅠ ', and combine Hangu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bas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angul input device described above.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자음 입력키의 우측 “ㅣ” 모음 입력키 또는 아래의 “ㅡ” 모음 입력키를 터치, 선택함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키의 자음을 자동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음 및 모음의 조합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a) 자음 입력키의 우측 “ㅣ” 모음 입력키 또는 아래의 “ㅡ” 모음 입력키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키의 자음을 자동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와 연결되는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b) 단계 후 자음 입력키가 터치 선택되는 경우, 상기 자음은 상기 (a) 단계에서 자동 선택된 자음+모음에 결합되는 종성으로 인식,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another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orean input method based on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by touching and selecting the right "|" vowel input key or the "-" vowel input key below. Automatically selecting a consonant of the consonant input key; And determining a vowel according to a dragging gesture from the selected vowel input ke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A) Consonants of the consonant input keys by touching the right "|" vowel input key or the "-" vowel input key below the consonant input key. Automatically selecting; (b) determining a vowel according to a dragging gesture connected to the selected vowel input key; And (c) if the consonant input key is touch-selected after step (b), the consonants are recognized and combined as a finality coupled to the consonant + vowels automatically selected in step (a). Provide an input method.

상기 자음 입력키는 복수 개 구비되며, 자음 입력키 각각에는 이에 대응하는 “ㅣ" 및 ”ㅡ“ 모음 입력키가 자음 입력키 각각의 우측 및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ㅣ” 및 “ㅡ” 모음 입력키는 상호 연결된 그리드 형태이다. The consonant input keys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each of the consonant input keys may have “” “and” ”vowel input keys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and the bottom of each of the consonant input keys. Vowel input keys are in the form of interconnected grid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모음 입력키 터치 후 드래깅이 없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의 모음이 입력 모음으로 결정되며,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이 있는 경우 상기 모음 + 드래깅 패턴이 결합한 형태로 입력 모음이 결정되며, 상기 모음 입력키 터치 후의 드래깅이 인접한 또 다른 모음 입력키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드래깅 패턴+상기 또 다른 모음 입력키가 결합한 형 태로 입력 모음이 결정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no dragging after touching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of the vowel input key is determined as an input vowel, and when there is dragging from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 dragging pattern is combined. The input vowel is determined in the form, and when the dragging after the vowel input key is extended to another adjacent vowel input key, the input vowel is determined in a form in which the vowel input key + dragging pattern + the another vowel input key are comb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이 싱글 터치로 인식되면 단모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멀티 터치로 인식되면 겹모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하며, 상기 모음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겹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ragging from the vowel input key is recognized as a single touch, the vowel input is recognized. 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ouch, it is recognized as an input of a short vowel 'ㅏ, ㅓ, ㅗ, TT'. To combine Hangul.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 등에서 활용되는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키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한글 입력에 있어서 최소의 터치 동작에 의해 한글을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입력의 입력 행위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한글 입력의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한된 터치스크린 영역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input key disposed on a touch screen utilized in a mobile device can be minimized, and since Korean characters can be combined with a minimum touch operation in Korean input, the input behavior of Korean input can be simplified. As a result, the input time of the Hangul input can be shortened and the limited touch screen area can be effectively utilized.

본 발명은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입력키를 별도로 터치하지 않고, 자음 입력티에 대응, 종속하는 모음 입력키를 간단히 터치, 선택함으로써 한글 음절을 조합, 완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nd completes Hangul syllables by simply touching and selecting a vowel input key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nput tee without separately touching the consonant input key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the following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at i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한글입력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글입력장치는 제어부(110)와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창(120),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를 소정의 과정에 의하여 조합하는 문자조합수단(130)과 상기 문자조합수단(130)에서 조합한 문자를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여 표시하는 출력창(140)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창(120)과 출력창(140)은 터치스크린에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Korean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includes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combining the control unit 110 with an input window 120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a character input by the touch screen by a predetermined process ( 130 and an output window 140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s combined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130, the input window 120 and the output window 140 is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력창(120)은 자음 입력키와, 상기 자음 입력키에 대응되며, 상기 자음 입력키의 우측에 구비되는 “ㅣ” 모음 입력키 및 아래쪽에 구비되는 “ㅡ” 모음 입력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구성이 실제 한글의 실제 구조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자음 입력키의 터치 없이 모음 입력키를 중심으로 하는 터치 제스쳐에 의하여 한글의 음절 구조를 완벽하게 구현한다. 더 나아가, 즉, 별도의 모음 입력키를 별도의 영역에 표시하지 않고, 모음 입력키를 자음 입력키 사이에 배치하는 방식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Hangul input device, wherein the input window 120 corresponds to a consonant input key and the consonant input key, and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vowel input ke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sonant input key. It includes a "-" vowel input key provided. The present inventors can completely implement the actual structure of the actual Hangul, and implements the syllable structure of the Hangul completely by a touch gesture around the vowel input key without the touch of a separate consonant input key. In other words,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touch screen may be maximized by disposing the vowel input keys between the consonant input keys without displaying the separate vowel input keys in a separate area.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에 따른 입력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입력창은 자음 입력키(210) 및 상기 자음 입력키의 우측에 구비되는 "ㅣ" 모음 입력키(220), 상기 자음 입력키의 아래에 구비되는 "ㅡ” 모음 입력키(230)가 구비된다. 상기 모음 입력 키(220, 230)들은 모두 자음 입력키(210)에 대응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모음 입력키(220, 230)에 대한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자음이 자동으로 선택되는 방식으로 개시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자음, 특히 한글 음절의 초성 자음의 터치, 선택을 생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input window of the Kore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onant input key 210 and a vowel input key 22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sonant input key, under the consonant input key. The "-" vowel input keys 230 are provided. The vowel input keys 220 and 230 correspond to the consonant input keys 210.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vowel input keys 220 and 230. When there is a touch input for the consonant,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automatically selected. The consonant, in particular, the touch and selection of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Korean syllable can be omitted.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3A to 3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음 “ㅂ”에 대응, 종속되는 “ㅣ” 또는 “ㅡ” 모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별도의 초성 자음인 “ㅂ”를 터치하지 않아도 자음 “ㅂ”이 자동 선택되고, 선택된 모음과 결합된다. 도 3a에서는 “ㅣ” 모음 입력키를 사용자가 터치한 경우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한 번의 터치만으로도 “비”가 조합되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3A,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ㅣ” or “ㅡ” vowel input keys corresponding to and consonant with the consonant “ㅂ”, the consonant “ㅂ” may not be touched without touching a separate initial consonant “ㅂ”. Is automatically selected and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vowel. 3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 vowel input key, and accordingly, “rain” is combined and displayed with only one touch.

본 발명은 이 보다 더 진일보한 형태로서, 모음 입력키를 중심으로 하는 드래깅에 따라 모음의 형태를 선택하는 방식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urther advanc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iscloses a method of selecting a form of a vowel according to dragging around the vowel input key.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ㅂ” 자음의 우측에 있는 “ㅣ” 모음 입력키를 터치한 후, 바깥쪽으로 드래깅한다(화살표 참조). 이 경우, “ㅣ” 모음 입력키와 드래깅 제스쳐(여기에서 드래깅 패턴은 드래깅 방향에 대응된다)가 결합되어, “ㅏ” 모음이 결정된다. 이로써, 초기 자동 선택된 자음 “ㅂ”와 모음 “ㅏ”가 조합, 결합된 한글 음절 “바”가 표시, 출력된다. Referring to FIG. 3B, the user touches the "|" vowel input key on the right side of the "ㅂ" consonant and drags it outward (see arrow). In this case, the "ㅣ" vowel input key and the dragging gesture (where the dragging pattern corresponds to the dragging direction) are combined to determine the "ㅏ" vowel. As a result, the Hangul syllable “bar” combined with the initial automatically selected consonant “ㅂ” and the vowel “ㅏ” is displayed and output.

도 3c를 참조하면, “ㅣ” 모음 입력키를 터치한 후, “ㅂ” 쪽으로 드래깅 제스쳐가 수행되는 경우, “ㅓ” 모음이 선택되며, 이로써 “ㅂ” + “ㅓ”가 조합, 결합된 한글 음절 “버”가 선택, 표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최초 “ㅣ”를 터치하지 않고, 자음 “ㅂ” 영역을 최초 터치한 후 우측 “ㅣ” 터치키까지의 드래깅하는 방식으로도 “버” 입력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처음 터치되는 모음 입력키에 의하여 자음이 결정되는 것은 동일하나, 이 경우, 자음과 모음의 동시 선택입력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C, when a dragging gesture is performed toward the “ㅂ” after touching the “ㅣ” vowel input key, the “ㅓ” vowel is selected, whereby “ㅂ” + “ㅓ” are combined and combined. The syllable “burr” is selected and display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urr” can be input by dragging the consonant “ㅂ” area to the right “ㅣ” touch key after first touching the consonant “ㅂ” area without touching the first “ㅣ”.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consonant is determined by the first vowel input key touched, but in this case, simultaneous selection input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is possible.

즉,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은 입력되는 모음에 따라 자음이 선택되고, 상기 모음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드래깅 패턴, 즉, 드래깅 제스쳐에 의하여 발생, 인식되는 선(여기에서, 제스쳐 선은 제스쳐가 이루어지는 궤적에 해당하며, 드래깅 시작 터치 지점과 드래깅 종료 터치 지점 사이의 연속된 연결선을 의미함)을 결합하여, 입력모음을 결정한다. That is,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sonant is selected according to an input vowel, and a dragging pattern connected to the vowel, that is, a line generated and recognized by a dragging gesture (here, the gesture line is a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trajectory formed, and a continuous connection line between the dragging start touch point and the dragging end touch point) is combined to determine the input collec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드래깅 제스쳐는 터치 시작과 터치 종료라는 두 지점과 그 사이의 연결선이므로, 실제 연결선에서의 사용자 터치 제스쳐를 생략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ragging gesture is a connection line between two points, a touch start and a touch end, and a user touch gesture on the actual connection line can be omitted.

도 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력창은 상기 구조와 동일한 방식이나, 자음“ㅇ”의 우측 모음 “ㅣ” 과 인접하는 모음 “ㅣ" 사이에는 2 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즉, 모음 “ㅣ”(2번 영역)과 인접한 모음 “ㅣ” (5번 영역) 사이에는 두 개의 구분되는 영역(3, 4번 영역)이 표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입력모음은 사용자에 의해서 모음 입력키가 터치된 후, 터치를 중단하는 시점의 영역에 따라 모음 의 형태가 결정되는데,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D, the input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bove structure, but two regions are set between the right vowel “|” of the consonant “o” and the adjacent vowel “ㅣ”. (Area 2) and the adjacent vowel “|” (area 5), two distinct areas (areas 3 and 4) are displayed,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input bar is selected by the user. After is touched, the shape of the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rea at which the touch is stopp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만약 사용자가 2번 영역을 터치한 후, 1번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마치 2번에서 1번까지 드래깅 제스쳐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어”가 입력된다. If the user touches area 1 and then touches area 1, it is determined that dragging gestures have occurred from 2 to 1, and “er” is input.

또한 연속적으로 2번, 3번이 터치되는 경우는 “아”가, 2번, 4번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인접한 모음 “ㅣ”가 결합된, “ㅐ”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순서는 역으로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ouches 2 and 3 consecutively, “a” may be touched, and when touches 2 and 4 may be “모음” combined with adjacent vowels “ㅣ”. Here, the touch order may be reversed.

본 발명은 상기 모음 선택 후 또 다른 자음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자음을 해당 한글 음절의 종성으로 선택, 조합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또 다른 한글 음절이 입력되는 경우, 모음 입력키가 먼저 입력되므로, 모음 입력키 입력 후 모음 입력키 대신 자음 입력키가 입력되는 경우라면 상기 자음은 한글 음절의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when another consonant is selected after the vowel selection, the consonant is selected and combined as the finality of the corresponding Hangul syllabl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other Korean syllable is input, the vowel input key is input first, so if the consonant input key is input instead of the vowel input key after inputting the vowel input key, the consonant may be used as the end of the Korean syllable. .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성-포함 한글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nal-included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e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ㅂ” 자음의 우측에 있는 “ㅣ” 모음 입력키는 터치한 후, 우측으로 드래깅한다(①). 이로써,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깅만으로 “ㅂ"와 “ㅏ”가 선택, 조합된다. 이후, 또 다른 자음 입력키 "ㅇ“을 터치함으로써(②), “ㅇ”을 종성으로 사용하는 “방”이라는 한글 음절이 조합, 입력된다. 즉, 본 발명은 두 번의 터치만으로도 초성+중성+종성이 모두 포함된 한글 음절을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E, first, the user touches the “|” vowel input key on the right side of the “ㅂ” consonant and drags it to the right (①). Thus, “ㅂ” and “ㅏ” are selected and combined with only one touch and dragging. Then, by touching another consonant input key “ㅇ” (②), “room” which uses “ㅇ” as the finality Hangul syllables are combined and inpu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put a Hangul syllable including all of the consonant + neutral + species with only two touche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겹모음, 즉 “ㅑ”, “ㅕ”, "ㅠ“ ”ㅛ“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싱글 터치에 의한 드래깅이 아닌 멀티 터치, 즉 이중 터치에 의한 드래깅에 의하여 겹모음을 선택, 입력하는 방식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ants to input a layered collection, that is, “ㅑ”, “ㅕ”, and “ㅠ” “ㅛ”, dragging by multi-touch, ie, dual touch, is not dragging by a single touch. Discuss the method of selecting and inputting a layered collec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뷰”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ㅂ” 아래의 “ㅡ” 모음 입력키(420)를 터치함으로써, 초성 자음인 “ㅂ"을 자동 선택한다. 이후, 상기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래쪽으로 드래깅하는데, 이때 상기 드래깅은 싱글터치가 아닌 멀티 터치(즉, 두 점의 터치를 유지하면서 드래깅을 하는 경우이며, 도 4의 420a, 420b에 해당한다) 드래깅이다. 이로써, 단모음인 ”ㅜ“가 아닌 겹모음인 ”ㅠ“가 모음으로 선택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user automatically selects the initial consonant “ㅂ” by touching the “−” vowel input key 420 under “ㅂ”, and then dragging downward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In this case, the dragging is not a single touch but a multi-touch (ie, dragging while maintaining two touch points, which corresponds to 420a and 420b of Fig. 4). "ㅠ" is selected as the vowel.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모음 중 두 개의 “ㅣ”가 연결, 사용되는 복합 모음, 예를 들면 “ㅐ” 또는 “ㅒ”를 효과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방식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way to effectively enter a composite vowel, such as "ㅐ" or "ㅒ", in which two "|" s in a vowel are linked and used.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의 예 및 입력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n input method of Korean and an input wind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창은 복수개의 자음 입력키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자음 입력키에는 도 2에서 설명한 모음 입력키가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입력키들이 서로 연결된, 이른바 그리드 형태가 되며, 이 또한 도 5b에 도시된다. 하지만, 모음 입력키가 상호 연결된 그리드 구조라고 하더라도, 상기 모음 입력키는 자음 입력키 각각에 대응되며, 따라서 그리드는 각 자음입력키 영역에 따라 구별되는 입력 패턴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5A, an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and each vowel input key described in FIG. 2 is disposed on each consonant input key. In particula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vowel input ke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o-called grid, which is also illustrated in FIG. 5B. However, even though the vowel input keys are interconnected to the grid structure, the vowel input keys correspond to each of the consonant input keys, and thus the grid has an input pattern distinguished according to each consonant input key region.

도 5c는 "ㅇ“에 대응되는 모음입력키 중 ”ㅣ“를 입력한 후 오른쪽의 또 다른 자음 입력키 ”ㄹ“의 우측에 배치된 또 다른 모음입력키 ”ㅣ“까지 드래깅하는 제스쳐를 예시한다. 즉, 초기 모음입력키 선택에 의하여 ”ㅇ“이 자동 선택되고, “ㅣ”와 드래깅 제스쳐(→), 또 다른 “ㅣ”의 결합에 따라 모음 “ㅐ”가 선택된다. 이로써 “애”라는 한글 음절이 조합, 완성된다. FIG. 5C illustrates a gesture for dragging a vowel input key corresponding to "o" to another vowel input key "l"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another consonant input key "r" on the right. In other words, “” is selected automatically by initial vowel input key selection, and “vo” “ㅐ”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ㅣ”, dragging gesture (→) and another “ㅣ”. Hangul syllables are combined and complet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모음을 포함하는 한글 음절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syllable input method including a compound vow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음 “ㅈ" 아래의 “ㅡ” 모음입력키를 터치한 후, 아래쪽(즉, "ㄴ“ 영역 내)으로 드래깅한 후(610a), 연속적으로 우측으로 다시 드래깅(610b)하여, 또 다른 “ㅣ” 모음 입력키를 터치한다. 이로써 “ㅜ”와 “ㅓ” 모음이 결합한 복합 모음인 “ㅝ”가 모음으로 선택되고, 최초 선택된 자음 “ㅈ” 과 결합하여 “줘”가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 6, after the user touches the vowel input key under the consonant “”, drags downward (ie, within the “b” region) (610a), and then drags back to the right continuously ( 610b), touch another "vo" input key. As a result, “ㅝ”, a compound vowel combining “TT” and “ㅓ” vowels, is selected as the vowel, and “Gee” is enter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selected consonant “ㅈ”.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 및 방식은 모음 입력키의 터치 선택에 따라 상기 모음 입력키에 대응되는 자음(즉, 한글음절의 초성)이 자동 선택되며, 상기 터치 선택 후의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한글 음절의 모음 형태가 결정된다. 즉, 터치 선택 후 드래깅 제스쳐가 없는 경우 터치 선택된 모음 그 자체가, 반대로 드래깅 제스쳐가 있는 경우라면, 모음 입력키 + 드래깅 패턴이 결합된 복합 모음이 모음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드래깅이 또 다른 모음 입력키(제 2 모음 입력키)를 터치 하는 경우, 최초 모음입력키의 모음 + 드래깅 패턴 + 제 2 모음 입력키가 결합된 복합 모음이 입력되며, 이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lect a consonant (that is, a consonant of the Korean syllable) corresponding to the vowel input key according to the touch selection of the vowel input key, and according to the dragging gesture after the touch selection. Vowel type of Hangul syllable is determined. That is, when there is no dragging gesture after the touch selection, if the touch-selected vowel itself is a dragging gesture, a composite vowel in which the vowel input key + the dragging pattern is combined is determined as the vowel. In addition, when the dragging touches another vowel input key (second vowel input key), a composite vowel in which the vowel + dragging pattern + the second vowel input key of the first vowel input key is combined is input, which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shown.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두 개 이상의 “ㅣ” 또는 “ㅡ” 모음이 한 음절에 나타나나, 상기 모음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ㅔ”, “ㅢ”의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즉, 예를 들면 “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ㅇ” 자음의 우측에 있는 “ㅣ” 모음 입력키를 선택한 후, 좌측으로 드래깅 제스쳐를 하여 “ㅓ”를 선택하나, 이로부터 또 다른 모음 “ㅣ”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당히 곤란하다는 점에 본 발명자는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음과 연결되지 않는(즉, 입력과 동시에 자음이 선택되지 않는) 독립된 모음 입력키 “ㅣ”, “ㅡ”를 해결수단으로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ethod of effectively inputting two or more “ㅣ” or “ㅡ” vowels in one syllable, but when the vowels are not connected, for example, “ㅔ” or “ㅢ”. to provide. Fo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E”, select “ㅣ” vowel input key on the right side of “ㅇ” consonant and drag the gesture to the left to select “ㅓ”. The present inventor has noted that when it is desired to add “|,” it is quite difficul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independent vowel input keys ", " and "-"

삭제delet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창은 자음 입력키 및 상기 자음 입력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ㅣ” “ㅡ” 입력키 외에 별도의, 독립된 “ㅣ” “ㅡ” 입력키(710a, 710b)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에 ”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ㅇ” 우측의 “ㅣ”모음을 선택하고, 다시 좌측으로 드래깅하게 된다(①). 이후, 상기 독립 “ㅣ”(710a)를 선택, 터치함으로써(②), “ㅓ” 에 “ㅣ”를 조합, 결합시켜 복합모음 “ㅔ”를 입력하게 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의”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ㅇ”에 종속된 우측 또는 아래쪽의 “ㅣ” 또는 “ㅡ”를 선택한 후, 다시 독립된 “ㅡ” 또는 “ㅣ”를 선택함으로써 “의”를 완성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Hangul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eparate, independent “ㅣ” “ㅡ other than a plurality of“ ㅣ ”“ ㅡ ”input key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sonant input key and the consonant input key. Input keys 710a and 710b.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enter “in”, he selects the “ㅣ” collection on the right of “ㅇ” and drags it to the left again (①). Thereafter, by selecting and touching the independent “ㅣ” 710a (②), a combination “결합” is combined and combined into “ㅣ” to input a complex collection “ㅔ”. If you want to enter “right” in a similar way, select “ㅣ” or “ㅡ” on the right or bottom side depending on “ㅇ”, and then complete the “right” by selecting independent “ㅡ” or “ㅣ” again. .

또한 이러한 독립된 “ㅡ” 또는 "ㅣ“를 이용하면 ”ㅠㅠ“ 또는 ”ㅜㅜ“ 와 같은 모음을 이용한 이모티콘이 표현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independent “ㅡ” or “ㅣ“, emoticons using vowels such as “ㅠㅠ“ or “ㅜㅜ“ can be express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단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에 기반하며, 자음 입력키의 우측 “ㅣ” 모음 입력키 또는 아래의 “ㅡ” 모음 입력키를 터치, 선택함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키의 자음, 특히 초성 자음을 자동 선택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후 종성을 입력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모음 입력에 따른 자음 자동 선택과, 이들의 조합 등의 구동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and touches the right “ㅣ” vowel input key of the consonant input key or the “-” vowel input key below, Automatically selecting consonants, in particular primary consonants, of the consonant input keys according to the selection (S100); And determining the vowel according to the dragging gesture from the selected vowel input key (S200). Furthermo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angul inpu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S300) of inputting the finality after the step, as shown in Figure 3d. The automatic consonant selection according to the vowel input and the driving method such as a combination thereof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특히 터치스크린에 기반한 임의의 모든 전자 기기,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 PMP, 노트북 등의 터치스크린에 적용, 응용 가능하다. The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applied to touch screens of any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mobile device, a PMP, a notebook, and the like, in particular,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from.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한글입력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에 따른 입력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3A to 3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뷰”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의 입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모음을 포함하는 한글 음절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syllable input method including a compound vow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단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자음 및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을 조합하고, 완성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device to combine and complete the Hangul according to the user touch input from the consonant and vowel input keys, 상기 자음 입력키의 오른쪽에는 “ㅣ" 모음 입력키가, 상기 자음 입력키의 아래에는 ”ㅡ“ 모음 입력키가 구비되는 입력창;An input window provided with a vowel input key on the right side of the consonant input key and a vowel input key under the consonant input key; 상기 입력창의 “ㅣ" 모음 입력키 또는 ”ㅡ“ 모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ㅣ" 모음 입력키의 왼쪽 또는 ”ㅡ“ 모음 입력키의 위에 해당되는 자음이 초성으로 자동 선택되어, 상기 자음을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에 대응하는 모음과 조합하는 문자 조합 수단; If any one of the "ㅣ" vowel input key or the "vo" input key of the input window is selected,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vo" input key or the "vo" input key is automatically selected. Character combining means for combining the consonants with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input key; 상기 조합된 자음 및 모음을 포함하는 한글을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창; 및 An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the Hangul including the combined consonants and vowels to the outside; And 상기 입력창 및 출력창에서의 터치 입력 및 이에 따라 조합된 한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touch input in the input window and the output window and the output of the combined Hangul according to the input window and the output window.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 조합 수단은 상기 모음 입력키가 선택된 후 자음 입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자음 입력키에 대응하는 자음을 한글 음절의 종성으로 하여, 이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And the consonant input key select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 input key as the end of the Hangul syllable and combines the consonant input key after the vowel input key is select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입력키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자음 입력키 각각에는 이에 대응하는 상기“ㅣ" 모음 입력키 및 ”ㅡ“ 모음 입력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And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key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consonant input keys includes the vowel input key and the vowel input key corresponding thereto.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ㅣ” 모음 입력키 및 “ㅡ” 모음 입력키는 상호 연결된 그리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And the "-" vowel input key and the "-" vowel input key are in the form of an interconnected gri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에 대응하는 모음은 상기 모음 입력키와 연결되는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모음의 형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An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input key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dragging gesture connected to the vowel input ke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에 대응하는 모음은 사용자에 의해서 모음 입력키가 터치된 후, 터치를 중단하는 시점의 영역에 따라 모음의 형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wel input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of the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rea at which the touch is stopped after the vowel input key is touched by the user.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모음 입력키 선택 후 드래깅이 없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의 모음이 입력 모음으로 결정되며,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이 있는 경우 상기 모음과 드래깅 패턴을 결합한 형태로 입력 모음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If there is no dragging after selecting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of the vowel input key is determined as an input vowel, and when there is a drag from the vowel input key, the input vowel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vowel and the dragging pattern. Hangul input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모음 입력키 선택 후의 드래깅이 인접한 또 다른 모음 입력키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 드래깅 패턴, 및 상기 연장된 또 다른 모음 입력키가 결합한 형태에 대응하여 입력 모음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If the dragging after the vowel input key selection is extended to another adjacent vowel input key, the input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input key, the dragging pattern, and the extended vowel input key. Hangul input devic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쳐가 싱글 터치로 인식되면 단모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멀티 터치로 인식되면 겹모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And a dragging gesture from the vowel input key is recognized as a single vowel input when the dragging gesture is recognized as a single touch, and is combined as a vowel vowel input when the multi-touch is recognized as a single touch.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모음 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겹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input key is recognized as a short vowel ', ㅓ, ㅗ, TT'.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combine the Hangul by recognizing the input, ㅠ '.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전자 기기.A touch screen-base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자음 및 모음의 조합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자음 입력키의 우측에 위치한 “ㅣ” 모음 입력키 또는 상기 자음 입력키의아래에 위치한 “ㅡ” 모음 입력키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키의 자음을 한글 음절의 초성 자음으로 자동 선택하는 단계; 및Automatically selecting a consonant of the consonant input key as an initi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 in response to selecting a “ㅣ” vowel input key located to the right of a consonant input key or a “-” vowel input key located below the consonant input key; And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입력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 And determining an input vowel according to a dragging gesture from the selected vowel input key. 자음 및 모음의 조합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a) 자음 입력키의 우측에 위치한 “ㅣ” 모음 입력키 또는 상기 자음 입력키의 아래에 위치한 “ㅡ” 모음 입력키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키의 자음을 한글 음절의 초성 자음으로 자동 선택하는 단계; (a) Automatically selects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input key a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Korean syllable by selecting the “ㅣ” vowel input key located to the right of the consonant input key or the “ㅡ” vowel input key located below the consonant input key Making; (b) 상기 선택된 모음 입력키와 연결되는 사용자 드래깅 제스쳐에 따라 입력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determining an input collection according to a user dragging gesture connected to the selected collection input key; And (c) (b) 단계 후 자음 입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자음은 상기 (a) 단계에서 자동 선택된 자음과 상기 입력 모음에 결합되는 종성으로 인식하고, 상기 자음을 상기 (a)단계에서 자동 선택된 자음과 상기 입력 모음에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c) If a consonant input key is selected after step (b), the selected consonants are recognized as the final consonant coupled to the input consonant and the automatically selected consonants in step (a), and the consonants in step (a) And combining the automatically selected consonants with the input vowel.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자음 입력키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자음 입력키 각각에는 이에 대응하는 "l" 모음 입력키 및 ”ㅡ“ 모음 입력키가 자음 입력키 각각의 우측 및 아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The consonant input keys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each of the consonant input keys may include “l” vowel input keys and “” ”vowel input keys corresponding to the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consonant input keys, respectively. Way.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ㅣ” 모음 입력키 및 “ㅡ” 모음 입력키는 상호 연결된 그리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The "ㅣ" vowel input key and the "-" vowel input key are Hangu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d form interconnected.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모음 입력키 선택 후 드래깅이 없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의 모음이 입력 모음으로 결정되며,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이 있는 경우 상기 모음과 드래깅 패턴이 결합한 형태로 입력 모음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If there is no dragging after selecting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of the vowel input key is determined as an input vowel, and when there is a drag from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and the dragging pattern are combined to determine the input vowel. Korean input method.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모음 입력키 선택 후의 드래깅이 인접한 또 다른 모음 입력키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모음 입력키, 드래깅 패턴, 및 상기 연장된 또 다른 모음 입력키 결합에 대응하여 입력 모음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When the dragging after the selection of the vowel input key is extended to another adjacent vowel input key, an input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input key, the dragging pattern, and the extended vowel input key. Way.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모음 입력키로부터의 드래깅이 싱글 터치로 인식되면 단모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멀티 터치로 인식되면 겹모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When dragging from the vowel input key is recognized as a single touch, it is recognized as a single vowel input, and if it is recognized as a multi-touch, it is recognized as a fold vowel input. 제 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모음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겹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vowel input key, the vowel input key is recognized as an input of a single vowel 'ㅓ, ㅓ, ㅜ, TT'. Hangu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Hangul by recognizing the input, ㅠ '.
KR1020090073627A 2009-08-11 2009-08-11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KR101050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27A KR101050671B1 (en) 2009-08-11 2009-08-11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27A KR101050671B1 (en) 2009-08-11 2009-08-11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00A KR20110016100A (en) 2011-02-17
KR101050671B1 true KR101050671B1 (en) 2011-07-19

Family

ID=4377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627A KR101050671B1 (en) 2009-08-11 2009-08-11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6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300B1 (en) * 2012-07-20 2013-01-11 김희재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ex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267A (en) * 2003-09-05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05770B1 (en)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Character input apparatus
KR20080071473A (en)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KR20090070861A (en) * 2007-12-27 2009-07-01 팅크웨어(주) Method and system for word input in touch scree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267A (en) * 2003-09-05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05770B1 (en)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Character input apparatus
KR20080071473A (en)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KR20090070861A (en) * 2007-12-27 2009-07-01 팅크웨어(주) Method and system for word input in touch scree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300B1 (en) * 2012-07-20 2013-01-11 김희재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ex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00A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JP4482561B2 (en) Common on-screen zone for menu activation and stroke input
KR1013500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CN103309457B (en) A kind of method to set up of input method panel and system
JP2011034494A (e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KR101166292B1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60053547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action method for the same
EP2439614B1 (en) Frequency converter with text editor
KR101189112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Touch Screen
KR20110082956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CN104699409A (en) Information inputting method and information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of touch screen
US9753544B2 (en)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KR101050671B1 (en) 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JP5684123B2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character set using keys, keypad or key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JP2005235168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WO2022130943A1 (en) Modeling assistance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6603063B6 (en) A simple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sounds using an input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keyboard and an input device for realizing the above method
JP2013033553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182670B1 (en) A process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s on touch screen
KR101075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