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613B1 -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613B1
KR101049613B1 KR1020080041282A KR20080041282A KR101049613B1 KR 101049613 B1 KR101049613 B1 KR 101049613B1 KR 1020080041282 A KR1020080041282 A KR 1020080041282A KR 20080041282 A KR20080041282 A KR 20080041282A KR 101049613 B1 KR101049613 B1 KR 10104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terminal
language
learn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425A (ko
Inventor
한종현
Original Assignee
한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현 filed Critical 한종현
Priority to KR102008004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61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상기 서버에서 확인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는 다수개의 언어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레벨에 대응되는 레벨별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 단위로 또는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 단위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 또는 전송된 언어가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Method of studying language using online and Computer-recordable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s recorded}
본 발명은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따라 선택된 언어, 예컨대 영어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어, 예컨대 영어 단어 또는 문장을 학습하는 경우, 주로 영어 학원을 이용하거나, 서점에서 직접 영어 단어 또는 문장에 관련된 책 등을 구매하여 독학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영어 학원을 이용하는 경우 주로 학원에서 선정한 영어 교재에 수록된 단어 또는 문장을 집중적으로 학습하게 되는데, 학원에 의해 선정된 교재의 단어 수준이 자신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지 여부가 분명치 않으며, 학원 강사의 일방적인 전달에 의해 강의가 진행되므로 학습자의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원에 서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커리큘럼을 완료해야 하는 시간적 촉박함으로 인해, 학습자가 이전에 학습했던 영어 단어를 완전히 습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없고, 영어 단어 또는 문장 암기에 가장 좋은 방법인 반복 학습 역시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서점에서 직접 영어 단어 또는 문장에 관련된 책을 구매하여 독학하는 경우, 학습 초기에는 어느 정도 효율적일 수 있지만 지면에 인쇄된 영어 단어 또는 문장이 가지는 무료함으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학습자의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학원에서 학습하는 경우와는 달리 영어 단어 또는 문장을 자신이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가 있지만, 학습에 투자한 시간에 대한 실제 습득한 단어 또는 문장의 개수를 고려한 학습 효율을 생각할 때 비효율적인 시간 투자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라인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 단어 또는 문장을 제공하여 반복적으로 학습하게 하고, 학습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 단어 또는 문장을 재구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상기 서버에서 확인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는 다수 개의 언어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레벨에 대응되는 레벨별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 단위로 또는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 단위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 또는 전송된 언어가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벨별 데이터는, 상기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는 언어로 구성된 제1그룹과, 상기 학습자가 그 의미를 모르고 있는 언어로 구성된 제2그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위는 상기 레벨별 데이터이며,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상기 언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가 각각 저장되는 단계; 상기 맞힌 횟수와 종래의 맞힌 횟수가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로, 상기 틀린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가 합산되어 총 틀린 횟수로 각각 저장되는 단계; 상기 총 맞힌 횟수로부터 상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언어는 상기 제1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거나, 상기 뺀 값이 상기 기준 횟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언어는 상기 제2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레벨별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위는 상기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이며,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상기 언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가 각각 저장되는 단계; 상기 맞힌 횟수와 상기 틀린 횟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전송된 맞힌 횟수와 종래의 맞힌 횟수가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로, 전송된 틀린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가 합산되어 총 틀린 횟수로 각각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총 맞힌 횟수로부터 상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언어는 상기 제1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거나, 상기 뺀 값이 상기 기준 횟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언어는 상기 제2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위는 상기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이며,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상기 언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각각 전송되는 단계; 전송된 맞힌 횟수와 종래의 맞힌 횟수가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로, 전송된 틀린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가 합산되어 총 틀린 횟수로 각각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총 맞힌 횟수로부터 상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언어는 상기 제1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거나, 상기 뺀 값이 상기 기준 횟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언어는 상기 제2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벨별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합한 통합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언어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레벨에 따라 상기 언어가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횟수가 달라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는,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 영어 단어를 온라인을 통해 반복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학습자는 항상 자신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 난이도를 가지는 영어 단어를 학습하여 학습 효율 및 학습량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는 그룹의 영어 단어 또는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지 않는 그룹의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영어 단어의 확실한 습득 및 영어 단어의 학습 진도 모두를 만족시키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한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를 기준으로 서버에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평가되고 학습할 영어 단어 역시 선택되어 다시 학습자에 제공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레벨에 맞는 교재를 다시 선택해야 하는 고민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을 위한 운영시스템의 일례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운영시스템의 학습정보 DB의 데이터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레벨별 데이터이고, 도 5는 도 2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단말기(110)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110)에 연결된 통신망(130)과, 통신망(130)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110)와 연결된 서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단말기(110)는 통신망(130)을 통해 서버(120)에 접속하여 온라인을 통해 언어, 예컨대 영어 단어를 학습하기 위한 학습자의 단말기로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다. 다수의 단말기(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와 통신용 모뎀 등을 갖춘 개인용 컴퓨터이다.
상기 통신망(130)은 모뎀과 PSTN을 통한 인터넷 접속, 또는 전용선 접속, ISDN을 이용한 유선방식과 셀룰러, PCS, 마이크로 웨이브나 위성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서버(12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서버(120)는 통신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121)와,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23)와, 언어 데이터베이스(125)와, 학습정보 데이터베이스(127)와, 레벨별 데이터베이스(129)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23)에는 영어 학습을 원하는 학습자의 회원가입 요구가 있을 시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되어 전송된 학습자의 회원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125)에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다수의 영어 단어 또 는 영어 문장이 저장된다.
상기 학습정보 데이터베이스(127)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학습자별 학습정보 데이터(140)가 다수 개 저장된다. 상기 학습자별 학습정보 데이터(140)는 학습자의 이름(141), 학습자의 현재 학년(143),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알고 있다고 인정되는 '아는 단어'의 개수(145), 현재 학습 레벨(149)에서 학습하고 있는 전체 단어의 개수(147), 학습자의 현재 학습 레벨(149) 등을 포함한다. 전체 단어의 개수(147)는 현재의 학습 레벨(149)에서 알고 있다고 인정될 수 있는 '아는 단어'의 개수(145)와 알고 있다고 인정될 수 없는 '모르는 단어'의 개수를 합한 개수이다.
상기 레벨별 데이터베이스(129)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별 데이터(150)가 학습자별로 다수 개 저장된다. 상기 레벨별 데이터(150)는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될 수 있는 영어 단어로 구성된 제1그룹(도 4에는 '아는 단어'로 표시됨)(151)과,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할 수 없는 영어 단어로 구성된 제2그룹(도 4에는 '모르는 단어'로 표시됨)(152)을 포함한다. 학습자의 학습 레벨(149)에 따라 난이도가 다른 영어 단어 또는 영어 문장으로 레벨별 데이터(150)가 구성된다.
상기 제1그룹(151)은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는 영어 단어(153a)와, 학습하는 과정에서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155a)와, 학습하는 과정에서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157b)로 구성되며, 상기 제2그룹(152) 역시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지 않는 영어 단어(153b)와, 학습하는 과정에서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155b)와, 학습하는 과정에서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157b)로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운영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로 영어 단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은 영어 단어의 학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학습자는 온라인을 이용하여 영어 단어 학습을 시작하기 앞서 단말기(110)를 통해 회원가입을 한다. 회원가입된 학습자의 회원정보는 서버(120)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되며, 추후 로그인한 학습자의 본인 확인 여부를 위해 이용된다.
학습자가 단말기(110)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면(S110), 로그인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서버(120)에서 확인된다(S112).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자별 학습정보 데이터(140)는 학습자의 현재 학습 레벨(149)을 포함하며, 학습자의 학습 레벨(149)은 로그인 직전의 학습 레벨로 인식된다.
이후, 학습자의 학습 레벨(149)에 대응되는 레벨별 데이터(150)가 선택된다(S114). 레벨별 데이터(150)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다수 개의 영어 단어(153a) (153b)와 , 학습하는 과정에서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155a)(155b)와, 학습하는 과정에서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157a)(157b)로 구성되며, 상 술한 바와 같이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영어 단어로 구성된 제1그룹(151)과,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할 수 없는 영어 단어로 구성된 제2그룹(152)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후,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150)는 레벨별 데이터(150) 단위로 서버(120)에서 단말기(110)로 전송된다(S120). 단말기(110)로 전송된 레벨별 데이터(150)는 단말기(110)에 저장되어 있던 종래의 레벨별 데이터와 교체되고 단말기(110) 상에서 학습자의 레벨별 데이터(150)는 업데이트된다.
이후, 학습자는 레벨별 데이터(150) 내에서 어느 그룹의 영어 단어를 학습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S130). 즉,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영어 단어로 구성된 제1그룹(151)의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아는 영어 단어를 복습할 수도 있고,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할 수 없는 영어 단어로 구성된 제2그룹(152)의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모르는 영어 단어를 다시 학습할 수도 있고, 제1그룹(151) 및 제2그룹(152)을 모두 선택하여 아는 영어 단어, 모르는 영어 단어를 혼합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 제1그룹(151), 제2그룹(152), 제1그룹과 제2그룹을 합한 통합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이 선택되면, 단말기(110)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영어 단어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추출된다.
이후, 전송된 레벨별 데이터(150) 내의 영어 단어가 단말기(110)에 반복되게 표시된다(S13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단어의 의미(161)가 단말기(110)에 표시되고, 학습자는 그 의미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163)를 선택하여 학습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영어 단어(163)가 단말기(110)의 상단에 표시되고 그 영어 단어의 의미(161)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149)에 따라 영어 단어가 단말기(110)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횟수가 달라진다. 예컨대, 상위 레벨인 제1레벨의 경우 하나의 영어 단어가 단말기(110)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횟수가 2회로 설정되며, 하위 레벨인 제10레벨의 경우 하나의 영어 단어가 단말기(110)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횟수가 10회로 설정된다.
영어 단어를 반복하여 학습하는 과정에서,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가 각각 저장된다(S140). 현재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레벨별 데이터(150)에 저장되어 있던 종래의 맞힌 횟수가 합산되어 다시 총 맞힌 횟수로 새롭게 레벨 데이터(150)에 저장되고, 마찬가지로, 현재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와 레벨별 데이터(150)에 저장되어 있던 종래의 틀린 횟수가 합산되어 다시 총 틀린 횟수로 새롭게 레벨 데이터(150)에 각각 저장된다(S142). 영어 단어를 학습한 결과, 학습자가 영어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총 맞힌 횟수 및 총 틀린 횟수가 각각 저장되는 것이다.
이후, 학습한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전체 횟수로부터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전체 횟수를 뺀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를 비교한다(S150).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는, 예컨대 5회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총 맞힌 횟수로부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이 5보다 큰 경우 학습자가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며 그 영어 단어는 제1그룹(151)으로 분류되며, 총 맞힌 횟수로부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이 5 이하인 경우 학습자가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지 않으며 그 영어 단어는 제2그룹(152)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학습된 모든 영어 단어는 각각 제1그룹(151) 또는 제2그룹(152)으로 새롭게 분류되어 레벨별 데이터(150)에 저장된다(S152)(S154).
이후, 새롭게 저장된 레벨별 데이터(150)는 단말기(110)로부터 서버(120)로 전송되어 서버(120)에 저장된다. 서버(120)에서는 제1그룹(151)에 속한 영어 단어의 개수와 제2그룹(152)에 속한 영어 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149)이 다시 평가된다. 학습 레벨(149)이 상승될 필요가 있는 경우 기존에 학습한 영어 단어보다 난이도가 높은 영어 단어가 레벨별 데이터(150)에 새롭게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 영어 단어를 온라인을 통해 반복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학습자는 항상 자신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 난이도를 가지는 영어 단어를 학습하여 학습 효율 및 학습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는 그룹의 영어 단어 또는 학습자가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인정되지 않는 그룹의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영어 단어의 확실한 습득 및 영어 단어의 학습 진도 모두를 만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한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를 기준으로 서버에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평가되고 학습할 영어 단어 역시 선택되어 다시 학습자에 제공됨으로써, 학습자 가 자신의 학습 레벨에 맞는 교재를 다시 선택해야 하는 고민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단계들과 동일한 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단계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버(120)로부터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단위가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150)인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120)로부터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단위가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150)의 영어 단어(153a)(153b)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학습자의 학습 레벨(149)에 따라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150)에서 영어 단어(153a)(153b) 단위로 전송된다(S220). 여기서, 영어 단어 단위로 전송되므로 학습자가 학습할 그룹, 즉 제1그룹(151)에 속한 영어 단어(153a) 또는 제2그룹(152)에 속한 영어 단어(153b)를 선택하는 단계(S210)는 단말기(110)로 전송되기 이전(S220)에 이루어진다. 단말기(110)를 통해 학습자의 영어 단어 학습이 수행되면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틀린 횟수가 단말기에 저장된다(S140).
단말기(110)에 저장된 맞힌 횟수와 틀린 횟수는 단말기(110)로부터 서버(120)로 전송되며(S230), 서버(120)의 레벨별 데이터(150)에 저장되어 있던 종래의 맞힌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와 각각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와 총 틀린 횟수로 새롭게 저장된다(S142).
이후, 그 영어 단어의 총 맞힌 횟수와 총 틀린 횟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영어 단어는 제1그룹(151) 또는 제2그룹(152)으로 새롭게 분류되며 레벨별 데이터(150)가 다시 새롭게 저장되는 과정이 서버(120)에서 진행된다(S152)(S154).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단계들과 동일한 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단계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에 영어 단어가 반복적으로 표시되고 그 영어 단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틀린 횟수가 각각 저장된 후 서버(120)로 전송된다. 그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에 영어 단어가 표시되는 과정 중에 맞힌 횟수와 틀린 횟수가 각각 서버(120)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단말기(110)에서 서버로 실시간으로 전송된 맞힌 횟수와 틀린 횟수(S330)는 서버(120)의 레벨별 데이터(150)에 저장되어 있던 종래의 맞힌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와 각각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와 총 틀린 횟수로 새롭게 저장된다(S142).
이후, 그 영어 단어의 총 맞힌 횟수와 총 틀린 횟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영어 단어는 제1그룹(151) 또는 제2그룹(152)으로 새롭게 분류되며 레벨별 데이터(150)가 다시 저장되는 과정이 서버에서 진행된다(S152)(S154).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는 영어 단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어 단어, 영어 문장, 한자 단어, 한자 문장, 국어 단어, 국어 문장 등 다양한 언어가 이용될 수 있고, 과학 문답식 퀴즈와 같은 구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을 위한 운영시스템의 일례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운영시스템의 학습정보 DB의 데이터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레벨별 데이터이고,
도 5는 도 2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운영시스템 110: 단말기
120: 서버 130: 통신망
140: 학습자별 학습정보 데이터 149: 학습 레벨
150: 레벨별 데이터 151: 제1그룹
152: 제2그룹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학습자의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상기 서버에서 확인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는 다수 개의 언어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레벨에 대응되는 레벨별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 단위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가 상기 학습레벨에 따라 반복되는 횟수를 달리하여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상기 언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가 각각 저장되는 단계;
    상기 맞힌 횟수와 종래의 맞힌 횟수가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로, 상기 틀린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가 합산되어 총 틀린 횟수로 각각 레벨별 데이터에 새롭게 저장되는 단계;
    상기 총 맞힌 횟수로부터 상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언어는 제1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거나, 상기 뺀 값이 상기 기준 횟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언어는 제2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새롭게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레벨별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4. 학습자의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상기 서버에서 확인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는 다수 개의 언어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레벨에 대응되는 레벨별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 단위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가 상기 학습레벨에 따라 반복되는 횟수를 달리하여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상기 언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가 각각 저장되는 단계;
    상기 맞힌 횟수와 상기 틀린 횟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맞힌 횟수와 종래의 맞힌 횟수가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로, 전송된 틀린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가 합산되어 총 틀린 횟수로 각각 새롭게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총 맞힌 횟수로부터 상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언어는 제1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거나, 상기 뺀 값이 상기 기준 횟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언어는 제2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새롭게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5. 학습자의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상기 서버에서 확인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는 다수 개의 언어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레벨에 대응되는 레벨별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 단위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레벨별 데이터의 언어 또는 전송된 언어가 상기 학습레벨에 따라 반복되는 횟수를 달리하여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언어의 의미를 맞힌 횟수와 상기 언어의 의미를 틀린 횟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각각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맞힌 횟수와 종래의 맞힌 횟수가 합산되어 총 맞힌 횟수로, 전송된 틀린 횟수와 종래의 틀린 횟수가 합산되어 총 틀린 횟수로 각각 새롭게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총 맞힌 횟수로부터 상기 총 틀린 횟수를 뺀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언어는 제1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저장되거나, 상기 뺀 값이 상기 기준 횟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언어는 제2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레벨별 데이터에 새롭게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별 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합한 통합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 반복되게 표시되는 언어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7. 삭제
  8.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KR1020080041282A 2008-05-02 2008-05-02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KR10104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282A KR101049613B1 (ko) 2008-05-02 2008-05-02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282A KR101049613B1 (ko) 2008-05-02 2008-05-02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425A KR20090115425A (ko) 2009-11-05
KR101049613B1 true KR101049613B1 (ko) 2011-07-14

Family

ID=4155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282A KR101049613B1 (ko) 2008-05-02 2008-05-02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29B1 (ko) 2010-11-03 2014-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289004B1 (ko) 2012-10-15 2013-07-23 이주환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방법, 외국어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57A (ko) * 2000-04-25 2000-07-05 이승재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단어 학습 방법
KR20010104915A (ko) * 2000-05-16 2001-11-28 박철수 교육지원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1200A (ko) * 2000-11-27 2002-06-01 송재영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학습계획서와 맞춤시험 제공방법
KR20040017896A (ko) * 2002-08-22 2004-03-02 박이희 컴퓨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용 기록매체 및 그기록매체를 이용한 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57A (ko) * 2000-04-25 2000-07-05 이승재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단어 학습 방법
KR20010104915A (ko) * 2000-05-16 2001-11-28 박철수 교육지원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1200A (ko) * 2000-11-27 2002-06-01 송재영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학습계획서와 맞춤시험 제공방법
KR20040017896A (ko) * 2002-08-22 2004-03-02 박이희 컴퓨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용 기록매체 및 그기록매체를 이용한 학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425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ona et al. Explain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young English language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The role of Extramural English Exposure and motivation
US104105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culating text difficulty
McMaster et al. Early writing intervention: A best evidence synthesis
Arrimada et al. Effects of teaching planning strategies to first‐grade writers
Bara et al. Haptics in learning to read with children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families
Yeung et al. Phonological awareness and oral language proficiency in learning to read English among Chinese kindergarten children in Hong Kong
KR20080017220A (ko) 외국어를 교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
Yeung et al.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English language and literacy skills among Chinese young children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Wang Exploring the relationships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tate anxiety to creative writing performanc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N101488120A (zh) 学习评估装置及方法
Bonilla López et al. Comprehensive corrective feedback on low and high proficiency writers: Examining attitudes and preferences
Merrell et al. Identifying reading problems with computer‐adaptive assessments
Chang et al. Cognitive resources allocation in computer-mediated dictionary assisted learning: From word meaning to inferential comprehension
Rehfeld et al. A meta-analysis of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provided to children suspected of having a reading disability
Arrow et al. Teacher knowledge needed for differentiated early reading instruction
Wang et al.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and automated feedback on cognitive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foreign language writing: A mixed-methods research
Huntington et al. Pedagogical features of interactive apps for effective learning of foundational skills
KR101049613B1 (ko) 온라인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Arnbak To what extent do basic skills predict students' PISA reading score?
Kouri et al. Comparison of meaning and graphophonemic feedback strategies for guided reading instruction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Wang et al. Unpacking the relation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Chinese children
Jones et al. Validating mastery learning: assessing the impact of adaptive learning objective mastery in Knewton Alta
JP4934804B2 (ja) e−ラーニングにおける学習支援方法
Vidmar et al. On-entry assessment of school competencies and academic achievement: a comparison between Slovenia and Germany
US20150064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Alphabet Characters Of An Unfamiliar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14

Effective date: 2011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