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473B1 -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 Google Patents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473B1
KR101049473B1 KR1020090114036A KR20090114036A KR101049473B1 KR 101049473 B1 KR101049473 B1 KR 101049473B1 KR 1020090114036 A KR1020090114036 A KR 1020090114036A KR 20090114036 A KR20090114036 A KR 20090114036A KR 101049473 B1 KR101049473 B1 KR 10104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us
eeg
visual
constitution
ms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575A (ko
Inventor
황동욱
김근호
이재철
김종열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4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험자의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체질 구분의 정확성을 높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은 임의의 피험자에게 일정 간격으로 시각 자극을 가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시각 자극에 의해 발생된 뇌파 신호를 파일로 저장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뇌파 신호의 최대치의 비율로부터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각 자극, 뇌파 신호, 십자가 자극, 얼굴 자극, 원자극

Description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METHOD OF SASANG CONSTITUTION CHECK USING BRAIN WAVE ANALYSIS}
본 발명은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통하여 사상체질을 구분할 수 있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상 체질 이론은 사람의 장부의 강하고 약한 차이에 따라 네 가지 체질로 구분하고, 이를 각각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으로 명명한 이론이다.
사람의 장부를 폐, 비, 간, 신으로 구분하여 폐와 간, 비와 신이 서로 짝이 되어 크고 작은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체질이 네 가지로 결정된다.
사상의학에서 가장 큰 관건은 체질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체질의 진단을 위하여, 설문지에 관한연구, 사상체질별 안면의 특징을 이용한 분류, 체간의 길이 비율을 통해 체질을 구분하는 연구, 그리고 최근에는 음성 특징을 이 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었다.
최근 체질별 기질과 성격차이에 대한 설문 연구로부터 체질이 기질적인 차이가 나타남이 밝혀졌다. 특히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성향과 위험 회피(harm avoidance)성향에서 태음, 소음, 소양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발견되었다.
상기 진기함 추구성향은 진기함, 충동적인 의사 결정 등의 반응으로서 빈번한 탐구를 위한 활동과 같은 성향 또는 행동이며, 상기 위험 회피성향은 미래의 문제에 대한 비관적 걱정과 같은 행동의 금지 또는 정지에서, 불확실의 공포, 낯선 사람에 대한 수줍음, 빠른 피로감과 같은 수동적인 회피 행동양식 등으로 관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질의 구분을 위하여 다양한 구분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뇌파를 이용한 사상체질 구분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험자의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체질 구분의 정확성을 높인 뇌파 분 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뇌파 뿐만 아니라 피부, 안면, 체형, 음성 등 여러가지 정보를 가지고 통합적으로 체질을 구분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은 임의의 피험자에게 일정 간격으로 시각 자극을 가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시각 자극에 의해 발생된 뇌파 신호를 파일로 저장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뇌파 신호의 최대치의 비율로부터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십자가 모양의 자극을 가하는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과, 상기 피험자에게 머리형태가 지워진 표정의 얼굴 자극을 가하는 시각 자극 제공공정 및 상기 피험자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십자가 모양이 들어간 원자극을 가하는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 후, 상기 피험자의 주의를 재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은 500 ~ 15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은 500 ~ 15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은 1500 ~ 50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 다.
또한,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에서 상기 십자가 자극은 500 내지 1500 msec 동안 가해지며,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에서 상기 얼굴 자극 및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에서 상기 원자극은 500 msec 동안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과, 시각 자극 제공공정 및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은 모두 안구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피험자가 17인치 모니터로부터 40㎝ 떨어졌을 때 이미지 전체의 각도가 3도 이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굴 자극은 얼굴 이미지에 Adobe사의 Photoshop 프로그램에 정의된 양의 잡음을 추가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굴 자극은 25%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거나, 90%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거나, 400%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뇌파 신호에 대해 고수신율을 제공하는 뇌파 전극 순으로 상기 뇌파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단계는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및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에 대한 각각의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뇌파 신호를 추출하는 뇌파신호 추출공정과, 상기 시각 자극 전후로 구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시각 자극 이전의 일정 구간을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하되 이때의 시계열을 이용하여 시각 자극 이후의 시계열을 재규격화하는 재규격화 공정과, 상기 뇌파 신호의 시각 자극 처리 시작점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 및 상기 PN으로부터 이격된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을 추출하는 최대치 추출공정 및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과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의 비율(PN/PH)로부터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사상체질 구분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규격화 공정은 상기 시각 자극 -3초 ~ -1초 사이의 구간을 상기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하고, 이때의 시계열의 평균과 표준편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시각 자극 이후의 시계열을 하기의 수학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2211646-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1013945547-pat00022
는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재규격화된 양이고, xl i는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재규격화 이전의 원래 데이터이며, ml i과 σl i는 각각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베이스라인(baseline) 구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이다)
또한, 상기 최대치 추출공정은 Cz 채널에서 상기 시각 자극 처리 시작점으로부터 100 msec 사이에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 을 추출하고, 상기 PN으로부터 100msec ~ 200 msec 사이에 상기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에 의하면 피험자의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체질 구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뇌파 뿐만 아니라 피부, 안면, 체형, 음성 등 여러가지 정보를 가지고 통합적으로 체질을 구분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계(S10)와, 제 2단계(S20) 및 제 3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단계(S10)는 임의의 피험자에게 일정 간격으로 시각 자극을 가하는 단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중 제 1단계의 블록도이고, 도 4는 피험자에게 뇌파 전극을 위치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며, 도 5는 시각 자극 제공 순서를 보여주는 도이다.
상기 제 1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S11)과, 시각 자극 제공공정(S12) 및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S13)을 포함한다.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S11)은 상기 피험자에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가 모양의 자극을 가하는 공정이다.
뇌파 전극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험자의 Cz, C3, C4, Fz, F3, F4, Pz, P3, P4, Oz, O3, O4 등의 위치에 배치하여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십자가 자극은 상기 피험자의 주의를 집중시켜 안구운동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데,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S11)은 500 ~ 15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십자가 자극은 500 내지 1500 msec 동안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S12)은 상기 피험자에게 머리형태가 지워진 표정의 얼굴 자극을 가하는 공정이다.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S12)에서는 상기 십자가 자극이 나타난 다음, 500 ~ 1500 msec 이후에 머리형태가 지원진 표정, 구체적으로, 행복한 표정, 화난 표정 또는 무표정의 얼굴 자극이 제공된다.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S12)은 500 ~ 15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얼굴 자극은 500 msec 동안 가해질 수 있다.
도 6은 얼굴 이미지에 잡음을 첨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7a 내지 7c는 다양한 표정에 25% 잡음을 첨가한 얼굴 자극을 보여주는 도이다. 또한, 도 8a는 90% 잡음을 첨가한 얼굴 자극을 보여주는 도이고, 도 8b는 400% 잡음을 첨가한 얼굴 자극을 보여주는 도이다.
한편,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S12)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이미지에 Adobe사의 Photoshop 프로그램에 정의된 양의 잡음을 추가하여 상기 얼굴 자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자극은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복한 표정, 화난 표정, 무표정의 얼굴 이미지에 25%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0%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얼굴 자극에 25%의 잡음이 포함된 경우는 얼굴 표정을 쉽게 알아볼 수 있고, 90%의 잡음이 포함된 경우는 얼굴 표정을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알아볼 수 있으며, 400%의 잡음이 포함된 경우는 얼굴 표정이 완전히 가려지고 잡음만이 보이는 이미지이다.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S13)은 상기 피험자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십자가 모양이 들어간 원자극을 가하는 공정이다.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S13)에서는 상기 얼굴 자극이 나타난 다음 500 ~ 1000 msec 이후에 상기 원자극이 제공된다.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S13)은 1500 ~ 50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원자극은 500 msec 동안 가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S13) 후, 상기 피험자의 주의를 재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을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S13) 후,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S11)과, 시각 자극 제공공정(S12) 및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S13)은 이러한 순서로 반복될 수 있고, 각 자극 사이의 시간 딜레이(delay)는 변화될 수 있으며, 안구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피험자가 17인치 모니터로부터 40㎝ 떨어졌을 때 이미지 전체의 각도가 3도 이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S20)는 상기 시각 자극에 의해 발생된 뇌파 신호를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뇌파 신호는 125Hz로 측정되어 컴퓨터에 저장될 수 있으며, 0.7Hz ~ 46Hz의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S20)는 상기 뇌파 신호에 대해 고수신율을 제공하는 뇌파 전극 순으로 상기 뇌파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뇌파 신호는 미약한 전기적 신호이므로 주변의 전자기기들로부터 오는 많은 잡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주변으로부터 전달되는 잡음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피험자와 시각 자극 제시용 모니터는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는 동판으로 둘러싸인 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단계(S30)는 상기 뇌파 신호의 최대치의 비율로부터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단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중 제 3단계의 블록도이고, 도 9는 Oz 채널 신호의 한 구간을 보여주는 도이다.
상기 제 3단계(S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신호 추출공정(S31)과, 재규격화 공정(S32)과, 최대치 추출공정(S33) 및 사상체질 구분공정(S34)을 포함한 다.
상기 뇌파신호 추출공정(S31)은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및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에 대한 각각의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뇌파 신호를 추출하는 공정이다.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은 진기함, 충동적인 의사 결정 등의 반응으로서 빈번한 탐구를 위한 활동과 같은 성향 또는 행동 자극이며,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은 미래의 문제에 대한 비관적 걱정과 같은 행동의 금지 또는 정지에서, 불확실의 공포, 낯선 사람에 대한 수줍음, 빠른 피로감과 같은 수동적인 회피 행동 자극이다.
상기 재규격화 공정(S32)은 상기 시각 자극 전후로 구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시각 자극 이전의 일정 구간을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하되, 이때의 시계열을 이용하여 시각 자극 이후의 시계열을 재규격화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0인 곳에서 시각 자극이 제시되어 있는데, 실선 사각형은 재규격화를 위한 베이스라인(baseline) 구간이 되며, 점선구간, 즉, 시각 자극이 제시된 시점으로부터 0.5초 이후까지가 자극에 관계된 평균 뇌파를 구하기 위한 구간이다.
상기 재규격화 공정(S32)에서는 상기 시각 자극 -3 ~ -1초 사이의 구간을 상기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하고, 이때의 시계열의 평균과 표준편차값을 이 용하여 상기 시각 자극 이후의 시계열을 하기의 [수학식 1]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2211646-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1013945547-pat00023
는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재규격화된 양이고, xl i는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재규격화 이전의 원래 데이터이며, ml i과 σl i는 각각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베이스라인(baseline) 구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이다.
상기 최대치 추출공정(S33)은 상기 뇌파 신호의 시각 자극 처리 시작점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 및 상기 PN으로부터 이격된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을 추출하는 공정이다.
도 12는 뇌파 파형 유형을 보여주는 도이다.
상기 시각 자극 처리 시작점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z 채널에서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는 소양인 > 태음인 > 소음인의 관계가 있고,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는 소음인 > 태음인 > 소양인의 관계가 있다.
상기 최대치 추출공정(S33)은 Cz 채널에서 상기 시각 자극 처리 시작점으로부터 100 msec 사이에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 을 추출하고, 상기 PN으로부터 100msec ~ 200 msec 사이에 상기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사상체질 구분공정(S34)은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과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의 비율(PN/PH)로부터 소양, 태음, 소음 등의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공정이다.
도 10은 Cz 채널의 25% 잡음이 첨가된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1은 Cz 채널의 90% 잡음이 첨가된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파란색은 태음인(B), 붉은색은 소음인(C), 녹색은 소양인(A)의 경우이며, 검정색은 400%의 잡음(D)이 첨가된 경우이다. 또한, 수평축은 초단위의 시간을 나타낸다.
도 10은 Cz 채널에서 잡음이 25%일 때, 모든 표정에 대한 체질별 자극에 의한 유발전위를 잡음 400%인 경우의 모든 체질의 유발전위에 대비하여 보여준다.
시각 자극 이후 200 msec 주위에서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지만, 시각 자극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다고 알려져 있는 영역인 Cz에서는 210 msec 전후에서 극대점이 나타난다.
Cz 영역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음인(B)과 소양인(A)이 최대점의 크기, 최대점에 이르는 속도가 거의 유사함을 볼 수 있고, 소음인(C)의 경우 최대점이 지연되며 최대치가 낮게 나옴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11은 Cz 채널에서 잡음이 90%일 때, 모든 표정에 대한 체질별 자극에 의한 유발전위를 잡음 400%인 경우의 모든 체질의 유발전위에 대비하여 보여준다.
Cz 채널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음 400%와 비교하여 크게 차이점이 보이지 않으나, 소양인(A)의 경우는 200 msec 주변에서의 극대치를 보여주고, 태음인(B)의 경우는 260 msec에서 극대치를 보여주며, 소음인(C)과 태양인(미도시)의 경우는 두 곳 모두에서 유사한 극대치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잡음이 적어 시각 자극의 감정이 뚜렷한 경우, Cz 영역에서 각각 체질별로 극대치의 차이가 나타나고, Cz 영역에서 소양인(A)의 경우 200 msec, 태음인(B)의 경우 200 msec와 250 msec, 소음인(C)의 경우 250 msec에서 최대치를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중 제 1단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중 제 3단계의 블록도.
도 4는 피험자에 뇌파 전극을 위치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도.
도 5는 시각 자극 제공 순서를 보여주는 도.
도 6은 얼굴 이미지에 잡음을 첨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
도 7a 내지 7c는 다양한 표정에 25% 잡음을 첨가한 얼굴 자극을 보여주는 도.
도 8a는 90% 잡음을 첨가한 얼굴 자극을 보여주는 도.
도 8b는 400% 잡음을 첨가한 얼굴 자극을 보여주는 도.
도 9는 Oz 채널 신호의 한 구간을 보여주는 도.
도 10은 Cz 채널의 25% 잡음이 첨가된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Cz 채널의 90% 잡음이 첨가된 시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뇌파 파형 유형을 보여주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10:제 1단계
S11:십자가 자극 제공공정
S12:시각 자극 제공공정
S13:반응용 자극 제공공정
S20:제 2단계
S30:제 3단계
S31:뇌파신호 추출공정
S32:재규격화 공정
S33:최대치 추출공정
S34:사상체질 구분공정
A:소양인 B:태음인
C:소음인 D:잡음

Claims (11)

  1. 임의의 피험자에게 일정 간격으로 시각 자극을 가하는 제 1단계;
    상기 시각 자극에 의해 발생된 뇌파 신호를 파일로 저장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뇌파 신호의 최대치의 비율로부터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십자가 모양의 자극을 가하는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
    상기 피험자에게 머리형태가 지워진 표정의 얼굴 자극을 가하는 시각 자극 제공공정; 및
    상기 피험자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십자가 모양이 들어간 원자극을 가하는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 후, 상기 피험자의 주의를 재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은 500 ~ 15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은 500 ~ 15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은 1500 ~ 5000 msec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에서 상기 십자가 자극은 500 내지 1500 msec 동안 가해지며,
    상기 시각 자극 제공공정에서 상기 얼굴 자극 및 상기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에서 상기 원자극은 500 msec 동안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가 자극 제공공정과, 시각 자극 제공공정 및 반응용 자극 제공공정은 모두 안구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피험자가 17인치 모니터로부터 40㎝ 떨어졌을 때 이미지 전체의 각도가 3도 이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자극은,
    얼굴 이미지에 Adobe사의 Photoshop 프로그램에 정의된 양의 잡음을 추가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자극은 25%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거나, 90%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거나, 400%의 잡음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뇌파 신호에 대해 고수신율을 제공하는 뇌파 전극 순으로 상기 뇌파 신호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및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에 대한 각각의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뇌파 신호를 추출하는 뇌파신호 추출공정;
    상기 시각 자극 전후로 구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시각 자극 이전의 일정 구간을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하되, 이때의 시계열을 이용하여 시각 자극 이후의 시계열을 재규격화하는 재규격화 공정;
    상기 뇌파 신호의 시각 자극 처리 시작점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 및 상기 PN으로부터 이격된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을 추출하는 최대치 추출공정; 및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과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의 비율(PN/PH)로부터 사상체질을 구분하는 사상체질 구분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규격화 공정은,
    상기 시각 자극 -3초 ~ -1초 사이의 구간을 상기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하고, 이때의 시계열의 평균과 표준편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시각 자극 이후의 시계열을 하기의 수학식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Figure 112011013945547-pat00005
    (여기서,
    Figure 112011013945547-pat00024
    는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재규격화된 양이고, xl i는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재규격화 이전의 원래 데이터이며, ml i과 σl i는 각각 i번째 구간의 l번째 채널의 베이스라인(baseline) 구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이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치 추출공정은,
    Cz 채널에서 상기 시각 자극 처리 시작점으로부터 100 msec 사이에 상기 진기함 추구(Novelty Seeking,NS)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N 을 추출하고, 상기 PN으로부터 100msec ~ 200 msec 사이에 상기 위험 회피(Harm Avoidance,HA) 자극 신호의 최대치인 PH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KR1020090114036A 2009-11-24 2009-11-24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KR10104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36A KR101049473B1 (ko) 2009-11-24 2009-11-24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36A KR101049473B1 (ko) 2009-11-24 2009-11-24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575A KR20110057575A (ko) 2011-06-01
KR101049473B1 true KR101049473B1 (ko) 2011-07-15

Family

ID=4439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036A KR101049473B1 (ko) 2009-11-24 2009-11-24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00B1 (ko) * 2014-09-22 2015-04-07 송주희 뇌파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성격·행동·정서상태 진단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724B1 (ko) * 1995-09-20 1999-01-15 박영배 한열 감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724B1 (ko) * 1995-09-20 1999-01-15 박영배 한열 감별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 제 18권 제1호 2007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 18. No. 1. 2007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65-70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 16, No. 2, 2004 ; 65-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575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0546B (zh) 基于脑电图的青少年环境心理的情绪感知与刺激样本选择方法
CN110991406B (zh) 一种基于rsvp脑电特征的弱小目标检测方法及系统
CN103019383B (zh) 一种稳态视觉诱发电位脑—机接口信号识别方法
JP4399515B1 (ja) 脳波信号の識別方法を調整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024987A (zh) 一种基于eeg的实时人脑注意力测试和训练系统
Wunderlich et al. Eye movement‐related brain potentials during assisted navigation in real‐world environments
CN110537929B (zh) 一种基于ssvep的注意力测评方法、训练方法以及脑机接口
CN106569604A (zh) 视听双模态语义匹配和语义失配协同刺激脑机接口范式
CN103019382B (zh) 一种利用诱发电位反映脑部主观动机信号的脑机接口方法
CN108324292B (zh) 基于脑电信号的室内视觉环境满意度分析方法
JP6856860B2 (ja) 集中度評価装置、集中度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212949A (zh) 一种使用皮肤电信号进行文化体验情感识别的方法
CN109875509A (zh) 阿尔茨海默症患者康复训练效果的测试系统和方法
CN106175754A (zh) 睡眠状态分析中清醒状态检测装置
Matran-Fernandez et al. Collaborative brain-computer interfaces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images
CN113208593A (zh) 基于相关性动态融合的多模态生理信号情绪分类方法
KR101049473B1 (ko) 뇌파 분석을 통한 사상체질 구분방법
CN109276243A (zh) 脑电心理测试方法及终端设备
Stoica et al. Multi-brain fusion and applications to intelligence analysis
CN106333676A (zh) 清醒状态下的脑电信号数据类型的标注装置
CN110613446A (zh)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KR101808956B1 (ko) 대인 감성 평가 시스템 및 대인 감성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하는 방법
CN106156751B (zh) 一种向目标对象播放音频信息的方法及装置
Minchev 2D vs 3D visualization and social networks entertainment games: a human factor response case study
CN106344008A (zh) 睡眠状态分析中清醒状态检测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