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302B1 -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302B1
KR101049302B1 KR20100101392A KR20100101392A KR101049302B1 KR 101049302 B1 KR101049302 B1 KR 101049302B1 KR 20100101392 A KR20100101392 A KR 20100101392A KR 20100101392 A KR20100101392 A KR 20100101392A KR 101049302 B1 KR101049302 B1 KR 10104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supply
wastewater
pipe
waste 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웅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2010010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저장탱크 내의 폐수를 산소공급장치로 공급하는데에 있어서 펌프의 흡입에 의한 진공압의 발생에 의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모터의 부하량을 줄여줌과 동시에 접촉 효율을 높여주고, 폐수공급관의 일측에 거품 파쇄 장치를 장착하여 폭기시 발생되는 거품을 감소시키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의 일측에 발전기를 설치하고 브이 벨트로 펌프 내의 모터와 발전기를 체결하여 가동시 잉여 전류를 활용한 모터의 구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전력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Oxygen supply and electronic power plant within waste water}
본 발명은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공급장치와 연결된 폭기 펌프 및 펌프 임펠라에서 농도가 짙은 가축분뇨의 고액분리된 고농도 유기성 폐수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산소공급장치 내부의 반복적인 순환에 의한 정화를 통해 저농도로 변화시키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활하수와 분뇨정화조에서 나오는 각종 오수 및 산업폐수, 축산폐수(이하 오/폐수로 칭함) 등은 환경오염 때문에 항시 정수처리를 하여 BOD(생물학적 산소 요구량)를 최대한 낮춘 상태에서 배출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종 오/폐수를 배출하는 공장이나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에서는 오/폐수 정화용 처리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만 한다.
이들 각종 오수와 축산폐수 및 염색공장 등에서 방류되는 산업폐수 등에는 하천 또는 해안을 오염시키는 유기물질과 색도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제대로 정화처리하지 않고 방류하면 하천 및 인근지역의 생태계를 오염시키거나 환경을 파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오/폐수는 정화처리를 하여 방류해야 하며, 그 처리장치의 기능성과 효율성은 접촉 산화조에서 폐수의 BOD를 낮추어주는 호기성 미생물을 얼마나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많이 배양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효율을 증대시키면 그 만큼 오/폐수 속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협잡물 및 색도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거나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폐수 처리장치의 처리조에 폭기장치를 설치하였다.
등록실용신안 제172329호에는 폭기조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산기로터에 의해 작은 기포로 분할하여 폐수와 함께 유선형 블레이드를 구비한 임펠러에 공급하여 미세 기포로 분쇄한 후 방사상의 가이드 베인을 통하여 배출함에 의해 공기방울의 표면적 증대에 의한 기액 접촉면적의 확대와 수중잔류시간 증대를 도모하여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폭기식 폐수처리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기술은 폭기조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장치 본체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임펠러에 의해 그 상측에 배치된 가이드 베인으로 끌어 올리는 상향식 구조에 공기와 혼합된 폐수를 측면으로 배출하는 방식이므로, 임펠러의 가동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공기가 혼합된 배출폐수가 폭기조 내부 전체를 순환하지 못하고 수평방향으로 진행한 후 수면 위로 상승하여 기액접촉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폭기식 폐수처리장치를 포함한 산소공급장치의 종래기술은 펌프의 토출에 의한 부압에 의해 산소 공급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폭기 과정 중 발생한 거품을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밀폐형 폭기조의 구조를 활용하여 폐수저장탱크와 순환 연계 처리함으로써 폭기시 발생되는 거품에 의해 폭기 장치를 가동치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유사시 펌프에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산소공급장치 내부의 오/폐수를 처리하지 못함으로써 오/폐수에 의한 악취 등이 주변으로 확산되어 인근 주민에게 피해를 주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저장탱크 내의 폐수를 산소공급장치에 공급하는데에 있어서 펌프의 흡입에 의한 진공압의 발생에 의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모터의 부하량을 줄여줌과 동시에 접촉 효율을 높여주고, 폐수공급관의 일측에 거품 파쇄 장치를 장착하여 폭기시 발생되는 거품을 감소시키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의 일측에 발전기를 설치하고 브이 벨트로 펌프 내의 모터와 발전기를 체결하여 가동시 잉여 전류를 활용한 모터의 구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전력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로서, 폐수저장부 및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소공급부는 산소공급펌프, 상기 산소공급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되는 흡입관, 상기 산소공급펌프의 송출구에 연통되는 토출관 및 상기 흡입관 내에 일단이 위치하는 공기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관의 타단이 외기와 연통하며, 상기 폐수저장부 내의 폐수가 상기 흡입관를 통과하여 상기 산소공급펌프를 거쳐 상기 토출관으로 유동하며, 상기 산소공급부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펌프와 상기 발전기의 사이에는 브이 벨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수저장부는 폐수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소공급부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은 상기 산소공급부 내에 위치하여 폐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는, 폐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폐수공급펌프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일단이 펌프와 연결된 상기 폐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부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수 공급관의 타측에는 거품 파쇄 장치가 있어 상기 폐수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거품이 상기 거품 파쇄 장치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소공급부는 순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관은 상기 산소공급부 내에 형성되는 거품을 상기 폐수저장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흡입관의 상기 타단에 공기조절밸브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소공급부는 보조흡입관 및 흡입공기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흡입관의 일단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산소공급부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타단에는 흡입공기 조절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폐수저장탱크 내의 폐수를 펌프 임펠러에서 생성된 산소를 산소공급장치에 공급함으로써 펌프 모터의 부하량을 줄여줌과 동시에 접촉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펌프 모터의 부하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펌프의 일측에 발전기를 설치하고 브이 벨트로 펌프 내의 모터와 발전기를 체결하여 가동시 잉여 전류를 활용한 모터의 구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전력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도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의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및
도 2는 도 1의 일 방향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3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폐수"라는 용어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포함하며 산소와의 접촉을 통해 정화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체를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즉, 해수를 투입한 경우에도 일정 부분의 담수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폐수를 수용하여 일시 저장하는 폐수저장부(100)와 상기 폐수저장부(10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대류순환에 의해 정화하는 산소공급부(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폐수저장부(100)와 산소공급부(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폐수저장부(100)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저장탱크(110), 폐수저장탱크(110) 내의 폐수를 산소공급부(200)로 공급하는 폐수공급펌프(120), 폐수공급펌프(120)와 산소공급부(200)를 연결하고 폐수의 유로가 되는 폐수공급관(131), 폐수공급관(131)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거품 파쇄 장치(132)를 포함한다.
폐수저장탱크(110)는 가축분뇨를 고액분리하여 저장하는 장소로써, 보통 진동 스크린을 활용한 고액분리시 SS농도가 20,000 ~ 25,000 수준으로 산소공급장부(200)에서 순환관(216)을 통해 거품(G)과 함께 배출된 폐수의 1차 집수조가 이에 해당한다.
폐수공급펌프(120)는 초기 산소공급부(200)에 폐수를 공급하는 장치로 수중 펌프가 이용되며 순환관(216)을 통해 산소공급부(200)에서 배출된 폐수량만큼 자동공급된다.
폐수공급관(131)은 폐수공급펌프(120)에 의해 산소공급부(200)에 폐수가 공급되는 관로이며 스테인리스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 파쇄 장치(132)는 폐수공급펌프(120)에 의해 공급된 폐수는 폐수공급관(131)의 중간에서 연결 구성된 배관의 하부에 돌출된 판을 구성하여 폐수가 토출될시 분수처럼 분사되어 순환관(216)을 통해서 배출된 폐수의 산소 공급으로 발생된 거품을 파쇄하는 장치이다.
산소공급부(200)는 산소공급장치(210), 탱크 지지대(211), 흡입관(212), 토출관(213), 수위(215), 순환관(216), 공기와 폐수 이송관(217), 보조흡입관(218), 흡입공기 조절밸브(219), 펌프(220), 모터(221), 카플링(222), 브이(VEE) 풀리(223), 보호 커버(224), 베이스(225), 펌프 임펠러(226), 공기흡입관(231), 공기 조절밸브(232), 폐수탱크 개폐구(233), 가스 배출구(234), 발전기(241), 브이(VEE) 벨트(242)로 구성된다.
산소공급부(200)는 순환관(216), 폐수탱크 개폐구(233), 가스배출구(234), 공기폐수이송관(217), 탱크지지대(211)로 구성된다. 이러한 산소공급부(200)는 유기성 폐수에 산소가 공급되는 장치를 가동하기 위해 폐수가 일정량만큼 저장 운영되는 탱크이다.
산소공급장치(210)는 펌프(220)의 가동에 의해 폐수에 산소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흡입관(212), 토출관(213), 공기 조절밸브(232), 공기흡입관(231), 공기와 폐수의 혼합부(C)로 구성되어 있다.
탱크 지지대(211)는 산소 공급 장치 본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공간을 이용하여 펌프 및 산소공급장치(210), 발전기(241)를 보호하는 구성부이다.
흡입관(212)은 산소공급장치(210) 하단과 펌프 임펠러(226) 전단에 구성되어 산소공급장치(210)를 통과한 유기성 폐수의 펌프 흡입 관로이다. 이러한 흡입관(212)은 펌프 가동시 산소공급부(200)에 저장된 유기성 폐수가 펌프 임펠러(226)의 회전력에 의해 펌프(220)로 유입된다.
토출관(213)은 흡입관을 통과한 폐수가 펌프 임펠러(226)의 회전력에 의해 페수와 산소가 희석되어 접촉된 폐수가 산소공급부(200)에 공급되는 관로이다.
수위(215)는 폐수 공급 펌프에 의해 공급된 폐수가 산소공급부(200)에 유입되면 본 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폐수의 장위레벨을 의미한다.
순환관(216)은 펌프(220)의 구동과 함께 폐수에 공기가 공급되어 산소접촉이 이루어지면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거품은 폐수 내의 미세 입자가 부상되어 혼합된 상태로 산소공급부(200)의 밀폐된 조건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산소공급부(200)의 내부에는 배출시 산소 접촉에 의한 폐수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함유되어 있으며 거품의 무게에 의해 순환관(216)을 따라 거품은 폐수저장탱크(110)에 유입되고 가스는 가스 배출구(234)에 의해 대기 중에 휘발 된다.
공기 폐수 이송관(217)은 본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을 활용하여 펌프(220)와 발전기(241)의 비가림 시설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산소공급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게 하고 산소공급부(200)의 측면에 공기와 폐수 혼합부(H)를 위치하게 하여 펌프 토출관(213)을 통과한 산소 접촉된 폐수가 산소공급부(2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폐수에 산소 접촉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보조흡입관(218)은 흡입관(212)의 일단과 연결되어 산소공급부(200)의 외부로 형성되는 통로이다.
흡입공기 조절밸브(219)는 보조흡입관(218)이 흡입관(212)과 연결되는 타단에 형성되며, 산소공급부(200)의 외부에 형성된 흡입공기 조절밸브(219)에는 폐수의 농도(비중)와 산소희석 상태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부하량을 조절하여 발전기에 의한 전기발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펌프(220)는 산소공급부(220)에 공기와 폐수를 혼합하기 위한 것이다.
즉, 폐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장치이며, 이러한 펌프(220)는 모터(221), 카플링(222), 브이(VEE) 풀리(223), 보호커버(224), 베이스(225), 펌프 임펠러(226), 배수관(227)로 구성된다. 이러한 펌프(220)의 흡입력에 의해 모터(221)의 부하량이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터(221)는 카플링(222)에 의해 펌프 임펠러(226)와 브이 풀리(223)에 연결된 브이 밸트(242)에 의해 발전기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모터(221)는 정확한 회전수가 그대로 발전기(241)의 제너레이터(Generator)에 전달되기 때문에 발전기(241)의 용량에 따른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카플링(222)은 모터(221)의 축에 장착되고 펌프 임펠러(226)의 축에 장착되어 중간을 볼트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이다.
브이 풀리(223)는 펌프 임펠러(226)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221)가 가동될 시 브이 벨트(242)가 발전기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브이 벨트(242) 구동 전달장치이다.
보호커버(224)는 모터(221)의 가동에 의해 펌프 임펠러(226)에 동력이 전달시 브이 풀리(223), 브이 밸트(242), 카플링(222)을 차단 보호하는 안전 장치이다.
베이스(225)는 펌프(220)를 장착하고 산소공급부(200)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펌프 임펠러(226)는 공기와 폐수 혼합부(H)를 통하여 폐수가 공기와 희석되어 흡입관(212)에 의해 이송되면 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펌프 임펠러(226)는 고속 회전을 하게 된다. 고속 회전시에 폐수와 공기가 강하게 혼합되어지고 고속 회전에 의해 공기와 폐수 혼합부(H)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강한 흡입력을 발생하고 토출관(213)에 높은 압력을 주어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배수관(227)은 순환에 의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이며, 배수관(227)의 일단에는 배수 밸브(미도시)가 형성되어 펌프(221)의 이상, 기타 점검 및 강제적인 배수가 필요한 경우 조작을 목적으로 한다.
공기 흡입관(231)은 공기 조절밸브(232)가 장착되어 있으며, 산소공급부(200)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흡입관(212) 상부에 근접하여 펌프(220)의 구동에 의해 폐수가 흡입될 때 진공압에 의한 회오리의 중심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이다.
공기 조절밸브(232)는 펌프(220)의 가동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 중 공기량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이러한 공기 조절밸브(232)는 공기량이 많으면 모터(221)의 부하량이 줄어들고 공기량이 적으면 모터(221)의 부하량이 늘어나는 작용이 있어 모터(221)의 부하량에 의해 조절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폐수탱크 개폐구(233)는 본 시스템의 제작과정 중 여러 장치의 구성을 위한 작업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차후 기계장치의 보완 점검을 위한 개폐구로서 운전 중엔 밀폐한다.
가스 배출구(234)는 순환관(216)에 의한 거품이 배출시 비중이 무거운 거품은 폐수저장탱크(110)에 유입되고 비중이 가벼운 가스는 산소공급장치(210)의 작용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 과정 중 발생한 열원을 공급받아 대기중으로 쉽게 휘발 된다. 공기 흡입관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반응된 후 가스 배출구를 통해 대기중에 배출된다.
발전기(241)는 펌프(221)의 구동에 의해 본 시스템의 가동시 펌프 임펠러(226)의 흡입력에 의한 공기가 유입되는 산소 접촉 방법에 의해 펌프 임펠러(226)는 공기가 희석된 폐수를 흡입 및 교반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폐수의 비중이 낮아져 모터(221)의 부하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줄어든 부하량만큼 모터(221)의 구동력을 발전기(241)의 제너레이터에 공급하여 발전기(241)의 동력원으로 활용한다.
브이 밸트(242)는 브이 풀리(223)에 의해 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 장치이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300)는 산소공급장치(20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공기의 흡입, 펌프(220), 펌프 임펠러(226)의 부하량을 줄이고 고속으로 공기와 유기성 폐수가 희석되어 산소 접촉의 시간 및 공간이 단축되어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저농도로 변화시켜 유기 자원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거품 파쇄 장치(132)를 장착하여 폐수의 공급시 공급 관로에서 파생된 배관에 의해 폐수의 산소 접촉시 발생한 거품을 제거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의 유로 순환과정 및 작용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폐수저장탱크(110) 내부의 폐수는 폐수공급펌프(120)에 의해 폐수 공급관(131)을 통하여 산소공급장치(210)로 흐르게 된다(A). 산소공급장치(210)의 하부에 있는 유기성 폐수는 흡입관(212)을 통하여 펌프 임펠러(226)를 거치게 된다(B). 이때 펌프 임펠러(226)로 유입되는 폐수는 공기흡입관(231)을 타고 들어오는 외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흡입관(212)으로 흐르게 된다(H). 이러한 외부공기는 폐수에 희석되어 흡입관(212)을 따라 펌프(220)의 내부에 구성된 펌프 임펠러(226)의 회전력에 의해 골고루 희석된다. 이는 폐수에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폐수의 분해에 밀접한 영향이 있는 만큼 펌프 임펠러(226)의 강한 회전력은 폐수와 외부공기의 접촉을 최대화시킨다.
외부공기와 희석된 폐수는 토출관(213)을 통하여 배출된다(C). 토출관(213)으로부터 배출된 폐수는 희석된 공기와 함께 폐수 이송관(217)을 통하여 산소공급장치(210)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산소공급장치(210) 내부에 저장된 기존의 폐수에 의해 재차 고루 희석된다(D). 이러한 작용을 돕는 펌프 임레라(226)는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폐수의 분해를 촉진한다. 이때, 폐수에 희석된 공기는 수위 상부에 도달하면서 거품(G)을 형성하게 된다(F).
형성된 거품은 순환관(216)을 통해 폐수저장탱크에 토출된다(E). 토출된 거품은 산소공급장치(210)를 통과한 폐수의 반응 과정 중 발생한 산물로 거품 파쇄 장치(132)를 거치면서 파쇄되어 소멸 및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자연 소멸된다.
한편, 거품(G)에 의해 배출된 폐수가 줄어든 양만큼 폐수공급펌프(120)에 의해 폐수가 산소공급부(200)에 자동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300)는 폐수저장탱크(110)에 있던 폐수가 폐수공급펌프(120)에 의해 자동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폐수는 흡입관(212)에 의한 흡입시 유입된 외부공기와 희석되어 토출관(213)을 통과 후 이송관(217)의 구조적 방법에 의해 산소공급장부(200)에 저장된 폐수에 고루 산소를 접촉시킨다.
또한, 순환관(216)을 통한 거품(F)을 형성한 폐수의 수많은 반복에 의해 폐수저장탱크(110)의 유기성 폐수는 저농도로 변화하게 된다(A~H).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유로 순환과정에 있어서 폐수의 농도와 산소 희석 상태에 따라 흡입공기 조절밸브(219)를 통해 공기량을 조절하여 보조흡입관(218)으로 공급함으로써 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부하량을 조절하여 발전기에 전기발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폐수저장부
110 : 폐수저장탱크
120 : 폐수공급펌프
131 : 폐수공급관
132 : 거품 파쇄 장치
200 : 산소공급부
210 : 산소공급장치
211 : 탱크 지지대
212 : 흡입관
213 : 토출관
214 : 배수관
215 : 수위
216 : 순환관
217 : 이송관
218 : 보조흡입관
219 : 흡입공기 조절밸브
220 : 산소공급펌프
221 : 모터
222 : 카플링
223 : 브이 풀리
224 : 보호 커버
225 : 베이스
226 : 펌프 임펠러
227 : 배수관
231 : 공기흡입관
232 : 공기 조절밸브
233 : 폐수탱크 개폐구
234 : 가스 배출구
241 : 발전기
242 : 브이 벨트
300 :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Claims (8)

  1. 폐수저장부 및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로서,
    상기 산소공급부는,
    산소공급펌프;
    상기 산소공급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되는 흡입관;
    상기 산소공급펌프의 송출구에 연통되는 토출관; 및
    상기 흡입관 내에 일단이 위치하는 공기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관의 타단이 외기와 연통하며,
    상기 폐수저장부 내의 폐수가 상기 흡입관을 통과하여 상기 산소공급펌프를 거쳐 상기 토출관으로 유동하며, 상기 산소공급부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펌프와 상기 발전기의 사이에는 브이 벨트가 체결되며, 그리고
    상기 산소공급부는 순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관은 상기 산소공급부 내에 형성되는 거품을 상기 폐수저장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저장부는 폐수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은 상기 산소공급부 내에 위치하여 폐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는,
    폐수 공급관 및 폐수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수공급펌프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일단이 펌프와 연결된 상기 폐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부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공급관의 타측에는 거품 파쇄 장치가 있어 상기 폐수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거품이 상기 거품 파쇄 장치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관의 상기 타단에 공기조절밸브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는 보조흡입관 및 흡입공기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흡입관의 일단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산소공급부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타단에는 흡입공기 조절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KR20100101392A 2010-10-18 2010-10-18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KR10104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1392A KR101049302B1 (ko) 2010-10-18 2010-10-18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1392A KR101049302B1 (ko) 2010-10-18 2010-10-18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302B1 true KR101049302B1 (ko) 2011-07-13

Family

ID=4492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1392A KR101049302B1 (ko) 2010-10-18 2010-10-18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3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566A (ja) * 2008-10-14 2010-04-30 Kubota Kankyo Service Kk 曝気装置および廃水処理装置
KR20100064204A (ko) * 2008-12-04 2010-06-14 임문주 수중 교반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566A (ja) * 2008-10-14 2010-04-30 Kubota Kankyo Service Kk 曝気装置および廃水処理装置
KR20100064204A (ko) * 2008-12-04 2010-06-14 임문주 수중 교반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691B1 (ko) 자흡식 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흡공기식 부상분리장치
KR100723337B1 (ko) 산화 가압 부상장치
KR101452392B1 (ko) 혐기성 소화조
KR20030059749A (ko) 교반, 포기, 간헐포기 기능이 구비된 포기장치와 이를이용한 하수고도처리방법
CN107473446A (zh) 一种餐饮废水处理设备
US9573829B2 (en) Bioreactor and the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CN104341021A (zh) 序进式气浮装置
US9873626B2 (en) Bioreactor
KR100301292B1 (ko)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62885B1 (ko) 다단 혼합 구조를 갖는 슬림형 고속 폭기장치
KR101049302B1 (ko) 폐수 내 산소공급 및 발전장치
JP5666187B2 (ja)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KR100882818B1 (ko) 폭기조
JP3209903U (ja) 厨芥スラリー移送装置
JP4271991B2 (ja) オゾン水処理装置
CN206580715U (zh) 一体智能化污水处理设备
CN108408873A (zh) 一种光催化材料可回收的污水处理系统及方法
CN212610122U (zh) 活性污泥一体式处理装置
CN205575783U (zh) 一体式曝气装置
JP5270247B2 (ja) 食品加工工場排水処理設備
CN212655505U (zh) 一种用于处理油田采出水的溶气气浮系统
CN207259288U (zh) 一种餐饮废水处理设备
KR20130096408A (ko) 벤츄리관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997446B1 (ko) 미세 기포발생기 및 그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시설
CN102557177A (zh) 叶轮切割式涡旋气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