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851B1 -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851B1
KR101048851B1 KR1020090030439A KR20090030439A KR101048851B1 KR 101048851 B1 KR101048851 B1 KR 101048851B1 KR 1020090030439 A KR1020090030439 A KR 1020090030439A KR 20090030439 A KR20090030439 A KR 20090030439A KR 101048851 B1 KR101048851 B1 KR 10104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de signal
dip switch
reception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941A (ko
Inventor
국 허
강신혁
계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3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85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은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디바이스에 장착된 딥스위치가 출력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분석하여 연결된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별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엠투엠 모듈이 연결된 다양한 디바이스의 종류를 간단히 능동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30439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딥스위치

Description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Method for discriminating device, M2M module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엠투엠 모듈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엠투엠(M2M, Machine-to-Machine)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을 지원하는 원격 관리 및 제어 솔루션이다. 이러한 엠투엠은 통신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모듈 형태로 구현된다.
엠투엠 모듈에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엠투엠 모듈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ri-Band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기능을 가지며 저속/고속의 데이터 통신, 원격 검침, 위치 추적, 원격 제어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엠투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되는 디바이스가 선택적이므로,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범주를 판별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이 연결된 디바이스를 능동적으로 자동 판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디바이스 판별 방법이 제공된다. 디바이스 판별 방법은, 이종의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이 상기 디바이스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고유의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여기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 장착된 딥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로직 신호임-를 검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엠투엠 모듈이 제공된다. 엠투엠 모듈은, 이종의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여기서 디바이스 아이디 코 드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 장착된 딥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로직 신호임-를 검출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검출한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별하는 인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에 연결되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 설정된 스위칭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여기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 별로 특정됨-를 출력하는 딥스위치; 및 상기 엠투엠 모듈에 정의된 상기 엠투엠 모듈과 상기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딥스위치가 출력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상기 엠투엠 모듈로 전달하는 먹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장착된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엠투엠 모듈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엠투엠 모듈이 연결된 다양한 디바이스의 종류를 간단히 능동적으로 판별할 수 있고 디바이스는 단순한 전기적인 회로만 제공하므로 디바이스의 변경을 최소화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 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투엠(M2M, Machine-to-Machine) 모듈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디바이스(Device)(100)는 고유의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세탁기, 냉장고, 카메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data] Assistant), 컴퓨터, 노트북, MP3 플레이어, 게임기, 텔레메틱스기, 헬스기, 스마트 단말, 중계기, 환경감지센서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엠투엠 모듈(200)과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다.
엠투엠 모듈(200)은 보유하고 있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300) 에 접속하고, 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엠투엠 제어 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엠투엠 모듈(200)은 개방형으로 다양한 이종의 디바이스(100)에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도록 장치와 모듈간의 표준 핀 맵(Pin Map)을 가진다. 그리고 연결되는 디바이스(100)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엠투엠 제어 서버(400)는 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엠투엠 모듈(200)과 연결되어, 디바이스(100)로부터 요구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송출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엠투엠 모듈(200)은 연결된 디바이스(100)의 종류를 능동적으로 판별하는데 그에 대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엠투엠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120), 딥스위치(140) 및 먹스(Mux)(160)를 포함한다.
CPU(120)는 디바이스(100) 전체를 제어한다. 즉 다양한 입력장치로부터 자료를 받아서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한다. 특히, 엠투엠 모듈(200)과 연동하여 엠투엠 제어 서버(400)와 통신하여 기 정의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딥스위치(140)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서 목표값이나 제한값 등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DIP(Dual in line Package) 스위치이다. 딥스위치(140)는 작은 구조로 된 복수의 스위치들을 독립적으로 온/오프하여 비트값을 설 정할 수 있다.
이때, 딥스위치(140)에는 디바이스(100)에 부여된 고유의 아이디 코드(ID Code)에 대응되는 스위칭 상태가 설정된다. 즉 스위치를 전원전압(VDD) 또는 접지전압 중 어느 하나에 접속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0)에 부여된 고유의 아이디 코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딥스위치(140)의 스위치를 모두 접지전압에 접속시킴으로써 '0000' 의 디바이스(100) 아이디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딥스위치(140)를 구성하는 스위치가 N개라면 2N개의 디바이스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딥스위치(140)는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킴으로써, 스위칭 상태에 따른 로직 신호 형태의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출력한다.
먹스(160)는 디바이스(100)와 엠투엠 모듈(200) 간의 입출력 신호를 스위칭한다. 먹스(160)는 엠투엠 모듈(200)에 정의된 디바이스 연결 인터페이스 중에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핀을 통해 입출력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GPIO 인터페이스는 네개의 핀이 설정되어 3개의 핀(GPIO0, GPIO1, GPIO2)은 디바이스(100) 아이디 코드 신호를 출력하고 나머지 한 개의 핀(MUX_SELECT(GPIO))은 스위칭 선택을 위한 먹스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즉 엠투엠 모듈(200)의 부팅 초기시에는 MUX_SELECT는 딥스위치(140)로 설정되고 부팅 이후에는 CPU(120)로 설정된다. 먹스(160)는 MUX_SELECT에 설정된 선택에 따라 부팅 초기에는 엠투엠 모듈(200)과 딥스위치(140)간의 입출력 신호(ID_GPIO0, ID_GPIO1, ID_GPIO2)를 스위칭한다. 그리고 부팅 이후에는 엠투엠 모듈(200)과 CPU(120) 간의 입출력 신호(MUX_GPIO0, MUX_GPIO1, MUX_GPIO2)를 스위칭한다.
먹스(160)는 엠투엠 모듈(200)과 연결된 GP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딥스위치(140)가 출력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엠투엠 모듈(200)로 전달한다.
한편, 엠투엠 모듈(200)은 연결부(210), 인식부(220), 저장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연결부(210)는 디바이스(100)와 엠투엠 모듈(20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연결부(210)는 다양한 디바이스(100)와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미리 설계된 핀 맵에 따른 복수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10)는 GPIO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100)와 연결되는데, GPIO 인터페이스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확장 포트로 정의된다.
인식부(220)는 연결부(210)를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100)의 타입을 판별하고, 연결된 디바이스(100)와의 연동을 위한 부팅을 실시한다. 인식부(220)는 연결부(210)를 통해 디바이스가 연결되면, 연결부(210)에 구현된 3개의 핀(GPIO0, GPIO1, GPIO2)을 통해 딥스위치(140)가 출력하는 디바이스(100) 아이디 코드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 정의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와 비교하여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별한다. 즉 인식부(220)는 초기 부팅시 딥스위치(140)로부터 인입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통해 통해 순간적으로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별한 이후 자동 리셋하여 GPIO 인터페이스를 원래의 어플리케이션 확장 포트로 사용한다.
저장부(230)는 엠투엠 모듈(200)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아이디 테이블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종 프로그램은 인식부(220)에서 디바이스(100)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디바이스 판별 프로그램, 무선 통신망(300)과의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프로그램, GPS 모듈 등을 이용한 위치 확인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엠투엠 모듈(200)의 동작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 등 각종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아이디 테이블은 디바이스(100) 별로 고유의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가 매핑되어 있고 도 3에 보인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아이디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때, 도 3(a)는 디바이스 식별 번호 별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가 매핑되어 있고, 도 3(b)는 디바이스 식별 번호 별로 디바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도 3(a)에 따르면, 세로 항목(501)은 디바이스 식별 번호를 나타내고, 가로 항목(503)은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를 나타낸다. 일예로, 디바이스 식별 번호 '0'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는 'ID_GPIO0=0, ID_GPIO1=0, ID_GPIO2=0' 즉 '000'이다. 도 3(b)에 따르면, 디바이스 식별 번호 '0'은 빔 프로젝터가 해당된다.
따라서, 인식부(220)는 디바이스의 딥스위치(140)로부터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 '000' 이 인입되면, 연결된 디바이스는 빔 프로젝터인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 2에서 통신부(240)는 무선 통신망(300)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엠투엠 제어 서버(4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50)는 엠투엠 모듈(200)의 각 구성 요소들(210, 220, 230, 2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디바이스(100)와의 연동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인식부(220)가 연결부(210)에 연결된 디바이스(100)를 판별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판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연결부(210)가 디바이스(100)와의 연결을 감지(S101)하면 인식부(220)는 부팅을 시도(S103)하고 디바이스(100)로부터 딥스위치(140) 설정값을 검출한다(S105). 즉 딥스위치(140)가 출력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인식부(220)는 기 정의된 디바이스 종류 별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와, 수신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비교하여 연결된 디바이스 타입을 판단한다(S107). 즉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테이블을 검색하여 수신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가 매핑되어 있는 디바이스 타입을 확인한다.
인식부(220)는 판단이 완료(S109)되면 자동 리셋(S111)하여 GPIO 인터페이스를 확장 인터페이스 용도로 전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투엠(M2M, Machine-to-Machine) 모듈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엠투엠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아이디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판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1)

  1. 이종의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이 상기 디바이스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고유의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여기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 장착된 딥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로직 신호임-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디바이스 타입 판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리셋하여 상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 용도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판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디바이스 타입 별로 고유의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가 설정된 디바이스 아이디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a) 단계에서 검출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타입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판별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초기 부팅시, 상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판별 방법.
  4. 삭제
  5. 이종의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여기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 장착된 딥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로직 신호임-를 검출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검출한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별하고, 상기 디바이스 타입 판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리셋하여 상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 용도로 전환하는 인식부
    를 포함하는 엠투엠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타입 별로 고유의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가 설정된 디바이스 아이디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엠투엠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바이스 아이디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연결부가 검출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타입을 판별하는 엠투엠 모듈.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초기 부팅시, 상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검출하는 엠투엠 모듈.
  9. 삭제
  10.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 모듈에 연결되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 설정된 스위칭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여기서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 별로 특정됨-를 출력하는 딥스위치;
    상기 엠투엠 모듈과 상기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엠투엠 모듈에 정의된 상기 딥스위치가 출력하는 디바이스 아이디 코드 신호를 상기 엠투엠 모듈로 전달하는 먹스; 및
    상기 엠투엠 모듈과 연동하여 기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바이스 타입 판별이 완료된 경우, 리셋되어 상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 용도로 전환되며,
    상기 먹스는,
    상기 엠투엠 모듈이 출력하는 먹스 선택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먹스 선택 신호가 딥스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엠투엠 모듈과 상기 딥스위치 간의 입출력 신호를 스위칭하고, 상기 먹스 선택 신호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엠투엠 모듈과 상기 중앙 처리 장치 간의 입출력 신호를 스위칭하며, 상기 먹스 선택신호는 부팅 초기에는 상기 딥스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부팅 이후에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변경되는 디바이스.
  11. 삭제
KR1020090030439A 2009-04-08 2009-04-08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 KR10104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39A KR101048851B1 (ko) 2009-04-08 2009-04-08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39A KR101048851B1 (ko) 2009-04-08 2009-04-08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941A KR20100111941A (ko) 2010-10-18
KR101048851B1 true KR101048851B1 (ko) 2011-07-13

Family

ID=4313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439A KR101048851B1 (ko) 2009-04-08 2009-04-08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2341A (zh) * 2013-01-21 2018-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信息传输装置和通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365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단말기의 접속 장치 식별 방법
KR20090002756A (ko) * 2007-07-04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접속 장치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365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단말기의 접속 장치 식별 방법
KR20090002756A (ko) * 2007-07-04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접속 장치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941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872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front end
RU2461968C2 (ru) Способ динамической настройки беспроводного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считыва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носитель и система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10657347B2 (en) Method for capturing fingerprint and associated products
CN103619054A (zh) 一种网络频段选择方法、装置及路由器
KR102081760B1 (ko) 라우팅 방법,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 디바이스 호스트, 및 단말기
KR10212363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170034B (zh) 一种音效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1086952B2 (en) Server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CN105704700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装置
CN110771121A (zh) 应用资源推荐方法及相关设备
CN105850158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目标终端、通信方法、和程序
WO2018145477A1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终端
CN105376716A (zh) 位置获取方法及装置
US10034323B2 (en) Control method for BLE communication between host device and peripheral device
KR20110127315A (ko) 듀얼 스탠바이 모드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4965831A (zh) 一种网址纠错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CN108833033B (zh) 射频校准参数的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963569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nection source recommendations using a database of historic data on connectivity
CN105744600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用户设备
KR101048851B1 (ko) 디바이스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엠투엠 모듈 및 디바이스
CN105704788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用户设备
CN105744602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装置
KR10252467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578467A (zh) 接入无线接入点的系统、方法及装置
US20040156382A1 (en) Access point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