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353B1 -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 Google Patents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353B1
KR101047353B1 KR1020080108922A KR20080108922A KR101047353B1 KR 101047353 B1 KR101047353 B1 KR 101047353B1 KR 1020080108922 A KR1020080108922 A KR 1020080108922A KR 20080108922 A KR20080108922 A KR 20080108922A KR 101047353 B1 KR101047353 B1 KR 10104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oad
load cell
measuring device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9893A (en
Inventor
박금혜
Original Assignee
박금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금혜 filed Critical 박금혜
Priority to KR102008010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353B1/en
Publication of KR2010004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8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드 셀에 음향을 가하고 로드 셀에서 발생하는 유도 음향의 변화를 통해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을 산출해 낼 수 있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and more particularly, load measurement using sound that can calculate a load applied to a load cell by applying a sound to the load cell and changing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Relates to a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는,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유도 음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로드 셀과; 상기 로드 셀에 음향을 인가하는 가진장치와; 상기 로드 셀에서 발생한 유도 음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상기 가진장치와 상기 검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 셀에 인가된 음향과 상기 로드 셀에서 발생한 유도 음향을 전달받아 상기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하는 분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ad measuring apparatus using sound, comprising: a load cell composed of one or more elastic bodies for transmitting guided sounds according to a load applied to a body; An excitation device for applying sound to the load cell;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And an analyzer connected to the excitation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sound applied to the load cell and the guided sound generated from the load cell to calculate a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

로드 셀, 음향, 유도 음향, 초음파, 유도 초음파, 탄성체 Load cell, acoustic, guided acoustic, ultrasonic, guided ultrasonic, elastomer

Description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A measuring instrument for load using sound}A measuring instrument for load using sound

본 발명은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드 셀에 음향을 가하고 로드 셀에서 발생하는 유도 음향의 변화를 통해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을 산출해 낼 수 있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and more particularly, load measurement using sound that can calculate a load applied to a load cell by applying a sound to the load cell and changing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Relates to a device.

힘은 질량, 길이 및 시간과 같은 기본 단위로부터 유도된 단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절대적인 값의 측정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산업의 발달과 함께 정확한 힘의 측정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 목적, 정확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힘 측정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Since force is a unit derived from basic units such as mass, length and time, the determination of absolute values for this is not defined.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ccurate force measurement is required, and various force measure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accuracy.

힘 측정 방법을 그 기본 원리에 따라 분류하면, 중력을 이용하는 방법,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는 방법, 고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방법, 물리적 성질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가속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회전이나 진동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측정 방법이 존재하고 있다.Force measurement method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basic principles: using gravity, using fluid pressure, using elastic deformation of solids, using physical property changes, measuring acceleration, and rotating or oscillating frequencies. Various measurement methods exist, such as the method used.

그 중 고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방법은 외력에 비례하여 변형되는 탄성체와, 그 물리적 변화량을 전기적 신호, 즉 저항값으로 변경해주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 구성되는 로드 셀(load cell)과, 상기 저항값의 변화를 전압값 으로 출력해주는 휘스톤 브릿지회로(Wheststone Bridge Circuit) 및 전압값의 증폭을 위한 전기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중측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Among them, a method using elastic deformation of a solid includes a load cell including an elastic body that is deformed in proportion to an external force, a strain gauge that changes the physical change amoun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istance value, and The load measuring device includes a Wheatstone Bridge Circuit that outputs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as a voltage value and an electric circuit for amplifying the voltage value.

이러한 하중측정장치의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로드 셀의 구조이며, 이 구조는 측정하고자 하는 하중 특성, 용량 그리고 정밀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such a load measuring device is the structure of the load cell, which is determined by the load characteristics, capacity, and precision to be measured.

로드 셀을 구성하는 탄성체는 가해진 하중에 반응하여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지점에 집중적으로 균일한 변형률을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하며, 변형률은 하중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변화하여야 하고, 이 직선성은 탄성체 요소의 형상설계, 재료, 제조공정 등에 의하여 좌우된다.The elastic body constituting the load cell should be able to generate a uniformly uniform strain at the point where the strain gauge is attached in response to the applied load, and the strain should change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load, and the linearity is the shape of the elastic element. It depends on the design, materials, manufacturing process and so on.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는 탄성체의 변형량에 비례하는 정확한 저항값을 생성하기 위해서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 방법과 하중에 따른 저항변화의 측정방법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한 매우 정밀한 기술과 보정방법이 요구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generate an accurate resistance valu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the strain gauge is very important to attach the strain gauge and to measure the resistance change according to the load.

이를 위해서는 탄선체의 표면을 아주 정밀하게 가공한 후 스트레인 게이지를 탄성체에 접합해야 하는데, 이때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탄성체를 가공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 결과적으로는 로드 셀의 가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To do this, the surface of the car body must be processed very precisely and the strain gages must be bonded to the elastomer. This requires not only a lot of experience and know-how. This will occur.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는 온도나 습도 변화에 의해 접착제가 열화되어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고, 탄성체의 변형량을 기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탄성체에 가해진 하중을 계측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라 보정이 요구되며, 측정범위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어서 하중의 범위에 따라 그 사양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for attaching the strain gauge is deteriorated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or humidity, and the durability is degraded when used for a long time. This is required, and the measurement range is relatively limited, so that the specification must vary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loa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nvolves a lot of inconvenience in use.

게다가 로드 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휘스톤 브리지회로나 증폭을 위한 전기회로는 로드 셀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로드 셀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고온에서는 손상되기 쉬워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Wheatstone bridge circuit or the amplification electric circuit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load cell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load cell when provided inside the load cell, and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at high temperatures. hav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드 셀의 외부에 음향을 가하고, 로드 셀에서 발생하는 유도 음향의 변화를 측정하여 유도 음향의 변화에 따라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로드 셀의 변형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나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회로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열악한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pplying a sound to the outside of the load cell,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can measure the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induced sound, There is no need to attach a separate sensor for measuring cell deformation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 signal, or a separate electric circuit for amplifying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Its purpose is to.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는,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유도 음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로드 셀과; 상기 로드 셀에 음향을 인가하는 가진장치와; 상기 로드 셀에서 발생한 유도 음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상기 가진장치와 상기 검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 셀에 인가된 음향과 상기 로드 셀에서 발생한 유도 음향을 전달받아 상기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하는 분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ad measuring apparatus using sound, comprising: a load cell composed of one or more elastic bodies for transmitting guided sounds according to a load applied to a body; An excitation device for applying sound to the load cell;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And an analyzer connected to the excitation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sound applied to the load cell and the guided sound generated from the load cell to calculate a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는, 로드 셀에 음향을 가하고, 로드 셀에서 발생하는 유도 음향의 변화로부터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하고 있기 때문에 로드 셀을 정밀하게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우수하고, 로드 셀 내 에 별도의 전기회로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고온이나 외부 노출등에 의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sound to the load cell and calculating the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from the change in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The cost can be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a wide range of loads, which is excellent in versatility, and because it does not have a separate electric circuit in the load cell, it can be easily used even in a harsh environment due to high temperature or external exposure. There i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ollowing example, unless the summary is excee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드 셀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드 셀의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탄성체의 접합 계면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서로 연관지어 설명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load cell constituting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method of a load cell constituting 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lastic body constituting 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bonding interface of and demonstrates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는,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물리적으로 변형되며, 물리적 변형량에 따라 유도 음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100a, 100b)로 구성되는 로드 셀(100)과, 로드 셀(100)에 음향을 전달하는 가진장치(200)와, 로드 셀(100)에서 발생하는 유도 음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300) 및 검출장치(300)에서 검출된 유도 음향을 분석하여 로드 셀(100)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하는 분석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hysically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pplied to the body, consisting of one or more elastic bodies (100a, 100b) for transmitting the guided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physical deformation Detection by the load cell 100, the excitation device 200 which transmits sound to the load cell 100, the detection device 300 and the detection device 300 which detect the induced sound generated by the load cell 100. And an analyzer 400 for analyzing the guided acoustic sound to calculate the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로드 셀(100)을 구성하는 탄성체(100a, 100b)는 외력, 즉 하중이 가해지면 물리적으로 변형되었다가 가해진 하중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The elastic bodies 100a and 100b constituting the load cell 10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being physically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that is, a load is applied,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applied load is released.

로드 셀(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a, b, c), 타원형, 다각형(d,g, h), 임의의 형상(e) 등 다양한 형태의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로드 셀(100) 몸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120) 또는 부분적으로 요철부위(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f, g, h). 또한, 로드 셀(100)은 하나의 탄성체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a, f),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결합시켜 사용(b, c, d, e, g, h)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load cell 1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b, c), an oval, a polygon (d, g, h), an arbitrary shape (e), and the like. One or more through holes 120 or partially uneven portions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of the load cell 100 (f, g, h). In addition, the load cell 100 may be used by one elastic body alone (a, f), or by combining one or more elastic bodies (b, c, d, e, g, h).

이렇게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두 개의 탄성체(100a, 100b)를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such a method of coupling one or more elastic bodies may be us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two elastic bodies (100a, 100b) ar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3 as follows.

우선,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탄성체(100a)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탄성체(100b)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102)을 형성하고, 홀(102)에 볼트(132)를 삽입하여 상부탄성체(100a)와 하부탄성체(100b)를 서로 연결한 다음, 너트(130)와 볼트(1320)를 연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부탄성체(100a)와 하부탄성체(100b)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a). First, at least one hole 10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elastic body 100a positioned at an upper side and the lower elastic body 100b positioned at a lower side, and a bolt 132 is inserted into the hole 102. After connecting the upper elastic body 100a and the lower elastic body 100b to each other, the upper elastic body 100a and the lower elastic body 100b may be integrated by connecting and rotating the nut 130 and the bolt 1320 (a). .

다음,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탄성체(100a)의 하부 가장자리에 수나사부(140)를 형성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탄성체(100b)의 상부 가장자리에 암나사부(142)를 형성한 후 수나사부(140)와 암나사부(142)를 서로 결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부탄성체(100a)와 하부탄성체(100b)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b). 이때, 수나사부(140)와 암나사부(142)의 형성 위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Next, the male screw portion 140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upper elastic body 100a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and the male screw portion 14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lower elastic body 100b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The upper elastic body 100a and the lower elastic body 100b may be integrated by rotating the combination of the c) and the female screw part 142 with each other (b). At this time,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male screw portion 140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142 may be variously changed.

그 다음,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탄성체(100a)의 하부 가장자리에 체결돌 기(150)를 형성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탄성체(100b)의 상부 가장자리에 체결홈(152)를 형성한 후 체결돌기(150)를 체결홈(152)에 삽입하고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부탄성체(100a)와 하부탄성체(100b)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c). 이때, 체결돌기(150)와 체결홈(152)의 형성 위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Next, the fastening protrusion 150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upper elastic body 100a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52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elastic body 100b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By inserting 150 into the fastening groove 152 and applying pressure, the upper elastic body 100a and the lower elastic body 100b can be integrated (c). At this time, the formation position or shap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50 and the fastening groove 152 may be variously changed.

이 밖에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탄성체를 결합시키거나 부분 용접을 통해서 탄성체를 결합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된 탄성체 간에 접합계면이 형성되면 어떤 방법으로 접합하더라도 무방하다. In addition, a variety of methods may be used, such as bonding an elastic body using an adhesive or bonding an elastic body through partial welding, and any bonding method may be used when a bonding interface is formed between the bonded elastic bodies.

이러한 구성을 통해 형성된 로드 셀(100)은 탄성체 간에 접합계면(1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접합계면(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상(a), 사선형상(b), 물결형상(c), 곡선형상(d), 요철 또는 단차형상(e)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ad cell 100 form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forms a bonding interface 110 between the elastic bodies. The bonding interface 110 has a straight line shape (a), an oblique shape shape (b), and a wavy shape as shown in FIG. 4. (c), curved shape (d), irregularities or step (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가진장치(200)는 음향을 발생시켜 로드 셀(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로드 셀(100)의 일측에 접촉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로드 셀(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비접촉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The excitation device 200 generates a sound and transmits the sound to the load cell 100. The excitation device 200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oad cell 100 or may be installed in a non-contact mann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ad cell 100. have.

가진장치(200)는 다양한 주파수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피커가 사용되거나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기 또는 탐촉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The excitation device 200 may be a speaker capable of generating sounds of various frequencies, or an ultrasonic generator or probe that generates ultrasonic waves.

검출장치(300)는 가진장치(200)와 마찬가지로 로드 셀(100)의 일측에 접촉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로드 셀(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가진장치(200)에 대향하여 설치될 수도 있지만, 로드 셀(100)의 어느 부분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Like the excitation device 200, the detection device 300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oad cell 100, or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load cell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face the excitation device 200. Although it may be, it may be installed in any part of the load cell 100.

검출장치(300)는 로드 셀(100)에서 발생하는 유도 음향을 검출하기 위한 음향 마이크 또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The detection apparatus 300 may use an acoustic microphone or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the induced sound generated from the load cell 100.

한편,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 발생 및 검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가진장치(200)와 검출장치(300)가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ultrasonic sensor may simultaneously generate and detect ultrasonic waves. In this case, the excitation apparatus 200 and the detection apparatus 300 may be implemented as one ultrasonic sensor.

분석기(400)는 가진장치(200) 및 검출장치(300)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로드 셀(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로드 셀(100)의 변화량과, 로드 셀(100)의 변화량에 따른 유도 음향의 음색 변화량을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있다. 여기서 음색은 음파의 주파수로 측정할 수도 있고, 파장, 속도 또는 전파시간을 계측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석기(400)는 가진장치(200)로부터 로드 셀(100)에 인가되는 음향 정보를 전달받고, 검출장치(300)로부터 로드 셀(100)에서 측정되는 유도 음향 정보를 전달받아 유도 음향의 변화량에 따라 로드 셀(100)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The analyzer 400 is connected to the excitation device 200 and the detection device 300, and is provided to the change amount of the load cell 100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load cell 100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The tonal variation of the guided sound is databased in advance. Here, the tone may be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the sound wave, and may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wavelength,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Therefore, the analyzer 400 receives the acoustic information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from the excitation device 200, and receives the induced acoust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ad cell 100 from the detection device 300, and thus the amount of change of the induced sound. According to this, the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can be calculated.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석기(400)는 로드 셀(100)에 발생되는 다양한 유도파 중 원하는 유도파 신호를 음향 측정센서로부터 추출하고, 계측된 음향 신호를 오실로스코프 등을 통해 입력받아 노이즈 제거를 위한 평균값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처리된 신호를 퓨리에 변환과 위상추출(phase detection)을 통해 음향의 주파수, 전파시간 및 파장 등의 음색을 계산하고, 계산된 음색과 실험을 통해 미리 구축된 음색 변화량을 비교하여 로드 셀(100)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해낸다. 이때, 분석기(400)는 압축실험을 통해 얻어진 비례상수(ζ), 가진장치(200)에서 발 생하는 음향의 주파수(ω), 유도파의 속도(c), 횡파와 종파의 속도(cs, cp) 및 음향 임피던스(Zs)를 이용하여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해내는데, 우선 이들 변수(ω, cs, cp)들과 음향 임피던스 값(Zs)을 미리 저장해놓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결정한 후 이 값들과 계측된 유도파로부터 측정된 주파수, 음속 또는 파장을 이용하여 하중치를 산출해낸다. In more detail, the analyzer 400 extracts a desired guide wave signal from a variety of guide waves generated in the load cell 100 from the acoustic measurement sensor, and receives the measured sound signal through an oscilloscope or the like to remove noise. Perform average value processing. The processed signal is calculated through Fourier transform and phase detection, and the tones such as frequency, propagation time, and wavelength of the sound are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tones are compared with the preconfigured tone changes through the load cell 100. Calculate the load applied to). At this time, the analyzer 400 is proportional constant (ζ) obtained through the compression experiment, the frequency of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excitation device (ω), the speed of the guided wave (c), the speed of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wave (c s , c p ) and the acoustic impedance (Z s ) are used to calculate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First, these variables (ω, c s , c p ) and the acoustic impedance value (Z s ) are stored in advance. From these values, the load is calculated from these values and the measured frequency, sound velocity, or wavelength.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드 셀에서 발생되는 유도 음향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constituting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가진장치(200)를 통해 로드 셀(100)에 음향을 가하면, 음향은 로드 셀(100)의 접합계면, 표면 또는 내부로 전파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유도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음향은 로드 셀(100)의 임의의 위치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하중이 로드 셀(100)의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고려할 때 음향은 로드 셀(100)의 측면을 통해 계면방향에 평행하거나 약간 경사를 가지고 가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When the sound is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through the excitation device 200, the sound is propagated to the junction interface, the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load cell 100 to generate various types of guided sounds. At this time, the sound may be applied in any position or in any direction of the load cell 100, typically considering that the load 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ad cell 100, the sound is directed to the side of the load cell 100 It is usually applied parallel or slightly inclined to the interface direction.

이렇게 로드 셀(100)에서 발생하는 유도 음향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 셀(100)의 접합계면을 따라서 발생되는 계면 유도파(Guided Wave)이거나(a), 로드 셀(100)의 표면이나 모서리를 따라 발생하는 표면파(Surface Wave)와 계면파(Interface Wave)를 포함하는 유도파(b), 또는 로드 셀(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판파형 유도파(Plate Wave or Lamb Wave) 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유도 음향 은 이들 중 로드 셀(100)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이나 정도에 따라 주파수, 파장 및 음속 등의 음색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 음색을 측정함으로써 하중치를 산출해낼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100 is a guided wave generated along the junction interface of the load cell 100 (a) or the load cell 100. Guide wave (b) including surface waves and interface waves generated along the surface or edge of the plate (b), or plate wave or Lamb wave generated inside the load cell 100 Or the like. Since the guided sound changes depending on the tone, such as frequency, wavelength, and sound velocity,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degree of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the load value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one.

다시 말해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로드 셀(100)를 통해 측정된 유도 음향의 음색과,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로드 셀(100)을 통해 측정된 유도 음향의 음색을 서로 비교해보면,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로드 셀(100)은 이 경계조건의 변화로 인한 유도파의 발생 특성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로드 셀(100)에서 발생되는 유도 음향의 음색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 셀(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로드 셀(1000의 변화량과, 로드 셀(100)의 변화량에 따른 유도 음향의 음색 변화량을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검출되는 유도 음향의 음색과 서로 비교함으로써 로드 셀(100)에 가해지는 하중치를 산출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comparing the tone of the guided sound measured through the load cell 100 in the unloaded state and the tone of the guided sound measured through the load cell 100 in the loaded state, the load is Since the load cell 100 in the applied state has a change in the generation characteristic of the induced wave due to the change of the boundary condition, the tone of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100 is changed. Accordingly, the change amount of the load cell 1000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tone of the guided sound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of the load cell 100 are previously databased, and compared with the tone of the detected guided sound. As a result, the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100 can be calculated.

참고로, 도 6은 로드 셀에 가해지는 하중과 로드 셀에서 발생하는 유도파의 음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하중에 따라서 로드 셀에 발생하는 유도파의 음색이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유도파의 음색변화를 통해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For reference,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and the tone of the induced wave generated in the load cell, it shows that the tone of the induced wave generated in the load cell changes non-linearly depending on the load Also, the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can be determined by changing the tone of the induced w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 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briefly the configuration of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드셀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rious shapes of the load cell constituting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드 셀의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method of the load cell constituting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드셀의 접합 계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nding interface of the load cell constituting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드셀에서 발생되는 유도 음향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constituting the 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로드 셀에 가해지는 하중과 로드 셀에서 발생하는 유도파의 음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and the tone of the induced wave generated in the load cell.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 탄성체 102 : 홀100: elastic body 102: hole

110 : 접합계면 120 : 관통구110: junction interface 120: through hole

130 : 너트 132 : 볼트130: nut 132: bolt

140 : 수나사부 142 : 암나사부140: male thread portion 142: female thread portion

150 : 체결돌기 152 : 체결홈150: fastening protrusion 152: fastening groove

200 : 가진장치 300 : 검출장치 200: excitation device 300: detection device

Claims (14)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유도 음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로드 셀;A load cell composed of one or more elastic bodies for transmitting the induced sound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body; 상기 로드 셀에 음향을 인가하는 가진장치; An excitation device for applying sound to the load cell; 상기 로드 셀에서 발생한 유도 음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induced sound generated in the load cell; And 상기 가진장치와 상기 검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 셀에 인가된 음향과 상기 로드 셀에서 발생한 유도 음향을 전달받아 상기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하는 분석기;를 포함하며,And an analyzer connected to the excitation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sound applied to the load cell and the induced sound generated from the load cell to calculate a load value applied to the load cell. 상기 분석기는, The analyzer, 상기 로드 셀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상기 로드 셀의 변화량과, 상기 로드 셀의 변화량에 따른 유도 음향의 음색 변화량을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있으며, The change amount of the load cell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and the tone change amount of the guided sound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of the load cell are previously databased. 상기 로드 셀에서 발생되는 유도파 신호를 음향 측정센서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노이즈 제거를 위한 평균값 처리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평균값 처리된 신호를 퓨리에 변환과 위상추출을 통해 음향의 음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음색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음색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로드 셀에 가해진 하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Extracting the induced wave signal generated from the load cell from the acoustic measurement sensor, receiving the extracted acoustic signal, performing an average value processing for noise removal, and performing the average value processing on the acoustic signal through Fourier transform and phase extraction. Calculating a tone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tone wit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atabase to calculate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ce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드 셀은, The load cell, 하나의 탄성체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a sound, characterized in that one elastic body is used al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드 셀은, The load cell, 하나 이상의 탄성체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or more elastic bodies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로드 셀은, The load cell,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나사결합, 볼트결합 또는 맞물려 체결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screwing, bolting or engaging one or more elastic bodies.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로드 셀에는, The load cell, 직선형상, 곡선형상, 사선형상, 물결형상 또는 요철형상의 접합 계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acoustics, characterized in that a joining interface is formed in a straight, curved, oblique, wavy or uneven shap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탄성체는, The elastic body, 다양한 형태의 판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various forms of plat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탄성체는, The elastic body, 몸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 또는 부분적 요철부위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판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A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late of various forms having one or more through-holes or partial irregularities in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진장치는, The excitation device,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또는 초음파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or an ultrasonic generator for generating a sound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출장치는,The detection device, 음향 마이크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acoustic microphone or ultrasonic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진장치와 검출장치는, The excitation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상기 탄성체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a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진장치와 검출장치는, The excitation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상기 탄성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ody is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도 음향은, The guided sound, 유도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d wave.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or 12, 상기 유도 음향은, The guided sound, 상기 탄성체의 표면, 계면, 하나 이상의 탄성체가 결합된 접합계면 및 상기 탄성체의 내부 중 한 가지 이상을 따라 발생되는 유도 초음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이용한 하중측정장치.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ed along at least one of the surface of the elastic body, an interface, a bonding interface to which at least one elastic body is coupled, and an interior of the elastic body. 삭제delete
KR1020080108922A 2008-11-04 2008-11-04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KR101047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22A KR101047353B1 (en) 2008-11-04 2008-11-04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22A KR101047353B1 (en) 2008-11-04 2008-11-04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893A KR20100049893A (en) 2010-05-13
KR101047353B1 true KR101047353B1 (en) 2011-07-07

Family

ID=422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922A KR101047353B1 (en) 2008-11-04 2008-11-04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35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494A (en) * 1997-01-30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oad det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494A (en) * 1997-01-30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oad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893A (en)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514B1 (en) Method for measuring the axial force of bolts
US6354147B1 (en) Fluid parameter measurement in pipes using acoustic pressures
Mariani et al. Location specific temperature compensation of guided wave signals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S7614303B2 (en) Device for measuring bulk stress via insonification and method of use therefor
CN109612611B (en) Method for ultrasonically detecting permanent stress of structure
US91761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orrosion metal loss
Feeney et al. High-frequency measurement of ultrasound using flexural ultrasonic transducers
CN109084917B (en) Method for ultrasonically detecting permanent stress of structure
US20220050082A1 (en) Signal processing
JPWO2015098104A1 (en) Signal analysis apparatus, excitation force measurement system, signal analysis method, and signal analysis program
CN112823272B (en) Assembly and method for measuring strain in a gasket
JP2007292667A (en) Device for measuring acoustic characteristics
Tan et al. Low-cost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cheme using MEMS-based accelerometers
KR201000602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mage diagnosis of coatings by acoustic emission technique
KR101047353B1 (en) Load measuring device using sound
US8544327B2 (en) Acoustic impedance sensor designed to measure the input acoustic impedance of a waveguide
JP6764271B2 (en) Axial force measuring device, axial force measuring method,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ultrasonic inspection method and vertical probe fixing jig used for this
Liu et al. Metal core piezoelectric ceramic fiber rosettes for acousto-ultrasonic source localization in plate structures
CN109579976A (en) A kind of piezoelectric acceleration transducer sensitivity coefficient method of calibration
Humer et al. Testing the scattering analysis method for guided waves by means of artificial disturbances
Pai et al. Identification and applications of boundary effects in beams
EP2995942A1 (en) A pipe fault detection system
Lizé et al. Combination of frequency shift and impedance-based method for robust temperature sensing using piezoceramic devices for SHM
Esmaili et al. Liquid level measurement through capacitive pressure sensor
Koss et al. Euler beam bending wave solution predictions of dynamic strain using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