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120B1 -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120B1
KR101047120B1 KR1020080131720A KR20080131720A KR101047120B1 KR 101047120 B1 KR101047120 B1 KR 101047120B1 KR 1020080131720 A KR1020080131720 A KR 1020080131720A KR 20080131720 A KR20080131720 A KR 20080131720A KR 101047120 B1 KR101047120 B1 KR 10104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ion
result
scenario
module
sensor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3129A (en
Inventor
김진원
유미선
백광진
마평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120B1/en
Publication of KR2010007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노드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 변화, 및 이벤트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하며, 최적화된 결과를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센서 노드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 변화, 및 이벤트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하는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시각화한 결과화면을 생성하고, 결과화면에 유저 인터페이스 마련하여 시나리오에 대한 수정사항을 수신하며, 수정된 시나리오에 대해시뮬레이션 결과를 재 분석하는 결과 분석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for modeling and simulating scenarios for environmental changes and events in a space where a sensor node system is installed, and obtaining and analyzing optimized result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for modeling a scenario for the environment and the event of the space in which the sensor node system is installed, a simulator for performing a simulation for the scenario, and a result screen for visualizing the simulation result.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the result screen to receive modifications to the scenario, and including a result analysis module for reanalyzing the simulation result for the modified scenario.

센서 노드, 라우터, 공간, 시뮬레이터, 유즈 케이즈 다이어그램 Sensor Node, Router, Space, Simulator, Use Case Diagram

Description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Sensor node simulation system}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센서 노드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 변화, 및 이벤트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하며, 최적화된 결과를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for modeling and simulating scenarios for environmental changes and events in a space where a sensor node system is installed, and for obtaining and analyzing optimized results.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성장동력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 관리번호 : 2008-S-023-01, 과제명 : Nano Qplus 기반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IT growth engin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No .: 2008-S-023-01, Task Name: Development of Nano Qplus based sensor network simulator] ].

오늘날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작게는 홈 네트워크에서 크게는 빌딩 관리, 도시 관리 등 그 응용의 폭이 다양해지고 범위 또한 넓어지고 있다.Today, the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wider in applications, from small home networks to large building management and urban management.

USN은 건물, 도로, 및 기타 인간이 필요료 하는 지역에 센서 노드들을 배치하고, 센서 노드들을 통해 주변 환경의 변화(예컨대, 온도, 습도, 조도, 전압, 풍향, 교통량, 오존 농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기타 인간이 측정하고자 하는 다양한 환경 값)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환경을 가변하거나, 참고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USN은 향후, 가정, 물류, 및 유통, 교통, 행정, 보건, 복지, 그리고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예정에 있으며, 다가올 미래 사회의 기반 인 프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USN이 구축된 사회에서는 모든 사물의 지능화로 자율적으로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이들을 제어하는 정보 환경이 형성될 수 있다.USN places sensor nodes in buildings, roads, and other human-needed areas, and through sensor nodes changes in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humidity, light intensity, voltage, wind direction, traffic volume, ozone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 And other various environmental values to be measured by human beings) and used to change or refer to the environment using the measured values. Therefore, USN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home, logistics, and distribution,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health, welfare, and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will become the infrastructure of future society. In the society where the USN is built, the intelligence environment of all things can autonomously sen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form an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recognizes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controls them.

따라서, USN이 설치되고 운용되는 범위가 넓어질수록 USN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센서 노드를 회수하고 재 설치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Therefore, as the US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wider range, if an error occurs in the USN, a huge cost is required to recover and reinstall the sensor node.

그러므로 사업자 및 관리자는 견적, 설치, 유지보수 등의 정확한 예측 결과를 요구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해당한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견적, 설치, 유지보수와 관련 없이 네트워크 통신 자체에만 적용되고 있다.Therefore, operators and managers require accurate prediction results such as estimatio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the solution node is a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The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on the market is currently being applied only to network communication itself, without regard to quotatio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노드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 변화, 및 이벤트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하며, 최적화된 결과를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for modeling and simulating scenarios of environmental changes and events in a space where a sensor node system is installed, and obtaining and analyzing optimized results.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센서 노드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 변화 및,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및 상기 공간에 대한 환경변화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형성되며 각각의 시작과 종료에 대해 시 구간이 할당되는 시나리오를 모델링하는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시각화한 결과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결과화면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수정사항을 반영하며, 수정된 시나리오에 대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재 분석하는 결과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ny one of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space in which the sensor node system is installed, and at least one event and the environmental change for the space and a time interval is assigned to each start and end. An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for modeling a scenario being generated; A simulator for performing a simulation for the scenario; And a result analysis module for generating a result screen visualizing the simulation result,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the result screen to reflect modifications to the scenario, and reanalyzing the simulation result with respect to the modified scenario. It is achieved by a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실제 설치하기에 앞서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설치할 노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간에 배치되는 센서 노드의 적정 수를 파악하며, 이를 통해 설치비용에 대한 견적을 알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problem prior to the actual installation of the sensor network, and can know the location of the node to instal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number of sensor nodes disposed in the space through the simulation,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know the estimate for the installation cos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 를 나타낸다.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110), 시뮬레이터(120), 결과 분석모듈(140)을 구비한다.The illustrated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includes an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110, a simulator 120, and a result analysis module 140.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110)은 유즈 케이스 다이어그램(use case diagram)을 이용하여 건물, 도로, 및 이용 대상 공터와 같은 공간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110)은 개발자가 원하는 환경 조건이나, 이벤트 입력에 응답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공간에 수행할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110 may model a scenario for a space such as a building, a road, and a target vacant space using a use case diagram. The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110 provides an interface for creating a scenario to be performed in a simulation target space in response to an environmental condition or an event input desired by a developer.

인터페이스는 어떤 이벤트를 공간 내에서 어떤 시간대에 수행할 것인가를 설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11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interface is provided to set which events to perform at which time in the space.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110)에서 제공하는 유즈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2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face using a use case diagram provided by the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110.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메뉴(111), 구조창(112), 및 표시창(113)을 구비한다.The illustrated interface includes a menu 111, a structural window 112, and a display window 113.

메뉴(111)는 시나리오 생성 메뉴(111a), 범위 설정 메뉴(111b ∼ 111d), 및이동설정 메뉴(111e)를 구비한다. 시나리오 생성 메뉴(111a)는 개발자가 공간(예컨대 건물)에 대해 화재발생과 같은 이벤트를 주거나, 습도, 온도, 조도, 및 기타 공간에서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menu 111 includes a scenario generation menu 111a, range setting menus 111b to 111d, and a movement setting menu 111e. The scenario creation menu 111a allows a developer to give events such as fires to a space (eg, a building), or to set various environments that can be varied in humidity, temperature, illumination, and other spaces.

범위 설정 메뉴(111b ∼ 111d)는 공간에서 이벤트나 환경변화가 발생하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범위의 설정은 개발자가 마우스나 키보드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공간에 범위가 설정된 일 예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range setting menus 111b to 111d allow to set a section in which events or environmental changes occur in the space. Range settings can also be set by the developer using input devices such as a mouse or keyboard. An example in which a range is set in the spa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공간(건물) 내에 범위가 설정된 일 예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ange is set in a space (building).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건물)에는 참조부호 "A"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 범위가 설정되었으며, 범위가 설정된 영역(A)은 개발자가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을 조회하거나, 이벤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해당한다. 이러한 범위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정될 수 있으며, 그 개수에 제한은 없다.As shown, the space (building) has a range set for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 the area set (A) is a section in which the developer inquires about the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or events occur Corresponds to One or more of these ranges may be set,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한편, 도 2에서 범위설정 메뉴(111b ∼ 111d)는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용하여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범위 설정 메뉴(111a ∼ 111d)를 몇 개로 구분하고 있다.In FIG. 2, the range setting menus 111b to 111d divide the range setting menus 111a to 111d into several in order to be able to set a range us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도 2에서 참조하면 범위설정 메뉴(111b ∼ 111d)는 범위를 원으로 설정하는 제1범위설정 메뉴(111b), 범위를 사각형으로 지정하는 제2범위설정 메뉴(111c), 및 범위를 다각형으로 설정하는 제3범위설정 메뉴(111d)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ange setting menus 111b to 111d include a first range setting menu 111b for setting the range as a circle, a second range menu 111c for specifying the range as a rectangle, and a range as a polygon. The third range setting menu 111d is provided.

도 2에서, 시나리오 생성 메뉴(111a)를 선택할 때, 구조창(112)에는 공간(건물)에 적용할 각종 시나리오가 계층화되어 표시된다. 구조창(112)은 건물의 층별, 시간별, 범위별 시나리오가 작성되고 편집될 수 있도록 한다. 개발자는 구조창(112)을 통해 원하는 항목을 신설하고, 편집할 수 있으며, 편집 결과를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In FIG. 2, when the scenario generation menu 111a is selected, various scenarios to be applied to the space (building) are displayed in a layered manner in the structural window 112. Structural window 112 allows floor, time, and range scenarios of a building to be created and edited. The developer may create and edit a desired item through the structure window 112, and input the edit result into the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구조창(112)에 설정된 항목들 중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대해 별도의 설정창(113)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 설정창(113)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환경변 화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으로, 환경변화 1(온도/가스), 환경변화 2(조도), 및 환경변화 3(습도)에 대해 각각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이 설정되는 것을볼 수 있다.A separate setting window 113 may be displayed for the item selected by the developer among the items set in the structure window 112. In the figure, the setting window 113 is to create a scenario for the environmental change with the change of time, respectively for the environmental change 1 (temperature / gas), environmental change 2 (illumi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3 (humidity), respectively You can see the start time and end time set.

이동 설정창(114)은 사람, 또는 환경변수(예컨대, 온도, 습도, 조도, 가스,및 기타)를 X축, Y축, 및 Z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설정을 나타낸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설정창(114)은 이동 속도나 반복 이동을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movement setting window 114 indicates a setting for moving a person or an environment variable (eg,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gas, and the like) along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vement setting window 114 may also set the movement speed or the repeated movement.

결과 표시창(115)은 시나리오의 시작과 종료를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나타낸다. 결과 표시창(115)에서 시나리오의 프로세스를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시나리오를 파악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sult display window 115 shows the start and end of the scenario in the form of a diagram. In the result display window 115, the process of the scenario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diagram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identify and edit the scenario.

시뮬레이터(120)는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110)에서 편집된 시나리오에따라 센서 노드들의 기본적인 통신상태와 통신속도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물론, 공간 내에 필요한 센서 노드의 숫자를 재 산출하고, 공간에서 필요로 하는 최적의 센서 노드의 수를 판단하며, 통신 속도의 향상을 위한 센서 노드의 위치를 판단한다.The simulator 120 simulates the basic communication state and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sensor nodes according to the scenario edited by the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110, and recalculates the number of sensor nodes required in the space and needs the space.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sensor nodes, and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ensor node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peed.

- 최소 노드Minimum node

사용자가 구성한 센서 네트워크와 거의 동일한 센싱 결과 및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가장 적은 수의 노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판단한다. 기존의 센서 노드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중복된 센서, 및 라우터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sensor network that can be configured using the fewest number of nodes is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guaranteeing the same sensing result and normal communication as the sensor network configured by the user. This can be done by removing redundant sensors and routers without changing the location of existing sensor nodes.

- 속도 향상-Speed up

사용자가 구성한 센서 네트워크와 거의 동일한 센싱 결과 및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간 어디에 몇 개의 라우터를 추가로 설치하면 좋을지, 위치를 옮겼을 때 더 많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라우터는 어떤 것들인지를 판단한다.How many additional routers should be installed in the space to improve the data transfer speed within the range that guarantees the same sensing results and normal communication as the sensor network you configured, and can cover more range when you move the location. Routers determine what they are.

- 안정성- stability

통신 부하가 많고 재전송 확률이나 전송 실패율이 평균보다 높은 곳을 중심으로 추가 노드를 설치하면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는 부분을 판단한다.If additional nodes are installed around the communication load and the retransmission probability or transmission failure rate is higher than the average, it is determined that stability can be improved.

데이터베이스(130)는 시뮬레이터(120)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XML 포멧으로 저장한다.The database 130 stores the simulation result in the simulator 120 in an XML format.

결과 분석모듈(14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제어, 모습, 공간에 배치된 노드에 대한 형상화, 및 각 노드 간 패키 송수신의 결과를 2D, 또는 3D로 표현한다.The result analysis module 140 expresses the results of motion control, appearance, shaping for nodes arranged in a space, and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nodes in 2D or 3D based on simulation results stored in the database 130. do.

바람직하게는, 결과 분석모듈(140)은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시각화모듈(141), 시뮬레이션 동작 시각화모듈(142), 및 문제점 분석모듈(144)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result analysis module 140 is composed of a simulation analysis result visualization module 141, a simulation operation visualization module 142, and a problem analysis module 144.

시뮬레이션 동작 시각화 모듈(142)은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제어와 동작하는 모습을 시각화한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시각화 모듈(141)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올라오는 중간, 또는 최종 결과값을 시각화한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시각화 모듈(141)은 노드수, 에너지 잔량, 패킷수신, 패킷송신에 대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simulation motion visualization module 142 visualizes the motion control and the motion of executing the simulation. The simulation analysis result visualization module 141 visualizes intermediate or final result values that are uploaded to the database 130. Simulation analysis result visualization module 141 may provide a result for the number of nodes, energy remaining, packet reception, packet transmission.

시각화 모듈(143)은 시뮬레이션 동작 시각화 모듈(142)과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시각화 모듈(141)에서 나온 결과를 2D나 3D로 보여주는 모듈로서, 2D 표현을 위한 2D 시각화 모듈(143a), 및 3D 시각화 모듈(143b)을 구비한다. 환경 변화 시나리오 생성 도구 모듈은 시뮬레이터가 입력으로 사용할 환경 변화 시나리오를 UI를 통해 작성하도록 한다.The visualization module 143 is a module that displays the results from the simulation motion visualization module 142 and the simulation analysis result visualization module 141 in 2D or 3D. The visualization module 143 is a 2D visualization module 143a for a 2D representation, and a 3D visualization module ( 143b). The environment change scenario generation tool module allows the simulator to create environment change scenarios to be used as input through the UI.

문제점 분석모듈(144)은 공간에 배치되는 센서 노드의 적정 개수, 및 센서 노드간 통신 속도의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 대상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정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 문제점 분석모듈(144)은 시각화 모듈(143)을 통해 공간에 대해 시각화된 이미지, 및 이미지와 연동되어 표시되는 문제점 결과 리포트를 표현한다.The problem analysis module 144 proposes an appropriate number of sensor nodes arranged in a space, and items to be corrected in a sensor network to be simulated to improve communication speed between sensor nodes. The problem analysis module 144 represents an image visualized for the space through the visualization module 143 and a problem result report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image.

이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ogether.

도 4는 문제점 분석모듈(144)에 의해 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face presented by the problem analysis module 144.

도 4를 참조하면, 문제점 분석모듈(144)은 시뮬레이션 대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 통신에 문제가 발생한 센서 노드의 번호, 중복 라우터에 대한 번호, 및 통신 불능의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일 측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4, the problem analysis module 144 may include an image of a simulation target space, a number of sensor nodes having a communication problem, a number of redundant routers, and information on a sensor node that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isplay.

또한, 문제점 분석모듈(144)은 각 센서 노드의 통신 범위, 또는 환경 변화에 대한 센싱 범위를 감안하여 공간(건물)에서 필요로 하는 최소 노드의 개수를 구하는 메뉴, 속도 향상을 위해 추가로 요구되는 센서 노드나 라우터의 개수, 및 위치를 제시하는 속도향상 메뉴, 및 안정성 설정메뉴 등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oblem analysis module 144 is a menu for obtaining the minimum number of nodes needed in the space (build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mmunication range of each sensor node or the sensing range for environmental changes, which is additionally required for speed improvement. And a speedup menu for present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sensor nodes and routers, and a stability setup menu.

도 5는 시뮬레이터의 일 예에 대한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5 show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simulator.

도시된 시뮬레이터(120)에서 시뮬레이션 결과 저장/분석 모듈(121)은 사용자 가 설정한 출력 옵션을 참조하여 노드 시뮬레이션 모듈(122)과 네트워크 환경 시뮬레이션 모듈(123)로부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만들어 내는데 필요한 모든 노드와 관련된 정보, 패킷 전송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In the illustrated simulator 120, the simulation result storage / analysis module 121 refers to all nodes necessary for generating simulation results from the node simulation module 122 and the network environment simulation module 123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options set by the user.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and packet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시뮬레이션 결과 저장/분석모듈(121)은 수집한 정보를 일정한 시간 간격, 혹은 이벤트 발생 시마다 중간 로그로 생성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저장/분석모듈(121)은 시뮬레이션이 종료되면, 지속적으로 수집한 중간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 결과 및 추정 결과를 추출하여 최종 결과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The simulation result storage / analysis module 121 generates the collected information as an intermediate log every time interval or event occurs. The simulation result storage / analysis module 121 generates a final result log file by extracting statistical results and estimation results based on the intermediate results continuously collected when the simulation ends.

도 6은 계층적인 동작 시각화의 일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example of hierarchical motion visualization.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시각화는 크게 3개의 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1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대상 전체 프로젝트의 모습을 층별로 보여줄 수 있고, 2단계에서는 각 층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이때, 노드는 색깔별로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고, 패킷의 흐름은 화살표의 굵기로 표현된다. 3단계에서 2단계보다 더 세부적인 각 방이나 각 호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otion visualization may be expressed in three steps. First, in the first stage, the whole project of the simulation target can be shown by layer, and in the second stage, the details of each layer can be shown. In this case, the node represents the amount of energy by color, and the flow of the packet is the thickness of the arrow. It is expressed as You can express each room or arc more detailed than steps 2 through 2.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에서 제공하는 유즈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using a use case diagram provided by an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도 3은 공간(건물) 내에 범위가 설정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ange is set in a space (building);

도 4는 문제점 분석모듈에 의해 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presented by a problem analysis module;

도 5는 시뮬레이터의 일 예에 대한 블록개념도, 그리고5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simulator, and

도 6은 계층적인 동작 시각화의 일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example of hierarchical motion visualiza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 120 : 시뮬레이터110: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120: simulator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결과 분석모듈130: database 140: result analysis module

Claims (7)

센서 노드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 변화 및,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및 상기 공간에 대한 환경변화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형성되며 각각의 시작과 종료에 대해 시 구간이 할당되는 시나리오를 모델링하는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Edit environment change scenario modeling a scenario in which a sensor node system is installed, and a scenario in which at least one event and an environment change to the space are formed and a time interval is allocated to each start and end. module;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터; 및A simulator for performing a simulation for the scenario; And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시각화한 결과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결과화면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수정사항을 반영하며, 수정된 시나리오에 대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재 분석하는 결과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And a result analysis module for generating a result screen visualizing the simulation result,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the result screen to reflect modifications to the scenario, and reanalyzing the simulation result for the modified scenario.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환경변화 시나리오 편집모듈은,The environment change scenario editing module, 유즈 케이스 다이어그램(use case diagram)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model the scenario for the space using a use case diagram (use case diagra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The user interface is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환경변화 발생 범위, 및 이벤트의 발생 범위 중 어느 하나를 가변하고, 가변 된 발생 범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결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And a simulation result for the variable generation range is displayed on the result screen by varying one of the environment change generation range and the event generation ran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과 분석모듈은,The result analysis module,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2D 시각화, 및 3D 시각화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시각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And a visualization module for performing any one of 2D visualization and 3D visualization of the simula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과 분석모듈은,The result analysis module, 시뮬레이션 대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 통신에 문제가 발생한 센서 노드의 번호, 중복 라우터에 대한 번호, 및 통신 불능의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문제점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And a problem analysis module for extracting an image of a simulation target space, a number of sensor nodes having a communication problem, a number of redundant routers, and information on a sensor node that is incapable of communication. Simul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과 분석모듈은,The result analysis module, 상기 시뮬레이터의 시뮬레이션 중간, 및 최종 결과값 중 어느 하나를 시각화하는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시각화모듈; 및A simulation analysis result visualization module for visualizing any one of a simulation intermediate and a final result of the simulator; And 상기 시뮬레이터가 상기 시나리오에 대한 수행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화하는 시뮬레이션 동작 시각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노드 시뮬레이션 시스템.And a simulation operation visualization module for visualizing, by the simulator,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scenario over time.
KR1020080131720A 2008-12-22 2008-12-22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KR101047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720A KR101047120B1 (en) 2008-12-22 2008-12-22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720A KR101047120B1 (en) 2008-12-22 2008-12-22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129A KR20100073129A (en) 2010-07-01
KR101047120B1 true KR101047120B1 (en) 2011-07-07

Family

ID=4263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720A KR101047120B1 (en) 2008-12-22 2008-12-22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1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496A (en) * 2021-11-02 2023-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onboard wireless ap based on 3d mode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269A (en) * 2005-11-29 2007-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of sensor network
KR20070058957A (en) * 2005-12-05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bugging sensor network using sim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269A (en) * 2005-11-29 2007-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of sensor network
KR20070058957A (en) * 2005-12-05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bugging sensor network using simul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496A (en) * 2021-11-02 2023-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onboard wireless ap based on 3d mode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KR102537518B1 (en) * 2021-11-02 2023-05-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onboard wireless ap based on 3d mode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129A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rroso-Saenz et al. An open IoT platform for the management and analysis of energy data
Bottaccioli et al. Building energy modelling and monitoring by integration of IoT devices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7912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energy efficient buildings using a plurality of synchronized workflows
Lee et al. A study on data visualization of embedded sensors for building energy monitoring using BIM
Aelenei et al. Smart city: A systematic approach towards a sustainable urban transformation
Bruneau et al. DiaSim: A parameterized simulator for pervasive computing applications
Prandi et al. Using CityGML to deploy smart-city services for urban ecosystems
El-Sheikh et al. Building skin intelligence
Pianini et al. Distributed statistical analysis of complex systems modeled through a chemical metaphor
Chang et al. Modeling and design of smart buildings
Sarmas et al. A web-based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ervice
KR101047120B1 (en) Sensor node simulation system
Attia Computational Optimisation for Zero Energy Building Design, Interviews with Twenty Eight International Experts
Haefner et al.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Energy Efficiency Concepts Using Virtual Reality.
Malavazos et al. Energy and behavioural modelling and simulation for ee-buildings design
Safaei et al. SmartSim: Graphical sensor network simulation based on TinyOS and TOSSIM
Daher et al. Post-occupancy Evaluation Parameters in Multi-objective Optimization–Based Design Process
Caballé et al. Modeling and performance analysis of networking and collaborative systems
Mahdavi A combined product-process model for building systems control
Gaetani et al. Fit-for-Purpose Occupant Modeling: Choosing the Right Approach
Akbas et al. Temporal visualization of building occupancy phase
US11636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events on smart cities
Sun et al. UrbanGen: Generating Combined In-and Outdoor Trajectories
Mazurek et al. Technology pillars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cities based on open software architecture for end2end data streaming
Kensek Analytical BIM: BIM fragments, domain gaps, and other impedi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