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094B1 -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 Google Patents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094B1
KR101047094B1 KR1020090041061A KR20090041061A KR101047094B1 KR 101047094 B1 KR101047094 B1 KR 101047094B1 KR 1020090041061 A KR1020090041061 A KR 1020090041061A KR 20090041061 A KR20090041061 A KR 20090041061A KR 101047094 B1 KR101047094 B1 KR 10104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tension spring
connec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159A (ko
Inventor
조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어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어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어전자
Priority to KR102009004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0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단자부 양면에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인터페이스 포트(또는 USB포트) 내부의 텐션접지핀(이하 '텐션스프링'과 동일한 의미임)에 의한 접속단자 쇼트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쇼트방지회로를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텐션스프링이 국제규격에 어긋나는 경우 또는 사용중에 텐션스프링의 변형이 일어난 경우 이 텐션스프링(27:27a,27b)에 의해 전원공급단자와 데이터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지단자와 데이터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정상적 상황(인터페이스 포트의 불량)으로 인한 쇼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플러그는, 인터페이스 포트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플러그에 쇼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손상이나 데이터 손실의 유려가 없다.
플러그, 양면, 양방향, 쇼트방지회로, 불량, 텐션스프링, 텐션접지핀

Description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USB PLUG contacting Double side}
본 발명은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단자부 양면에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인터페이스 포트 내부의 텐션접지핀(이하 '텐션스프링'과 동일한 용어임)에 의한 접속단자 쇼트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쇼트방지회로를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페이스 포트 내부에 구비되는 텐션스프링이 국제규격에 어긋날 경우나 상기 텐션스프링(27a,27b)에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이 텐션스프링(27a,27b)에 의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지단자와 데이터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정상적 상황(인터페이스 포트의 불량)으로 인해 쇼트가 일어나 통신기기나 플러그에 피해를 주는 일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불량 포트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쇼트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를 제안한다.
최근, 컴퓨터, MP3플레이어, PDA, 디지털카메라, 휴대폰 등과 같은 각종 통 신기기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일이 많아졌다.
이러한 통신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통신기기에는 인터페이스 포트(20)('USB포트'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소켓'이라고도 한다. 이하 같다)가 구비되고, 플러그가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20)에 삽입되어 두 통신기기 간이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한다.
USB 메모리와 같은 플러그는 통신기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것이 아니라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통신기기에 전송하거나, 통신기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전송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송수신을 매개하는 각종 플러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단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포트(소켓)에 삽입되고, 상기 단자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인터페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4)에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은 소켓 하우징을, 도면부호 2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플러그는 접속단자가 단자부의 일면에만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포트에 삽입시 그 삽입방향을 항시 주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등록특허 제0424781호 "양방향단자 USB 플러그를 구비한 USB 저장장치"는 접속단자를 단자부의 양면에 모두 구비하여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 여도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인터페이스 포트의 접속핀에 접속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인터페이스 포트에는 접속핀(4)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단자부를 고정해 주면서 단자부(10)를 밀어 접속단자들(11)이 접속핀(4)에 확실히 접속되도록 하는 텐션스프링(27:27a,27b)도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텐션스프링은 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접속단자(11)에 상기 텐션스프링(27:27a,27b)이 접촉될 경우에는 접지단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면부호 26은 절연체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나타낸다.
따라서, 어느 쪽으로 삽입하더라도 원할히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플러그의 단자부 양면 모두에 접속단자를 구비한다면, 일면의 접속단자가 접속핀에 접속되는 동안에, 타면의 접속단자도 텐션스프링(27:27a,27b)에 접속되어 쇼트(단락)사고가 발생되어 통신기기나 플러그에 피해를 주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쇼트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626909호 "유에스비 포트에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한 2개의 측부를 갖는 유에스비 플러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는 단자부에 리브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에 접속단자를 구비시켰다. 그리하여 인터페이스 포트의 접속핀은 슬롯에 삽입되어 일면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동안, 텐션스프링(27)이 리브(12)에 접촉되게 하여 텐션스프링(27)이 반대쪽 면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쇼트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리브를 통해 쇼트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단자부 양면에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리브를 돌출 형성시키고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며, 리브(13)로 인해 단자부의 전체 두께는 두꺼워지는 반면에 리브를 제외시키면 단자부의 두께는 매우 얇아져 약한 외부충격에도 단자부가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지난 2008년 5월 19일자로 "쇼트방지회로를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를 출원번호 제10-2008-004590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로 한국 특허청에 출원하였다. 이 종래기술2는 쇼트사고 방지를 위해 단자부를 기계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고, 텐션스프링(27)과 접속단자(11) 간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쇼트방지회로를 구비하여, 매우 간단한 쇼트방지회로만으로 매우 저렴하게 양방향 플러그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이 종래기술2는 국제적으로 규격화된 인터페이스 포트의 경우가 아닌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쇼트방지기능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종래기술2에 의한 플러그 단자부가 국제규격에 부합되는 인터페이스 포트에 접속되는 경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텐션스프링(27a,27b)은 전원공급단자(11V)와 접지단자(11G)에 각각 접촉되며, 데이터단자(11D1, 11D2)에는 전혀 접촉되지 않는다. 종래기술2는 이러한 정상적인 상태의 경우에 텐션스프링(27a,27b)에 의한 쇼트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쇼트방지회로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국제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불량 인터페이스 포트이거나,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스프링(27a)의 폭이 정상보다 넓거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스프링(27b)의 위치가 잘못 세팅되어 조립되거나,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불량으로 인해 텐션스프링의 측면에 가시(bur)가 있는 경우, 비정상적인 텐션스프링(27a,27b)에 의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거나,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7a는 텐션스프링(27a)의 폭이 정상보다 넓어서 발생되는 문제로서, 좌측의 텐션스프링(27a)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7b는 텐션스프링(27)이 정상위치보다 안쪽으로 치우쳐져 구비되어 발생되는 문제로서, 우측의 텐션스프링(27b)이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7c는 텐션스프링(27)의 상부 측면에 가시(bur)가 제거되지 못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가시(bur)에 의해서도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국제적으로 규격화된 인터페이스 포트의 경우가 아닌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쇼트방지 기능을 얻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의 선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45908호("쇼트방지회로를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에서 제안된 쇼트방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플러그는,
통신기기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삽입되며, 접속단자들(접지단자(11G), 2개의 데이터단자(11D1,11D2) 및 전원공급단자(11V))이 단자부(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단자부(10)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단자부의 삽입방향에 무관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된 접속핀(4)에 접속되며;
상기 접속핀(4)에 접속되지 않은, 반대편 면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되어 있는 텐션스프링(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쇼트방지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스프링(27)에 의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의 전기적 접촉 및 접지단자와 데이터단자의 전기적 접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접촉차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차단수단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나, 후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원 발명의 목적달성이 가능하고,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본원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양방향 플러그의 쇼트사고 방지를 위해 텐션접지핀(텐션스프링)과 접속단자 간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쇼트방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포트가 규격에 어긋나거나 또는 텐션 접지핀이 규격기준에 맞지 않음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쇼트사고까지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이고, 도 3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본체부(100), 단자부(10),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일어지고, 상기 단자부 또는 본체부에는 쇼트방지회로(30)가 구비된다. 도 1은 본체부가 메모리인 플러그를 도시한 것이고, 통신기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플러그는 두 통신기기에 각각 접속되는 두 플러그가 구비되고 이 두 플러그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부(10)는 통신기기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삽입되며 절연체로서 PCB의 기판으로 보면 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인터페이스 포트의 접속핀에 접속되는 도전체로서 상기 PCB의 양면에 인쇄되어 있는 회로패턴으로 보면 된다.
상기 접속단자들은 통상 전원공급선(VCC(VCC1, VCC2 포함) 또는 11V), 접지선(GND 또는 11G), 데이터통신을 위한 양극선(D+ 또는 11D1)과 음극선(D- 또는 11D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부(10) 양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단자부를 인터페이스 포트에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각각 대응하는 접속핀(4)에 접속된다.
도 2는 단자부(10)에 구비되어 있으며 다이오드(D1,D2)를 사용한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1, TR2)를 사용한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쇼트방지회로(30)는, 텐션스프링(27)이 전원공급단자(11V)에 접속되어 발생되는 쇼트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왜냐하면, 규격 규정에 의해 정상적으로 제작된 플러그라면 텐션스프링(27)이 데이터 양극선(D+) 또는 음극선(D-)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선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45908호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간략하게 회로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쇼트방지회로(30)는 단자부 양면의 전원공급선(VCC1, VCC2)에 각각 연결되어, 일면의 전원공급선과 접지핀의 전기적연결을 도통시키고, 타면의 전원공급선과 텐션접지핀의 전기적연결은 차단시키는 전자소자를 핵심으로 하고, 상기 전자소자로는 다이오드(D1,D2)와 트랜지스터(TR1, TR2)를 사용하였다.
도2는 단자부(10)에 구비되어 있으며 다이오드(D1,D2)를 사용한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이고, 도3은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1, TR2)를 사용한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쇼트방지회로가 단자부나 본체부 어디에 구비되어 있건,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고, 본체부(100)에 쇼트방지회로(3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단자부(10)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는 본체부(100)에서 같은 선들(GND, D+, D-)이 하나로 연결되되, 두 전원공급선(VCC1, VCC2)은 쇼트방지회로의 연결부분까지는 하나로 연결되지 않는다.
우선, 도면에서 CON1은 단자부(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포트에 삽입되어 접속핀(또는 텐션접지핀)에 접속되는 부분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이고, CON2는 단자부(10)의 타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인터페이스포트에 삽입되어 텐션스프링에 접속되는 부분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이고, CON3는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의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이고, CON4는 상기 CON3과 연결되는 본체부(100)의 접속단자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CON5는 본체부(100)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본체에 연결된 케이블에 연결되는 접속단자의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여 다이오드(D1, D2)를 이용한 쇼트방지회로와 그 작용을 설명한다. 다이오드는 주지하다시피 어느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킨다. 즉, 순방향의 전류는 통과시키고 역방향의 전류는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해, 두 전원공급선(VCC1, VCC2) 각각에 애노드단은 포트를 향하고 캐소드단은 본체부를 향햐도록 다이오드(D1,D2) 연결하여 전원공급선(VCC1 또는 VCC2)과 접속핀은 도통(ON)시키고, 다른 전원공급선(VCC2 또는 VCC1)과 텐션스프링 사이를 차단(OFF)시킨다.
예를 들어, CON1이 인터페이스포트의 접속핀에 접속된 경우에, CON1의 GND, D+, D-선은 그대로 CON3에 연결되어 정상 동작하고, VCC1은 다이오드(D1)을 통해 전원(전류)을 CON3에 전달하고, CON2의 D+, D-은 인터페이스포트의 구조상 텐션접지핀에 접속되지 아니하고, GND는 텐젼집지핀에 접속되어도 같은 접지선이므로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VCC2는 텐션접지핀에 접속되어도 다이오드(D2)가 본체부에서 유입되는 역방향의 전류를 차단(즉, CON2의 VCC2와 CON3의 VCC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므로, 플러그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3을 참조하여 트랜지스터(TR1, TR2)를 사용한 쇼트방지회로와 그 작용을 설명한다. 트랜지스터는 주지하다시피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로우 또는 하이)에 따라 도통되거나 차단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이용해 두 전원공급선(VCC1, VCC2)에 이미터단은 포트를 향하고 콜렉터단은 본체부를 향햐도록 트랜지스터(TR1, TR2)를 연결하고, 접속핀이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의 트랜지스터 베이스단에는 로우가 입력되고, 다른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는 하이가 입력되도록 하여, 전원공급선과 접지핀은 도통시키고, 다른 전원공급선과 텐션접지핀은 차단시켜 쇼트사고를 방지한다. 그리고 두 트랜지스터(TR1, TR2)의 베이스단에는 각각 제1저항(R1, R2)과 제2저항(R3, R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저항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과 다른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이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선(단자부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은 제1저항과 접지선 사이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CON1이 인터페이스포트의 접속핀에 접속된 경우에, CON1 및 CON2의 GND, D+, D-은 도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정상 작동하고, VCC1은 통신기기로부터 일정크기의 전압을 인가 받고, VCC2는 텐션접지핀에 접속되거나 허공에 있는 상태로서, VCC1은 정상 작동하고 VCC2는 텐션접지핀에 단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TR1은 도통되고 TR2는 차단된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즉, TR1의 베이스단은 로우가 입력되고, TR2의 베이스단은 하이가 입력되어야 한다.), VCC1의 전원공급선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인 TR1의 베이스단은 R1을 통해 VCC2의 전원공급선에 연결되고 VCC2의 전원공급선은 텐션접지핀에 연결되어 접지상태이므로 TR1의 베이 스단은 로우 상태가 되고, 또한, VCC2가 텐션접지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허공에 떠서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는 TR1의 베이스단은 R4(FULL DOWN 저항)를 통해 접지선(GND)에 연결되어 로우 상태가 되어 TR1은 도통(ON) 상태가 되고, VCC2의 전원공급선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인 TR2의 베이스단은 R2를 통해 VCC1의 전원공급선에 연결되어 통신기기에서 인가하는 전압에 의해 하이 상태가 되어 TR2는 차단(OFF)상태가 되어, VCC1의 전원공급선은 인터페이스포트의 접속핀 및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상작동하고, VCC2의 전원공급선은 인터페이스포트의 텐션접지핀에 접속되어도 쇼트가 되지 아니하여 플러그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쇼트방지회로를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 그 자체만으로는, 이러한 비정상적 상황(인터페이스 포트의 불량)으로 인한 쇼트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텐션스프링이 국제규격에 어긋나는 경우, 사용중에 텐션스프링의 변형이 일어난 경우 등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전원공급단자와 데이터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지단자와 데이터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접촉차단수단을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를 제안한다.
즉, 본원 발명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서 텐션스프링(27)이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에 동시에 접촉되는 경우 또는 텐션스프링(27)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2)에 동시에 접촉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통신기기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삽입되며, 접속단자(접지단자(11G), 2개의 데이터단자(11D1,11D2) 및 전원공급단자(11V))이 단자부(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단자부(10)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단자부의 삽입방향에 무관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된 접속핀(4)에 접속되며;
상기 접속핀(4)에 접속되지 않은, 반대편 면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되어 있는 텐션스프링(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쇼트방지회로(30)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스프링(27)에 의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단자(11V)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에 비해 데이터단자(11D1)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이 더 낮아지는 단차(段差)를 형성하고,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단자(11G)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에 비해 데이터단자(11D2)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이 더 낮아지는 단차(段差)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단자(11V)의 표면에 비해 데이터단자(11D1)의 표면이 더 낮아지도록 두 단자의 표면 사이에 단차(段差)를 형성하면, 텐션스프링(27)의 폭이 규정보다 넓다 하더라도 텐션스프링(27)이 전원공급단자(11V)에만 접촉될 뿐, 데이 터단자(11D1)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데이터단자(11D2)의 표면을 접지단자(11G)의 표면에 비해 더 낮도록 구성하여 두 단자 사이에 단차(段差)를 형성하면, 텐션스프링(27)의 폭이 규정보다 넓다 하더라도 접지단자(11G)에만 접촉될 뿐, 텐션스프링(27)이 데이터단자(11D2)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결국, 데이터단자(11D1,11D2)의 표면을 인접한 단자(전원공급단자(11V), 접지단자(11G))에 비해 오목한 위치에 구성시킴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텐션스프링(27)에 의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 중의 어느 한 접속단자의 표면에, 나머지 단자표면에 비해 외부로 도드라진 융기부(B)를 형성하고,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 중의 어느 한 단자의 표면에, 나머지 단자표면에 비해 외부로 도드라진 융기부(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서는 전원공급단자(11V)와 접지단자(11G)에 융기부(B)를 형성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 때에는 인접한 데이터단자 측으로 치우친 가장자리 위치에 융기부(B)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융기부(B)가 데이터단자 쪽으로 치우쳐 있어야만 상기 융기부(B)의 표면과 데이터단자 표면 사 이의 높이차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가 상기 텐션스프링(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의 사이에 리브(12)를 형성하고,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 사이에도 리브(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리브(12)는 불량 텐션스프링(27)이 인접한 데이터단자(11D) 쪽으로 접촉되지 못하게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에서는 데이터단자(11D1)와 데이터단자(11D2) 사이에도 제2리브(13)를 추가로 더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제2리브(13)의 적용 여부는 선택사항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양방향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트방지회로의 회로도.
도 4는 일반적인 USB소켓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반적인 USB소켓의 정면도
도 6은 양방향 플러그의 정상 접속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텐션스프링 폭이 규정된 폭 이상으로 넓은 경우에 양방향 플러그에 발생될 수 있는 불량접속(쇼트) 사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b는 텐션스프링의 위치가 규정된 위치가 아닌 경우에 양방향 플러그에 발생될 수 있는 불량접속(쇼트) 사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c는 텐션스프링의 측면에 burr 등에 의해 양방향 플러그에 발생될 수 있는 불량접속(쇼트) 사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부 10: 단자부
11: 접속단자
11(G): 접지단자
11(D1),11(D2) : 데이터단자
11(V): 전원공급단자
20: 포트(소켓) 3: 절연체
26: 절연체 지지스프링 27: 텐션스프링(텐션접지핀)
30: 쇼트방지회로

Claims (4)

  1. 삭제
  2. 통신기기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삽입되며, 접속단자(접지단자(11G), 2개의 데이터단자(11D1,11D2) 및 전원공급단자(11V))이 단자부(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단자부(10)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단자부의 삽입방향에 무관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된 접속핀(4)에 접속되며;
    상기 접속핀(4)에 접속되지 않은, 반대편 면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되어 있는 텐션스프링(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쇼트방지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스프링(27)에 의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단자(11V)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에 비해 데이터단자(11D1)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이 더 낮아지도록 단차(段差)를 형성하고,
    상기 텐션스프링(27)에 의해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단자(11G)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에 비해 데이터단자(11D2)가 부착된 단자부 표면이 더 낮아지도록 단차(段差)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3. 통신기기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삽입되며, 접속단자(접지단자(11G), 2개의 데이터단자(11D1,11D2) 및 전원공급단자(11V))이 단자부(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단자부(10)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단자부의 삽입방향에 무관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된 접속핀(4)에 접속되며;
    상기 접속핀(4)에 접속되지 않은, 반대편 면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인터페이스 포트에 구비되어 있는 텐션스프링(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쇼트방지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스프링(27)에 의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단자(11V)와 데이터단자(11D1) 중의 어느 한 단자의 표면에, 나머지 단자면에 비해 도드라진 융기부를 형성하고,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단자(11G)와 데이터단자(11D2) 중의 어느 한 단자의 표면에, 나머지 단자면에 비해 도드라진 융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4. 삭제
KR1020090041061A 2009-05-12 2009-05-12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KR10104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061A KR101047094B1 (ko) 2009-05-12 2009-05-12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061A KR101047094B1 (ko) 2009-05-12 2009-05-12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159A KR20100122159A (ko) 2010-11-22
KR101047094B1 true KR101047094B1 (ko) 2011-07-14

Family

ID=4340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061A KR101047094B1 (ko) 2009-05-12 2009-05-12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9113A (zh) * 2013-05-21 2013-08-21 常熟泓淋电子有限公司 Usb连接器
KR101951497B1 (ko) * 2014-10-07 2019-02-2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KR101672781B1 (ko) * 2014-11-18 2016-11-07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수평배열 어셈블리용 초소형 led 소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평배열 어셈블리
CN104538773B (zh) * 2014-12-19 2017-08-25 刘红梅 可正反插的电源插头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909B1 (ko) * 2004-08-24 2006-09-20 리-호 야오 유에스비 포트에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한 2개의 측부를갖는 유에스비 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909B1 (ko) * 2004-08-24 2006-09-20 리-호 야오 유에스비 포트에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한 2개의 측부를갖는 유에스비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159A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490B1 (ko) 쇼트방지회로를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
US7717717B1 (en) User-friendly USB connector
US20080200072A1 (en) Common interface for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
US20130157517A1 (en) Usb socket and plug capable of dual-side insertion
KR101047094B1 (ko) 쇼트 방지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플러그
US8393916B2 (en) Card-edge connector and card-edge connector assembly having heat-radiating structures
JP2002540517A5 (ko)
KR20110084344A (ko) 사각프레임을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
KR10192112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CN101142718A (zh) 插接连接器
US735431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pin
US7416429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20030171035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USB
US20170264057A1 (en) Non-reversible plug connector for device charging
CN110998986A (zh) 正反双面电连接器
US20190058285A1 (en) Adapt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adapter
US20060211275A1 (en) Card-edge board connector
US7044798B2 (en) Card connector
JP2013041830A (ja) Usbオスコネクタ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CN101931148B (zh) 连接器插座与手持电子装置
EP3703197B1 (en) Connector having surge prevention function and circuit board including same
KR101321656B1 (ko) 고속 메모리 카드 어댑터와 소켓용 커넥터
US20070197085A1 (en) Batteru connector and battery for protecting circuit system
CN203193014U (zh) 移动存储装置及其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