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246B1 -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 Google Patents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246B1
KR101046246B1 KR1020080084959A KR20080084959A KR101046246B1 KR 101046246 B1 KR101046246 B1 KR 101046246B1 KR 1020080084959 A KR1020080084959 A KR 1020080084959A KR 20080084959 A KR20080084959 A KR 20080084959A KR 101046246 B1 KR101046246 B1 KR 10104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light
light
case
solar cell
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099A (ko
Inventor
오정민
Original Assignee
오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민 filed Critical 오정민
Priority to KR102008008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2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2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은 내부에 흙이 채워져 꽃이나 나무를 재배하기 위한 화분케이스와, 화분케이스의 외측에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태양광선을 채광하기 위한 채광부, 및 채광부와 호스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화분케이스의 꽃이나 나무에 광원이 조사되도록 채광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되기 위한 발광램프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태양광선을 채광 및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식물의 광합성 환경이 가능하도록 광원을 조사하게 됨으로써, 실내는 물론 태양광선이 소멸되는 야간, 흐린 날, 눈 또는 비가 오는 날에도 식물의 광합성을 활성화시켜 성장을 촉진할 수 있고, 태양광선을 이용함으로써 식물의 광합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84959
화분, 태양광선, 광합성

Description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FLOWERPOT USING SOLAR}
본 발명은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실내는 물론 태양광선이 소멸되는 야간, 날씨가 흐린 날, 눈 또는 비가 오는 날에도 식물 등의 광합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다양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에는 관상용뿐만 아니라 환경물질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꽃이나 나무 등을 재배할 수 있어 주거용 공간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이다.
이러한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은 성장을 위해 필수적으로 충분한 수분공급과 광합성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태양광선의 조사가 원활한 장소에 비치된다.
그러나, 기존의 화분은 태양이 있는 날의 경우에 일광의 조사를 통해 식물들의 광합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태양이 소멸되는 야간, 흐린 날, 눈 또는 비가 오는 날은 물론 실내의 경우에는 광합성이 불가능하여 식물들이 성장이 저하되거나 시들어 죽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 화분의 경우에 부피가 크고 무거워 광합성을 위해 일광이 조사되 는 위치로 이동시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실내는 물론 태양광선이 소멸되는 야간, 날씨가 흐린 날, 눈 또는 비가 오는 날에도 식물 등의 광합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져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케이스;
상기 화분케이스의 외측에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태양광선을 채광하기 위한 채광부; 및
상기 채광부와 호스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화분케이스의 식물에 광원이 조사되도록 채광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되기 위한 발광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채광부는 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화분케이스의 외측에 양 측면이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는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수납공간부에 구비되고 태양광선을 채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쏠라셀; 상기 쏠라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고 발광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축전지; 및 상기 쏠라셀, 제어부 및 축전지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납공간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채광창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부재는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램프는 호스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화분케이스와 하우징부재 사이에는 태양광선의 채광에 따른 하우징부재의 수평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소형 가스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선을 채광 및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식물의 광합성 환경이 가능하도록 광원을 조사하게 됨으로써, 실내는 물론 태양광선이 소멸되는 야간, 흐린 날, 눈 또는 비가 오는 날에도 식물의 광합성을 활성화시켜 성장을 촉진할 수 있고, 태양광선을 이용함으로써 식물의 광합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흙이 채워져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케이스(10)와, 화분케이스(10)의 외측에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태양광선을 채광하기 위한 채광부(20)와, 채광부(20)와 호스부재(30)를 매개로 연결되고 화분케이스(10)에 재배되는 식물에 광원이 조사되도록 발광되기 위한 발광램프(4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채광부(20)는 내부에 수납공간부(23)를 가지며 화분케이스(10)의 외측에 양 측면이 힌지부(21)를 매개로 결합되는 하우징부재(22)와, 하우징부재(22)에 구비되고 태양광선을 채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쏠라셀(24)과, 쏠라셀(24)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고 발광램프(40)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와,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축전지(26), 및 쏠라셀(24), 제어부(25) 및 축전지(26)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부재(22)의 수납공간부(23)를 밀폐시키기 위한 채광창(27)으로 구성된 것이다.
하우징부재(22)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쏠라셀(24), 제어부(25) 및 축전지(26)가 수납되도록 전면에 개방되는 수납공간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부재(22)는 태양광선의 채광시에는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수평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태양광선의 채광 후에는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수직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부재(22)의 수평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화분케이스(10)와 하우징부재(22) 사이에는 지지부재(28)가 구비된다. 이때, 지지부재(28)의 양단은 화분케이스(10)와 하우징부재(22)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8)는 소형 가스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쏠라셀(24)은 하우징부재(22)의 수납공간부(23)에 설치된다. 이러한 쏠라셀(24)은 채광창(27)을 통과한 태양광선을 받게 되면 반도체의 광전효과가 일어나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제어부(25)는 쏠라셀(24)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수납공간부(23)에 설치된다. 이때, 제어부(25)는 제어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쏠라셀(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25)는 쏠라셀(24)의 채광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26)에 충전시키고, 축전지(26)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발광램프(40)의 발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제어부(25)는 태양광선이 있는 주간에는 쏠라셀(24)의 채광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26)에 충전시키고, 태양광선이 소멸되는 야간이나 날씨가 흐린 날 또는 눈이나 비가 오는 날에는 축전지(26)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발광램프(40)를 발광시키게 된다.
축전지(26)는 제어부(25)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수납공간부(23)에 설치된다. 이러한 축전지(26)는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쏠라셀(24)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게 된다.
채광창(27)은 하우징부재(22)의 수납공간부(23)를 밀폐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채광창(27)은 태양광선의 원활한 투과를 위해 투명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채광창(27)은 태양광선의 원활한 투과로 쏠라셀(24)의 광전효과를 활성화시키고 수납공간부(23)에 구비된 쏠라셀(24), 제어부(25) 및 축전지(26)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채광부(20)는 쏠라셀(24)로 태양광선을 채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26)에 충전시킨 후, 제어부(25)의 제 어에 따라 축전지(26)의 전기에너지를 발광램프(40)로 공급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발광램프(40)는 채광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채광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되어 화분케이스(10)에 재배되는 식물의 광합성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광원을 조사하게 된다.
호스부재(30)는 채광부(20)와 발광램프(4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발광램프(40)의 광원이 화분케이스(10)에 재배되는 식물의 다양한 위치에 조사되도록 발광램프(4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발광램프(40)는 호스부재(3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호스부재(30)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되는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광부(20)에 의한 태양광선의 채광시 하우징부재(22)가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에서 채광창(27)을 투과하는 태양광선을 쏠라셀(24)이 흡수하여 광전작용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되고, 쏠라셀(24)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제어부(25)에 의해 축전지(26)에 충전되게 된다.
이때, 하우징부재(22)는 태양광선의 채광에 따라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에서 지지부재(2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하우징부재(22)가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수직상태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재(22)는 태양광선의 채광이 완료된 후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수직상태로 회동되게 된다. 이는 지지부재(28)가 소형 가스실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채광창(27)은 투명체로 형성되어 하우징부재(22)의 수납공간부(23)를 밀폐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쏠라셀(24)로 조사되는 태양광선의 투과율을 높여 쏠라셀(24)의 채광에 따른 광전효과가 활성화시킬 수 있고, 식물의 수분공급시 수납공간부(23)에 구비된 쏠라셀(24), 제어부(25) 및 축전지(26)를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야간, 흐린 날, 눈 또는 비가 오는 날과 같이 태양광선이 소멸하게 되어 태양광선의 채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축전지(26)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호스부재(30)의 상단부에 구비된 발광램프(40)로 공급되게 되고, 발광램프(40)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화분케이스(10)에 재배되는 식물의 광합성이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되도록 점등되게 된다.
이때, 호스부재(30)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되는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짐으로써, 발광램프(40)의 광원이 화분케이스(10)에 재배되는 식물의 다양한 위치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다시 쏠라셀(24)의 채광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발광램프(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발광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선이 있는 동안에는 쏠라셀(24)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축전지(26)에 충전시키고, 태양광선이 소멸되면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축전지(26)에 충전되는 전기에너지를 발광램프(40)로 공급하여 화분케이스(10)에 재배되는 식물의 광합성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광원을 조사하는 일 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태양열 채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태양열을 이용한 실내 광합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분케이스 20 : 채광부
22 : 하우징부재 24 : 쏠라셀
25 : 제어부 26 : 축전지
27 : 채광창 28 : 지지부재
30 : 호스부재 40 : 발광램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흙이 채워져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케이스(10);
    상기 화분케이스(10)의 외측에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태양광선을 채광하도록 상기 화분케이스(10)의 외측에 양 측면이 힌지부(21)를 매개로 결합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수납공간부(23)를 갖는 하우징부재(22)와, 태양광선을 채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23)에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쏠라셀(24)과, 상기 쏠라셀(24)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시켜 발광을 제어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23)에 수납되는 제어부(25)와, 상기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는 축전지(26)와, 상기 쏠라셀(24), 상기 제어부(25) 및 상기 축전지(26)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채광창(27)으로 구성되는 채광부(20); 및
    상기 채광부(20)와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지는 호스부재(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호스부재(3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분케이스(10)의 식물에 광원이 조사되도록 상기 채광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되기 위한 발광램프(40)를 포함하며,
    상기 화분케이스(10)와 하우징부재(22) 사이에는 태양광선의 채광에 따른 하우징부재(22)의 수평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8)는 소형 가스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KR1020080084959A 2008-08-29 2008-08-29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Expired - Fee Related KR101046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959A KR101046246B1 (ko) 2008-08-29 2008-08-29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959A KR101046246B1 (ko) 2008-08-29 2008-08-29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99A KR20100026099A (ko) 2010-03-10
KR101046246B1 true KR101046246B1 (ko) 2011-07-07

Family

ID=4217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9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6246B1 (ko) 2008-08-29 2008-08-29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2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3489B1 (en) * 1999-08-13 2001-07-03 Beckett Corporation Lighted flower pot
KR200233592Y1 (ko) * 2000-12-14 2001-09-25 심천보 곤충류의 관상 및 사육이 가능한 이벤트용 조립체
KR200436029Y1 (ko) * 2006-02-06 2007-04-18 임기태 조명스탠드 겸용 실내 분재식물 생장관리 화분세트 및 그 형상구조
KR100853029B1 (ko) * 2008-02-28 2008-08-20 주식회사수프로 가로용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3489B1 (en) * 1999-08-13 2001-07-03 Beckett Corporation Lighted flower pot
KR200233592Y1 (ko) * 2000-12-14 2001-09-25 심천보 곤충류의 관상 및 사육이 가능한 이벤트용 조립체
KR200436029Y1 (ko) * 2006-02-06 2007-04-18 임기태 조명스탠드 겸용 실내 분재식물 생장관리 화분세트 및 그 형상구조
KR100853029B1 (ko) * 2008-02-28 2008-08-20 주식회사수프로 가로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99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66902U (zh) 温室用太阳能模块
TWI619432B (zh) Solar photovoltaic panel soil cultivation system
US20180084738A1 (en) Three-dimensional dynam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of
US20100277078A1 (en) Plant lighting system
KR100853029B1 (ko) 가로용 화분
JP2014033622A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US20250212735A1 (en) Plant holder with integrated lighting fixture and aesthetic features
KR101406002B1 (ko)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KR102177343B1 (ko) 이동설치와 내부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조립식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시스템
KR101046246B1 (ko) 태양광선을 이용한 화분
KR101610804B1 (ko) 화단용 조립식 화분
KR101411647B1 (ko) 자연광을 이용하는 식물 공장
KR101409049B1 (ko) 조경용 화분
KR20190125729A (ko) 발열 필름 및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비닐하우스
KR20100097326A (ko) 차세대 어항
KR20120116043A (ko) 박스형 식물재배장치
US5142819A (en) Greenhouse
CN202406658U (zh) Led植物辅助生长装置
CN206196492U (zh) 利用选择性透射光伏薄膜进行植物补光的阳光房
KR102494593B1 (ko) 가정용 작물 재배장치
CN208286085U (zh) 一种水产养殖用悬浮式水草种植器
CN211153011U (zh) 一种农作物智能控制温棚
JP3221077U (ja) パイプハウス
KR20120059754A (ko) 내외부광원 겸용형 자가발전 식물재배장치
KR101277053B1 (ko) 소규모 식물 재배용 발광다이오드형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