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150B1 -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 Google Patents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150B1
KR101046150B1 KR1020090025928A KR20090025928A KR101046150B1 KR 101046150 B1 KR101046150 B1 KR 101046150B1 KR 1020090025928 A KR1020090025928 A KR 1020090025928A KR 20090025928 A KR20090025928 A KR 20090025928A KR 101046150 B1 KR101046150 B1 KR 10104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nsor node
node
signal
no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7698A (en
Inventor
고동연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150B1/en
Publication of KR2010010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6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means to regulate power transfer to the integra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는, 개폐가 가능한 객체에 설치되는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제1면에 설치되며,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1노드 모듈; 및 상기 제1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객체의 제2면에 설치되며,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을 포함하는 제2노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의 제1면과 제2면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드 모듈 및 제2노드 모듈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모듈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an open / clo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installed in an openable object, and is provided on a first surface of the object and blocks the antenna signal and the signal blocking module. A first node module inclu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econd node module install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node module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for blocking an antenna signal, wherei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may be activated when the first node module and the second node module are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장치가 개폐됨에 따라 무선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송수신모듈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폐 장치의 개폐 여부 확인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전혀 필요하지 않아 더욱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센서 노드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activated as the switchgear is opened and closed, no additional device for checking or monitoring the switchgear is not required at all simpler In addition, the sensor node device can b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implemented, and an infrastructure for more efficiently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ubiquitous network can be provided.

Description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ODE PROVIDED IN OPENING AND CLOSING DEVICE}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ODE PROVIDED 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 리더기와 유비쿼터스 센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되어 개폐 장치에 장착된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 및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an open / clo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n RFID reader and a ubiquitous sensor function are integrated into one, and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re implemented. A 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물리적으로 이격된 대상을 무선 신호 등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방법 중 무선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지칭함) 시스템은 무선 신호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Among the methods of recognizing physically spaced objects by using a radio signal,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identifies a thin planar tag attached to an object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 radio signal. Refers to a system that processes information.

이러한 RFID 시스템은 안테나, 태그(Tag), 그리고 리더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더기는 태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무선주파수 전파를 사용하는데, 태그는 활성화되면 가지고 있던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리더기로 전송한다. 즉, 태그는 물품의 내용이나 주변의 상황 등의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다가 그 정보를 외부의 판독/기록(R/W) 단말기에 의해 읽고 쓰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는 수단으로서의 라디오 주파수(RF: Radio Frequency)인 전자파를 이용하는 ID 태그(이하 RFID 태그)가 사용되게 되었다. Such an RFID system consists of an antenna, a tag, and a reader. In this case, the reader uses radio frequency waves to transmit a signal for activating the tag. When the tag is activated, the tag transmits data to the reader through the antenna. That is, the tag stores information such as the contents of the article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the internal memory, and then reads and writes the information by an external read / write (R / W) terminal. As a means for checking, an ID ta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RFID tag) using electromagnetic waves, which is a radio frequency (RF), has been used.

이러한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를 사물 등에 부착하고 상기 RFID 태그와 RFID 리더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 방식으로 RFID 태그의 ID정보를 식별한다. The RFID system attaches an RFID tag to an object and identifies ID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FID tag and the RFID reader.

즉, 상기 RFID 리더기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RF신호를 RFID 태그로 전송함과 아울러 RFID 태그에서 반사되어 오는 RF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RFID 태그는 RFID 리더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반사함과 아울러 반사되는 신호에 ID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변조시켜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RFID 리더기가 ID정보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의 무선 주파수 내의 전자기 또는 정전기 커플링 사용을 통합시켜서 식별을 수행한다. That is, the RFID reader transmits an RF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the RFID tag and receives an RF signal reflected from the RFID tag. The RFID tag refl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FID reader and is reflected. Data including ID information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dentify the ID information, the RFID reader performs identification by integrating the use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coupling within a radio frequency in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region.

한편, 앞으로 RFID 시스템에 있어서의 태그는 유비쿼터스 센서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즉, RFID 리더의 요청이 있을 때만 초기에 입력된 식별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에서 벗어나서 센싱 및 메모리 기능이 추가되어 주변의 유동적인 정보를 탐지하여 능동적으로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유비쿼터스 센서로서 기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ag in the RFID system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ubiquitous sensor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ubiquitous sensor that detects the dynamic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s and actively delivers it to the network by adding the sensing and memory functions, instead of transmitting the initially input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ly at the request of the RFID reader. .

또한,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태그에 네트워크 개념을 추가하여 각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을 통해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Ubiquitous Sensor Network)는 그 적용 대상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In addition,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configured to add the network concept to the tag that performs the ubiquitous sensor function to collect the information detected by each sensor over the air in real time, the application of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It is expected to be.

이러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력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저가격으로 구현가능한 RFID 리더의 개발이 요구된다. 즉, 상기와 같은 USN에 적합한 RFID 리더는 어느 곳이나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저가인 동시에 소형이며, 센싱 기능등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RFID리더기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In order to construct such a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RFID reader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implementing low cost. That is, the RFID reader suitable for the above USN should be low cost and small enough to be installed anywhere, and should be able to perform sensing functions.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RFID reader is required.

종래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에 이용되는 센서 장치 등은 실시간 대상 인식을 위하여 항시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대상 인식은 잠재적으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실제 센서 장치 등을 통하여 대상이 인식되는 경우는 항시적이지 않아 상당한 전력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sensor device used in such a sensor network is used in a form in which power is always supplied for real-time object recognition. However, although the actual object recognition is premised to be performed in real time, it is not always the case that the object is recognized through the actual sensor device, resulting in considerable power waste.

유비쿼터스 센싱 네트워크의 수 많은 예가 있으나, 특정 장소에 출입하는 사람을 인지하는 센서 장치를 예를 들어 보면, 종래에는 출입구 측에 센서 장치를 실시간으로 활성화시킨 후, 사람이 출입하면 앞서 설명된 태그 등의 정보를 리더가 읽고 이를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취하고 있다. Although there are many examples of ubiquitous sensing networks, a sensor device that recognizes a person entering or leaving a specific place, for example, conventionally activates a sensor device in real time at an entrance and then enters a tag as described above. It takes information by reading it from the reader and passing it on to the network.

즉, 상기 센서 장치는 항시적인 전력을 소비하나, 정보를 읽는 등의 센싱 프로세싱은 실제 사람이 출입하는 그 순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필요 이상의 전력을 낭비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한다는 사실이 반영되도록 출입문이 오픈되면, 추가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다시 센싱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출입문이 오픈되는 경우에만 센싱 장치기 동작 모드로 변화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That is, the sensor device consumes power at all times, but since sensing processing such as reading information is performed only at the moment when a real person enters and exits, the sensor device wastes more power than necessar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door is opened to reflect the fact that a person enters, it is monitored by using additional equipment, and sent to the sensing device again to the sensing device operating mode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lso methods used to make changes.

사람이 물품 등이 보관된 공간(냉장고, 수납함, 진열대 등)의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를 여는 경우에 한해 상기 공간에서 인출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경우도 상기 언급된 예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case, the sensor for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goods withdrawn from the space is activated only when a person open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space (such as a refrigerator, a storage box, a display rack, etc.) in which the goods are stored. Similar to the example.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인프라 구성인 센서 장치는 상당한 전력 낭비를 발생시키거나, 추가적인 장치의 부가 등 복잡한 구성에 의존하고 있어 경제성 및 구현 용이성 등에서 기본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device, which is a basic infrastructur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ubiquitous sensor network, generates considerable power waste or relies on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uch as adding additional devices, thereby implying basic problems in terms of economy and ease of implement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폐 장치에 설치된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가 개폐 장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an open / close device, in which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installed in the open / close device is automatical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whether the open / close device is open or closed. .

본 발명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an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shown in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폐가 가능한 객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객체의 제1면에 설치되며,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1노드 모듈; 및 상기 제1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객체의 제2면에 설치되며,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을 포함하는 제2노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의 제1면과 제2면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드 모듈 및 제2노드 모듈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모듈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a switchge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bjec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object, the signal blocking module and the signal blocking module to block the antenna signal A first node module inclu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econd node module install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node module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for blocking an antenna signal, wherei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may be activated when the first node module and the second node module are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차단모듈은, 강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노드 모듈은,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ignal blocking module may b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magnetic material, and the second nod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gnal blocking module.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노드 모듈 또는 상기 제2노드 모듈은, 상기 송수신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사이에 개재된 페로마그네틱(Ferromagnetic)물질로 구성된 신호활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노드 모듈 또는 상기 제2노드 모듈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태그 정보를 태깅하는 신호태깅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모듈은 상기 태킹된 태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implement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node module or the second nod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active modul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ignal blocking module. And a signal tagging module for tagging tag information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node module or the second node module,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ransmits the tagged tag information to a server.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본 발명은, 개폐가 가능한 객체의 제1면에 설치되며, 신호차단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1노드 모듈과 상기 제1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객체의 제2면에 설치되며, 신호차단모듈을 포함하는 제2노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의 제1면과 제2면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드 모듈 및 제2노드 모듈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모듈이 활성화되는 센서 노드 장치; 및 상기 센서 노드 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센서 노드 장치와의 통신을 셋업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node module and a first node module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gnal blocking module are installed on a first surface of an objec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 second node module install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wherei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are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nsor node device in whi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s activated when a two-node module is opened; And a server that sets up communication with the activated sensor node device when the sensor node device is activat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센서 노드 장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태그 정보를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정보와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고유 코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고유 코드를 기초로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시간별 태깅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no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agging tag inform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ensor node device and transmits the tagged information and the unique code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device to a server, the server, Preferably, the tagg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device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unique code.

본 발명에 의하면, 센싱 동작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송수신 모듈이 개폐 장치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활성화 상태로 변화되기 때문에 활성화된 센서 노드 장치를 복잡도 증가 또는 리소스의 낭비없이도 효율적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sensing operation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is automatically changed to an active stat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gear, the activated sensor node device can efficiently establish a ubiquitous network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or wasting resources. Can manage

또한, 강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재질로 이루어진 신호차단모듈 및 송수신모듈 사이에 페로마그네틱 물질로 구성된 신호활성모듈을 포함하여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signal blocking modul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magnetic material, and a signal active modul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overcome the degradation of the antenna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노드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기존 개폐 장치에 설치되어 동작되기 때문에 기존 기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저전력 환경이 효과적으로 실현된 RFID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n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n existing switchgear that can be supplied with power, an existing device can be utilized as it is, and an RFID ubiquitous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alize a low power environment can be implemented.

또한, RFID 태그, 센서 노드 그리고 서버 구간에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적용시킴으로써 USN의 센싱 기능 및 개체간의 상호 유기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저비용 및 고효율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ubiquitous network in the RFID tag, sensor node, and server section, the sensing function of the USN and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entities are possible, thereby resulting in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이러한 효과에 기초된 본 발명의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는 관리인력감소, 인식오류감소, 제품 관리속도 향상 등 2차적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a switchgea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such an effect can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secondary utilization efficiency, such as reducing management personnel, reducing recognition errors, and improving product management spe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 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은 개폐가 가능한 객체(이하 개폐 장치)(100)에 구비된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200,300)와 RFID 태그(410)을 포함하는 태그 객체(400) 및 서버(50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provided with a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an open / close device includes a tag object including a ubiquitous sensor node 200 and 300 and an RFID tag 410 provided in an open / close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n / close device) 100 ( 400 and the server 500.

여기에서,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200,300)가 부착되는 개폐 장치(100)는 소정의 전기기기(냉장고, 전자레인지 등) 또는 캐비넷 등의 개구부를 포함한 장치이거나 도어형의 장치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개폐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개폐 장치(100)는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때 물리적으로 이격되거나 결합되는 제1면(101)과 제2면(102)으로 구성된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to which the ubiquitous sensor nodes 200 and 300 are attached is a device including an opening such as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refrigerator, microwave oven, etc.) or a cabinet, or any type of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ing a door type device. Mean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composed of a first surface 101 and a second surface 102 that are physically spaced apart or coupled when opened or closed as needed,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200,300)는 RFID 태그(410)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는 장치로, RFID 태그 센싱, 데이터 처리, 통신 등의 기능을 가진다.The ubiquitous sensor nodes 200 and 300 recognize the RFID tag 410 and transmit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RFID tag to the server 500. The ubiquitous sensor nodes 200 and 300 have functions such as RFID tag sensing,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는 제1노드 모듈(200) 및 제2노드 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장치(100) 상에 복수 개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1노드 모 듈(200)은 상기 개폐 장치의 제1면(101)에 설치되고, 상기 제2노드 모듈(300)은 상기 개폐 장치의 제2면(102)에 설치되며, 상기 제1노드 모듈(200)과 상기 제2노드 모듈(300)은 서로 대응되는 곳에 짝을 이루어 위치한다.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includes a first node module 200 and a second node module 300, and a plurality of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are provided on the switching device 100. At this time, the first node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101 of the switchgear, the second node module 300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102 of the switchgear, The first node module 200 and the second node module 300 are located in pai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여기에서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200,300)의 활성화 여부는 개폐 장치(100)의 개폐 여부와 관련된다. 즉,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200,300)는 상기 개폐 장치(100)가 열리게 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전파를 발산하며, 상기 개폐 장치(100)가 닫히면,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슬립모드가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Here, whether or not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are activated is related to whether the switching device 100 is opened or closed. That is,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are automatically activat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opened to emit radio waves,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closed,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are automatically deactivated to be in a sleep mo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태그 객체(400)는 RFID 태그(410)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 장치(100)가 개방되어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200,300)가 전파를 발산하는 동안 RFID 태그(410)을 포함하는 태그 객체(400)가 전자기장 내에 들어가 활성화될 경우, RFID 태그(410)에 저장된 데이터가 안테나를 통해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200,300)로 전송된다. The tag object 400 includes an RFID tag 410. When the shielding device 100 is opened and the tag object 400 including the RFID tag 410 enters the electromagnetic field and is activated while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emit radio waves, the shielding device 100 is activated in the RFID tag 410.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through an antenna.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200,300)는 전송된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서버(50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서버(500)는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200,300)에서 송신된 정보를 분석, 저장하여 필요한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convert the transmitted data into RF signals and transmit them to the server 500. The server 500 analyz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Provide necessary services.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의 일실시예이다.2 (a) and 2 (b) is an embodiment of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개폐 장치의 제1면(101)에 설치되는 제1노드 모듈(200)은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201)과 상기 신호차단모듈(201)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 듈(202)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장치의 제2면(102)에 설치되는 제2노드 모듈(300)은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301)을 포함한다. The first node module 200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101 of the switching device includes a signal blocking module 201 for blocking an antenna signal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2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gnal blocking module 201. The second node module 300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102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signal blocking module 301 for blocking an antenna signal.

이 때, 상기 신호차단모듈(201,301)은 강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ignal blocking module (201, 301) is preferably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or magnetic material.

여기서 만약 개폐 장치(100)가 닫혀있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드 모듈(200)의 신호차단모듈(201)과 제2노드 모듈(300)의 신호차단모듈(301) 사이에 송수신모듈(202)이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Here, i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closed, as shown in Figure 2 (a), the signal blocking module 201 of the first node module 200 and the signal blocking module 301 of the second node module 300. The transceiver module 202 is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송수신모듈(202)에 가까이에 자성을 띠는 신호차단모듈(201,301)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신호차단모듈(201,301)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202)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는 차단되거나 극히 미약한 신호만이 방사되게 된다.As such, when the signal blocking modules 201 and 301 having magnetic properties close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202 are adjacent to each other,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202 are blocked by a magnetic field formed between the signal blocking modules 201 and 301. Only very weak signals are emitted.

이에 반해 개폐 장치(10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신호차단모듈(201,301) 사이에 형성되었던 자기장이 약해지게 되어 상기 송수신모듈(202)의 전파 방사에 영향을 미치게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수신모듈(202)은 자동적으로 활성화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opened, the magnetic field formed between the signal blocking modules 201 and 301 is weakened so as not to affect the radio wave radi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2.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202 is automatically activated.

즉, 센싱 동작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송수신모듈(202)이 개폐 장치가 닫혀있는 동안은 송수신모듈(202)이 신호차단모듈(201,301) 사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를 유지하고, 개폐 장치가 열려있는 동안은 신호차단모듈(201,301) 사이의 공간에서 벗어나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That is, whil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2 performing the sensing operation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is close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2 is located between the signal blocking modules 201 and 301 to maintain the sleep mode. While open, efficient power control is possible by allowing the signal blocking module 201 and 301 to be activated out of the space between them.

또한, 자동으로 필요에 따라 송수신 모듈이 온/오프되어 유비쿼터스 센서 노 드 장치(200,300)의 활성화되기 때문에, 개폐 장치의 개폐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감지부의 추가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off as necessary to activate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200,300), the 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without the hassle, such as the addition of a detection unit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switchgear opening and closing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는 전자 제품 또는 전자 도어 등 기존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개폐 장치에 설치되어 동작하기 때문에 RFID 유비쿼터스 기술의 다양한 해법을 기존의 기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를 사용하여 전력 제한 없이 RFID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switchgear that can be supplied with the existing power, such as electronic products or electronic doors, various solutions of RFID ubiquitous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existing devices,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s can be used to implement RFID ubiquitous systems without power limitation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이다.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는 상기 제2노드 모듈(300)의 신호차단모듈(301)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02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gnal blocking module 301 of the second node module 300. .

상기와 같이 송수신모듈(202,302)이 개폐 장치의 양면에 위치하는 경우, 태깅 정보의 리던던시(redundancy)로 정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s 202 and 302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witchgear as described above, the stability of the information can be improved by the redundancy of the tagging information.

즉, 상기 제1노드 모듈(200) 및 상기 제2노드 모듈(300)에서 특정 RFID 태그 정보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각 노드 모듈의 송수신모듈이 인식한 태그 정보를 서버(500)에 동시에 전달하며, 이 때 상기 서버(500)는 태그 ID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수신된 데이터 중 전력이 높은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specific RFID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first node module 200 and the second node module 300,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f each node module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500. At this time, the server 500 can obtain more reliable data by comparing a tag ID and selecting a signal having a high power among the received data in the same case.

또한, 상기 제1노드 모듈(200) 또는 상기 제2노드 모듈(300)은 상기 송수신모듈(202,302)과 상기 신호차단모듈(201,301) 사이에 개재된 페로마그네틱(Ferromagnetic)물질로 구성된 신호활성모듈(203,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node module 200 or the second node module 300 is a signal active module consisting of a ferromagnetic material (Ferromagnetic) inter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202, 302) and the signal blocking module (201, 301) ( 203,303)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와 같이 페로마그네틱 물질을 강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재질로 이루어진 신호차단모듈(201,301)과 무선주파수를 방사하는 송수신모듈(202,302) 사이에 설치하면, 상기 송수신모듈(202,302)이 강자성을 띠는 신호차단모듈(201,301)의 표면으로부터 전자기적으로 분리된다. When the ferromagnetic material is installed between the signal blocking modules 201 and 301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or magnetic material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s 202 and 302 radiating radio frequenc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s 202 and 302 are ferromagnetic. Electromagnetical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201,301.

이와 같은 경우, 안테나가 강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재질의 물체와 접촉 또는 근접되었을 경우 발생가능한 전파의 간섭 현상 이나 RFID 태그 인식률 저하 등의 특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거리 또는 무선 인식 거리가 증가하여 센서 노드 장치의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ference of radio waves and degradation of RFID tag recognition rate, which may occur when the antenna is in contact with or in proximity to a ferromagnetic material or magnetic material.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상기 신호활성모듈(203,303)은 페로마그네틱 물질로 형성된 시트 또는 패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 페로마그네틱 물질로 형성된 분말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신호활성모듈(203,303)은 설치되는 대상의 사양에 맞게 두께가 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ignal active modules 203 and 303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heet or a pad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o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owder formed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gnal active modules 203 and 303 have a minimum thicknes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object to be install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a switch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는 일정 거리에 이내에 존재하는 태그 정보를 태깅하는 신호태깅모듈(204,304)을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신호태깅모듈은 제1노드 모듈(200) 또는 제2노드 모듈(3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태깅모 듈(204,30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410)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태깅된 태그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한다.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urther includes signal tagging modules 204 and 304 for tagging tag information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signal tagging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node module 200 or the second node module 300. As illustrated in FIG. 4, the signal tagging modules 204 and 304 recognize the RFID tag 410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tagged tag information to the server 500.

여기에서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를 구비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 the operation of the ubiquitous system having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RFID 태그(410)가 부착된 제품을 투입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개폐 장치(100)를 열거나 또는 RFID 태그(410)를 소지한 사용자가 개폐 장치(100)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경우 개폐 장치(100)가 개방된다. First, when a user opens or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to insert or remove a product to which an RFID tag 410 is attached, or a user carrying the RFID tag 410 passe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100 is opened.

상기와 같이 개폐 장치(100)가 오픈되는 경우, 상기 제1노드 모듈(200) 및 제2노드 모듈(300)의 신호차단모듈(301)에 의해 신호가 차단되었던 송수신모듈(202,302)이 개폐 장치(100)의 제1면(101)과 제2면(102)의 물리적 이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활성화되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s 202 and 302 whose signals are blocked by the signal blocking module 301 of the first node module 200 and the second node module 300 are opened and closed. It is instantaneously activated by the physical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surface 101 and the second surface 102 of the (100) and transmits a radio signal through the antenna.

이 때, 상기와 같이 안테나에서 전파를 발산하는 동안 RFID 태그(410)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센서 노드 장치(200,300)는 신호태깅모듈(204,304)에서 상기 RFID 태그(410)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센서 노드 장치(200,300)의 송수신모듈(202,302)을 통해 상기 수집된 RFID 태그 정보를 서버(500)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RFID tag 410 while the radio wave is emitted from the antenna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node device 200, 300 collects the RFID tag 410 information from the signal tagging module (204, 304) By transmitting the collected RFID tag information to the server 500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202, 302) of the sensor node device (200,300).

즉, 상기 센서 노드 장치(200,300)는, 상기 센서 노드 장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태그 정보를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정보와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고유코드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한다. That is, the sensor node devices 200 and 300 tag tag inform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ensor node device and transmit the tagged information and unique code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device to the server 500.

한 편, 서버(500)는 전송되는 신호의 전력을 고려하여 활성화 상태의 센서 노드인지를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or node in the active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of the transmitted signal.

즉, 센서 노드 장치에서 방사된 신호의 판단 결과, 전송된 신호의 전력이 기준 전력 이상이면, 서버(500)는 센서 노드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전력은 센서 노드 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한 최저 전력 레벨을 나타낸다.That i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ignal radiated from the sensor node device, if the power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the server 500 determines that the sensor node device is in an activated state. Here, the reference power represents the lowest power level f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ensor node device.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센서 노드 장치에서 전송된 신호의 전력이 기준 전력 미만이면, 서버는 본 센서 노드 장치를 비활성 노드로 인식하고 상기 전송된 신호를 무시하고 다음 전송되는 센서 노드 장치의 신호를 기다린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서버는 활성 상태의 센서 노드 장치를 쉽게 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ower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device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the server recognizes the sensor node device as an inactive node, ignores the transmitted signal, and waits for a signal from the next transmitted sensor node device. . In this way, the server can easily detect the active sensor node device.

이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센서 노드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500)는 도 5에 도시된 태깅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된 센서 노드 장치와의 통신을 셋업한다. Subsequent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node device is in the activat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500 sets up communication with the activated sensor node device using the tagging information table shown in FIG. 5.

이 때, 상기 서버(500)는 다른 센서 노드 장치의 고유코드, 우선순위정보 및 각각의 검출된 태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파악된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RFID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의 획득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중복사항이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파악된 센서 노드 장치를 액티브 노드로 추가하고 상기 태깅 정보 테이블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server 500 retrieves unique code, priority information, and respective detected tag information of another sensor node device and acquires tag data from an RFID tag corresponding to tag information grasped from the received data. Check it. Thereafter, if there is no overlap, the sensor node device identified from the received data is added to the active node and information about the sensor node device is stored in the tagging information table.

이 때, 서버는 상기 센서 노드 장치에서 전송된 고유코드를 기초로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시간별 태깅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처럼 획득한 태그 정보의 송수신 시에 태깅 정보 테이블을 갱신함으로써 정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면에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만 센서 노드 장치와 서버 사이에 네트워크가 연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리소스가 요구된다.At this time, the server classifies and stores the time-based tagg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device based on the unique code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device. The collision of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by updating the tagging information table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thus obtained, and the flexibility in terms of data processing is improved. In addition, relatively few resources are required because the network is connected between the sensor node device and the server only when necessary.

이후, 개폐 장치(100)가 닫히면 해당 센서 노드 장치의 무선신호 전송이 중단되고, 센서 노드 시스템은 슬립 모드로 진입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 시킨다.Thereafter, when the switching device 100 is closed,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 device is stopped, and the sensor node system enters a sleep mod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이 때 상기 서버(500)는 센서 노드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감지되지 않을 때 해당 센서 노드 장치가 슬립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센서 노드 장치와의 네트워크를 종료한다. 다만, 이러한 센서 노드 장치와 서버(500) 사이의 네트워크 종료는 상술된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고, 센서 노드 장치에서 통신개시신호 또는 송신중단신호 등을 송신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종료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node is not detect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erver 500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 device has entered a sleep mode and ends the network with the sensor node device. 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applied to terminate the network between the sensor node device and the server 500, or may be terminated by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tart signal or a transmission stop signal from the sensor node devi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 및 시스템 등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시스템의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으로 구분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the system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each configu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derstood as logically divided components rather than physically divided components. Should be. That is, since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logically divided components to realiz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to be within the scope 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provided with a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의 일실시예,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의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of a 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a switch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의 태깅 정보 테이블이다.5 is a tagging information table of a 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a switch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개폐가 가능한 객체에 설치되는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에 있어서,In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installed in the objec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객체의 제1면에 설치되며,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1노드 모듈; 및A first node module installed on a first surface of the object and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for blocking an antenna signal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gnal blocking module; And 상기 제1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객체의 제2면에 설치되며, 안테나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모듈을 포함하는 제2노드 모듈을 포함하고,A second node module install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node module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blocking an antenna signal, 상기 객체의 제1면과 제2면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드 모듈 및 제2노드 모듈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모듈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object are physically spaced apart, the first node module and the second node module when the transmission module is activated, 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iv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차단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blocking module, 강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switch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ferromagnetic material or magnetic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node module,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the switch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stacked on the signal blocking modu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 모듈 또는 상기 제2노드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node module or the second node module, 상기 송수신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사이에 개재된 페로마그네틱(Ferromagnetic)물질로 구성된 신호활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Th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for a switchgea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ignal active modul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ignal blocking modu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 모듈 또는 상기 제2노드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node module or the second node module, 상기 제1노드 모듈 또는 상기 제2노드 모듈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태그 정보를 태깅하는 신호태깅 모듈을 더 포함하고,And a signal tagging module for tagging tag information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node module or the second node module. 상기 송수신모듈은 상기 태킹된 태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장치.The transceiver module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tagged tag information to the server. 개폐가 가능한 객체의 제1면에 설치되며, 신호차단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1노드 모듈과 상기 제1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객체의 제2면에 설치되며, 신호차단모듈을 포함하는 제2노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의 제1면과 제2면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드 모듈 및 제2노드 모듈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모듈이 활성화되는 센서 노드 장치; 및A first node module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gnal blocking module and a second surfac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node module including a signal blocking module, wherein the first node module and the second node module are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node module and the second node module are opened. A sensor node device that is activated; And 상기 센서 노드 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센서 노드 장치와의 통신을 셋업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And a server for setting up communication with the activated sensor node device when the sensor node device is activat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신호차단모듈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ignal blocking module of the sensor node device, 강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switchgea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erromagnetic or magnetic materi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node module, 상기 신호차단모듈 상면에 적층된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the switch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stacked on the signal blocking modul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 모듈 또는 상기 제2노드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node module or the second node module, 상기 송수신모듈과 상기 신호차단모듈 사이에 개재된 페로마그네틱(Ferromagnetic)물질로 구성된 신호활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The 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a switc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ignal active modul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nd the signal blocking modu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nsor node device, 상기 센서 노드 장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태그 정보를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정보와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고유 코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Tagging tag inform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ensor nod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tagged information and unique code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device to a server, 상기 서버는,The server, 상기 고유 코드를 기초로 상기 센서 노드 장치의 시간별 태깅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용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 시스템.Ubiquitous sensor node system for the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ime-based tagg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device based on the unique code.
KR1020090025928A 2009-03-26 2009-03-26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KR101046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28A KR101046150B1 (en) 2009-03-26 2009-03-26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28A KR101046150B1 (en) 2009-03-26 2009-03-26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98A KR20100107698A (en) 2010-10-06
KR101046150B1 true KR101046150B1 (en) 2011-07-01

Family

ID=4312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928A KR101046150B1 (en) 2009-03-26 2009-03-26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15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538A (en)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Notifying device and notifying system
KR20060014261A (en)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device for reading smart ta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538A (en)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Notifying device and notifying system
KR20060014261A (en)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device for reading smart t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98A (en)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2175C (en) Radio frequency id doppler motion detector
CN101490697B (en) Multiple band rfid reader device
US10430622B2 (en) RFID tag with reconfigurable properties and/or reconfiguring capability
US736646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terconnectivity
US8120494B1 (en) RFID readers and systems with antenna switching upon detecting too few tags and methods
US75733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F activation of RF interrogators
AU2010290085A1 (en) RFID portal system with RFID tags having various read ranges
Nguyen et al. A dynamic-range-based algorithm for reader-tag collision avoidance deployment in RFID networks
KR20070056818A (en) Rfid system
CN111063064A (en) Dangerous good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RFID
KR101046150B1 (en) Ubiquitous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switchgear
KR100783084B1 (en) Rfid system having securi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230624A1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persons and vehicles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EP2423846B1 (en) Method for operating a system of readers
US20090160611A1 (en) Enhanced Communication Via RFID Interrogator
CN106886733A (en) The method for safely carrying out and equipment of a kind of ultrahigh frequency RFID electronic tag
JP4968433B2 (en) Non-contact type data carrier device with non-contact type switch and sensor system using non-contact type data carrier device
Sarkar Enabling ubiquitous sensing with RFID
EP331281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status of a door
CN203084771U (en) RFID-based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Benny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dified slotted ALOHA protocol for RFID readers
KR20100073006A (en) Multitag for equipping reader function and tag function and action method thereof
CN116778618A (en) Ultrahigh frequency intelligent safety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Bakhtar¹ et al. Use of RFID for Safety at School/Hospital Campus
Chigoziri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tection Collision Mitigation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