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311B1 -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switch plate - Google Patents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switch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311B1
KR101045311B1 KR1020110004445A KR20110004445A KR101045311B1 KR 101045311 B1 KR101045311 B1 KR 101045311B1 KR 1020110004445 A KR1020110004445 A KR 1020110004445A KR 20110004445 A KR20110004445 A KR 20110004445A KR 101045311 B1 KR101045311 B1 KR 10104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receiving groove
proje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정환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진흥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흥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흥전기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01H2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3Key modules mounted on support plate or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56Tools for actuating a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PURPOSE: An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a plate is provided to insert an edge cover into a circumferential insertion groove of a main cove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inflow of foreign materials. CONSTITUTION: A fixing plate(10) is combined with the frontal surface of a wall plate by using a fixture. A main cover(20) is combined in the frontal surface to block an exposed surface of a coupling unit of the fixing plate. A switch(40) is inserted into a switch receiving unit of the main cover. An edge cover(30) is inserted into a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cover. A movement preventing protrusion(31a) solidly fixes the edge cover to the edge of the main cover. The swit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s of the main cover and the fixing plate.

Description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구조{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switch plate}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switch plate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나 전원코드를 가지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의 악세서리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또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의 구성을 개선하여, 플레이트 조립체를 이루는 테두리 커버의 색상을 악세서리로서 다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플레이트 조립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그 결합부가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an outlet plate assembly having a switch plate assembly or a power cord embedded in a wall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of a switch or an outlet plate assembly, thereby forming a frame assembly. The color of the cover is diversified as an accessory, through which the aesthetics of the plate assembly can be improved, but the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the plate is maintained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can maintain a stable and solid assembly state.

일반적으로 벽체에 매설되는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나 전원코드를 가지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는 실내 배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병렬로 연결된 전기기구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In general, an outlet plate assembly having a switch plate assembly or a power cord embedded in a wall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n electric appliance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power source supplied through indoor wiring, and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power an electric appliance. Supply or cut off.

이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종래 플레이트 조립체(스위치)는 등록특허 제10-0863212호(이하, 선행특허 이라함)와 같이, 벽체에 매설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면서 벽면에 밀착되고 고정플레이트의 불필요한 부분을 가리는 메인 커버,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커버의 측면을 덮는 사이드 커버 및,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측면에 억지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Conventional plate assembly (switch) that performs such a role is a fixed plate embedded in the wall, such as registered Patent No. 10-08632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or patent), and the fixed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fixed to the wall Consists of a main cover to cover the unnecessary part of the side plate, the side plate to cover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main cover, and a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he side cover is made by fitting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Or, while forming a locking proj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cover, while the locking plate is formed by forming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is to be made.

그러나, 종래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는 물론,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 상기 메인 커버와 사이드 커버의 결합상태는 상당히 취약한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witch plate assembly as well as the outlet plate assembly, the coupling state of the main cover and the side cover has a weak point.

즉, 상기 사이드 커버를 상기 메인 커버의 측면에 억지 끼움하는 결합은 그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결합력이 느슨해지면서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관계는 별도의 지지력없이 단순히 걸림이 이루어지는 구조인 바, 이러한 걸림상태의 결합력은 결합돌기의 탄성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다수의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가 불량해지거나 파손되어 걸림홈로부터 이탈될 경우 다른 걸림돌기 또한 지지력을 상실한 느슨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체 걸림홈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는 것이었다.In other word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coupling forcing the side cover to the side of the main cover is easily separated as the coupling force becomes loose as the service life becomes longer. In addition, the engag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groov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is simply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supporting force. The coupling force of the locking state is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is deteriorated or damag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engaging projection. In the cas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oves, the other projections also showed the phenomenon of being continuously separated from the sieve grooves that could not maintain the loose coupling state that lost the support.

다시말해, 메인 커버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사이드 커버에도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 여유공간을 가지게 됨으로서 느슨한 걸림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나머지 걸림돌기들도 걸림홈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연속적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었으며, 메인 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에 한방향의 들림현상이 발생하여 사이드 커버 전체에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경우 결합력을 잃고 분리되는 현상은 더욱 가속되는 것이었다.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main cover,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cover,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is freed up from the locking groove. As a result of this, the remaining locking protrusions that maintain a loose locking state are easily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s, and a continuous phenomenon occurs in the side cover combined with the main cover. In this case, the loss of bonding force and separation were more accelerated.

또한, 종래 스위치 또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를 이루는 사이드 커버의 경우에는 미관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이 아니라, 단순히 메인 커버 및 고정플레이트의 측면을 덮기 위한 목적으로만 국한되어 있으므로,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형성되어 미감이 떨어지고 벽면의 디자인과 불일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ide cover of the conventional switch or outlet plate assembly is not limited to providing aesthetics, but merely for the purpose of covering the sides of the main cover and the fixing plate.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esthetics are inferior and inconsistent with the design of the w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 또는 스위치의 플레이트 조립체 구성시, 메인 커버의 테두리에는 테두리 커버가 수용되는 홈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악세서리로서 활용 가능한 테두리 커버에는 다수의 체결홀과 대응하여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는 이중 결합구조물인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를 돌출 구성함으로써, 연속적 풀림이 억제된 안정되고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구조 제공하는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pat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ate assembly of the outlet or switch, when form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 the rim of the main cover along the groove in which the rim cover is accommodated, can be utilized as an accessory The edge cover includes a plate preventing protrusions and coupling protrusions, which are double coupling structure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to maintain a stable and robust assembly state with continuous loosening.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n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커버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테두리 커버의 외부 동선이 돌출되지 않고 상기 메인 커버의 둘레면 삽입홈에 긴밀히 삽입되며 일치감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또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가 질감을 달리하는 투톤 컬러의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witch or the outlet plate assembly is different in texture by allowing the outer copper wire of the edge cover coupled to the edge of the main cover to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tial insertion groove of the main cover and to maintain a sense of consistency. The two-tone color is to create a variety of feeling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동시에 구조물 돌출에 따른 외관 불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oupl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appearance defects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structure.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구조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결합부 노출면을 가리는 메인 커버를 포함하는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 또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를 구성하되, 상기 메인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 내측 저면에 다수의 체결홀을 이격되게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에는 저면 체결홀과 마주하며 결합되도록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를 이중 결합구조로 돌출시킨 테두리 커버를 교체가능하게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witch plate assembly or outlet plate assembly including a fixed plate and a main cover coupled to the fixed plate and cover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xed plate,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edge of the main cover,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lacement of the edge cover protruding by the double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메인 커버의 테두리 내측 수용홈 바닥면을 따라 제공되는 상기 체결홀은, 그 내벽면이 상기 수용홈의 마주보는 내벽면과 연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커버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을 거쳐 체결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는 그 외측 접촉면이 상기 체결홀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astening hole provided along the bottom inner receiving groove bottom surface of the main cov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wall surface is continuou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facing the receiv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edge cover The pair of anti-rolling projections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through the receiving grooves are installed so that their outer contact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s.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는, 상기 수용홈부과 동일한 폭으로 성형되는 테두리 커버의 내외측 단부로부터 각기 연장된 구조로 분리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선단에는 체결홀 통과후 저면에서 걸침되도록 외향 걸림턱을 설치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olling proj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edge cover is formed in the same width as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is installed in parallel, at the tip of the engaging projec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install the outwardly engaging jaw to hang on the bottom.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선단에 외향 걸림턱을 돌설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밀림방지돌기의 외벽면이 상기 수용홈 내벽면에 접촉되어 일정 접촉면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 외벽면에 그 선단부의 걸침이 시작되도록 상기 밀림방지돌기와 길이를 달리하여 구성하며, 상기 결합돌기 선단에 외향 돌설되는 상기 걸림턱 저면에는 미끄럼 삽입이 가능하도록 경사안내부를 구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the outwardly engaging jaw at the front e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anti-protrusion projection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contact area the out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It is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and the anti-rolling proj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end of the engaging on the surface, and the inclined guid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bottom surface protruding outwardly to the engaging proj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 또는 스위치의 플레이트 조립체 구성시, 메인 커버의 테두리에는 테두리 커버가 수용되는 홈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악세서리로서 활용 가능한 테두리 커버에는 다수의 체결홀과 대응하여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는 이중 결합구조물인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를 돌출 구성하는 한편, 메인 커버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테두리 커버의 외부 동선이 돌출되지 않고 상기 메인 커버의 둘레면 삽입홈에 긴밀히 삽입되며 일치감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연속적 풀림이 억제된 안정되고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위치 또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가 질감을 달리하는 투톤 컬러의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동시에 구조물 돌출에 따른 외관 불량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ate assembly of the outlet or switch, when form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 the rim of the main cover along the groove in which the rim cover is accommodated, and the rim cover that can be used as accessories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While forming the anti-rolling proj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which is a double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the outer copper wire of the edge cover coupled to the edge of the main cover does not protrude and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sertion groove of the main cover The switch or outlet plate assembly can produce a variety of textures of two-tone colors with different textures, while maintaining a stable and robust assembly state with continuous loosening suppressed. Effectively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ppearance defects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structure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악세서리 테두리 커버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테두리 커버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테두리 커버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나타낸 전체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테두리 커버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테두리 커버에 적용되는 이중 구조 결합부의 체결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테두리 커버에 적용되는 이중 구조 결합부의 체결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te assembly coupled to the accessory rim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te assembly coupled to the rim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te assembly coupled to the rim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te assembly coupled to the rim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double structure coupling portion applied to the edge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fastening of the double structure coupling portion applied to the rim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조립체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악세서리 테두리 커버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 및 전체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테두리 커버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고,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테두리 커버에 적용되는 이중 구조 결합부의 체결전과 체결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te assembly to which the accessory rim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s 2 and 3 are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te to which the rim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fastening of the double structure coupling portion applied to the edg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그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위치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악세서리 조립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1 to 6 show an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coupled to a switch plat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is.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위치 플레이트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적용을 보일 수 있다. The switch pl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formed with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place to be used while being made of synthetic resin, which may show the same application even when applied to the outlet plate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의 이하 설명들은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에 적용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applied to the switch plate assembly.

이같은 본 발명은, 고정플레이트(10), 메인 커버(20), 테두리 커버(30)를 포함하고, 이외에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에는 스위치(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의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선을 통해 전원코드가 연결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10, the main cover 20, the edge cover 30, in addition to the switch plate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witch 40, in the case of the outlet plate assembly is not shown The power cord is connected via a wire.

상기 고정플레이트(10)는 벽체플레이트(미도시)의 전면에 고정구(예; 볼트,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하 양측에는 고정구 결합공(14)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벽체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내면 고정돌기(11)들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메인 커버(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 결합공(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40)가 관통하여 벽체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 수용부(13)가 형성된 것이다.The fixing plate 1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wall plate (not shown) by using a fastener (for example, bolts, screws), for this purpose, fastener coupling holes 14 ar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and a wall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Internal fixing protrusions 11 are formed to be fitted to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plate, and fixing plate coupling holes 12 are formed at the edges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main cover 20, and the switch is formed therein. Fixed plate receiving portion 13 is formed so that 40 can be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wall plate.

상기 메인 커버(2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결합부 노출면을 가리는 것으로, 가장자리면(24)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결합공(12)과 대응하는 배면에는 쐐기형의 메인 커버 결합돌기(21)가 돌출 형성된다.The main cover 2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 to cover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xed plate 10, the edge surface 24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fixed plate coupling hole 12 The wedge-shaped main cover engaging protrusion 21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즉, 상기 메인 커버(20)는 가장자리면(24)의 경사진 부분을 통해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하면서 미감을 향상시키고 쐐기형의 메인 커버 결합돌기(11)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main cover 20 improves the aesthetics while preventing the insertion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of the edge surface 24, and using the fixing plate 10 and the wedge-shaped main cover engaging projection (11) Detachable is to be combined.

그리고, 상기 메인 커버(20)의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40)가 삽입되는 스위치 수용부(22)가 형성되고, 테두리면에는 상기 테두리 커버(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폭의 수용홈(23)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3)의 내측 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체결홀(25)이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a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22 into which the switch 4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main cover 20, and an accommodating groove 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be coupled to the edge cover 30 on an edge surface thereof. ) Is formed continuously, and the inner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23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holes 25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spaced apart.

상기 테두리 커버(30)는 상기 메인 커버(20)의 수용홈(23)에 수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탈부착형의 악세서리 구조물로서, 상기 다수의 체결홀(25)과 대응하는 개수로서 상기 체결홀(25)과 마주하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체결홀(25)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면서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상기 테두리 커버(30)를 상기 메인 커버(20)의 테두리에서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키는 밀림방지돌기(31a) 및, 상기 체결홀(25)을 관통하여 체결홀(25)의 끝단에 걸림동작이 이루어지면서 그 걸림동작이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의 지지력에 의해 임의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결합돌기(31b)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31b)의 선단에는 체결홀(25)을 통과 후 저면에서 걸침이 이루어지는 외향걸림턱(31c)이 형성된다.The edge cover 30 is a detachable accessory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23 of the main cover 20 to be coupled, the fastening holes 25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5. ) And clos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5 to exert a support force so that the fastening state is firmly maintained so that the edge cover 30 is firmly at the edge of the main cover 20. The locking prevention protrusion 31a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ocking operation is made at the end of the locking hole 25 by passing through the locking hole 25, and the locking operation is randomly released by the support force of the movement preventing protrusion 31a. It includes a coupling projection (31b) to be prevented, the outward engaging jaw (31c)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rojection (31b) is caught on the bottom af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5).

즉, 상기 메인 커버(20)의 테두리 내측 수용홈(23) 바닥면을 따라 제공되는 상기 체결홀(25)은 그 내벽면이 상기 수용홈(23)의 마주보는 내벽면과 연속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23)을 거쳐 체결홀(25)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는 그 외측 접촉면이 상기 체결홀(25)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That is, the fastening hole 25 provid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inner receiving groove 23 of the main cover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wall surface thereof is continuou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3. The pair of anti-rolling protrusions 31a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31b, which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cover 30 and ar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25 through the receiving grooves 23, have outer contact surfaces thereof. I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25).

이때, 상기 밀림방지돌기(31a)는 상기 체결홀(25)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돌기(31b)의 탄발력을 극대화시켜 그 걸림동작이 임의 해제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그 외향 접촉면은 상기 체결홀(25)의 내벽면과 동일한 두께로 설계되며, 상기 결합돌기(31b)는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경사진 가장자리면 끝단에서 텐션을 발휘하면서 걸림 또는 걸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돌출 구성됨은 물론, 상기 외향걸림턱(31c)의 걸림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 구성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anti-rolling projection 3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5 to maximize the resilien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31b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randomly the outward contact surface is the It is design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5, the engaging projection (31b) exerts a tension at the end of the inclined edge surface of the rim cover 30 so as to prevent the locking or locking to be made the push projections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side by sid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with the (31a), as well as to exte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ush preventing projection (31a) to enable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outwardly caught jaw (31c).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31b)는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의 외벽면이 상기 수용홈(23) 내벽면에 접촉되어 일정 접촉면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23) 외벽면에 그 선단부의 걸림이 시작되도록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와 길이를 달리하여 길게 구성하게 되는 것이고, 더불어 상기 외향걸림턱(31c)의 저면에는 미끄럼 삽입이 가능하도록 경사안내부(31d)를 구성한다.Here, the engaging projection (31b) i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rolling prevention projection (31a)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3 to maintain a predetermined contact area at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3). It is to be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anti-protrusion projection (31a) so as to start the locking, and the inclined guide portion (31d) is configured on the bottom of the outward locking jaw (31c) to be inserted.

다시말해, 상기 한 쌍의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는 상기 수용홈(23)과 동일한 폭으로 성형되는 테두리 커버(30)의 내외측 단부로부터 각기 연장된 구조로 분리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테두리 커버(30)의 가장자리면(32)은 상기 메인 커버(20)의 경사진 가장자리면(24)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밀림방지돌기(31a)는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경사진 가장자리면(32) 내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결합돌기(31b)는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경사진 가장자리면(32) 끝단에서 텐션을 발휘하면서 걸림 또는 걸림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돌출 구성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air of anti-rolling protrusions 31a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31b are separated and extended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edge cover 30 formed in the same width as the receiving groove 23, respectively. As installed, the edge surface 32 of the edge cover 30 is incl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edge surface 24 of the main cover 20, the anti-roll projection (31a) is the edge cover (30)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inclined edge surface 32 of the), the engaging projection (31b) exerts a tension at the end of the inclined edge surface 32 of the rim cover 30 to the locking or the release to be made The protruding protrusion 31a is configured to protrude side by sid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여기서, 상기 테두리 커버(30)에 경사진 가장자리면(32)을 형성하는 것은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시키면서 플레이트 조립체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를 포함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통해서는 상기 메인 커버(20)로부터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메인 커버(20)로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부착시 그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forming the inclined edge surface 32 on the edge cover 30 is to improve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plate assembly while preventing the insertion of foreign matter, the anti-roll projection (31a) and the engaging projection (31b) Through a double coupling structure including a to facilitate the detachable attachment of the rim cover 30 from the main cover 20, as well as the attachment of the rim cover 30 to the main cover 20 This is to prevent separation easily.

즉, 상기 이중 결합구조를 이루는 상기 한 쌍의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는 상기 테두리 커버(30)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가 돌출된 구조물인 바,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 중 어느 하나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이중 결합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들은 밀림방지돌기(31a)의 지지력에 의해 결합돌기(31b)의 걸림동작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테두리 커버(30)는 메인 커버(2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the pair of anti-rolling protrusions 31a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31b constituting the double coupling structure are bar structures protruding from the edge cover 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ven if any one of the prevention protrusions 31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b is deteriorated or damaged, the pair of the prevention protrusions 31a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31b constituting the remaining dou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anti-protrusion protrusion 31a This is because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b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by the supporting force, and thus the edge cover 30 can be maintained in a firmly coupled state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cover 20.

이를 좀더 보충하여 설명하면,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홀(25)에 삽입될 때, 상기 밀림방지돌기(31a)는 상기 체결홀(25)의 내벽면에 밀착되기 시작하고, 일정한 정도로 삽입되어 상기 밀림방지돌기(31a)가 체결홀(25)의 내벽면에 안정적인 접촉을 이루고 있을 때에 상기 결합돌기(31b)의 선단이 비로서 상기 체결홀(25)을 통과하기 위하여 진입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홀(25)로 진입하게 되는 상기 결합돌기(31b)는 이미 상기 체결홀(25)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일정범위 진입되어 있는 상기 밀림방지돌기(31a)로 인하여 최대의 탄성력을 유지하게 된다. When this is further supplemented, the anti-rolling protrusion 31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b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ear surface of the edge cover 30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5 as shown in FIG. 5. The anti-rolling protrusion 31a start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5 and is inserted to a certain degree so that the anti-rolling protrusion 31a makes stabl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5. At this time, the tip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b enters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25 as a ratio,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b entering the coupling hole 25 has already entered the coupling hole 25. The maximum elastic force is maintained due to the anti-rolling projection (31a) is entered into a predetermined rang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31b)는 그 선단의 외향걸림턱(31c)이 경사안내부(31d)에 의해 미끄럼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결합돌기(31b)에는 외향걸림턱(31c) 돌출 폭 만큼의 눌림 탄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의 지지력에 의해 탄발력이 극대화되면서 상기 체결홀(25)을 통과하는 순간 도 6에서와 같이 눌리었던 결합돌기(31b)가 다시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와 평행한 상태로 복원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engaging projection 31b is pushed by the outward engaging jaw 31c at the engaging projection 31b because the outward engaging jaw 31c of the front end is slid by the inclined guide part 31d. The elasticity is generated, which is prevent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31b pressed as shown in FIG. 6 at the moment of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5 while maximizing elasticity by the support force of the anti-diffusion protrusion 31a. It is to be restored to a state parallel to the projection (31a) will be able to maintain a firm coupling state.

이같이 상기 체결홀(25)을 통과하여 결합이 완료된 상기 결합돌기(31b)는, 이와 마주보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기 밀림방지돌기(31a)로 인하여 외력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며, 따라서 메인 커버(20)로부터 테두리 커버(30)를 분리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결합부를 해체 또는 파손하더라도 개별 체결홀(25)에 끼워진 결합돌기(31b)를 각각 풀어주지 아니하는 한 연속적인 분리는 결코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rotrusion 31b having completed the coupl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5 is prevented from being loosened due to external force due to the sliding preventing protrusion 31a which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the rim cover 30 from 20, even if one of the coupling parts is dismantled or broken, the continuous separation will never occur unless the coupling protrusions 31b fitted in the individual fastening holes 25 are each released. .

여기서, 상기 테두리 커버(30)는 메인 커버(20) 및 스위치(40)와 같은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면 디자인의 조화와 미관의 향상을 상기 메인 커버(20) 및 스위치(40)와 다른 색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dge cover 30 may be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main cover 20 and the switch 40, and the harmony of the wall design and the improvement of aesthetics may be improved with the main cover 20 and the switch 40. It can be formed with different colors.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메인 커버(20)의 내면에 삽입 장착되고 벽체플레이트에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메인 커버(20)의 수용부(13, 22)를 관통하여 벽체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몸체(도시없음)에 시이소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좌·우 또는 상,하 작동을 통해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The switch 4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ed plate 10 and the main cover 20 and to be mounted on a wall plate. 13, 22) is a seesaw movement coupled to the switch body (not shown) installed on the wall plate, it is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through the left, right or up, down opera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벽체에 벽체플레이트를 장착한 후 상기 벽체플레이트에 배면에 내면 고정돌기(11)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고정플레이트 결합공(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정플레이트 수용부(13)가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0)를 고정구와 배면에 형성되는 내면 고정돌기(11)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한다.In the switch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1 to 6, first, a wall plate is mounted on a wall, and an inner fixing protrusion 1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plate. The fixed plate coupling hole 12 is formed at intervals at the edge portion, and the fixing plate 10 having the fixed plate receiving portion 13 formed therein using the inner fixing protrusions 11 formed on the fastener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To be fixed.

즉, 상기 고정플레이트(10)는 내면 고정돌기(11)와 고정구를 통해 이중으로 벽체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xing plate 10 is fixed to the wall plate through the inner surface fixing projections 11 and the fixing fixtures.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결합공(1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쐐기형의 메인 커버 결합돌기(21)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위치(40)가 삽입되는 메인 커버 수용부(22)가 형성되며, 테두리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홀(25)이 형성되는 수용홈(23)을 형성시킨 메인 커버(20)를 결합한다.In addition, a front cover of the fixing plate 10 has a wedge-shaped main cover coupling protrusion 21 protruding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late coupling hole 12, and a main cover into which the switch 40 is inserted. Receiving portion 22 is formed, and the main cover 20 is formed on the rim surface to form a receiving groove 23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2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다음으로 상기 메인 커버(20)의 수용홈(23)에는 체결홀(25)과 대응하는 위치에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를 포함하는 이중 결합구조물을 돌출 구성하면서 메인 커버(20) 및 스위치(40)와 동일 또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테두리 커버(30)를 결합한다.Next, the main cover (20) in the receiving groove 23 of the main cover 20 while protruding the double coupling structure including the anti-rolling projection (31a) and the engaging projection (31b)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25) 20) and the edge cover 30 is formed in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as the switch 40 is combined.

즉, 상기 메인 커버(20)의 전면에 테두리 커버(30)를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 커버(30)를 상기 메인 커버(20)의 수용홈(23)내에 삽입시켜, 상기 이중 결합구조물인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가 상기 체결홀(25)의 양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확장된 상태로 삽입 고정하는 것이다.That is, by inserting the rim cover 30 in the receiving groove 23 of the main cover 20 in a state where the rim cover 30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cover 20, the double coupling structure prevents rolling The protrusion 31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b are inserted and fixed in an extended st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wall surfaces of the fastening hole 25.

그러면, 상기 테두리 커버(3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밀림방지돌기(31a)와 결합돌기(31b)는 상기 체결홀(25)에 삽입될 때, 상기 밀림방지돌기(31a)는 상기 체결홀(25)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결합돌기(31b)는 상기 체결홀(25)의 외벽면에 밀착되며 체결홀(25)을 통과하면서 그 끝단의 외향 걸림턱(31c)이 걸림동작을 하므로, 상기 결합돌기(31b)의 걸림동작 상태는 상기 밀림방지돌기(31a)의 지지력에 의해 쉽게 해제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테두리 커버(30)는 상기 메인 커버(20)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anti-rolling projection 31a and the engaging protrusion 31b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ear surface of the edge cover 30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25, and the anti-rolling protrusion 31a i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5, the coupling protrusion 31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5, while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5, the outward locking jaw 31c of the end is caught Since the operation, the locking operation state of the engaging projection (31b) is not easily released by the support force of the push preventing projection (31a) while being firmly maintained, the edge cover 30 is firm with the main cover (20) It will be able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메인 커버(20)의 수용부(13, 22)를 관통하여 벽체플레이트에 스위치(40)를 설치하면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When the switch 40 is installed on the wall plate through the fixing plates 10 and the receiving parts 13 and 22 of the main cover 20, the installation of the switch plate assembly is completed.

여기서,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의 설치작업은 상기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Here, it is revealed that the installation operation of the switch plate assembly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는 스위치(40)를 통한 전기구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본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In such a state, the switch plate assembly is to play a basic role of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electric tool through the switch 40.

그리고 상기 메인 커버(2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두리 커버(30)는 색상을 통해 미관의 향상과 함께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의 위치를 신속히 확인하면서도 환경에 따라 다른 색상의 테두리 커버(30)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border cover 30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cover 20 is a simple color of the border cover 30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while quickly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witch plate assembly with the improvement of aesthetics through the color. It will be able to install.

즉, 상기 테두리 커버(30)는 벽면의 디자인에 따라 색상을 조화있게 형성하여 벽면의 디자인을 살리면서도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를 마감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edge cover 30 is to form a harmonious color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wall surface to perform the function of finishing the switch plate assembly while maintaining the design of the wall surface.

또한,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는 구성하는 부품의 손상이나 교체시에도 끼움 결합구조로 형성되어 해당부품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비와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witch plate assembly is formed in the fitting coupling structure even when the damage or replacemen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asy re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s as well as to reduce the cost and work time accordingly.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switch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have been described main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10 : 고정플레이트 20 : 메인 커버
23; 수용홈 25 : 체결홀
30 : 테두리 커버 31 : 결합부
31a : 밀림방지돌기 31b : 결합돌기
31c; 외향걸림턱 31d; 경사안내부
40; 스위치
10: fixed plate 20: main cover
23; Receiving Groove 25: Tightening Hole
30: border cover 31: coupling portion
31a: Anti-rolling protrusion 31b: Coupling protrusion
31c; Outwardly caught jaw 31d; Incline Guide
40; switch

Claims (5)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결합부 노출면을 가리는 메인 커버를 포함하는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 또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를 구성하되,
상기 메인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내측 저면에 다수의 체결홀을 이격되게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에는 저면 체결홀과 마주하며 결합되도록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를 이중 결합구조로 돌출시킨 테두리 커버를 교체가능하게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구조.
Comprising a switch plate assembly or outlet plate assembly comprising a fixed plate and a main cover coupled to the fixed plate and cover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xed plate,
To form a receiving groove that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edge of the main cover,
Form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The receiving groove assembly accessories structure of th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replace the insertion of the edge cover protruding into the dou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anti-rolling projection and the coupling projection so as to face the bottom fasten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커버의 테두리 내측 수용홈 바닥면을 따라 제공되는 상기 체결홀은,
그 내벽면이 상기 수용홈의 마주보는 내벽면과 연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커버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을 거쳐 체결홀에 결합되는 한쌍의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는 그 외측 접촉면이 상기 체결홀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hole provided along the bottom inner receiving groove bottom surface of the main cover,
The inner wall surface is configured to be continuou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facing the receiving groove, and a pair of anti-rolling projections and engaging projections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edge cover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the outer contact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The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the plate, which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밀림방지돌기와 결합돌기는,
상기 수용홈과 동일한 폭으로 성형되는 테두리 커버의 내외측 단부로부터 각기 연장된 구조로 분리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선단에는 체결홀 통과후 저면에서 걸침되도록 외향 걸림턱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r of anti-rolling projections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It is separated and installed in parallel in each of the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edge cover formed in the same width as the receiv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is installed outwardly so as to hang on the bottom surface af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the plate to make.
제3항에 있어서,
선단에 외향 걸림턱을 돌설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밀림방지돌기의 외벽면이 상기 수용홈 내벽면에 접촉되어 일정 접촉면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 외벽면에 그 선단부의 걸침이 시작되도록 상기 밀림방지돌기와 길이를 달리하여 구성하며, 상기 결합돌기 선단에 외향 돌설되는 상기 걸림턱 저면에는 미끄럼 삽입이 가능하도록 경사안내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ly engaging jaw at the tip,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rolling prevention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with the anti-rolling projection so as to start the end of the end portion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 maintain a constant contact area, the coupling The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th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guid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bottom protruding outwardly to the tip of the projec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구조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 플레이트 조립체 또는 전원코드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콘센트 플레이트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악세서리 조립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ccessory assembly structure of the plate, the plate assembly assembly structure of th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plate assembly including a switch or the outlet plate assembly is connected via a wire.
KR1020110004445A 2010-09-07 2011-01-17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switch plate KR1010453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7294 2010-09-07
KR1020100087294 2010-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311B1 true KR101045311B1 (en) 2011-06-29

Family

ID=4440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445A KR101045311B1 (en) 2010-09-07 2011-01-17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switch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1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942B1 (en) 2011-06-23 2012-07-06 진흥전기 주식회사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cover plate
CN105489433A (en) * 2016-01-20 2016-04-13 浙江苍岳电器有限公司 Wall switch function member
CN106206139A (en) * 2016-07-27 2016-12-07 张玉莲 Rocker swi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12B1 (en) * 2008-01-08 2008-10-13 최병관 Touch switch unit for wall reclamation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12B1 (en) * 2008-01-08 2008-10-13 최병관 Touch switch unit for wall reclamation typ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942B1 (en) 2011-06-23 2012-07-06 진흥전기 주식회사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cover plate
CN105489433A (en) * 2016-01-20 2016-04-13 浙江苍岳电器有限公司 Wall switch function member
CN105489433B (en) * 2016-01-20 2017-12-12 浙江苍岳电器有限公司 Switch on wall functor
CN106206139A (en) * 2016-07-27 2016-12-07 张玉莲 Rocker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311B1 (en)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switch plate
KR101713384B1 (en) Ceiling light Mounting and Separating Device
RU2011134057A (en)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CUTTING EDGES AND CUTTING PLATES FOR USE IN IT
RU2010103266A (en) CUTTING TOOL, HOUSING AND CUTTING PLATE FOR HIM
KR101163942B1 (en) Accessories assembly structure for cover plate
CN107560292B (en) Refrigerator knob and fixing structure thereof
KR100925423B1 (en) The 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 supporter which can remove a circuit breaker easily
KR200376068Y1 (en) light lamp fitting structure
KR101127041B1 (en) Shelf for mirror
KR20090127039A (en) Speaker supporting implement
CN210266860U (en) Surface frame for panel lamp
CN215645161U (en) Injection moulding's row of inserting shell
KR200351804Y1 (en) Wall attachment fixture
CN216213231U (en) Novel arc extinguish chamber
US20090194654A1 (en) Slimstyle panel for wall switch/receptacle
CN220481544U (en) Fixed group of constructing and device
CN215888734U (en) Mounting device for assembled wallboard
CN210565542U (en) Connecting device fast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N210267112U (en) Connecting piece for exposed frame
CN110265825B (en) Fixed concealed socket
CN214509939U (en) Electric hair drier
CN209732740U (en) Shoelace buckle
CN201178841Y (en) Screen top yard
KR200491032Y1 (en) Lamp having easy-detachable structure
CN203631834U (en) Buckle type assembl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