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287B1 -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287B1
KR101045287B1 KR1020100072063A KR20100072063A KR101045287B1 KR 101045287 B1 KR101045287 B1 KR 101045287B1 KR 1020100072063 A KR1020100072063 A KR 1020100072063A KR 20100072063 A KR20100072063 A KR 20100072063A KR 101045287 B1 KR101045287 B1 KR 10104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ing
driven
dial ring
drive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주)대영오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오앤이 filed Critical (주)대영오앤이
Priority to KR102010007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287B1/ko
Priority to CN201110079552.2A priority patent/CN10234687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ars, Ca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분활회전하는 하위 단위 다이얼 링인 구동 다이얼링과 고위 단위 다이얼 링인 피동 다이얼링 사이에 랙과 피니언 수단과 그리고 상기 피니언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국소 기어부를 개재하여 피동 다이얼링이 상기 구동 다이얼링의 1회전시에 종동하여 분활회전하게 함으로써, 버튼부의 한번 누름에 의해 다이얼 링이 정확하게 하나씩 더해지게 표시되게 하여 신뢰성이 있는 숏카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between driving dial ring and driven dial ring of shot counter}
본 발명은 숏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숏카운터는 한 번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기존 표시된 숫자에 하나가 더해진숫자가 표시되는 기계식 기구이다.
이러한 숏카운터는, 2자리수를 표시하는 기기일 경우에, 버튼부가 한 번 눌려질 때마다 하위 단위의 다이얼 링이 일정 각도 분할 회전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하위 단위의 다이얼 링이 버튼부의 10번 눌러짐에 의해 1회전할 때마다 상기 하위 단위의 다이얼 링에 인접한 고위 단위의 다이얼 링이 일정 각도 분할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3자리수 이상을 표시하는 기기일 경우에, 상기 숏카운터에는 자리수 만큼의 다이얼 링 뿐만 아니라, 이 다이얼 링을 분할 회전시키는 수단과 그리고 인접다이얼 링을 분할 회전시키는 수단이 부가적으로 증대되는 데, 그 부가적인 수단으로 인하여 상기 숏카운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정교한 구조와 내구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버튼부의 한번 누름에 의해 다이얼 링이 정확하게 하나씩 더해지게 표시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분활회전하는 하위 단위 다이얼링인 구동 다이얼링과 고위 단위 다이얼 링인 피동 다이얼링 사이에 랙과 피니언 수단과 그리고 상기 피니언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국소 기어부를 개재하여 피동 다이얼링이 상기 구동 다이얼링의 1회전시에 종동하여 분활회전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버튼부의 한번 누름에 의해 다이얼링이 정확하게 하나씩 더해지게 표시되게 하여 신뢰성이 있는 숏카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숏카운터의 다이얼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어느 한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을 다른 한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피니언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피니언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숏카운터의 다이얼링 구조가 도 1 내지 도 6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숏카운터의 다이얼링부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링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0~9까지의 숫자들이 새겨진 구동다이얼링(10),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0~9까지의 숫자들이 새겨진 피동다이얼링(20), 및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0~9까지의 숫자들이 새겨진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을, 동일한 중심축선(X)을 갖는 상태에서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 다이얼링(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다이얼링(20)에 인접한 측의 내주면에, 2개의 이빨로 된 국소 기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0 숫자가 새겨진 부위와 9 숫자가 새겨진 부위 사이의 중간부위에 상당하는 내주면 부분에 상기 국소 기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다이얼링(10)을 분할회전으로 구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구동 다이얼링(10)의 일측 내주면에 복수개 형성된 피걸림부와, 이 피걸림부에 걸음되어 외력에 의해 분할회전하게 되는 래치를 구비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구동 다이얼링(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와 이 기어부와 맞물리는 워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다이얼링 구동 수단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구성요소가 아닌 관계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도시가 생략된다.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에 인접한 측의 내주면에, 2개의 이빨로 된 국소 기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0 숫자가 새겨진 부위와 9 숫자가 새겨진 부위 사이의 중간부위에 상당하는 내주면 부분에 상기 국소 기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인접한 측의 내주면에 20개의 이빨로 된 랙(22)이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하나의 숫자가 새견진 부위에 상당하는 내주면 부분에 2개의 이빨이 배치되는 식으로 상기 랙(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같이,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인접한 측의 내주면에 20개의 이빨로 된 랙(32)이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하나의 숫자가 새견진 부위에 상당하는 내주면 부분에 2개의 이빨이 배치되는 식으로 상기 랙(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같이, 다른 구동다이얼링(10)에 등을 진 측의 내주면에, 2개의 이빨로 된 국소 기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0 숫자가 새겨진 부위와 9 숫자가 새겨진 부위 사이의 중간부위에 상당하는 내주면 부분에 상기 국소 기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다이얼링(10)과 상기 피동다이얼링(20) 사이에는 피니언(40)이,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중심축선(X)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그리고 상기 구동다이얼링(10)의 내주면에 방사안쪽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중심축선(X)에 평행한 중심축선(A)을 갖은 상태에서, 개재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4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다이얼링(10)과 인접한 측의 외주면에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형성된 국소 기어부(11)와 맞물리는 제1기어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인접한 측의 외주면에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 형성된 랙(22)과 맞물리는 제2기어부(42)와 상기 제1기어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어부(41)는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3개의 이빨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제2기어부(42)는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9개의 이빨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부(41)의 이빨들이 상기 제2기어부(42)의 이빨들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제2기어부(42)의 이빨들에 대하여 위상차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 사이에는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이, 상기 중심축선(X)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그리고 상기 구동다이얼링(10)의 내주면에 방사안쪽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중심축선(X)에 평행한 중심축선(A)을 갖은 상태에서, 개재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40)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고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피니언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즉,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에는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인접한 측의 외주면에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 형성된 국소 기어부(21)와 맞물리는 제1기어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과 인접한 측의 외주면에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에 형성된 랙(32)과 맞물리는 제2기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40)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들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43)을 관통하는 고정축(45)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상기 고정축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된 상태로 지지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구동 다이얼링들에 내접된 복수개의 브래킷(50) 각각에 형성된 돌출축(S)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상기 브래킷(5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피/구동다이얼링들과 함께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50)의 직경방향 양쪽에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51)에는 프레임(F)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52)이 관통되게 되어,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고정축(52)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50)들이 상기 피/구동다이얼링을 일정가격을 두고서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동 다이얼링들의 중간 내주면에는 축경부(25, 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동다이얼링에 인접한 측의 상기 구동다이얼링의 내주면에서 축경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경부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상기 브래킷(50)이 배치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중심축선(X)방향에서 브래킷의 일면에는 요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선(X)방향에서 브래킷의 타면에는 상기 요부(53)에 삽입될 수 있는 철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숏카운터의 다이얼링 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구동 다이얼링(10)이 분활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 다이얼링(10)이 1회전될 시에, 상기 구동 다이얼링(10)에 형성된 국소 기어부(11)가 상기 구동 다이얼링(10)과 상기 피동 다이얼링(20) 사이에 개재된 피니언(40)의 제1기어부(41)와 맞물려 상기 피니언(40)이 분할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40)이 분할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40)의 제2기어부(42)와 상기 피동 다이얼링(20)의 랙(22)이 맞물려 있는 관계로, 상기 피동 다이얼링(20)이 분할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 다이얼링(10)에 의해 상기 피동 다이얼링(20)이 1회전될 시에, 상기 피동 다이얼링(20)에 형성된 국소 기어부(21)가 상기 피동 다이얼링(20)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 다이얼링(30) 사이에 개재된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의 제1기어부(41)와 맞물려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이 분할회전하게 된다.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이 분할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의 제2기어부(42)와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 다이얼링(30)의 랙(32)이 맞물려 있는 관계로,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 다이얼링(30)이 분할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피동 다이얼링과 상기 피니언을 여러개 마련하면, 여러 자릿수를 갖은 카운터가 될 수 있다.
A; 중심축선, X; 중심축선, S; 돌출축, 100; 숏카운터의 다이얼링부, 10; 구동다이얼링, 11; 국소 기어부, 15; 축경부, 20; 피동다이얼링, 21; 국소 기어부, 22; 랙, 25; 축경부, 30; 피동다이얼링(30), 31; 국소 기어부, 32; 랙, 35; 축경부, 40; 피니언, 41; 제1기어부, 42; 제2기어부, 43; 관통구멍, 45; 고정축, 50; 브래킷, 51; 관통구멍, 52; 고정축, 53; 요부, 54; 철부

Claims (7)

  1.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0~9까지의 숫자들이 새겨진 구동다이얼링(10), 및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0~9까지의 숫자들이 새겨진 피동다이얼링(20)을 동일한 중심축선(X)을 갖는 상태에서 포함하고 있는 다이얼링부(100)를 구비하고 있는 숏카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다이얼링(10)에는 피동다이얼링(20)에 인접한 측의 내주면에, 국소 기어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는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등을 진 측의 내주면에, 국소 기어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인접한 측의 내주면에 랙(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다이얼링(10)과 상기 피동다이얼링(20) 사이에는 피니언(40)이, 상기 중심축선(X)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그리고 상기 구동다이얼링(10)의 내주면에 방사안쪽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중심축선(X)에 평행한 중심축선(A)을 갖은 상태에서, 개재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40)에는 상기 구동다이얼링(10)과 인접한 측의 외주면에 상기 구동다이얼링(10)에 형성된 국소 기어부(11)와 맞물리는 제1기어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인접한 측의 외주면에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 형성된 랙(22)과 맞물리는 제2기어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22)에는 20개의 이빨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숫자가 새견진 부위에 상당하는 피동다이얼링(20)의 내주면 부분에 2개의 이빨이 배치되는 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국소 기어부(21)는 2개의 이빨로 이로어지되, 0 숫자가 새겨진 부위와 9 숫자가 새겨진 부위 사이의 중간부위에 상당하는 피동다이얼링(20)의 내주면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국소 기어부(11)은 2개의 이빨로 이루어지되, 0 숫자가 새겨진 부위와 9 숫자가 새겨진 부위 사이의 중간부위에 상당하는 구동다이얼링(10)의 내주면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기어부(41)는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3개의 이빨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제2기어부(42)는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9개의 이빨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41)의 이빨들이 상기 제2기어부(42)의 이빨들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제2기어부(42)의 이빨들에 대하여 위상차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다이얼링(20)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0~9까지의 숫자들이 새겨진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을 동일한 중심축선(X)을 갖는 상태에서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은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피동다이얼링(20)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동다이얼링(30) 사이에는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이, 상기 중심축선(X)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그리고 상기 구동다이얼링(10)의 내주면에 방사안쪽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중심축선(X)에 평행한 중심축선(A)을 갖은 상태에서,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40)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40)은 상기 피니언(40)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40)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43)을 관통하는 고정축(45)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상기 고정축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과 상기 다른 하나의 피니언은 상기 피동 다이얼링과 상기 구동 다이얼링에 내접된 복수개의 브래킷 (50) 각각에 형성된 돌출축(S)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상기 브래킷(50)에 지지되고,
    상기 브래킷(50)의 직경방향 양쪽에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51)에는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52)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다이얼링의 중간 내주면에는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동다이얼링에 인접한 측의 상기 구동다이얼링의 내주면에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경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상기 브래킷(50)이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선(X)방향에서 브래킷의 일면에는 요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선(X)방향에서 브래킷의 타면에는 상기 요부(53)에 삽입될 수 있는 철부(5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KR1020100072063A 2010-07-26 2010-07-26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KR10104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63A KR101045287B1 (ko) 2010-07-26 2010-07-26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CN201110079552.2A CN102346871B (zh) 2010-07-26 2011-03-30 模具计数器的驱动拨环和从动拨环的耦合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63A KR101045287B1 (ko) 2010-07-26 2010-07-26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287B1 true KR101045287B1 (ko) 2011-06-29

Family

ID=4440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063A KR101045287B1 (ko) 2010-07-26 2010-07-26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5287B1 (ko)
CN (1) CN10234687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375B1 (ko) * 2017-03-17 2018-09-05 김영창 카운터
KR101900409B1 (ko) * 2017-06-14 2018-09-20 김영창 버튼식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운터 모듈
KR102013544B1 (ko) * 2019-02-21 2019-08-22 오병후 전기식 회전계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7854A (ja) 2007-09-26 2009-04-16 Shoichi Nakamura 情報携帯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52128A (zh) * 2002-04-18 2003-10-29 管玉胜 内传动筒形计数器
JP4359515B2 (ja) * 2004-02-04 2009-11-04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メーターのガス使用量積算カウンター
GB0519151D0 (en) * 2005-09-20 2005-10-26 Aventis Pharma Ltd Inhaler
CN200972662Y (zh) * 2006-11-20 2007-11-07 浙江登立电表仪器有限公司 步进电机式微型计数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7854A (ja) 2007-09-26 2009-04-16 Shoichi Nakamura 情報携帯収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375B1 (ko) * 2017-03-17 2018-09-05 김영창 카운터
KR101900409B1 (ko) * 2017-06-14 2018-09-20 김영창 버튼식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운터 모듈
KR102013544B1 (ko) * 2019-02-21 2019-08-22 오병후 전기식 회전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6871A (zh) 2012-02-08
CN102346871B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287B1 (ko) 숏 카운터의 구동다이얼링과 피동다이얼링 간의 결합구조
KR101762450B1 (ko) 꼭두각시 시계
US8406087B2 (en) Watch
JP5383707B2 (ja) 時計のモジュール型ムーブメント
CN106740542B (zh) 车载显示屏旋转器传动装置
CN103423306A (zh) 滚动轴承
CN104524740A (zh) 一种重量可调节哑铃
JP5517146B2 (ja) 一方向回転伝達装置
US11188029B2 (en) Device for selecting a combination of patterns and timepiece comprising such a device
JP2013181634A (ja) キャリア支持構造
US20130008064A1 (en) Inflatable signboard
WO2008064572A1 (en) Rotary display device
WO2010024569A3 (ko) 반전회전구동기구
US9733619B2 (en) Coupling mechanism for date display discs
US9383723B2 (en) Grand date display device for a timepiece
US11126141B2 (en) Device for selection of a combination of motifs, and timepiece comprising a device of this type
KR102546668B1 (ko) 기어 지지 구조
CN106051114A (zh) 一种旋转药库拼接齿轮结构及其驱动机构
CN103590665B (zh) 电子锁的传动机构
US2222814A (en) Gear reduction
JP2016126009A (ja) 時計用のカレンダー表示装置
CN209765817U (zh) 用于数字运算的新型教具
CN204395158U (zh) 呼吸机及其旋钮组件
DE10354998A1 (de) Kompakte Differentialanordnung
WO2016027324A1 (ja) 平面対向型波動歯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