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200B1 -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 Google Patents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200B1
KR101045200B1 KR1020100134814A KR20100134814A KR101045200B1 KR 101045200 B1 KR101045200 B1 KR 101045200B1 KR 1020100134814 A KR1020100134814 A KR 1020100134814A KR 20100134814 A KR20100134814 A KR 20100134814A KR 101045200 B1 KR101045200 B1 KR 10104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harcoal
paint
adhesiv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수
Original Assignee
최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권 filed Critical 최철권
Priority to KR102010013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 연근 추출액 12~16wt%, 인진쑥 추출액 12~16wt%, 숯 27~33wt%, 포조란 8~12wt%, 식염수 5~9wt%, 나머지 증류수가 홉합되고 90~100시간이 저온에서 숙성되어, 건축물의 내벽에 접착도료로서 도포되면 상기 접착도료로 이루어진 유익한 성분으로 인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게 되어 실내거주자의 건강이 증진되고 접착도료의 내부에 변질을 조장하는 성분을 가급적이면 억제시켜 그 수명이 연장되며 건물내부에 접착되고 그대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A adhesion paint for building interior walls }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에 도포하는 건물내벽용 접착도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물의 내벽에 도포되는 접착도료가 천연재료로 제조되어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부여하여 건물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건물내벽을 그대로 접착도료로 사용도 가능하고 그 위에 벽지를 도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접착도료가 오래도록 지속가능한 성분으로 되어 있으므로 벽지의 수명도 장구적으로 연장되게 되는 건물내벽용 접착도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내벽에는 화학약품인 바인더가 함유된 페인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페인트 내에 함유되어 있는 바인더는 주로 휘발성의 본드가 사용되며 이러한 본드에는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독성물질이 발생되고, 배출시에 휘발성의 냄새가 발생되어 입주자들이 머리가 아프게 되는 새집증후군의 발생의 일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생태환경의 악화에 따른 경계의식과 함께 주거환경에 관한 문제도 악화되어, 도시의 고밀도화에 따른 대기오염, 신축건물에서 방출되는 각종의 유해물질에 의한 폐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주거생활의 근거인 아파트가 신축되는 경우에 있어, 일명 "새집증후군"이 입주자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며, 이러한 "새집증후군"은 보통 건물신축에 필요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 몰탈, 방음·단열재, 각종의 페인트, 접착제 등의 화학제품으로부터 야기되고, 이러한 '새집증후군'을 방지하기 위한 안이 다양하게 제안된바 있다.
국내 특허등록 10-0625688호에는 도료조성물, 코팅제가 각각 개시된바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모두 숯이 첨가제로 이용되고 있다. 숯의 기능, 효과는 이미 사회적으로 많은 실험을 거쳐 인정된바 있으므로 그에 따른 효과를 의도한 것이다. 그러나 숯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료 또는 코팅제의 벽면 접착성이 약하다는데 있다. 비록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숯과 도료의 결합력을 높이고는 있지만, 도료의 접착기능을 수행하는 바인더 자체는 클로로프렌,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화학제품이 그대로 이용되고 있다. 즉, 숯 또는 기타 환경에 유익한 다른 물질이 도료첨가제로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바인더는 그대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언급된 "새집증후군"의 문제가 완전히 제거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국내 특허등록 제10-732435호에는 이러한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재료로 '건축마감재용 바름재'가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 특허는 제품이 천연재료를 사용한 것은 긍정적이나, 그 구성성분이 파파야유나 야자수 수액과 같은 국내에서는 재배가 어려워 수입이 필요한 물질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재료의 구득이 용이하지 않으며, 외화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벽에 접착도료로서 도포되면 상기 접착도료로 이루어진 유익한 성분으로 인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게 되어 실내거주자의 건강이 증진되고 접착도료의 내부에 변질을 조장하는 성분을 가급적이면 억제시켜 그 수명이 연장되며 건물내부에 접착되고 그대로도 사용이 가능한 건물내벽용 접착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연근 추출액 12~16wt%, 인진쑥 추출액 12~16wt%, 숯 27~33wt%, 포조란 8~12wt%, 식염수 5~9wt%, 나머지 증류수가 홉합되고 90~100시간이 저온에서 숙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벽용 접착도료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 연근 추출액 12~16wt%, 인진쑥 추출액 12~16wt%, 숯 27~33wt%, 포조란 8~12wt%, 식염수 5~9wt%, 나머지 증류수가 홉합되고 90~100시간이 저온에서 숙성되어, 건축물의 내벽에 접착도료로서 도포되면 상기 접착도료로 이루어진 유익한 성분으로 인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게 되어 실내거주자의 건강이 증진되고 접착도료의 내부에 변질을 조장하는 성분을 가급적이면 억제시켜 그 수명이 연장되며 건물내부에 접착되고 그대로도 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연근 추출액 14wt%, 인진쑥 추출액 14wt%, 증류수 25wt%, 숯 30wt%, 포조란 10wt%, 식염수 7wt% 가 혼합되고, 이와 같이 혼합된 상태에서 96시간을 숙성시켜 제조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근은, 연근내의 철분과 비타민12의 성분을 다량을 함유하여 점막조직의 염증을 치료하고 연근에 함유된 뮤신이 니코틴을 제거하며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닝이 다량이 함유되어 기억력감퇴를 억제하여 치매예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1차로 연근을 믹서기(도시되지 않음)로 분쇄하여 연근즙을 내고, 이와 같이 제조된 연근즙 1kg당 8리터의 물을 혼합시키고 약 100℃ 내외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약 85% 까지 증발되게 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성이 있는 연근 추출액이 제조되었다.
이러한 연근 추출액은 12~16wt%가 사용되고 있으며, 12wt% 이하일 경우에는 점성이 낮아지게 되고 16wt% 이상일 경우에는 점성이 높아져서 16wt% 이하로 제한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진쑥은, 쑥은 항산화 작용이 있어 젊음을 유지시켜주고,간의 해독을 도와 피로회복과 체력증진에 도움을 주고, 쑥에는 철분과 칼륨이 들어 있어 빈혈, 요통, 산후통에 좋고 생리통, 생리불순, 자궁의 수축 등 각종 부인과 질환의 치료제로 쓰이며, 쑥은 몸의 냉기를 다스리며 특히 아랫배에 냉증이 있는데에도 효과가 있으며, 쑥 특유의 향은 치네올(cineol)이라는 성분에서 나는데, 이 성분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덥혀주고,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여 위장을 보호하고, 핏속의 노폐물을 정화시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고, 또한, 시력 감퇴를 막아주고, 면역력을 높여주며, 항암효과에도 탁월하다는 효과가 있다. 즉, 쑥에는 비타민A와 베타카로틴이 함유되어 둘 다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요모긴이 함유되어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하고,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이 함유되어 암세포를 공격하며 특히 유방암 예방 효과가 뛰어나고, 유파틸린(eupatilin)이 함유되어 위벽을 보호하여 위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결과적으로 항암효과가 탁월한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인진쑥은 이러한 효능이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진쑥 건조기에서 충분히 24시간 건조되고 400메시로 분쇄된 후, 이와 같이 분쇄된 인진쑥 분말 1kg 당 물 20리터를 혼합하여 끊는 상태인 약 100℃ 내외의 고온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분을 85%까지 증발시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성이 있는 인진쑥 추출액이 제조되었다.
이러한 인진쑥 추출액은 12~16wt%가 사용되고 있으며, 12wt% 이하일 경우에는 점성이 낮아지게 되고, 16wt% 이상일 경우에는 점성이 높아져서 16wt% 이하로 제한하였다.
증류수는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건물내벽용 접착도료가 혼합되어 교반되어 골고루 혼합되면서 오래도록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증발된 수증기로 형성된 것이므로 접착도료의 장기적인 사용과 보관이 되도록 사용되었다.
숯은 방부효과, 여과효과, 습도조절효과, 음이온발생효과, 원적외선온열효과, 냄새제거효과 등이 있어 일상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숯은 분말상태로 숯분말은 1200℃에서 구어지는 백탄이 사용되고 있으며 습도를 조절하고 온도를 조절하며 보온효과와 탈취효과가 탁월하게 되고 바닷물에 가까운 미네랄성분이 추출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숯분말의 입도는 400~500메쉬로 부드럽게 분말화되어 음이온이 발생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숯이 분말화되어 있으므로 그 표면적이 대단히 넓게 되어 숯의 상기한 효능을 발휘시키는데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숯분말의 함량은 27~33중량%가 사용되고 있으며, 27중량%이하일 경우에는 숯이 가지고 있는 효능이 미약하게 되므로 그 효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가 없으며, 33중량%이상을 사용할 경우에는 숯의 함량이 높아지는 대신에 숯의 농도가 짖어져서 벽면에 도포하는데에 도보가 원활하게 진척되지 않으며 덩어리가 지고 분사도 잘않되게 되어 33중량%이하로 제한하였다.
포조란은 화산으로 생성된 적색의 화산석으로서 다공질로서 항균, 탈취, 해독작용이 우수한 광물성분이다.
이러한 포조란은 8wt% 이하일 경우에는 항균, 탈취효능이 저하되고, 12wt%이상일 경우에는 고가이어서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게 되어 12wt% 이하로 제한되었다.
식염수는 연근 추출액과 인진쑥 추출액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변질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식염수내의 염분과 미네랄이 이와 같이 변질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도료가 실내벽에 도포된 이후에는 접착도료의 변질을 방지한다.
이러한 식염수는 5wt% 이하일 경우에는 숙성과정에서 제품의 변질이 완벽하게 방지되지 아니하고 9wt% 이상일 경우에는 염분의 과다로 인하여 숙성이 저해되게 되어 5~9wt% 로 제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연근 추출액 14wt%, 인진쑥 추출액 14wt%, 증류수 25wt%, 숯 30wt%, 포조란 10wt%, 식염수 7wt% 가 혼합되고, 이와 같이 혼합된 상태에서 96시간을 숙성시켜 제조되었으며, 이와 같이 96시간이 숙성되는 동안 연근 추출액과 인진쑥 추출액은 발효가 되면서 접착력이 강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접착도료의 숙성시간은 90시간이상으로 약 0℃ ~ 5℃의 온도에서 숙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숙성시간이 그 90시간 이하일 경우에는 접착도료가 응고가 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압축기로 작동되는 스프레이건에 의해 분무되는 방식으로 건물의 내벽에 도포된다. 형성되는 피막의 두께는 0.1 ~ 0.5mm 의 범위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실내의 바닥, 벽, 천정 등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도포된 본 발명의 건축물내벽용 마감도료는 스프레이건에 분무되고 약 2시간에서 3시간후면 건조되고 아무런 냄새도 나지 않으므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발명의 접착도료에는 인체에 유익한 연근성분과 인진쑥성분과 숯분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며, 실내벽면에 도포된 본 발명의 접착도료는 일반도료보다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연장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접착도료는 접착성분을 갖는 연근 추출액과 인진쑥 추출액이 천연재료이므로 벽의 표면에 형성된 기공내에 흡착되게 되므로 벽에 스며들게 되어 반영구적으로 박리현상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건물내벽에 도포된 상태에서 그 상부면에 벽지가 도배될 경우에는 숯을 통하여 습도조절이 되게 되어 벽지에 탈색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장기간에 걸쳐서 벽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포조란에 의하여 항균과 탈취성분이 제공되므로 실내의 냄새의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유해한 균이 적은 상태에서 쾌적하게 실내에 거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일반 도료제조공장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Claims (1)

  1. 연근 추출액 12~16wt%, 인진쑥 추출액 12~16wt%, 숯 27~33wt%, 포조란 8~12wt%, 식염수 5~9wt%, 나머지 증류수가 혼합되고 90시간 내지 100시간 동안 1~5℃의 저온에서 숙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KR1020100134814A 2010-12-24 2010-12-24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KR10104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814A KR101045200B1 (ko) 2010-12-24 2010-12-24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814A KR101045200B1 (ko) 2010-12-24 2010-12-24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200B1 true KR101045200B1 (ko) 2011-06-30

Family

ID=4440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814A KR101045200B1 (ko) 2010-12-24 2010-12-24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2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88B1 (ko) 2005-07-28 2006-09-20 최경동 숯 분말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는 도료 첨가제 조성물
KR100801553B1 (ko) 2006-12-29 2008-02-12 (주)동양리빙퀘스트 건축물 마감용 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38320A (ko) * 2009-06-25 2010-12-31 이동훈 도장용 도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88B1 (ko) 2005-07-28 2006-09-20 최경동 숯 분말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는 도료 첨가제 조성물
KR100801553B1 (ko) 2006-12-29 2008-02-12 (주)동양리빙퀘스트 건축물 마감용 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38320A (ko) * 2009-06-25 2010-12-31 이동훈 도장용 도료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51608A (zh) 一种环保贝壳粉生物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469017B1 (ko)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도장방법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KR100643509B1 (ko) 천연광석물과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용 천연염화조성물
KR20180110740A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1080A (ko) 새집증후군 시멘트독성을 유발하는 포름알데히드 제거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00124396A (ko) 기능성 숯 바름재 조성물
KR101045200B1 (ko) 건물내벽용 접착도료
US7879252B1 (en) Functional cotton spray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EA000483B1 (ru) Фосфа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её применение
CN106978000A (zh) 远红外保健内墙腻子粉及其制备方法
KR20150040500A (ko) 친환경 벽,바닥 마감재 조성물과 그 시공방법
KR101165053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897B1 (ko) 항균 불연 친환경 세라믹 규조토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939078B1 (ko) 건축물 마감재 조성물
KR101021107B1 (ko) 친환경 화산석 몰탈 조성물
KR100949919B1 (ko) 건축물내벽용 마감도료
KR20090010342A (ko) 신체 기능 활성화용 볼 조성물
KR20140136215A (ko) 건축물의 내벽을 내장하는 친환경 몰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2326A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함유하고 편백추출액으로 코팅된 건축용 마감재
KR101047124B1 (ko) 식물성 건축물 바이오코팅재
KR101641724B1 (ko) 규조토 함유 건축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0732435B1 (ko) 건축마감재용 바름재
KR101646215B1 (ko) 건축용 파우더형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