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898B1 - 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898B1
KR101044898B1 KR1020030039192A KR20030039192A KR101044898B1 KR 101044898 B1 KR101044898 B1 KR 101044898B1 KR 1020030039192 A KR1020030039192 A KR 1020030039192A KR 20030039192 A KR20030039192 A KR 20030039192A KR 101044898 B1 KR101044898 B1 KR 10104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user
setting
menu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8272A (en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898B1/en
Publication of KR2004010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2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된 소수의 단계로 설정된 음량 선택 메뉴를 제공하여 큰 범위의 음량을 선택하도록 한 후, 사용자 의도에 따라 선택된 음량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범위의 세밀한 음량 선택을 더 가능하도록 하여 음량 선택의 정밀도를 높이며, 이러한 음량 선택을 기 설정된 시간을 단위로 자동으로 변화하는 음량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음량 선택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음량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키 입력의 수를 줄여 보다 편리한 음량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lume selection menu set in a fixed number of steps to select a large range of volumes, and then further allows a detailed range selection of the volume centered on the volum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By increasing the precision and providing a volume set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that additionally provides an automatic volume selection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such a volume selection from a volume that automatically changes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pecify,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keystrokes to allow more convenient volume setting.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구조를 보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dio output structure of a typical mobi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음량 설정 실시예.2 is a volume se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오디오 제어부 20: 오디오 증폭기10: audio control unit 20: audio amplifier

30: 스피커30: speaker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한 음량에 근접한 미세한 단계 음량을 설정된 시간만큼 차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밀한 크기의 음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 set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lume set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user can set a volume of a more precise size by sequentially providing a fine step volume close to a selected volume for a set time.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들의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휴대는 장소와 시간을 구애받지 않은 착신 및 통화를 가능하게 하여 보다 삶의 질을 높이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 역시 다양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portable terminals are now the essential portable products of modern people. However, the general carrying of such a mobile terminal is a fact that it is possible to make calls and calls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to contribute to a higher quality of life, but the resulting side effects also occur variously.

휴대 단말기의 상시 휴대에 따른 일반적인 문제점이라면 착신이나 알람등에 사용되는 벨소리 음량이 너무 크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는 점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량을 줄이거나 진동으로 설정하면 중요한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주변에 피해가 가는 줄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큰 음량으로 설정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종래 음량 설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음량을 설정하는데 상당한 곤란을 주게 되는데, 그 이유중 하나가 세밀하지 못한 음량 설정 단계에 있다. 즉, 소수의 음량 선택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므로 한 단계 차이로 상당히 큰 음량의 차이를 보이게 되어 정확히 원하는 음량을 맞추기 어렵다.A common problem cau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hat the ringtone volume used for incoming calls or alarms is too loud, causing damage to people around them. To prevent this, if you reduce the volume or set it to vibrate, you may not be able to answer important calls. This conventional volume setting presents a significant difficulty in setting the appropriate volume desired by the user, one of the reasons being in the subtle volume setting stage. That is, since one of the few volume selection menus must be selected, the difference in volume is significantly increased by one step,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adjust the desired volum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음량 제어를 위한 구성을 보이는 간단한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재생되는 음향을 증폭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디오 증폭기(20)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 신호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제어부(10)에서 관리하며, 해당 이득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의 단계별로 설정된다.FIG. 1 is a simple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volume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n audio amplifier 20 for amplifying an audio signal in order to amplify an internally reproduced sound as shown. The gai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audio amplifier 20 is managed by the audio control unit 10 that generates an audio signal, and the gain control signal is set in predetermined step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오디오 제어부(10)가 제공하는 이득 제어 신호들은 설계 단계에서 소정의 단계들로 고정되며, 사용자는 메뉴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단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The gain control signals provided by the audio control unit 10 are fixed at predetermined stages in the design stage,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corresponding stages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 menu.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량을 선택하기 위해 음량 선택 메뉴를 실행시키면 소정의 막대 그래프 형태의 음량 수준이 나타나게 되며, 사용자가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조절함에 따라 변경된 음량으로 기 설정된 멜로디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음량을 한 단계 씩 수동으로 변경한 후 해당 음량으로 제공되는 멜로디를 들으면서 원하는 음량을 선택하여 그 크기를 설정한다. 상기 각 단계에 따른 음량은 설계 단계에서 설정된 이득 제어 신호에 따르며, 실질적으로는 아날로그로 구현되는 이득 제어를 디지털에 의한 소정 제어 신호로 한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범위를 소수의 단계로만 설정할 수 있어, 그 단계별 해상도는 대단히 떨어지게 된다. 즉, 실질적으로는 8비트(256단계)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고 조절될 수 있는 이득을 3~4비트(8~16 단계) 정도의 해상도로만 고정해서 사용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volume selection menu to select the volume, the volume level in the form of a bar graph appears, and the user outputs a melody with the changed volume as the user adjusts using the direction keys. Therefore, in order to select the desired volume, the user manually changes the volume step by step, selects the desired volume while listening to the melody provided as the corresponding volume, and sets its size. The volume according to each step depends on the gain control signal set in the design step, and the entire range can be set to only a few steps since the gain control implemented in analog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by digital. The resolution of that step is very bad. In other words, a gain that can be adjusted with a resolution of 8 bits (256 steps) or more is fixed and used only at a resolution of about 3 to 4 bits (8 to 16 step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휴대 단말기 착신음/알람음의 음량 설정은 단계별 음량 변화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한 단계 상향 조절하면 너무 크고, 한 단계 하향 조절하면 너무 작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휴대로 인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벨소리나 알람의 음량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너무 크거나 작은 음량으로 벨소리를 조절할 수 밖에 없다.The volume setting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ringing tone / alarm sound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often too large for one step up and too small for one step down because the volume change of the step-by-step volume is considerably large. In particular, the volume of the ringtone or alarm cannot be precis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portable terminal, so the ringtone can only be adjusted with too loud or small volum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은 설계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 증폭에 사용되는 이득 제어 신호를 고정된 소수의 단계로 설정한 후, 사용 자가 상기 설정된 단계들을 하나씩 키 입력을 통해 선택하여 해당 음량으로 기 설정된 멜로디를 들으면서 원하는 음량을 설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음량을 정밀하게 설정하지 못하며, 음량 설정을 위해 많은 키 입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olume set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he gain control signal used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is set to a fixed number of stages in the design stage, and then the user selects the set stages one by one through a key input. Since the user can set the desired volume while listening to the preset melody, the volume cannot be set precisely, and a large number of key inputs are required for the volume sett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고정된 소수의 단계로 설정된 음량 선택 메뉴를 제공하여 큰 범위의 음량을 선택하도록 한 후, 사용자 의도에 따라 선택된 음량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범위의 세밀한 음량 선택을 더 가능하도록 하여 음량 선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상기 음량 선택을 기 설정된 시간을 단위로 자동으로 변화하는 음량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음량 선택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휴대 단말기의 성능을 모두 개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lume selection menu set to a fixed number of steps to select a large range of volume, and then further selects a detailed range of volume selection based on the volum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lume set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volume selection.
In addi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provides an automatic volume selection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volume selection from among volumes that automatically change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lume set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뉴를 선택하여 음량 설정 메뉴로 진입하여 소정의 단계별 음량 중 원하는 음량을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음량을 기준으로 더욱 세분화된 음량 단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세분화된 음량을 설정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step of selecting a menu of the mobile terminal to enter the volume setting menu to set the desired volume of the predetermined step volume; And a second step of setting a subdivided volume by providing a subdivided volume level based on the volume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제 1단계 및 제 2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만큼 기 설정된 멜로디를 소정의 단계 별로 커지는 음량에 따라 자동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해당 음량에 따라 출력되는 멜로디를 듣다가 원하는 음량의 멜로디가 출력되면 키를 입력하여 해당 음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and second steps may include: automatically outputting a predetermined melody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volume that is increased for each predetermined step; When the user hears the melody outpu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olume and the melody of the desired volume is outpu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 corresponding volume by inputting a ke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음량 설정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단계로 나누어진 음량 설정 단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volum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ble to confirm the volume setting step divided into two steps as shown.

먼저, 좌측은 휴대 단말기의 음량을 설정하는 일반적인 음량 설정 과정과 그다지 차이가 없는 화면을 보인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 부가적으로 자동 음량 설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동 음량 설정 기능은 사용자나 개발자가 기 설정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멜로디를 음량 단계를 증가시키면서 출력하고, 사용자는 해당 멜로디의 음량을 직접 확인하면서 원하는 크기의 음량이라 판단되면 키를 입력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반복적인 키 입력 없이도 원하는 음량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First, the left side shows a screen tha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general volume setting process of setting the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use the automatic volume setting function.
The automatic volume setting function outputs a preset melody while increasing the volume level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by a user or a developer, and the user checks the volume of the corresponding melody directly and selects it by inputting a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ume is of a desired size. Function. Using this functio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volume level without repetitive key input for user convenience.

도 2에서, 좌측과 같이 사용자가 특정 단계, 예를들어 단계 "3"의 음량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는 표시부(미도시)에 "세부", "확인"의 두가지 메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그냥 지정하여 사용하거나 보다 정밀한 음량을 설정할 수 있는 세부메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In FIG. 2, when the user selects the volume of a specific step, for example, step "3" as shown on the left,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wo menu items "detail" and "confirmation"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Print out, allowing the user to just specify and use it, or enter a detailed menu where you can set a more precise volume.

만일 사용자가 "세부" 메뉴를 선택하면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단계 "3"을 중심으로 하는 보다 세밀한 단계의 음량을 제공한다. 일예로 도 2에서는 5단계의 세밀한 음량을 제공하게 되며, 이 단계에서도 사용자가 자동 음량 설정 기능을 이용하도록 한다면 자동적으로 소정 시간동안 각 단계별 음량으로 출력을 실시하게 된다.If the user selects the "Detail" menu, it provides a volume of finer levels centered on the selected step "3" as shown on the right. For example, in FIG. 2, five levels of detailed volume are provided, and in this stage, if the user uses the automatic volume setting function, the volume is automatically output at each stage for a predetermined time.

즉,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초기 5단계 각각에 대한 5단계의 세밀한 음량 제어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음량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환경에 최적으로 적합한 음량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five levels of fine volume control for each of the initial five levels are possible, and thus,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more precise volume, thereby selecting a volume appropriate for the user's environment.

당연하게도, 상기 도시된 1~5의 초기 단계와 해당 단계에 대한 5단계의 세밀한 단계들은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더욱 정밀해 질 수 있으며, 세부 단계를 중복 사용하여 더욱 정밀한 음량 선택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음량 선택 기능의 사용 여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고, 해당 기능을 위한 단계별 멜로디 출력 시간과 사용될 멜로디의 설정을 기본 설정 메뉴를 통해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Naturally, the initial steps of 1 to 5 and the detailed steps of the 5 steps for the steps can be more precise according to the developer's intention, and the detailed steps can be used repeatedly to enable more precise volume selection. have.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whether or not to use the automatic volume selection function, and may set the melody output time for each function and the setting of the melody to be used through the basic setting menu.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초기 기능 설정을 제어한다. 상기 초기 기능 설정은 자동 음량 선택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할 음량의 단계별 멜로디 지속 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기능에 사용할 멜로디의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능은 독립된 메뉴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개발자가 개발 단계에서 고정할 수도 있다.
3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controls initial function setting. The initial function setting is for setting the melody duration for each step of the volume to be used when using the automatic volume selection function, and for setting the type of melody to be used for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 func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menu, which can be set by the user, and fixed by the developer at the development stage.

이후 사용자가 자동 음량 기능을 선택하여 음량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메뉴에 진입하면서 단계별 음량을 간편히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음량 단계에 따라 상기 초기설정에서 기 설정된 시간 만큼 소정의 멜로디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는 해당 멜로디가 소정의 음량으로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여 해당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음량 단계를 증가 혹은 감소시키면서 출력을 계속한다.After that, if the user wants to set the volume by selecting the automatic volume functio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volume of each step by entering the corresponding menu, and according to the volume level, a predetermined time by the preset time. Output the melody. 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menu by inputting a key while the corresponding melody is output at a predetermined volume, the controller continues the output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olume level.

상기 소정의 음량에 대한 출력이 이루어지는 중에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여 해당 음량을 선택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세부 메뉴로 진입할 것인지 아니면 현재 설정을 그냥 이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메뉴를 선택하여 현재 설정을 그냥 이용하고자 한다면,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음량 단계에 따른 이득 제어값을 설정하고 음량 선택 메뉴를 종료한다.
When the user inputs a key and selects the corresponding volume while outputting the predetermined volume,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provides a menu for inquiring whether to enter a detailed menu or to simply use the current setting.
If the user selects the "OK" menu and simply uses the current setting, the controller sets a gain control value according to the currently set volume level and exits the volume selection menu.

반면에 사용자가 "세부"메뉴를 선택하여 세부 메뉴로 진입하면,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음량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음량 단계들을 다시 제공하고, 단계별로 소정의 시간동안 멜로디를 출력한다. 당연히 상기 선택된 음량 다음부터 그 다음 단계의 음량까지를 세분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세분화된 음량의 구체적인 설정은 개발자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detail" menu to enter the detailed menu, the controller provides the volume levels subdivided around the selected volume again, and outputs the melody for a predetermined time step by step. As a matter of course, since the subdivided menu may be provided from the volume after the selected volume to the volume of the next stage, the detailed setting of the subdivided volume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developer or the user.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멜로디가 출력되는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을 직접 확인하고 소정의 키를 눌러 선택하면 해당 음량이 선택되어 그에 따라 이득 제어값을 설정한 후 종료한다.Therefore, if the user directly checks the desired volume while the melody is being output and selects by pressing a predetermined key, the controller selects the corresponding volume, sets the gain control value accordingly, and end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량을 보다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자동 음량 선택 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 키 입력을 줄이면서 보다 편리한 선택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more precisely set a desired volume, and by using the automatic volume selection function, more convenient selection can be made while reducing key inpu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은 고정된 소수의 단계로 설정된 음량 선택 메뉴를 제공하여 큰 범위의 음량을 선택하도록 한 후, 사용자 의도에 따라 선택된 음량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범위의 세밀한 음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음량 선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음량 선택을 기 설정된 시간을 단위로 자동으로 변화하는 음량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음량 선택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음량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키 입력의 수를 줄여 보다 편리한 음량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olume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lume selection menu set in a fixed number of steps to select a large range of volume, and then selects a specific range of fine details based on the volum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By enabling the volume sele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the volume sele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n automatic volume selection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volume selection function from among the volumes that change automatically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allowing a user to specify a more precise volume. This reduces the number of key inputs and allows more convenient volume setting.

Claims (5)

음량 설정메뉴에서 단계별로 음량의 세기를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the intensity of the volume step by step in the volume setting menu; 자동음량선택 메뉴에서 멜로디와 상기 설정된 음량의 세기별로 상기 멜로디가 울리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a time for the melody to sound for each of the melody and the set volume intensity in an automatic volume selection menu; 자동음량선택이 수행되면 상기 멜로디를 각 단계별 음량의 세기로 상기 설정된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Sequentially outputting the melody by the set time at the intensity of each step volume when automatic volume selection is performed; 상기 출력되는 각 단계별 음량중에서 소정 세기의 음량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량의 세기를 기준으로 세분화된 단계별 음량의 세기를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a volume level of the subdivided volume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lected volume when a volume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is selected from the volume of each output level; 상기 설정된 세분화된 단계별 음량의 세기를 상기 설정된 시간만큼 다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Sequentially outputting the set granular volume levels again by the set time; 상기 출력되는 세분화된 음량중에서 원하는 세기의 음량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분화된 음량의 세기는 현재 선택된 음량의 세기의 바로 아래 단계와 위 단계사이에서 소정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을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Selecting a volume of a desired intensity among the outputted subdivided volumes, wherein the subdivided volume is s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 step immediately below and a step above the currently selected volume; How to set the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분화된 음량 단계에서 특정 음량이 선택되면, 또 다시 세부 메뉴로 진입할 것인지 현재 설정을 이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menu for inquiring whether to enter a detailed menu or to use a current setting when a specific volume is selected in the subdivided volume step; 상기 메뉴에서 세부 메뉴로의 진입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음량을 기준으로 더욱 더 세분화된 음량 단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And providing a volume level further subdivided on the basis of the volume set by the user when the entry into the detailed menu is selected from the menu.
KR1020030039192A 2003-06-17 2003-06-17 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044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92A KR101044898B1 (en) 2003-06-17 2003-06-17 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92A KR101044898B1 (en) 2003-06-17 2003-06-17 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272A KR20040108272A (en) 2004-12-23
KR101044898B1 true KR101044898B1 (en) 2011-06-28

Family

ID=3738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192A KR101044898B1 (en) 2003-06-17 2003-06-17 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8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2877A (en) * 2015-11-13 2016-01-2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volume adjust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151A (en)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Method for precise adjustment of television volu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151A (en)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Method for precise adjustment of television volu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2877A (en) * 2015-11-13 2016-01-2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volume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272A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68046A (en) Transmitter, telephone set and audio input compensation method for telephone set using it
KR20090029011A (en) Mobile phone which support creatable tone color and tone color setting method thereof
KR19980046159A (en) How to adjust the volume according to the volume level
JP2006352250A (en) Acoustic output apparatus, mobile phone terminal, and acoustic output program
KR101044898B1 (en) Volu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0677467B1 (en) Sound volume leve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3622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40552A (en) Method for setting environments related to alarm of message arrival in cellular phone
KR100268477B1 (en) Microphone output mode switching apparatus and its method
KR10021772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umn in a keyphone
GB2331429A (en) Ambience-sensitive telephone alerting system
KR970005434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ing volume by the button in the key-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30004745A (en) Alarm signal outbreak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JP2005151067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production method
JP2008278327A (en) Voice communication device and frequency characteristic control method of voice communication device
KR100446530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a ringing sound level in a telephone terminal, specially related to controlling a level of a ringing sound at certain level in a telephone with a speaker phone circuit or without the speaker phone circuit
JP3233445B2 (en) Volume control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at the time of volume control
JP2002027090A (en) Telephone set
KR200226155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pt volume automatically for mobile phone
KR0150235B1 (en) Method and device of automatic volumn control of telephone bell
KR10056624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emergency sound
JPH0298265A (en) Sound volume adjusting device for telephone set
JP4429210B2 (en) Intercom system for karaoke facilities
KR20020052492A (en) Alarm signal outbreak apparatus and his control method of portable telephone
KR20000026419A (en) Automatic alert mode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