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897B1 - Fishing float - Google Patents

Fishing flo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897B1
KR101044897B1 KR1020090020392A KR20090020392A KR101044897B1 KR 101044897 B1 KR101044897 B1 KR 101044897B1 KR 1020090020392 A KR1020090020392 A KR 1020090020392A KR 20090020392 A KR20090020392 A KR 20090020392A KR 101044897 B1 KR101044897 B1 KR 10104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 source
fishing
moving
fishing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1941A (en
Inventor
조재용
Original Assignee
조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용 filed Critical 조재용
Priority to KR102009002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897B1/en
Publication of KR2010010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는 본체와, 본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본체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를 포함하고, 각도 이동부는 본체의 무게 중심의 수직방향 축선의 일 영역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함몰된 관 형상의 중공부 및 본체의 각도 이동에 따라 중공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추를 포함하며, 중공부는 이동추의 이동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90020392

낚시, 찌, 어신

Fishing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ngular moving portion for increasing the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relative to the water surfa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the angular moving portion is transverse direction from one region of the vertical axi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tubular hollow portion recessed to both sides and the moving weight to move in position in the hollow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gular movement of the body, the hollow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weight.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react sensitively to a fine fishery and to improve visibility.

Figure R1020090020392

Fishing, bobber, fisherman

Description

낚시용 찌{FISHING FLOAT}Fishing bobber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shing bobber which can sensitively respond to fine fishery to improve visibility.

일반적으로 낚시용 찌는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낚시줄에 매달아 사용하는 낚시 채비용 도구이다. 종래의 낚시용 찌는 주로 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In general, a fishing bobber is a fishing tackle tool used to hang on a fishing line to determine the quality of fish. Conventional fishing bobbins are mainly released in the form of rods having a length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낚시용 찌는 미세한 어신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며, 시인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ishing bobber is not sensitive to fine fisher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visibility is not go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bobber that can be sensitive to fine fishery to improve visibility.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낚시용 찌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수직방향 축선의 일 영역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함몰된 관 형상의 중공부와; 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추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이동추의 이동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shing bobber, the main bod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it includes an angular moving unit for increasing the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water, wherein the angular moving unit, from one area of the vertical axi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to both side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 hollow tubular hollow portion; It includes a moving weight that moves in position in the hollow portion according to the angular movement of the body, the hollow portion is made by a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w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와; 상기 찌막대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와; 상기 찌막대 또는 상기 보조 부력부에 마련되어 낚시줄이 결합되는 낚시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ent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water surface; A pair of auxiliary buoyancy par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ent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fishing rod or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is coupled to the fishing line.

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중심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enter weigh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상기 이동추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점등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 that is turned on in association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weight.

상기 낚시줄 결합부는 상기 찌막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추는 전도체로 마련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찌막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1 광원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벗어나 상기 이동추가 소정의 제1 발광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dents; The moving weight is provided as a conductor; 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ail rod to emit light;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light source; Preferably, when the main body moves out of the horizontal state to the predetermined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terminal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weight to supply power of the battery to the first light source.

상기 광원부는, 상기 찌막대의 일단 또는 본체에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2 광원과; 상기 본체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이동추의 위치인 제2 발광위치에서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2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disposed at one end or the main body of the tail rod to emit light; It may include a second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moving weight 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of the battery to the second light source.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은 상호 다른 발광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have different emission colors.

상기 각도 이동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ngular moving part is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main body.

상기 찌막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d is preferably penetrated through the main body and slidab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상기 보조 부력부는 상기 찌막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rod.

상기 찌막대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영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ir of auxiliary bodie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the main body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mmy.

상기 보조체는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body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shing bobber that can sensitively respond to fine fishery and improve visibilit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밝은 낮에 사용하는 주간용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daytime fishing bobber for use during a bright day.

먼저,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를 설명한다. First, the fishing bob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B.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본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본체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shing bob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n angle moving unit 160 that increases the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Include.

본체(110)는 물에 뜨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며, 구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유선형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타원의 단면을 갖는 타원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의 종단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한다.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buoyant material to float in water, provided in a spherical shape, provided in a streamlined shape, or is provided in an ellipsoidal shape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1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having an elliptical longitudinal section as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체(110)에는 가로방향 즉, 수평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관통된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통공(111)은 수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관통공(111)은 본체(110)의 무게 중심(C)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111)은 본체(110)의 무게 중심(C)에 비하여 약간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111)에는 낚시줄이 통과된다.The main body 110 may have a through hole 111 penetrating to both si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parallel to the water surface.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adjacent to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main body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slightly above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main body 110. The fishing lin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중심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추(150)는 본체(110)의 부력에 대응하는 무게를 갖는다. Fishing bob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weight 15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body (110). The central weight 150 ha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buoyancy of the main body 110.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본체(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본체(110)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도 이동부(160)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수직방향 축선의 일 영역으로부터 관통공(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관 형상의 중공부(161)와, 본체(110)의 각도 이동에 따라 중공부(161)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추(163)를 포함한다.Fishing bob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moving unit 160 for increasing the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10. The angle moving part 160 includes a tubular hollow part 161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1 from one region of the vertical axis of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It includes a moving weight 163 that moves in position in the hollow portion 161 according to the angular movement.

중공부(161)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 하부영역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중공부(161)는 이동추(163)의 위치 이동시 통로를 제공한다. 중공부(161)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동추(163)의 이동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중공부(161)는 이동추(163)의 이동방향을 따라 부분 원호 형상을 갖는다. The hollow part 161 is recessed in both side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center of gravity C of the main body 110. The hollow part 161 provides a passage when the moving weight 163 moves. The hollow part 16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weight 163. In this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161 has a partial arc shap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weight 163.

이동추(163)는 구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동추(163)는 중공부(16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된다. 즉, 이동추(163)는 중공부(161)의 단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본체(110)가 수평상태인 경우 본체(110)의 무게 중심(C) 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중공부(161)를 따라 이동하여 본체(110)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한다. 이에,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도 이동추(163)가 이동하여 본체(110)의 각 도 이동을 크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moving weight 163 is provided in a spherical shape. The moving weight 163 is provided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ollow portion 161. That is, the moving weight 163 is provided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portion 161. Here, the moving weight 163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main body 110 is in a horizontal state. When the main body 110 is inclined to one side, the main body 110 moves along the hollow portion 161 to increase the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Thus, the moving weight 163 is moved even in fine granules of fish to increase the angl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fish.

한편, 각도 이동부(160)는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110)는 하부의 일 영역이 함체상으로 함몰된 함몰부(113)를 가지며, 각도 이동부(160)는 본체(110)의 함몰부(113)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형상맞춤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본체(110)에 상황에 따라 무게가 다른 이동추(163)를 갖는 각도 이동부(16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10)와 각도 이동부(160)는 사이에는 이탈방지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ngle moving unit 160 may be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body (110). That is, the main body 110 has a depression 113 in which one region of the lower part is recessed into the enclosure, and the angular moving part 160 has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113 of the main body 110. It is provided to fit the shape. As the angle moving unit 160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angle moving unit 160 having the moving weight 163 having different weights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a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1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angle moving unit 160.

이탈방지부(170)는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170)는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71)와, 본체(110)의 함몰부(113)의 내벽에 돌기부(171)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몰된 돌기수용부(173)를 포함한다. 그러나, 돌기부(171)가 본체(110)의 함몰부(113)에 마련되고 돌기수용부(173)가 각도 이동부(160)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departure preventing unit 170 prevents the angle moving unit 16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70 accommodates the protrusion recessed so that the protrusion 17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ngle moving part 160 and the protrusion 171 are fitted to the inner wall of the depression 113 of the main body 110. Part 173 is included. However, the protrusion 171 may be provided in the recess 113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73 may be formed in the angle moving part 16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도 2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120)와, 찌막대(120)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130)와, 찌막대(120) 또는 보조 부력부(130)에 낚시줄(1)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낚시줄 결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공(111)에는 찌막대(120)가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shing bob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2 to 3b,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ater surface 120 and the rod 120 A pair of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nd the fishing rod coupling portion 140 is provided so that the fishing line (1) is coupled to the pole rod 120 or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can do. In this case, the thrust rod 120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11.

찌막대(120)는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다. 찌막대(120)는 관통공(111)을 통과하여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찌막대(120)는 평상시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찌막대(1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찌막대(120)를 슬라이딩시켜 본체(110)의 좌우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찌막대(120)의 양단에는 보조 부력부(13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The steep rod 120 is provid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The steep rod 1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and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This rod 120 is normally arranged parallel to the water surface. The rod 12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of the main body 110 can be adjusted by sliding the tail rod 120.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ensely rod 120, respectively.

보조 부력부(130)는 찌막대(120)의 양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수면에서 찌막대(12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찌막대(120)에 부력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 부력부(130)는 본체(110)에 부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부력부(130)는 본체(110)에 비하여 작은 부력을 갖도록 마련된다. 보조 부력부(130)는 찌막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찌막대(120)에 결합되는 보조 부력부(130)의 부력에 따라 낚시용 찌(100)의 전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조 부력부(130)는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결합되는 제2 보조 부력부(130b)와 찌막대(120)의 타단(120b)에 결합되는 제1 보조 부력부(130a)를 포함한다. 제1 보조 부력부(130a)와 제2 보조 부력부(130b)는 동일한 부력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uxiliary buoyancy unit 130 is disposed at both end regions of the rod 120 to provide buoyancy to the rod 120 to maintain the horizontal of the rod 120 at the surface. In addition, the auxiliary buoyancy unit 130 serves to apply buoyancy to the main body 110. The auxiliary buoyancy unit 130 is provided to have a small buoyancy compared to the main body 110.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od 120. Thus, according to the buoyancy of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coupled to the rod 120 can be adjusted the overall buoyancy of the fishing bobber (100). The auxiliary buoyancy unit 130 is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unit 130b coupled to one end 120a of the rod 120 and the first auxiliary buoyancy unit 130a coupled to the other end 120b of the rod 120. It includ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uxiliary buoyancy part 130a and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part 130b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buoyancy.

낚시줄 결합부(140)는 찌막대(120) 또는 보조 부력부(130)에 마련되어 낚시줄(1)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낚시줄 결합부(140)는 낚시줄(1)이 통과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 보조 부력부(130b)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낚시줄 결합부(140)를 중심으로 상부영역의 낚시줄(1)에는 찌고무(3)가 결합된다. 찌고무(3)는 낚시줄 결합부(140)를 중심으로 하부영역의 낚시줄(1)에도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낚시줄(1)이 찌고무(3)에 결합되어 있으며, 찌고무(3)가 낚시줄 결합부(140)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140 is provided in the rod 120 or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is a configuration that the fishing line (1) is coupled. In this embodiment, the fishing line coupling part 140 is provid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fishing line 1 passes, an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part 130b. The bobbin rubber 3 is coupled to the fishing line 1 of the upper region around the fishing line coupling unit 140. Bobber rubber 3 may be coupled to the fishing line (1) in the lower area around the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140. However, the fishing line 1 is coupled to the steaming rubber 3, the steaming rubber 3 may be fitted to the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140.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찌막대(120)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본체(110)의 전후영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체(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체(180)는 본체(1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체(180)는 그 무게 중심이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전후방향 축선상에 대응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고부력을 원하는 경우 본체(110)에 부력이 큰 보조체(180)를 결합시키며, 저부력을 원하는 경우 본체(110)에 부력이 작은 보조체(180)를 결합시켜 본체(1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fishing bob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auxiliary bodies 180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the main body 11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bbin rod 120. The auxiliary body 180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main body 110. Here, the auxiliary body 180 is preferably coupled so that its center of gravity corresponds to the forward and backward axis of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main body 110. Thus, when high buoyancy is desired, the auxiliary body 180 having a large buoyanc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when the low buoyancy is desired, the subsidiary body 180 having a small buoyanc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provide a buoyancy forc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adjusted.

다음,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두운 상황에서 사용하는 야간용 낚시용 찌(2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the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ll configur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relates to a night fishing bobber 200 for use in a dark situa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는 이동추(163)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점등되는 광원부(2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낚시줄 결합부(140)는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배치되며, 이동추(163)는 전도체로 마련된다.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210 that is turned 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moving weight 163. Here, the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140 is disposed on one end (120a) of the fly rod 120, the moving weight 163 is provided as a conductor.

광원부(210)는 찌막대(120)의 타단(120b)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1 광원(211)과,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어 제1 광원(2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13)와, 본체(110)가 수평상태를 벗어나 이동추(163)가 소정의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면 이동추(163)를 통하여 접속되어 제1 광원(211)에 배터리(213)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단자부(215)를 포함한다. The light source unit 2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120b of the rod 120 and emits light, and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0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light source 211. When the battery 213 and the main body 110 are out of the horizontal state and the moving weight 163 moves to the predetermined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A, the battery 213 and the main body 110 are connected through the moving weight 163 to connect the battery to the first light source 211. And a first terminal portion 215 for supplying power of 213.

본 실시예에서 제1 광원(211)은 LED로 마련된다. 그러나, 제1 광원(211)은 광을 발하는 다양한 조명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광원(211)은 찌막대(120)의 타단(120b)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조 부력부(130a)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보조 부력부(130a)가 찌막대(12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제1 보조 부력부(130a)와 찌막대(120)의 접촉영역에 상호 접속되는 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찌막대(120) 내부에는 배터리(213)와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제1 광원(211)은 제1 보조 부력부(13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광원(211)은 어둠속에서 시인성이 좋은 흰색, 빨강색 또는 초록색 광을 발하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ight source 211 is provided with an LED. However, the first light source 21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lights that emit light. The first light source 211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120b of the rod 120, but is provided in the first auxiliary buoyancy unit 130a in this embodiment. Here, since the first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a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rod 120, a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a and the rod 120 is provided. Can be prepared. In this case, the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213 is accommodated in the densely loaded 120. Meanwhile, the first light source 2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uxiliary buoyancy part 130a. The first light source 211 may be provided to emit white, red or green light having good visibility in the dark.

배터리(213)는 본체(110)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The battery 213 is housed in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replaceable.

제1 단자부(215)는 접속 및 차단 여부에 따라 제1 광원(211)에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한다. 즉, 이동추(163)가 후술하는 제2 발광위치(B)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1 단자부(215)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1 광원(211)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이동추(163)가 위치 이동하여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단자부(215)는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1 광원(211)으로 공급되며, 제1 광원(211)은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terminal unit 215 supplies and cuts power to the first light source 211 according to whether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moving weight 163 maintains the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B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horizontal state,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5 is blocked,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213 is su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211. It doesn't work.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weight 163 is mov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A by moving the posi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5 is connected by the moving weight 163,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213 is the first light source ( 211, the first light source 211 emits light.

한편, 광원부(210)는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2 광원(217)과, 본체(110)의 수평상태에서 이동추(163)의 위치인 제2 발 광위치(B)에서 이동추(163)를 통하여 접속되어 제2 광원(217)에 배터리(213)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자부(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source unit 210 is a second light source 217 is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120a) of the tail rod 120 and the first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moving weight 163 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main body 110 The second terminal unit 219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erminal unit 219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B through the moving weight 163 to supply the power of the battery 213 to the second light source 217.

제2 광원(217)은 제1 광원(211)과 마찬가지로 LED로 마련된다. 그러나, 제2 광원(217)은 광을 발하는 다양한 조명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광원(217)은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보조 부력부(130b)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2 보조 부력부(130b)가 찌막대(12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제2 보조 부력부(130b)와 찌막대(120)의 접촉영역에 상호 접속되는 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찌막대(120) 내부에는 배터리(213)와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제2 광원(217)은 제2 보조 부력부(13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light source 217 is provided with an LED like the first light source 211. However, the second light source 217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lights that emit light. The second light source 217 may be provided at one end 120a of the rod 120, but is provided in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unit 130b in this embodiment. Here, since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b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rod 120, a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b and the rod 120 is provided. Can be prepared. In this case, the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213 is accommodated in the densely loaded 120.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7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b.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광원(217)이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영역에서 발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light source 217 is describ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120a of the rod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8,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from.

제2 광원(217)은 어둠속에서 시인성이 좋은 흰색, 빨강색 또는 초록색 광을 발하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 source 217 may be provided to emit white, red or green light having good visibility in the dark.

제1 광원(211)과 제2 광원(217)은 상호 다른 발광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광원(211)은 빨강색 광을 발하도록 마련되며, 제2 광원(217)은 초록색 광을 발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발광색의 변화에 따라 어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ght source 211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7 have different emission colors. 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211 is provided to emit red ligh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7 is provided to emit green light. Thus, the us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fisher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mission color.

제2 단자부(219)는 접속 및 차단 여부에 따라 제2 광원(217)에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한다. 즉, 이동추가 제2 발광위치(B)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2 단자부(219)는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2 광원(217)으로 공급되어 발광하게 된다. 한편, 이동추(163)가 위치 이동하여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단자부(219)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2 광원(217)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The second terminal unit 219 supplies and cuts power to the second light source 217 according to whether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are performed. That is, when the moving additional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B, that is, the horizontal state is maintaine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19 is connected by the moving weight 163,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213 is su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217. Light emiss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weight 163 moves to the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A when the moving weight 163 is moved, the power of the battery 213 is not su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217.

다시 설명하면, 이동추(163)가 제2 발광위치(B)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2 단자부(219)가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2 광원(217)으로 공급되어 발광하며, 제1 광원(211)은 발광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이동추(163)가 위치 이동하여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단자부(215)가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1 광원(211)으로 공급되어 발광하며, 제2 광원(217)은 발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추(163)의 위치에 따라 제1 광원(211) 또는 제2 광원(217)이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moving weight 163 maintains the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B, that is, the horizontal stat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19 is connected by the moving weight 163,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213 is increased. The light source 217 is supplied to emit light, and the first light source 211 does not emit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weight 163 moves to the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A by moving the position, since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5 is connected by the moving weight 163, the power of the battery 213 is controlled by the first light source 211. ) Is supplied to emit ligh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7 does not emit light. As such, the first light source 211 or the second light source 217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weight 163.

한편, 제1 단자부(215) 및 제2 단자부(219)와 연결된 전선은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에 마련된 단자(221)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213)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은 본체(110)의 함몰부(113) 내면에 마련된 단자(223)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에 마련된 단자(221)와 본체(110)의 함몰부(113) 내면에 마련된 단자(223)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에 대한 각도 이동부의 착탈에 따라 상호 접속 및 이격된다.Meanwhile, the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art 215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219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22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ngle moving part 160,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213 is the main body.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23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113 of the (110). Here, the terminal 22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ngle moving unit 160 and the terminal 223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113 of the main body 110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move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terconnected and spaced according to detachment of parts.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의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213)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영역에는 방수 를 위한 고무패킹(230)이 마련될 수 있다. The body 110 of the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replace the battery 213 housed therein. Here, the rubber packing 230 for waterproofing may be provided in the separation reg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에 마련된 단자(221) 및 본체(110)의 함몰부(113) 내면에 마련된 단자(223)를 형성하였으나,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단자들(221, 223)은 생략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applying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to the angle moving unit 16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the terminal 221 and the recess 113 of the main body 11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ngle moving unit 160. The terminal 223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is formed, but the angle moving unit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0. In this case, these terminals 221 and 223 are omitted.

이하,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1실시예의 작동과정은 본 실시예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도 3a 및 3b 참조).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because the description is duplicated with the embodiment (see Figs. 3a and 3b).

먼저, 찌고무(3)를 이용하여 낚시줄 결합부(140)에 낚시줄(1)을 결합한다. 그리고, 낚시줄(1)에 결합되어 있는 봉돌(5)의 무게를 조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의 부력과 영점을 맞춘다.First, the fishing line (1) is coupled to the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140 using the steaming rubber (3). Then, b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rod (5) coupled to the fishing line (1) to match the buoyancy and zero of the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다음, 낚시 바늘(7)에 미끼를 매달고 수중으로 투척한다. 그러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는 수면에 뜬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하부영역 즉, 제2 발광위치(B)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제2 단자부(219)가 접속되어 제2 광원(217)이 발광하게 된다.Next, the bait is suspended on the hook 7 and thrown into the water. Then, the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kept horizontal in the stat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Here, the moving weight 163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B). As a result,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19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217 to emit light.

다음,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당기면 제2 보조 부력부(130b)가 물에 잠기면서 본체(110)가 각도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중공부(161)를 따라 위치 이동하며 본체(110)의 각도 이동을 더욱 크게 한다. 그러면, 본체(110)를 중심으로 찌막대(120)가 회전하며 제1 보조 부력부(130a)가 수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 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는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사용자는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본체(110)의 기울어짐에 따라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제1 단자부(215)가 접속되어 제1 광원(211)이 발광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어신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Next, when the fish bites and pulls the needle, the second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b is immersed in water and the main body 110 is angularly moved. Here, the moving weight 163 moves along the hollow portion 161 and increases the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Then, the rod 120 is rotated around the main body 110 and the first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a is raised from the water surface. As such, the fishing bob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nsitive to the fine fisher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fishery. Here, the moving weight 163 moves to the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A as the main body 110 is inclined. Thus,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5 is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source 211 to emit light. Thus, the user can more easily grasp the fis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00, 2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120)와, 찌막대(120)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130)와, 찌막대(120) 또는 보조 부력부(130)에 마련되어 낚시줄(1)이 결합되는 낚시줄 결합부(140)를 포함함으로써, 미세한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bobber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steeper rod 120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ater surface, and a steeper rod ( By including a pair of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120, and the fishing rod coupling portion 140 is provided on the rod 120 or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fishing line (1)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fine fishery.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변형예의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변형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3a and 3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dification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bob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주요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각도 이동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angle moving part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7a and 7b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 낚시용 찌 110 : 본체100, 200: fishing bobber 110: body

120 : 찌막대 130 : 보조 부력부120: dross 130: auxiliary buoyancy unit

140 : 낚시줄 결합부 150 : 중심추140: fishing line coupling 150: central weight

160 : 각도 이동부 161 : 중공부160: angle moving part 161: hollow part

163 : 이동추 170 : 이탈방지부163: moving weight 170: departure prevention part

180 : 보조체 210 : 광원부180: auxiliary body 210: light source

211 : 제1 광원 217 : 제2 광원211: first light source 217: second light source

A : 제1 발광위치 B : 제2 발광위치A: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B: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Claims (14)

낚시용 찌에 있어서,In the fishing bobber, 본체와;A main body; 상기 본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를 포함하고,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including an angle moving unit for increasing the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water, 상기 각도 이동부는,The angle moving unit, 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수직방향 축선의 일 영역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함몰된 관 형상의 중공부와;A tubular hollow portion recessed to both sides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from one region of a vertical axi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추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moving weight that moves in position in the hollow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gular movement of the body, 상기 중공부는 상기 이동추의 이동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hollow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w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와;A dent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water surface; 상기 찌막대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와;A pair of auxiliary buoyancy par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ents; 상기 찌막대 또는 상기 보조 부력부에 마련되어 낚시줄이 결합되는 낚시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bobber further comprises a fishing line engag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fishing rod or the auxiliary buoyancy portion is coupled to the fishing line.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중심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bobber further comprises a center weigh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이동추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점등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bobber further comprises a light source that is lit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moving weigh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낚시줄 결합부는 상기 찌막대의 일단에 배치되며;The fishing line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dents; 상기 이동추는 전도체로 마련되며;The moving weight is provided as a conductor; 상기 광원부는,The light source unit, 상기 찌막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1 광원과;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dummy bar to emit light;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light source; 상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벗어나 상기 이동추가 소정의 제1 발광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And a first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source when the main body moves out of a horizontal state to the predetermined first light emitting position and supplies power of the battery to the first light source. floa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광원부는,The light source unit, 상기 찌막대의 일단 또는 본체에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2 광원과;A second light source disposed at one end or the main body of the tail rod to emit light; 상기 본체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이동추의 위치인 제2 발광위치에서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2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at the second light emitting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moving weight 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to the second light sour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은 상호 다른 발광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have a different emission col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도 이동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moving portion is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body.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찌막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rods penetrate through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보조 부력부는 상기 찌막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auxiliary buoyancy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rod.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찌막대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영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Fishing bobber further comprises a pair of auxiliary bodie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the main body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length of the bobbin.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보조체는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The auxiliary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body.
KR1020090020392A 2009-03-10 2009-03-10 Fishing float KR101044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92A KR101044897B1 (en) 2009-03-10 2009-03-10 Fishing fl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92A KR101044897B1 (en) 2009-03-10 2009-03-10 Fishing flo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41A KR20100101941A (en) 2010-09-20
KR101044897B1 true KR101044897B1 (en) 2011-06-28

Family

ID=4300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392A KR101044897B1 (en) 2009-03-10 2009-03-10 Fishing flo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8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234B1 (en) * 2021-12-27 2022-06-10 김윤서 Floating Integrated Fishing Ligh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35B1 (en) * 2023-10-23 2024-04-02 허현성 Float having magic stic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009A (en) * 1995-06-07 1996-12-17 Koichiro Ito Float stopper
KR20030033513A (en) * 2001-10-23 2003-05-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Vibration absorbing packing for refrigerator
KR20030044526A (en) * 2001-11-30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P Address Assignment in DNS
KR200333513Y1 (en) 2003-08-28 2003-11-15 김승일 Hole bored float for sea fishing
KR200344526Y1 (en) 2003-11-14 2004-03-11 이승환 Assistance float for fishing line support
KR20060127970A (en) * 2006-08-02 2006-12-13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Float for fish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009A (en) * 1995-06-07 1996-12-17 Koichiro Ito Float stopper
KR20030033513A (en) * 2001-10-23 2003-05-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Vibration absorbing packing for refrigerator
KR20030044526A (en) * 2001-11-30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P Address Assignment in DNS
KR200333513Y1 (en) 2003-08-28 2003-11-15 김승일 Hole bored float for sea fishing
KR200344526Y1 (en) 2003-11-14 2004-03-11 이승환 Assistance float for fishing line support
KR20060127970A (en) * 2006-08-02 2006-12-13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Float for fis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234B1 (en) * 2021-12-27 2022-06-10 김윤서 Floating Integrated Fishing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41A (en)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025B1 (en) Electron float for fishing
US20180125047A1 (en) Lure configured as a wobbler
US7059080B2 (en) Fishing lure system
KR101044897B1 (en) Fishing float
US6560915B2 (en) Fishing lure
US6050018A (en) Sandshrimp tail fish lure
US7444778B2 (en) Fishing diver
JP4789187B2 (en) Fishing lure
US5189825A (en) Weighted wobbling lure
KR100679353B1 (en) Electronic fishing float
JP2013000042A (en) Jig head weight and jig head using the same
US2515018A (en) Fishing lure
US20110056113A1 (en) Vibrating fishing lure
KR20230058864A (en) An electronic float for freshwater fishing and an electronic float control remote control that controls the float
JP3151178U (en) Simulated bait light emitting device
KR100808211B1 (en) Slope type float for sea-fishing with penetrating hole
KR20210000500U (en) Fishing bait with buoyancy member
KR102602077B1 (en) Artificial bait for lure fishing
US2881549A (en) Fish lure
CN112840155B (en) Lamp in water
JP3233839U (en) Fishing stick float
KR200455650Y1 (en) Electrical float for fishing
KR200227094Y1 (en) The reel fishing sinker
JP2010081831A (en) Wood lure
JPH11332420A (en)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