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36B1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36B1
KR101044736B1 KR1020100103447A KR20100103447A KR101044736B1 KR 101044736 B1 KR101044736 B1 KR 101044736B1 KR 1020100103447 A KR1020100103447 A KR 1020100103447A KR 20100103447 A KR20100103447 A KR 20100103447A KR 101044736 B1 KR101044736 B1 KR 10104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information
power
aed
measurement
measur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학록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10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7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5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 A61N1/3728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characterised by communication with experts in remote locations using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take emergency measures against an o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CONSTITUTION: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omprises: a measuring sensor(260) which is attached to an object, senses the object, and creates measurement information; a communication process(210) 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measuring sensor; a diagnosis processor(220) which diagnoses an object by analyzing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 controller(230) which takes emergency measures against an o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Description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nd its operation metho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원격에 위치한 대상체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bnormality of the object by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remotely located object.

최근, 건강이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그러나, 심장질환과 같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서는 개인의 노력만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부족하다.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것이 심근경색으로, 일단, 심근경색이 생기면, 암 등 기타 질병과 달리 산소 부족으로 뇌 손상되는 5분 이내에 기초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as health becomes a social issue, more and more people are trying to lead a healthy life. However, for sudden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it is not enough to overcome the crisis by individual efforts. Myocardial infarction is a typical example of heart disease. Once myocardial infarction develops, unlike cancer and other diseases, most patients can recover from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lectroshock within 5 minutes of brain damage due to lack of oxygen.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목격자, 구급대원 등의 교육/인식 부족으로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뤄지는 경우가 매우 낮으며, 이 때문에 살 수 있는 환자들이 허망한 죽음을 맞거나, 살더라도 뇌 손상 등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비만, 고지혈증 인구 증가로 심장병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 그 만큼 심장마비 위험이 잠재된 응급 심장병 환자도 급속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in Korea, CPR is rarely performed on-site due to lack of education / awareness of family members, witnesses, and paramedics, which can lead to patients suffering from serious consequences such as brain damage. do.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heart disease patients is explod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obesity and hyperlipidemia, and the number of emergency heart disease patients at risk of heart attack is increasing rapidly.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의료기기인 자동제세동기를 공공장소에 비치해 두어, 응급 상황 발생시 누구나 손쉽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아직도 자동제세동기의 위치를 잘 모르며, 심장질환은 환자 및 환자의 주변인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게 대부분이라, 갑자기 심장질환이 발생할 경우 주변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제세동기로 응급 조치하거나, 119와 같은 응급 기관에 구조 요청을 하게 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As part of countermeasures, recently, an automatic defibrillator, which is a medical device that resuscitates a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having a heart disease, is provided in a public place so that anyone can easily treat the patient in case of an emergency. However, the general public is still unaware of the location of the AED, and heart disease usually occurs in situations unforeseen by the patient and the patient's surroundings.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 rescue request to an emergency agency, such as the 119.

따라서,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손쉽게 응급 처치하거나, 심장질환이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 기관에 신속히 구조 요청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emergency treatment to a patient with a heart disease or a request for rescue promptly to an emergency institution when a heart disease occu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함으로써,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와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agnosing the object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attached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can easily handle emergency measures for the object even at a distance from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를 절전모드 또는 동작모드로 변경시켜 상기 측정센서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object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by controlling the mode chang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nalyzed object, power saving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capable of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by changing to a mode or an operation mod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동제세동기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power of the A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pow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AED and its operation method capable of remote diagnosis that can be used by charging the power from the power line to prov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상체가 위험상태로 진단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게 신속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bject is diagnosed as a dangerous state, by outputting a warning sound to notify the abnormality of the object, when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by providing a voice guidance for emergency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o that rapid first aid can be made to the subj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는 대상체에 부착되고,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센서,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프로세서,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세서, 및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 remote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object, a measurement sensor for sensing the object to generate measurement information, a communication processor for receiving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the recep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diagnose the subjec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emergency measures for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이때, 상기 통신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PLC)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rocessor may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ethod'.

이때, 상기 진단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진단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tic processor may control the mode chang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analyzed state of the object.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sensor generat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primary activity change in the power saving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diagnostic processor, and generat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secondary ECG in the operation mode. can do.

이때, 상기 진단 프로세서는 상기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통신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측정센서로 모드 변경을 명령하고, 상기 2차 심전도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를 위험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tic processor analyzes the first activity change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f the first activity chang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irst abnormal symptom, instructs the mode sensor to change the mod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The second electrocardiogram may be analyzed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when the second electrocardiogram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ond abnormal symptom, the subject may be diagnosed as a dangerous state.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단된 결과 상기 대상체가 위험상태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거나, 또는 응급 기관으로 상기 대상체의 응급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notify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 by outputt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when the subject is in a dangerous state, or request emergency measures of the subject from an emergency agency.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warning sound is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voice for emergency treatment through the speaker.

또한, 상기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는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ED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to charge the power from a power line when the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은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센서에서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AED capable of remote diagnosis, generating measurement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object in a measurement sensor attached to an object, and receiving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And diagnosing the subject by analyzing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processing an emergency action on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함으로써,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와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agnosing the object by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a measurement sensor attached to the object, it is easy to emergency measures for the object even at a distance from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Can be proces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를 절전모드 또는 동작모드로 변경시켜 상기 측정센서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object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by controlling the mode chang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nalyzed object,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bject Change to a power saving mode or operation mode can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제세동기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checking whether the power of the A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power may be charged from the power lin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가 위험상태로 진단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게 신속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bject is diagnosed as a dangerous state, a warning sound is output to notify an abnormality of the object, and when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a guide to emergency treatment is spoken by voice. By providing a rapid first aid to the su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측정센서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eiving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measurement sensor.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ED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측정센서(110, electrocardiogram sensors)는 대상체(150)에 부착되어, 대상체(150)의 활동 변화 또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측정센서(110)는 원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며, 대상체(150)에 밀착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측정센서(110)가 본체(10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전력을 충전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본체(100)와 분리되어 원격에 위치한 대상체(1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정센서(110)와 본체(100)를 합쳐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로 해석할 수 있다. 대상체(150, object)는 사람의 신체일 수 있으며, 측정센서(110)가 대상체(150)에 부착되는 위치는 사람의 신장 근처 또는 하위 부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electrocardiogram sensors 110 are attached to an object 150 to generat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an activity change or electrocardiogram of the object 150. The measuring sensor 110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remotely and may have a durability tha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150. When the measuring sensor 11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00, the electric power may be charged,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attached to the object 150 remotely located as necessary. Hereinafter, the measurement sensor 110 and the main body 100 may be combined to be interpreted as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The object 150 may be a human body, and the position where the measurement sensor 110 is attached to the object 150 may be near or below a human kidney.

실시예로, 측정센서(110)는 모드에 따라 상이한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센서(110)는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센서(110)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본체(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asurement sensor 110 may generate different measur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de. For example,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measurement sensor 110 measures the primary activity change to generat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n the operation mode, the measurement sensor 110 may generat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The measurement sensor 110 may change the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100 of the AED capable of remote diagnosis.

측정센서(110)는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본체(100)로 전송한다. 이때, 측정센서(110)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sensor 110 transmits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sensor 110 may transmi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ethod.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측정센서(110)가 AP1(Access Point, 120, 이하 'AP'라 함)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면, AP1(120)이 AP2(13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결국 AP2(130)가 본체(10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measurement sensor 110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AP1 (Access Point,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 AP1 120 transmits to AP2 130. By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AP2 130 can eventually deliver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main body 100.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측정센서(110)는 휴대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전송된 측정정보를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또는 대상체(150)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서, 예컨대, 대상체(150)가 사람인 경우,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가족(부모, 형제, 자매)의 휴대 단말 또는 의료원(의사, 간호사)의 휴대 단말일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the measurement sensor 110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transmitted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main body 100 To be delivered. Th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of the object 150 or a portable terminal of a user located near the object 150. For example, when the object 150 is a human, the portable terminal, family (parent, sibling, It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 sister) or a mobile terminal of a medical center (doctor, nurse).

본체(100)는 측정센서(110)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체(150)를 진단한다. 실시예로, 자동제세동기(100)는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측정센서(110)로 모드 변경을 명령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110 and analyzes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to diagnose the object 150. In an embodiment, the AED 100 analyzes the primary activity change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nstructs the measurement sensor 110 to change the mode when the primary activity chang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irst abnormal symptom. can do.

이 경우, 측정센서(110)는 절전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모드를 변경한 후, 대상체(150)에 대한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센서(110)는 상기 측정된 2차 심전도를 측정정보로서 본체(10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measurement sensor 110 may change the mode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n measure the secondary ECG of the object 150 to generat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measurement sensor 110 transmits the measured second electrocardiogram to the main body 100 as measurement information.

본체(100)는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을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대상체(150)를 위험상태로 진단한다.The main body 100 analyzes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iagnoses the object 150 as a dangerous state when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ond abnormal symptom.

이후, 본체(100)는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상기 진단된 결과 대상체(150)가 위험상태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대상체(150)의 이상을 알림하고, 응급 기관(140)으로 대상체(150)의 응급 조치를 요청한다.Thereafter, the main body 100 processes emergency measures for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notifies the abnormality of the object 150 by outputt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when the object 150 is in a dangerous stat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and the emergency organ 140 of the object 150. Ask for first aid.

이때, 본체(100)는 현재위치를 응급 기관(140)으로 알려줌으로써, 응급 기관(140)에서 대상체(150)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대상체(150)로 구급차를 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100 may notify the emergency location 140 of the current location, and quick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object 150 in the emergency facility 140 so that an ambulance may be sent to the object 150.

실시예로, 본체(100)는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한다. 즉, 대상체(150)의 주변인이 상기 경고음 출력을 정지시킨 경우, 본체(100)는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주변인이 대상체(150)에게 응급 처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In an embodiment, after the warning sound is output, the main body 100 provides a voice prompt for emergency treatment when the warning sound output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That is, when a person around the object 150 stops outputting the warning sound, the main body 100 may provide a guide for emergency treatment in a voice, so that the person around the object 150 may make emergency treatment to the object 150.

다른 실시예로, 본체(100)는 자체적으로 현재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한다. 즉, 본체(100)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선으로부터 교류 전원(Alternating Current)을 공급받음으로써,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전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checks whether the current power is below a reference value, and charges the power from a power line when the power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at is, the main body 100 may be charged with power by receiving alternating current from an electric power line connected to an outlet.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200, 이하, '자동제세동기'라 함)는 통신 프로세서(210), 진단 프로세서(220), 컨트롤러(230), 스피커(240), 전원부(250), 및 측정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AED capable of remote diagnos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E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rocessor 210, a diagnostic processor 220, a controller 230, a speaker 240, and a power supply unit. 250, and a measurement sensor 260.

측정센서(260)는 대상체(150)에 부착되고, 대상체(150)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측정센서(260)는 원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며, 대상체(150)에 밀착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측정센서(260)가 자동제세동기(20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전력을 충전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동제세동기(200)와 분리되어 대상체(150)에 부착될 수 있다. 대상체(150)는 사람의 신체일 수 있으며, 측정센서(260)가 대상체(150)에 부착되는 위치는 사람의 신장 근처 또는 하위 부위일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통신 프로세서(210)로 전송한다.The measurement sensor 260 is attached to the object 150 and detects the object 150 to generat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measuring sensor 260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remotely and may have durability tha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150. When the measurement sensor 260 is attached to the AED 200, the electric power may be charged,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AED 200 and attached to the object 150 as necessary. The object 150 may be a body of a person, and a position where the measurement sensor 260 is attached to the object 150 may be near or below a human kidney. The measurement sensor 260 transmits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통신 프로세서(210)는 측정센서(260)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 프로세서(210)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receive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26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may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먼저, 무선 통신 방식(wireless communication)은 전선을 통하지 않고 전파를 통하여 신호, 부호,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를 교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무선 통신 방식은 종류에 따라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이 있다. 따라서, 통신 프로세서(210)는 실시예에 따라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원격에 위치한 측정센서(260)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irst,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communicating data such as a signal, a code, a video, an audio, and the like through radio waves without using a wir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Zigbee, Bluetooth, and Wi-Fi, depending on the type.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may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measurement sensor 260 remotely located in any one of ZigBee, Bluetooth, and Wi-Fi according to an embodiment.

한편, 전력선 통신 방식은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해서 음성, 문자 데이터, 영상 등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예컨대, 전화선 없이 전기 플러그만 꽂으면 초고속 인터넷 통신은 물론 인터넷전화(VoIP), 홈네트워킹, 홈오토메이션, 원격검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power line communication is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voice, text data, video, etc. using a power lin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 general home or office. For example, plugging in an electric plug without a telephone line enables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high speed internet communication, Internet telephony (VoIP), home networking, home automation, and remote meter reading.

따라서, 통신 프로세서(210)는 측정센서(260)와 근거리에 위치한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210)가 측정센서(26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기 어려운 경우, 중간에 엑세스 포인트를 둘 수 있다. 실시예로, 엑세스 포인트는 측정센서(260)와 근거리에 위치한 AP1(120)과 자동제세동기(200)와 근거리에 위치한 AP2(130)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측정센서(260)가 AP1(120)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면, AP1(120)이 AP2(13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결국 AP2(130)가 자동제세동기(20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may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rough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measurement sensor 260 and an access point (AP) located at a short distance. If it is difficult for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to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260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an access point may be placed in the middle. In an embodiment,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the measurement sensor 260 and the AP1 120 located near and the AED 200 and the AP2 130 located near. At this time, when the measurement sensor 260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AP1 (120), AP1 (120) transfer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AP2 (130), so that the AP2 (130) to the AED 200 It is to be able to deliver the measurement information.

도 3은 측정센서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eiving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measurement sensor.

도 3을 참고하면, 측정센서(311)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정보를 자동제세동기(312)로 전송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310).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의 안방에 자동제세동기(312)를 설치하고, 측정센서(311)를 부착한 대상체가 작은방에 있는 경우, 측정센서(311)는 측정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자동제세동기(312)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easurement sensor 311 relates to an example of transmitting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AED 312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310).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312 is installed in a home room, and the object to which the measuring sensor 311 is attached is in a small room, the measuring sensor 311 generates measurement information and gene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o the AED 312.

또는, 측정센서(321)가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정보를 자동제세동기(324)로 전송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320). 자동제세동기(324)는 플러그(325)에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선 통신의 경우, 측정센서(321)와 근거리에 위치한 AP1(322)과 자동제세동기(324)와 근거리에 위치한 AP2(323)가 설치될 수 있다. 측정센서(321)가 AP1(322)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면, AP1(322)이 AP2(323)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결국 AP2(323)가 상기 측정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자동제세동기(324)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r, the measurement sensor 321 relates to an example of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automatic defibrillator 324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320). The AED 324 is connected to the plug 325 to allow power line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a measurement sensor 321 and an AP1 322 located in a short distance and an AED 324 and an AP2 323 located in a short distance may be installed. When the measurement sensor 321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AP1 322, the AP1 322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AP2 323, so that the AP2 323 collects all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n power line communication. It is to transmi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AED 324 in a manner.

또는, 통신 프로세서(210)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대신, 측정센서(260)와 근거리에 위치한 휴대 단말을 통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또는 대상체(150)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서, 예컨대, 대상체(150)가 사람인 경우,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가족(부모, 형제, 자매)의 휴대 단말 또는 의료원(의사, 간호사)의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체(150)를 진단한다. 이때,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분석된 대상체(150)의 상태에 따라 측정센서(260)의 모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may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rough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portable sensor located near the measurement sensor 260 instead of the access point. Th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of the object 150 or a portable terminal of a user located near the object 150. For example, when the object 150 is a human, the portable terminal, family (parent, sibling, It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 sister) or a mobile terminal of a medical center (doctor, nurse). The diagnosis processor 220 diagnoses the object 150 by analyzing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iagnostic processor 220 may control a mode change of the measurement sensor 260 according to the analyzed state of the object 150.

측정센서(260)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절전모드는 동작모드에 비해 측정센서(260)의 배터리를 적게 쓰게 된다. 1차 활동 변화는 대상체(150)의 움직임 또는 호흡 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측정센서(260)는 일정시간동안 대상체(150)의 움직임이 작거나, 호흡이 적어지는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정보를 통신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the measurement sensor 260 may generat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primary activity change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power saving mode uses less battery of the measuring sensor 260 than the operation mode. The primary activity change relates to movement or breathing of the object 150. Accordingly, the measurement sensor 260 measures the change of the movement of the object 150 or the respiration decreases for a predetermined time, generates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Can be.

이 경우,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차 이상징후는 움직임이 정상적일 때, 100인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이 일정 시간 동안 50 미만'이거나, 호흡이 정상적일 때, 1분에 50회인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호흡이 1분에 20회 미만'인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상기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모드 변경을 명령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프로세서(210)는 모드 변경에 대한 명령을 전력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센서(26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diagnostic processor 220 analyzes the first activity change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ctivity chang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irst abnormal symptom. The first abnormal symptom is compared to the case of 100 when the movement is normal, the movement is less than 50 for a certain time, or when the breathing is normal, the 'breathing 1 minute compared to 50 times per minute May be less than 20 times. Accordingly, the diagnostic processor 220 may instruct a mode change when the primary activity change corresponds to the primary abnormal symptom.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transmits a command for mode change to the measurement sensor 260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측정센서(260)는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모드를 절전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2차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대상체(150)의 심장이 주기적 운동시, 심근에 의해 발생하는 활동전위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측정센서(260)는 대상체(150)의 심장 쪽에 부착되어, 대상체(150)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센서(260)는 상기 측정된 2차 심전도를 측정정보로서 통신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sensor 260 may change the mode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operation mode in response to the command for changing the mode. The measurement sensor 260 may generat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in the operation mod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electrocardiogram) represents the action potential generated by the myocardium during the heart movement of the subject 150, the periodic. Accordingly, the measurement sensor 260 may be attached to the heart side of the object 150 to measure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object 150. Accordingly, the measurement sensor 260 may transmit the measured secondary electrocardiogram to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10 as measurement information.

이 경우,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을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차 이상징후는 심전도가 정상적일 때, 80~100의 경우와 비교하여 '80 미만이거나, 100을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2차 심전도가 상기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대상체(150)를 위험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tic processor 220 analyzes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ond abnormal symptom. The second abnormal symptom may be a case of 'less than 80 or more than 100' compared to the case of 80-100 when the ECG is normal. Therefore, when the second ECG corresponds to the second abnormal symptom, the diagnosis processor 220 may diagnose the object 150 as a dangerous state.

컨트롤러(230)는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한다. 예컨대, 컨트롤러(230)는 상기 진단된 결과 상기 대상체가 위험상태인 경우, 스피커(2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대상체(150)의 이상을 알림하거나, 또는 응급 기관(140)으로 대상체(150)의 응급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processes emergency measures for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For example, the controller 230 notifies an abnormality of the object 150 by outputting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240 when the object is in a dangerous stat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or by using the emergency organ 140 as the object 150. May request emergency medical attention.

스피커(2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은, 대상체(150)의 주변인에게 대상체(150)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알려, 주변인이 자동제세동기(200)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변인은 경고음이 출력되는 장소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200)를 가져와서 대상체(150)에게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240 is to inform the person around the object 150 that the object 150 is in a dangerous state, and to allow the person to use the AED 200. The neighbor may take the AED 200 installed at the place where the warning sound is output and take emergency measures to the object 150.

이때, 컨트롤러(230)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스피커(240)를 통해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한다. 상기 경고음이 주변인에 의해 정지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스피커(240)를 통해 자동제세동기(200)의 사용법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주변인이 음성으로 안내되는 자동제세동기(200)의 사용법에 따라 대상체(150)에게 응급 처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the controller 230 provides a voice for guiding first aid through the speaker 240. When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by a nearby person, the controller 230 guides the use of the AED 200 through a speaker 240 to the voice, thereby using the AED 200 in which the surrounding person is voiced. Accordingly, the subject 150 may be helped to make emergency treatment.

실시예로, 전원부(250)는 자동제세동기(200)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한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해,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부(250)는 주기적으로 자동제세동기(200)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함으로써, 충전이 필요할 때 전력선으로부터 자동제세동기(2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주기적으로 전력을 확인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전력선을 통해 필요한 전력을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250 checks whether the power of the AED 2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if the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charges the power from the power line. The AED 200 is connected to a plug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periodically check whether the power of the AED 20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reby charging the power of the AED 200 from the power line when charging is required. Accordingly, the AED 200 may charge and use the required power through the power line without periodically checking the power and replacing the batter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ED capable of remote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단계 41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대상체(150)에 부착된 측정센서(260)에서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대상체(150)는 사람의 신체일 수 있으며, 측정센서(110)가 대상체(150)에 부착되는 위치는 사람의 신장 근처 또는 하위 부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10, the AED 200 generat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object by the measurement sensor 260 attached to the object 150. The object 150 may be a human body, and the position where the measurement sensor 110 is attached to the object 150 may be near or below a human kidney.

단계 42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측정센서(260)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측정정보는 1차 활동 변화 또는 2차 심전도일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제세동기(200)는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또는 대상체(150)와 연관된 가족 또는 의료원의 휴대 단말을 통해 측정센서(260)에서 측정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operation 420, the AED 200 receives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260.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ay be a primary activity change or a secondary ECG. The AED 200 may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rough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the AED 200 i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260 through a portable terminal of the object 150 or a portable terminal of a family or medical center associated with the object 150. The measurement information can be received.

단계 43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체(150)를 진단한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측정정보로서 1차 활동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측정센서(260)로 모드 변경을 명령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가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는 모드는 '절전모드'로서, 동작모드에 비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operation 430, the AED 200 diagnoses the object 150 by analyzing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The AED 200 may analyze the primary activity change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nstruct the measurement sensor 260 to change the mode when the primary activity chang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primary symptom. The mode in which the measurement sensor 260 measures the primary activity change is a 'sleep mode', which can reduce battery consumption compared to the operation mode.

이 경우, 측정센서(260)는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명령에 따라, 절전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모드를 변경한 후, 2차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상기 측정된 2차 심전도를 측정정보로서 자동제세동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을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이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대상체(150)를 위험상태로 진단한다.In this case, the measurement sensor 260 may measure the secondary ECG after changing the mode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for changing the mode. The measurement sensor 260 may transmit the measured second electrocardiogram to the AED 200 as measurement information. The AED 200 analyzes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iagnoses the subject 150 as a dangerous state when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ond abnormal symptom.

단계 44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대상체(150)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한다. 실시예로,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진단된 결과 대상체(150)가 위험상태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대상체(150)의 이상을 알림하거나, 또는 응급 기관(140)으로 대상체(150)의 응급 조치를 요청한다.In operation 440, the AED 200 processes emergency measures related to the object 150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In an embodiment, the AED 200 outputs a warning sound to notify an abnormality of the object 150 when the object 150 is in a dangerous stat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or the object 150 to the emergency organ 140. Call for first aid.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외부로 대상체(150)의 위험을 알려, 대상체(150)가 응급 조치받도록 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자동제세동기(200)는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AED 200 may inform the danger of the subject 150 to the outside, and may help the subject 150 receive emergency measures. In this case, after the warning sound is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the AED 200 may provide a voice for emergency treatment.

단계 45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한다.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자동제세동기(200)에 전력 충전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주기적으로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함으로써, 방전되기 전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In step 450, the AED 20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is below a reference value. If the power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AED 200 needs to be charged with power. Therefore, the AED 20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so that the AED 200 can be charged before being discharged.

만약,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단계 46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한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해,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전력선을 통해 필요한 전력을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If the power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in step 460, the AED 200 charges the power from the power line. The AED 200 is connected to a plug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AED 200 may be used by charging the necessary power through the power line,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batter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본체
110: 측정센서
120, AP1
130: AP2
140: 응급 기관
100: main body
110: measuring sensor
120, AP1
130: AP2
140: emergency agency

Claims (14)

대상체에 부착되고,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센서;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프로세서;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세서; 및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는,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A measurement sensor attached to an object and generating measurement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object;
A communication processor for receiving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A diagnostic processor for diagnosing the object by analyzing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processing emergency measures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Including,
The measuring sensor,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first activity change is measured to generat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n the operation mode, the AED is capable of remote diagnos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PLC)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processor,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that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gnostic processor,
Controlling the mode chang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nalyzed object, remote diagnosis capable automatic defibrill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프로세서는,
상기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통신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측정센서로 모드 변경을 명령하고,
상기 2차 심전도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를 위험상태로 진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iagnostic processor,
Analyzing the primary activity change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when the primary activity chang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irst abnormal symptom, instructing the measurement sensor to change the mod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analyzing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iagnosing the subject as a dangerous state when the secondary electrocardiogram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ond abnormal sympt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단된 결과 상기 대상체가 위험상태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거나, 또는 응급 기관으로 상기 대상체의 응급 조치를 요청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When the subject is in a dangerous stat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a warning sound is output through a speaker to notify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 or an emergency agency requesting emergency measures of the subject, remote diagnosis capable automatic defibrill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After the warning sound is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providing a guide to the first aid through the speaker as a voice, remote diagnosis capable of remote diagnosis.
제1항에 있어서,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1,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nd to charge the power from a power line when the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Further comprising, remote defibrillator capable of remote diagnosis.
자동제세동기의 측정센서에서, 대상체와 연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센서가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센서가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통신 프로세서에서,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진단 프로세서에서,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컨트롤러에서,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
In the measurement sensor of the AED, generating measurement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n object. When the measurement sensor is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primary activity, and when the measurement sensor is in the operation mode. Measuring second ECG to generat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ing, at the communication processor of the AED, the gene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sensor;
Diagnosing the object by analyzing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diagnosis processor of the AED; And
In the controller of the AED, processing emergency measures for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ed result;
Including, remote diagnostics possibl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remote diagnostics possibl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프로세서에서, 상기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ontrolling a mode chang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a state of the analyzed object in the diagnostic processor
Further comprising a remote diagnosis capabl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측정센서로 모드 변경을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심전도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를 위험상태로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Diagnosing the object by analyzing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Analyzing the primary activity change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nstructing the measurement sensor to change the mode when the primary activity chang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irst abnormal symptom; And
Analyzing the second electrocardiogram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iagnosing the subject as a dangerous state when the second electrocardiogram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ond abnormal symptom.
Including, remote diagnostics possibl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된 결과 상기 대상체가 위험상태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Processing the emergency measures for the subject,
If the object is in a dangerous stat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outputting a warning sound to notify an abnormality of the object; And
After the warning sound is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warning sound is stopped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providing a guide to the first aid in voice.
Including, remote diagnostics possibl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단계는,
응급 기관으로 상기 대상체의 응급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Processing the emergency measures for the subject,
Requesting emergency response from the subject to an emergency agency
Including, remote diagnostics possibl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전원부에서,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hecking, at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AED, whether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In the power supply unit, charging the power from a power line when the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Further comprising a remote diagnosis capable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method.
KR1020100103447A 2010-10-22 2010-10-22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KR101044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47A KR101044736B1 (en) 2010-10-22 2010-10-22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47A KR101044736B1 (en) 2010-10-22 2010-10-22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105A Division KR20120042607A (en) 2011-04-05 2011-04-05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736B1 true KR101044736B1 (en) 2011-06-28

Family

ID=4440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447A KR101044736B1 (en) 2010-10-22 2010-10-22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73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81B1 (en) * 2011-07-29 2012-11-29 (주)나눔테크 Defibrillator for Ubiquitous healthcare
WO2014088143A1 (en) * 2012-12-04 2014-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alarm apparatus for determining recipient according to emergency level, service server, and method therefor
KR101622762B1 (en) 2014-12-18 2016-05-19 (주)씨유메디칼시스템 Automated extermal defibrillato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015A (en) * 2008-12-01 2010-06-10 휴메드 주식회사 Automatic defibrillator include moving picture announcement function
KR100978074B1 (en) * 2008-02-27 2010-08-25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Urgent rescue service system related to remote controllable defibrillato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74B1 (en) * 2008-02-27 2010-08-25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Urgent rescue service system related to remote controllable defibrillato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100062015A (en) * 2008-12-01 2010-06-10 휴메드 주식회사 Automatic defibrillator include moving picture announcement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81B1 (en) * 2011-07-29 2012-11-29 (주)나눔테크 Defibrillator for Ubiquitous healthcare
WO2014088143A1 (en) * 2012-12-04 2014-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alarm apparatus for determining recipient according to emergency level, service server, and method therefor
KR101622762B1 (en) 2014-12-18 2016-05-19 (주)씨유메디칼시스템 Automated extermal defibrillat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5621B2 (en) Lifesaving first aid system and method and lifesaving first aid device
US10051410B2 (en) Assist device and system
TWI458466B (en) Sleep management system and sleep gauge
US20140135591A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and transmitting biolog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footwea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WO2017031936A1 (en) Health surveillance television
US10945699B2 (en) Respiratory sound analysis for lung health assessment
MXPA06011955A (en) Physiological event handling system, method, and device;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product.
RU101347U1 (en) LIFE-IMPORTANT HEALTH CARE CONTROL SYSTEM AND EMERGENCY ASSISTANCE TO THE PATIENT
US20150306409A1 (en) Defibrillation apparatus for wireless data exchange with a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JP2015526136A (en) Emergency scene video transmission
CN106372447B (en) Working method of intelligent medical sickbed management system
EP2641153A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 of primary alarm notification on patient monitoring systems
WO2018182956A1 (en) Wireless cardiac sensor
KR101044736B1 (e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KR20140128348A (en) Unlocking a body area network
KR20120042607A (e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US20170169176A1 (en) Connected multifunction medical device
WO2018096634A1 (en)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8096631A1 (en)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90147140A1 (en) Intermediate power supply with sen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622762B1 (en) Automated extermal defibrillator system
KR101505122B1 (en) Remote controllable a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96632A1 (en)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8096630A1 (en)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565249A (en)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answering call of neck mass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