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635B1 - 맨홀덮개용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맨홀덮개용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635B1
KR101043635B1 KR1020090040346A KR20090040346A KR101043635B1 KR 101043635 B1 KR101043635 B1 KR 101043635B1 KR 1020090040346 A KR1020090040346 A KR 1020090040346A KR 20090040346 A KR20090040346 A KR 20090040346A KR 101043635 B1 KR101043635 B1 KR 10104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manhole cover
fixing
wedge member
fix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272A (ko
Inventor
차기익
Original Assignee
삼보주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주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주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63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덮개용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맨홀의 내벽에 형성된 안착턱에 맨홀덮개를 안착시켜 자중에 의해 맨홀덮개가 중공맨홀에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중공맨홀과 맨홀덮개 사이를 안정되게 고정하여 맨홀덮개의 이탈을 예방하고, 또 맨홀덮개의 개방이 요구될 경우에 상기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맨홀덮개용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맨홀, 맨홀몸체, 맨홀덮개, 고정로드, 고정홈, 쇄기부재

Description

맨홀덮개용 고정구조{Lock Structure for manhole cover}
본 발명은 맨홀덮개용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맨홀의 내벽에 형성된 안착턱에 맨홀덮개를 안착시켜 자중에 의해 맨홀덮개가 중공맨홀에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중공맨홀과 맨홀덮개 사이를 안정되게 고정하여 맨홀덮개의 이탈을 예방하고, 또 맨홀덮개의 개방이 요구될 경우에 상기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맨홀덮개용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작업자가 지하 배관에 진입하여 지하 설치물의 관리 및 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바, 하수나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로의 승강공에 설치되는 배수관로용 맨홀과 통신 또는 전기케이블의 매설을 위한 케이블 매설용 맨홀이 사용된다.
이러한, 맨홀은 물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유입구가 형성된 맨홀덮개와, 상기 맨홀덮개를 하수관 상단부에 거치되는 중공맨홀로 구성된다.
그런데, 맨홀덮개가 중공맨홀에 완전히 밀착 고정되지 못하고 단순히 거치된 상태로 하수관을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맨홀덮개 위를 차량이 지나면서 충격이 가 해지면 맨홀덮개의 움직임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맨홀덮개를 중공맨홀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구조를 마련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맨홀덮개의 요동 또는 이탈을 예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맨홀덮개를 중공맨홀에 고정하는 형태로는, 상기 맨홀덮개의 가장자리와 중공맨홀의 내벽에 체결부를 형성하여 이들을 체결을 통해 고정하거나, 상기 맨홀덮개와 중공맨홀 사이에 체결볼트를 통해 체결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을 통한 맨홀덮개의 고정방법은 고하중의 맨홀덮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뒤따르고, 또 중공맨홀의 개방을 위해 맨홀덮개를 해체할 경우 체결부위에 발생된 녹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체결상태의 해체가 어려워 작업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맨홀의 내벽에 형성된 안착턱에 맨홀덮개를 안착시켜 자중에 의해 맨홀덮개가 중공맨홀에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중공맨홀과 맨홀덮개 사이를 안정되게 고정하여 맨홀덮개의 이탈을 예방하고, 또 맨홀덮개의 개방이 요구될 경우에 상기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맨홀덮개용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내벽에 안착턱이 형성된 중공의 맨홀몸체의 상부에 개방된 맨홀몸체를 폐쇄하는 맨홀덮개를 안치한 다음, 이 맨홀덮개를 맨홀몸체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맨홀몸체의 내벽에는 복수의 고정홈이 방사구조로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맨홀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홈에 진입되는 복수의 고정로드가 각각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로드의 후미에는 하강을 통해 고정로드의 후미를 간섭하여 전진시키는 쇄기부재가 승강구조로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상기 중공의 맨홀몸체에 맨홀덮개를 안착시킨 다음 쇄기부재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로드는 쇄기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전진하여 맨홀몸체 에 마련된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서, 상기 맨홀몸체에 안착된 맨홀덮개는 고정홈과 고정로드의 결합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로드는 맨홀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송슬롯을 통해 진퇴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로드의 이송경로인 이송슬롯에는 승강공이 직교하여 형성되고, 이 승강공에는 상기 고정로드의 후미와의 가압을 통해 고정로드를 전진시키는 쇄기부재가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로드와 이송슬롯 사이에는 탄지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슬롯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고정로드는, 하강되는 쇄기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전진되어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로드는 쇄기부재의 상승에 의해 쇄기부재와의 간섭이 사라지면 탄지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여 고정홈에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퇴로드의 후미를 간섭하여 전진시키는 쇄기부재의 하단은 경사진 쇄기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퇴로드의 후미는 쇄기부재 경사면을 따라 후미가 점차 간섭되어서 전진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맨홀덮개와 맨홀몸체 사이에 고정로드와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간소화된 고정구조를 마련하여, 맨홀덮개의 안정적이고 간편한 고정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맨홀덮개 고정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맨홀덮개의 고정을 위한 고정로드의 진퇴가 승강블럭과 탄지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맨홀덮개의 고정과 개방이 보다 간편하고 안정되게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쇄기부재의 하단은 쇄기형으로 이루어져 쇄기부재와 고정로드 후미 사이의 억지끼움에 의해 고정로드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져 맨홀덮개의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고, 또 쇄기부재의 상단에는 지렛봉의 견착을 위한 견착부가 마련되어, 지렛봉을 통한 지렛작용을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억지끼움된 쇄기부재를 상승시켜 맨홀덮개와 맨홀몸체 사이의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를 마련한 맨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은 외형 구성을, 도 2는 부분 절개상태를, 도 3은 상기 도 2 'A'부분의 조립 및 분해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를 통한 맨홀덮개의 고정 및 해체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의 고정구조(1)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내벽에 안착턱(11)이 형성된 중공의 맨홀몸체(10)의 상부에 개방된 맨홀몸체(1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안치된 맨홀덮개(20)를 이 맨홀몸체(10)에 고정하여, 차량에 의한 진동이나 역류 등에 의해 맨홀몸체(10)에서 맨홀덮개(20)가 이탈하거나 진동이 발 생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홀몸체(10)의 내벽에 맨홀덮개(20)의 가장자리를 방사구조로 고정하여 맨홀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맨홀덮개(20)와 맨홀몸체(10) 사이에 고정로드(21)와 고정홈(12)으로 이루어진 간소화된 고정구조를 마련하여, 맨홀덮개(20)의 안정적이고 간편한 고정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맨홀몸체(10)의 내벽에 3개의 고정홈(12)을 방사구조로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맨홀덮개(20)의 가장자리에 진퇴작용에 의해 돌출 또는 비돌출되는 3개의 고정로드(21)를 진퇴구조로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로드(21)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로드(21)는 맨홀덮개(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송슬롯(22)을 통해 진퇴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홀몸체(10)의 안착턱(11)에 맨홀덮개(20)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로드(21)가 전진하여 맨홀덮개(20)의 가장자리에 돌출하면, 이 돌출된 고정로드(21)의 단부는 맨홀몸체(10)의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12)에 삽입하여 고정되어 맨홀덮개(20)는 고정로드(21)와 고정홈(12)의 결합에 의해 맨홀몸체(10)에 안정되게 고정되고, 또 고정로드(21)가 후퇴하면 고정로드(21)와 고정홈(12) 사이의 결합이 해체되어 맨홀덮개(20)의 이탈을 통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맨홀덮개(20)의 개방 또는 고정을 위한 고정로드(21)의 진퇴작용이 보다 간편하게 구현되도록 구성하여, 맨홀덮개(20)의 고정과 해체가 보다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로드(21)가 이송되는 경로인 이송슬롯(21)의 후미에 승강공(22a)을 직교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승강공(22a)에 상기 고정로드(21)의 후미와의 가압을 통해 고정로드(21)를 전진시키는 쇄기부재(23)를 승강구조로 설치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고정홈(12)에 삽입되는 고정로드(21)의 선단은 진입이 용이하도록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로드(21)의 후미와 맞닿는 쇄기부재(23)의 하단은 경사진 쇄기형(23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쇄기부재(23)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쇄기부재(23)의 상승과정에서 요구되는 지렛봉(100) 선단과의 견착을 위한 견착단(2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로드(21)와 이송슬롯(22) 사이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지부재(24)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로드(21)는 탄지부재(24)의 탄발력에 의해 항시 후퇴하려는 성향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탄지부재(24)는 스프링 외, 고무, 우레탄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슬롯(22)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탄지부재(24)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된 각 고정로드(21)는, 도 4b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하강되는 쇄기부재(23)의 하단에 후미가 간섭되어 점차 전진하여 맨홀몸체(10)의 고정홈(12)에 서서히 진입 하여 고정되며, 상기 맨홀몸체(10)의 각 고정홈(12)에 맨홀덮개(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정로드(21)가 진입되면 맨홀덮개(20)는 맨홀몸체(1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후, 맨홀덮개(20)의 해체가 요구될 경우, 작업자는 도 5a와 같이 지렛봉(100)의 선단을 하강된 쇄기부재(23)의 상단에 형성된 견착단(23a)에 견착시킨 다음, 도 5b와 같이 맨홀덮개(20)를 지지점으로 하여 힘점인 지렛봉(100)의 후미들 하부로 가압하면, 지렛작용에 의해 하강된 쇄기부재(23)는 견착단(23b)을 작용점으로 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렛봉은 맨홀몸체의 상부면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쇄기부재(23)가 상승하면, 고정로드(21)는 탄지부재(24)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게 되므로, 맨홀몸체(10)에 형성된 고정홈(12)과 맨홀덮개(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로드(21)의 결합이 해체되므로, 맨홀덮개(20)의 이탈을 통한 맨홀몸체(10)의 개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는 쇄기부재(23)의 하강을 통해 맨홀덮개(20)의 고정이 가능하고, 또 지렛작용을 통한 쇄기부재(23)의 상승을 통해 맨홀덮개(20)의 고정상태가 간편하게 해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를 마련한 맨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은 외형 구성을, 도 2는 부분 절개상태를, 도 3은 상기 도 2 'A'부분의 조립 및 분해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맨홀덮개의 고정구조를 통한 맨홀덮개의 고정 및 해체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맨홀
10. 중공의 맨홀몸체 11. 안착턱
12. 고정홈
20. 맨홀덮개 21. 고정로드
22. 이송슬롯 22a. 승강공
23. 쇄기부재 23a. 하단
23b. 견착턱 24. 탄지부재
30. 지렛봉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내벽에 안착턱이 형성된 중공의 맨홀몸체의 상부에 개방된 맨홀몸체를 폐쇄하는 맨홀덮개를 안치한 다음, 이 맨홀덮개를 맨홀몸체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맨홀몸체의 내벽에는 복수의 고정홈이 방사구조로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맨홀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홈에 진입되는 복수의 고정로드가 각각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로드의 후미에는 하강을 통해 고정로드의 후미를 간섭하여 전진시키는 쇄기부재가 승강구조로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상기 중공의 맨홀몸체에 맨홀덮개를 안착시킨 다음 쇄기부재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로드는 쇄기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전진하여 맨홀몸체에 마련된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서, 상기 맨홀몸체에 안착된 맨홀덮개는 고정홈과 고정로드의 결합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덮개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는 맨홀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송슬롯을 통해 진퇴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로드의 이송경로인 이송슬롯에는 승강공이 직교하여 형성되고, 이 승강공에는 상기 고정로드의 후미와의 가압을 통해 고정로드를 전진시키는 쇄기부재가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로드와 이송슬롯 사이에는 탄지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슬롯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고정로드는, 하강되는 쇄기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전진되어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로드는 쇄기부재의 상승에 의해 쇄기부재와의 간섭이 사라지면 탄지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여 고정홈에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덮개의 고정구조.
KR1020090040346A 2009-05-08 2009-05-08 맨홀덮개용 고정구조 KR10104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46A KR101043635B1 (ko) 2009-05-08 2009-05-08 맨홀덮개용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46A KR101043635B1 (ko) 2009-05-08 2009-05-08 맨홀덮개용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272A KR20100121272A (ko) 2010-11-17
KR101043635B1 true KR101043635B1 (ko) 2011-06-22

Family

ID=4340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346A KR101043635B1 (ko) 2009-05-08 2009-05-08 맨홀덮개용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579A (ko) 2022-02-25 2023-09-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약물 주입 모니터링 모듈,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128U (ko) * 1999-06-25 2001-01-15 손형순 맨홀용 뚜껑의 록킹장치
KR20040000429A (ko) * 1995-04-19 2004-01-03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다중 초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577981B1 (ko) 2003-07-22 2006-05-11 이재현 맨홀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429A (ko) * 1995-04-19 2004-01-03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다중 초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10001128U (ko) * 1999-06-25 2001-01-15 손형순 맨홀용 뚜껑의 록킹장치
KR100577981B1 (ko) 2003-07-22 2006-05-11 이재현 맨홀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579A (ko) 2022-02-25 2023-09-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약물 주입 모니터링 모듈,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272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045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tower sections
AU2015202772B2 (en) Assembly for mooring a pile with a mooring line and method implemented with said assembly
KR101043635B1 (ko) 맨홀덮개용 고정구조
KR200383422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100702625B1 (ko) 맨홀의 추락방지구조
KR101996431B1 (ko) 전주 설치용 베이스 조립체
KR200436238Y1 (ko) 맨홀덮개
KR102273105B1 (ko) 배수구 유니트 어셈블리
JP5065311B2 (ja) 埋設筐
JP5116111B2 (ja) バッキング防止装置
US7232167B2 (en) Cam-action pipe puller
KR100734937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JP4855365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装置
EP3018258B1 (en) Street cover for extenson spindle
KR101308938B1 (ko) 하수도관로용 방취구의 착탈기
CN103643734B (zh) 一种下水道井盖
KR200383421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101495848B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20050105143A (ko) 내진형 관 연결구조
KR101981861B1 (ko)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KR200427857Y1 (ko) 이탈 방지를 위한 맨홀뚜껑용 안전장치
KR102609292B1 (ko) 맨홀용 역류방지 안전커버
KR200428122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200333741Y1 (ko) 고리형 맨홀뚜껑 잠금장치의 인상용 받침링
KR20090103288A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