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262B1 - A rice box - Google Patents

A rice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262B1
KR101043262B1 KR1020080112280A KR20080112280A KR101043262B1 KR 101043262 B1 KR101043262 B1 KR 101043262B1 KR 1020080112280 A KR1020080112280 A KR 1020080112280A KR 20080112280 A KR20080112280 A KR 20080112280A KR 101043262 B1 KR101043262 B1 KR 10104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housing
vertical guide
transfer screw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3247A (en
Inventor
이은두
Original Assignee
이은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두 filed Critical 이은두
Priority to KR102008011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262B1/en
Publication of KR2010005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2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2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쌀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쌀의 정량 배출이 가능하며 쌀통 내부의 보관량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쌀을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쌀통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barrel that is easy to control the discharge of r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quantitative discharge of the rice can be easily confirmed the storage amount inside the rice container and to provide a rice container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in a good state for a long time.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쌀통은, 내부에 쌀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 하단측에 설치되며 보관되어진 쌀을 하부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하향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의 경사면 최하단에서 상향되어지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하부에는 쌀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져 있는 수직 가이드관과; 상기 수직 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쌀을 수직 가이드관을 통해 상승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하부에 구성되어진 구동부와; 상기 이송스크류 동작에 의해 수직 가이드관을 통해 상승된 쌀을 인출시키기 위해 외부하우징 상부에 구성되어진 인출서랍과; 상기 내부공간에 보관되어진 쌀의 보관량을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The rice barre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and an outer housing forming an inner space so that the rice can be stored therein; An inner housing installed at an inner lower side of the outer housing and defining a downward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tored rice to the lower center; A vertical guide tub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having an inlet formed therein to allow inflow of rice; A transfer screw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guide tube and configured to raise ric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hrough the vertical guide tube; A drive unit configured at a lower portion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transfer screw; A drawer drawer configured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housing to draw out the rice raised through the vertical guide pipe by the transfer screw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 a viewing window for check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rice stored in the inner space from the outside.

쌀통, 인출, 조절, 배출, 조명, 투시, 스크류, 엠보싱, 돌기 Rice keg, withdrawal, adjustment, discharge, lighting, perspective, screw, embossing, turning

Description

쌀통{A RICE BOX}Rice bowl {A RICE BOX}

본 발명은 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내부의 쌀 보관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쌀의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쌀의 보관상태를 양호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쌀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amount of storage of the rice from the outside, and to easily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rice, to ensure good storage of the rice for a long time It is about the structure of the rice container.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쌀을 별도로 장기간 보관하는 가운데 필요에 따라 가족 수에 따라 소량단위로 일정량을 배출시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쌀통을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at home, while keeping the rice separately for a long time, the rice can be used to discharge a certain amount in small uni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amilies as needed.

그러나, 종래 쌀통은 많은 양의 쌀을 보관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의 함체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단속하는 레버에 의하여 일정한 양이 배출되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레버의 상태에 따라 쌀 배출량이 조금씩 상이하기 때문에 쌀의 정량배출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rice barrel is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f a certain form in order to store a large amount of rice, and a predetermined amount is discharged by the lever for regulating the discharge port, the rice discharge is little by littl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lever Because of the different, many problems occurred in the quantitative discharge of rice.

특히, 쌀통의 전면 하단부에 위치해 있는 배출레버를 동작시키기 위해 허리를 구부려야 하는 동작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일 뿐 아니라, 신체적 무리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operation to bend the waist in order to operate the discharge lever locat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ice barrel is not only a very cumbersome operation, but also has a disadvantage of causing physical overload.

또한, 외부에서 내부의 쌀 보관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부의 개폐뚜껑을 열고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확인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amount of internal rice storage from the outside, the opening and closing lid of the upper part must be checked to confirm that there was a troublesome work.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주부들이 내부의 쌀 보관량을 용이하게 확인함과 함께 쌀을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쌀통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continuous demand for rice buckets that allow housewives to easily check the amount of rice stored inside and to withdraw rice more accurate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쌀통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쌀의 정량 배출이 가능하며 쌀통 내부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쌀을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쌀통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로 하여금 쌀통의 이용 편리성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problems in the use of the conventional rice barrel,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 discharge of the rice can be easily confirmed inside the rice barrel provides a rice container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in a good state for a long time in a good state By doing so, the purpose of the consumer is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rice bucket.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내부에 쌀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쌀을 상부로 안내하기 위한 수직가이드관, 상기 수직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가이드관으로 유입된 쌀을 상기 수직가이드관을 통해 상승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및, 상기 이송스크류 동작에 의해 수직 가이드관을 통해 상승된 쌀을 인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인출서랍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ousing which forms an inner space so that the rice can be stored therein, a vertical guide pipe for guiding the ric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to the upper, the vertical guide tube, the vertical A transfer screw installed inside the guide tube to raise the rice introduced into the vertical guide tube through the vertical guide tube, a drive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transfer screw, and vertically by the transfer screw operation. It may include a drawer drawer formed in the housing for taking out the rice raised through the guide tube.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 되며 보관되어진 쌀을 하부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하향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내부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면에는 쌀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의 엠보싱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composed of an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which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downward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tored rice to the lower center, the surface constituting the inner housing Multiple embossed grooves can be form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rice.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가이드관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경사면 하단에서 상향되어지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하부에는 쌀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장착되어져 있는 모터폴리와, 상기 모터폴리와 동력전달 벨트로 연결되어진 전달폴리와, 상기 전달폴리와 또 다른 동력전달 벨트로 연결되어짐과 함께 이송스크류의 스크류축 하단부에 장착되어진 축폴리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guide pipe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rai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the inle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enable the inflow of the rice, the drive unit is mounted on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It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pulley, a transmission pulley connected to the motor pulley and a power transmission belt, and a shaft pulle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ulley and another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crew shaft of the transfer screw.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하우징 일측에는 외기와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하우징 내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휀이 장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outer housing is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for the air circulation to the outside air, the housing one side may be equipped with a shock for forcibly circulating air in the housing.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에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온도계와 습도계가 설치되며, 전자적으로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온도 또는 습도가 상승할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이송스크류 및 상기 안내통로가 작동되어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includes a control unit, a thermometer and a hygrometer is installed, whe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rises above the electronically set value by a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transfer screw and the guide passage. Can be activated to allow air circul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투명창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에는 내부 공간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가이드관 상부에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상승된 쌀을 인출서랍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가 구성되되, 상기 안내통로는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window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for illumination of the internal space, the upper guide pipe guides the rice raised through the transfer screw to the drawer drawer. A guide passage for th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he guide passage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류 회전량에 따라 쌀 배출량의 조절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출량 조절이 용이하며, 내부 조명등 및 투시창 구조를 통해 쌀 보관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of the amount of rice discharge can be made more precise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screw rota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discharge rate, it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check the amount of rice storage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interior lighting and viewing window.

특히,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의 2중 구조를 이루는 가운데 내부하우징 표면에 방열핀 역할을 수행하는 엠보싱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서 쌀의 마찰을 최소화 하여 발열에 따른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forming a double structur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o form an embossing projection to serve as a heat radiation fin on the inner housing surface to minimize the friction of the rice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s of heat generation.

또한, 스크류의 주기적인 구동을 통해 쌀을 내부에서 고르게 섞어주어 내부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줌으로서 쌀의 신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rough the periodic drive of the screw evenly mixed inside the rice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appropriately to show the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freshness of the rice.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수직가이드관, 이송스크류, 구동부, 인출서랍의 구성에 의해 하우징에 수용된 쌀을 쌀통 상부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쌀을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한 쌀통을 제공하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the vertical guide tube, the transfer screw, the drive unit, the drawer drawer can draw out the rice contained in the housing to the top of the rice container, the user can draw out the rice without bending the waist can be used Provide a convenient rice bucket.

또한,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내부 하우징 바닥면은 하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잔량의 쌀도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특히 내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쌀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서, 쌀들의 마찰로 인한 발열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housing is composed of an outer housing and an inner housing, the bottom of the inner housing is formed with a downward inclined surface can be easily withdrawn the remaining amount of rice, in particular, the surface constituting the inner housing is formed with embossing,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ri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heat generated by the friction of the rice.

또한, 유입구가 형성된 수직가이드관과, 모터폴리, 전달폴리, 동력전달벨트, 축폴리로 구성된 구동부에 의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쌀이 하우징 하부에서 상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a simple configuration by the drive unit consisting of a vertical guide tube formed with an inlet and a motor pulley, a transfer pulley, a power transmission belt, a shaft pulley, the rice can be drawn out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the top.

특히,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투명창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에는 내부 공간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이 구비되어, 쌀 보관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one 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light for illumination of the interior space, it is to be able to easily check the amount of rice storage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가이드관 상부에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상승된 쌀을 인출서랍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가 구성되되, 상기 안내통로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평소에 쌀 인출시에서는 인출서랍으로 쌀이 배출되고, 온도와 습도 조절을 위한 경우에는 안내통로가 하우스 내부로 회동되어 쌀통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passage for guiding the rice raised through the transfer screw to the drawer drawer is configur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guide pipe, the guide passage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drawal at the time of rice withdrawal as usual The rice is discharged into the drawer, and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guide passage is rotated into the house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rice bucke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하우징 일측에는 통기홀이 형성되어, 내부 하우징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 하우징의 통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nt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housing so that heat generated in the inner housing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outer housing.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 일측에는 온도계와 습도계가 설치되며, 전자적으로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온도 또는 습도가 상승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이송스크류 및 상기 안내통로가 작동되어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습도나 온도를 체크하지 않아도 설정 기준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자동으로 작동되어 쌀통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쌀통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 thermometer and a hygrometer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ner housing, and whe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rises above the electronically set valu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transfer screw and the guide passage are operated to circulate air. Even if the user does not check the humidity or the temperature, if it is out of the setting standard, it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provide a rice barrel in whic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rice barrel are controlled.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쌀통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쌀통 본체를 이루는 외부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S)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부하우징(10) 내부의 편심된 위치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 가이드관(30)이 설치되어져 있고, 수직 가이드관(30) 하부에는 쌀이 유입되어질 수 있도록 유입구(3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수직 가이드관(30) 내부에는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쌀을 강제 상승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40)가 장착되어져 있고, 외부하우징(10) 하부측에는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쌀을 유입구(31)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내부하우징(20)이 구성되어져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rough FIGS. 1 and 2, the outer housing 10 forming the rice barrel body forms an internal space 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shape. In the eccentric position inside the outer housing 10, a vertical guide tube 3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let 31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guide tube 30 to allow rice to flow therein. In the vertical guide tube 30, a transfer screw 40 for forcibly raising the ric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1 is mounted, and i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the rice is stored inside the inlet 31. In order to guide to the side is configured an inner housing 20 forming a downward inclined surface.

특히, 내부하우징(20)은 도 3의 요부 확대도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쌀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의 엠보싱 홈부(21)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어, 외부 공기와 열교환을 실시하는 방열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the inner housing 20 has a plurality of embossed grooves 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ric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It was able to perform the role of the heat sink fins.

본 실시예에서는 엠보싱 홈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방향이나 나선형태 등 내부하우징(20)의 내부 표면적을 넓혀주어 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구조를 모두 포함함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embossed groove portion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widening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inner housing 20 such as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piral shape to easily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rice to the outside. Of course, including all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또한, 외부하우징(10) 후면 하부에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을 위한 통기홀(15)이 형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a ventilation hole 15 for air circulation with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lower rear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40)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지지베어링(33)이 구비 되어져 있어 스크류축(41)의 회동을 지지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screw 33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ransfer screw 40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41.

또한, 외부하우징(10) 전면에는 외부에서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재질의 투시창(11,12)이 2중으로 구비되어짐과 함께, 그 상부에는 손잡이(51)를 형성하고 있는 인출서랍(50)이 전면으로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조명을 위한 LED램프 등의 조명등(70)이 구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is provided with two transparent viewing windows (11, 12) of the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see from the outside, the upper drawer drawer 50 that forms the handle 51 on the front It is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sliding, the interior of the illumination lamp 70 such as an LED lamp for illumination is configured.

한편, 수직 가이드관(30) 상단부에는 이송스크류(40)에 의해 상승되어진 쌀을 인출서랍(50)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32)가 구성되어져 있는데, 상기 안내통로(32)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출구측의 방향 변경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상승된 쌀을 인출서랍(50)으로 안내하거나 또는 다시 쌀통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guide pipe 30 is configured with a guide passage 32 for guiding the rice raised by the transfer screw 40 to the drawer drawer 50, the guide passage 32 can be rotated 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xit side is configured to guide the raised rice to the drawer drawer (50) as needed, or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be circulated back into the rice container.

그리고, 내부하우징(20) 하부에는 이송스크류(40)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가 고정 플레이트(61)에 고정되어 구비되어져 있는데, 이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구동모터(60)의 모터축에 장착되어져 있는 모터폴리(62)와, 이송스크류(40)의 스크류축(41) 하단부에 장착되어진 축폴리(64)와, 상기 모터폴리(62)로 부터의 회전력을 축폴리(64)로 전달하기 위해 2개의 동력전달 벨트(B)로 양측 상호간에 연결되어진 전달폴리(63)로 구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housing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par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conveying screw 40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61, which is as shown in Figures 2 and 4 of the drive motor 60 The motor pulley 62 mounted on the motor shaft, the shaft pulley 64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crew shaft 41 of the transfer screw 40, and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pulley 62 are applied to the shaft pulley 64. It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pulley 63 which is connected to both sides by two power transmission belts (B) to transmit to).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은 쌀의 내부 투입을 위하여 구성된 개폐용 상부 뚜껑이고, 14는 이송스크류(40) 구동을 조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단추(1인분/2인분/3인분/취소 등)로 이루어진 조작버튼을 각각 나타낸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n upp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configured for input of rice, and 1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1 serving / 2 servings / 3 servings / cancel, etc.) to operate the transfer screw 40 driving. Each operation button is displayed.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쌀통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 로 한다.Let us look at the effect of using the rice bu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such a structure.

먼저, 내부공간(S)에 일정량의 쌀이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14)을 이용하여 원하는 양(1인분/2인분/3인분)을 선택하면, 선택된 양에 해당하는 회전수로 스크류축(41)이 회동되어지면서 해당양의 쌀이 상승 및 인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First,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amount (1 serving / 2 servings / 3 servings) using the operation button 14 while a certain amount of rice i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S, the number of revolu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mount is adjusted. As the screw shaft 41 is rotated, the corresponding amount of rice can be raised and drawn out.

즉, 이때에는 하부 구동부에서 구동모터(60)로 부터 모터폴리(62), 전달폴리(63) 그리고 축폴리(64)를 통해 순차적으로 회동력이 동력전달 벨트(B)를 통해 전달되어 이송스크류(40)의 정해진 회전수로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사용 초기에는 수직 가이드관(30) 내에 쌀이 채워진 상태를 이루어야 함으로 예비 구동을 실시하게 된다.That is, 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is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drive motor 60 through the motor pulley 62, the transfer pulley 63, and the shaft pulley 64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belt B in the lower drive part. Rotation is made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of 40, the initial use of the pre-drive is to be carried out because the rice is filled in the vertical guide tube (30).

그리고, 이와 같은 이송스크류(40) 구동에 의해 상승되어진 쌀은 수직 가이드관(30) 상부에서 안내통로(32)를 통해 안내되어진 후 인출서랍(50)에 모여지게 되고, 정해진 회전수 회동 후 이송스크류(40)의 구동이 멈추면 인출서랍(50)을 빼내어 서랍내에 모여진 쌀을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Then, the rice raised by the driving of the transfer screw 40 is guided through the guide passage 32 i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guide pipe 30 and then collected in the drawer drawer 50, and the transfer after the predetermined rotational rotation When the driving of the screw 40 stops, the drawer drawer 50 is removed to cook rice collected in the drawer.

한편, 이러한 쌀통의 사용 과정에서 내부에 남아있는 쌀의 양은 별도로 상부뚜껑(13)을 열어보지 않더라도 투시창(11,12)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데, 특히 내부의 조명등(70)에 의해 발광된 빛으로 인해 더욱 용이하게 남아있는 쌀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rice remaining in the process of using the ric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11, 12) even without opening the upper lid 13, in particular, the light emitted by the interior lamp 70 Light makes it easier to see how much rice is lef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쌀과의 접촉면적 증가를 위한 엠보싱 홈부(21) 구조를 이루는 내부하우징(20)이 방열핀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쌀로 부터 전달된 열이 내부 하우징(20)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짐으로서 내부 방열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from the rice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housing 20 by the inner housing 20 constituting the embossed groove portion 21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rice performs a heat radiation fin fun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heat dissipation effect can be exhibited.

또한, 쌀통의 일측에 별도의 온도계 및 습도계(미도시)를 부착할 경우, 전자적으로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온도 또는 습도가 상승할 경우 구동모터(60)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송스크류(40)가 동작되도록 함과 함께 안내통로(32)를 돌려서 배출측이 인출서랍(50)쪽을 향하지 않도록 하게 되면, 이송스크류(40)를 통해 상승된 쌀이 다시 내부로 낙하되면서 쌀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의 공기를 통기홀(15)을 통해 밖으로 내보내고 외부의 공기 또한 통기홀(15)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eparate thermometer and a hygrometer (not show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ice barrel, whe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rises above the electronically set value, by a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60, the transfer screw 40 operates. When the discharge side is not directed toward the drawer drawer 50 by rotating the guide passage 32, the rice raised through the transfer screw 40 falls back to the inside and serves to circulate the rice.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properly adjusted by letting out the air inside through the vent hole 15 and the air outside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15. hav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 일측에 휀을 장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휀을 구동시켜 쌀통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by mounting a fan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drive the wheel can be forced to circulate air inside the rice container.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쌀통 구조체의 부분적인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partial structure of the rice contain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명등(70)으로 LED램프가 사용되었으나, 기타 다른 종류의 조명장치가 사용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For example, although the LED lamp is used as the lamp 70 in the above embodiment, other kinds of lighting devices may be used.

또한, 구동모터(6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의 동력 전달방식이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벨트로 연결된 폴리 타입 뿐만 아니라 체인으로 연결된 스프로킷 타입 또는 기어 결합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thod of the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6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procket type or a gear coupling type connected by a chain as well as a poly type connected by a belt as in the above embodiment.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쌀통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쌀통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

도 4는 본 발명 쌀통의 하부 구동부 평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ice barrel.

도 5는 본 발명 쌀통의 전면 외관도.Figure 5 is a front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rice barrel.

도 6은 본 발명 쌀통의 상면 외관도.6 is a top view of the ric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외부하우징 11,12 : 투시창10: external housing 11,12: viewing window

13 : 상부뚜껑 14 : 조작버튼13: upper lid 14: operation button

20 : 내부하우징 21 : 엠보싱 홈부20: internal housing 21: embossed groove

30 : 수직 가이드관 31 : 유입구30: vertical guide tube 31: inlet

32 : 안내통로 33 : 지지베어링32: guide passage 33: support bearing

40 : 이송스크류 41 : 스크류축40: feed screw 41: screw shaft

50 : 인출서랍 51 : 손잡이50: drawer drawer 51: handle

60 : 구동모터 61 : 고정 플레이트60: drive motor 61: fixed plate

62 : 모터폴리 63 : 전달폴리62: motor poly 63: delivery poly

64 : 축폴리 70 : 조명등64: congratulations 70: lighting

S : 내부공간 B : 동력전달 벨트S: Internal space B: Power transmission belt

Claims (7)

삭제delete 내부에 쌀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A housing defining an inner space for storing rice there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쌀을 상부로 안내하기 위한 수직가이드관;A vertical guide tu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for guiding the ric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upward; 상기 수직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가이드관으로 유입된 쌀을 상기 수직가이드관을 통해 상승시키는 이송스크류;A transfer screw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guide pipe to lift rice introduced into the vertical guide pipe through the vertical guide pipe; 상기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및A drive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transfer screw; And 상기 이송스크류 동작에 의해 수직 가이드관을 통해 상승된 쌀을 인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인출서랍을 포함하되,Including a drawer drawer formed in the housing to take out the rice raised through the vertical guide tube by the transfer screw operation, 상기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과;The housing comprises an outer housing;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보관되어진 쌀을 하부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하향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내부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면에는 쌀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의 엠보싱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The inner housing is formed inside the outer housing and form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tored rice to the lower center, the surface constituting the inner housing a plurality of surfaces for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rice Rice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ed groove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관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경사면 하단에서 상향되어지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하부에는 쌀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vertical guide pipe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the inle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enable the inflow of rice,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장착되어져 있는 모터폴리와, 상기 모터폴리와 동력전달 벨트로 연결되어진 전달폴리와, 상기 전달폴리와 또 다른 동력전달 벨트로 연결되어짐과 함께 이송스크류의 스크류축 하단부에 장착되어진 축폴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The drive part is connected to the motor pulley mounted on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the transmission pulley connected to the motor pulley and the power transmission belt, and the lower end of the screw shaft of the transfer screw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ulley and another power transmission belt. Rice bow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haft pulley mounted 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투명창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에는 내부 공간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The ric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transparent window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lighting lamp is provided in the housing to illuminate an internal spa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관 상부에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상승된 쌀을 인출서랍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가 구성되되, 상기 안내통로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guide pipe for guiding the rice drawn up through the transfer screw to the drawer drawer is configured on the vertical guide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assage is provided rotatably, Rice buck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 일측에는 외기와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하우징 내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According to claim 5, The outer housing one side is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for the air circulation to the outside 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one side is equipped with a shock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air in the housing, rice barr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에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온도계와 습도계가 설치되며, 전자적으로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온도 또는 습도가 상승할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이송스크류 및 상기 안내통로가 작동되어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The transfer screw of claim 5, wherein the internal housing includes a control unit, a thermometer and a hygrometer, and whe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rises above the electronically set valu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guide passage is activated to circulate air.
KR1020080112280A 2008-11-12 2008-11-12 A rice box KR101043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280A KR101043262B1 (en) 2008-11-12 2008-11-12 A ric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280A KR101043262B1 (en) 2008-11-12 2008-11-12 A rice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247A KR20100053247A (en) 2010-05-20
KR101043262B1 true KR101043262B1 (en) 2011-06-21

Family

ID=4227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280A KR101043262B1 (en) 2008-11-12 2008-11-12 A rice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2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39Y1 (en) * 2011-04-21 2013-06-14 주식회사 쿠스토 Rice case
KR101338203B1 (en) * 2012-08-20 2013-12-09 손홍창 Rice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484A2 (en) * 2010-07-05 2012-01-12 주식회사 쿠스토 Rice bin equipped with automatic rice supply and rice withdrawal devices
KR200464996Y1 (en) * 2010-07-05 2013-01-29 주식회사 쿠스토 Rice Automatic Draw Out Apparatus
CN107198476A (en) * 2017-07-24 2017-09-26 湖南大学 A kind of Intelligent rice case
CN107713854A (en) * 2017-11-15 2018-02-23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Vacuum rice-storing cabin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302U (en) * 1994-10-18 1996-05-17 김용 Blower of rice bucket
KR200279254Y1 (en) 2002-03-14 2002-06-24 박영복 Rice box
KR200292238Y1 (en) * 2002-07-16 2002-10-18 (주) 굿 엠 Automatic rice-withdrawing apparatus of rice contaniner
KR20020079254A (en) * 2001-04-14 2002-10-19 이주호 A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urgent message receiving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020092238A (en) * 2001-05-31 2002-12-11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Welded steel pipe having excellent hydroformabi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302U (en) * 1994-10-18 1996-05-17 김용 Blower of rice bucket
KR20020079254A (en) * 2001-04-14 2002-10-19 이주호 A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urgent message receiving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020092238A (en) * 2001-05-31 2002-12-11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Welded steel pipe having excellent hydroformabi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279254Y1 (en) 2002-03-14 2002-06-24 박영복 Rice box
KR200292238Y1 (en) * 2002-07-16 2002-10-18 (주) 굿 엠 Automatic rice-withdrawing apparatus of rice contan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39Y1 (en) * 2011-04-21 2013-06-14 주식회사 쿠스토 Rice case
KR101338203B1 (en) * 2012-08-20 2013-12-09 손홍창 Ric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247A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262B1 (en) A rice box
CN108298602B (en) Water purifier
KR102166445B1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US8217314B2 (en) Cooking apparatus with divider
KR102115614B1 (en) Refrigerator
CN112294135B (en) Air fryer
US9335088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ispenser
KR102366006B1 (en) Oven
KR100954518B1 (en) A refrigerator and shelf apparatus for refrigerator
EP2292128B1 (en) Inner pot assembly for hot-air baking oven and hot-air baking oven having such assembly
KR200447272Y1 (en) Aquarium having improved structure
AU2019201841B1 (en) A water cup capable of rapidly cooling
US7806114B2 (en) Electric oven
US6956191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on door which extends a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KR102068226B1 (en) water purifier
JP6530195B2 (en) Insulated rice with rice milling function
KR200423357Y1 (en) Roaster
CN210155580U (en) Dustproof operation machine case of touch all-in-one heat dissipation
KR20170076516A (en) A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100332194B1 (en) Meat roaster
KR101983502B1 (en) Rotation hot air roasting apparatus
KR200225335Y1 (en) Frozen Food Heating Vending Machine
US20110186031A1 (en) Oven Range
TWM635641U (en) Domestic food waste machine
KR20120066487A (en) A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