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147B1 -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147B1
KR101043147B1 KR1020070139959A KR20070139959A KR101043147B1 KR 101043147 B1 KR101043147 B1 KR 101043147B1 KR 1020070139959 A KR1020070139959 A KR 1020070139959A KR 20070139959 A KR20070139959 A KR 20070139959A KR 101043147 B1 KR101043147 B1 KR 10104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axis
rotational forc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1999A (en
Inventor
김기정
김홍진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147B1/en
Publication of KR2009007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18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more than fou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42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e.g. tractors, carts, earth-moving vehicles, trucks
    • B62D7/14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e.g. tractors, carts, earth-moving vehicles, trucks for vehicles with more than two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출력축으로 회전력을 배분하는 T-형 미터 박스; 상기 T-형 미터 박스의 제2 출력축으로 배분된 회전력의 전달 방향을 변경하는 L-형 미터 박스; 상기 제1 출력축으로 배분된 회전력과 상기 L-형 미터 박스에 의해 방향이 변경된 회전력을 각각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축 및 제3축 조향 기어 박스;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기어 박스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 이를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하는 제1축 및 제3축 운동 변환 기구; 상기 제1축 및 제3축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변환된 힘에 의해 각각 직선 운동하는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로부터 쌍을 이루며 분기되어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제1축 및 제3축 휠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1축 및 제3축 타이 로드;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으로부터 쌍을 이루며 분기되어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제2축 휠을 지지하는 제2축 타이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어링 휠의 회전시 그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제1축 및 제3축 타이어 쌍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되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의 조향각을 이루며 조향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6x6 차륜형 차량에 전차륜 조향(ALL WHEEL STEERING)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최소 조향 조건 이 요구되는 열악한 환경 또는 특수한 도로 조건에서 최소한의 조향 반경에 의해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향 시간을 단축하고 기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ront wheel steering device for a 6x6 wheeled vehicle.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T-type meter box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a steering wheel and distribute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hafts; An L-type meter box for changing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al force 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shaft of the T-type meter box; A first shaft and a third shaft steering gear box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al force distributed to the first output shaft and the rotational force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L-shaped meter box at a predetermined ratio, respectively; First and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s for receiving the decelerated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ear boxes, respectively,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into linear motion forc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ies that respectively linearly move by forces converted by the first and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s;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in pairs and branch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axis wheel connected to each end First and third shaft tie rods for changing; A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disposed independently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haft steering guide assemblies; And a second shaft tie rod branched from the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to support a second shaft wheel connected to each end thereof, and by the transmitted force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The first and third axle tire pairs are substantially identical but are steered at opposite steering angl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configuration, by applying the ALL WHEEL STEERING system to a 6x6 wheeled vehicle, it is possible to steer by a minimum steering radius in a harsh environment or a special road condition that requires the minimum steering conditions.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teering time and improving maneuverability.

Description

6×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 조향 장치{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Front wheel steering device for 6 × 6 wheeled vehicles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본 발명은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6x6 차륜형 차량의 전륜(前輪)과 후륜(後輪)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향 각도를 이루며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조향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조향 반경을 최소화한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of a 6x6 wheeled vehicle. More particularly,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a 6x6 wheeled vehicle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eering angle and are in opposite directions.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of a 6x6 wheeled vehicle which minimizes the total steering radius by steering.

일반적으로 6x6 차륜형 차량은 조향 시 앞바퀴만 조향각을 이루도록 하는 전륜(前輪) 조향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고 그로 인해 전체 조향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단점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전륜(前輪) 조향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종래의 6x6 차륜형 차량의 조향 반경을 나타낸 도 1의 개념도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하다. 도 1을 참조하면, 6x6 차륜형 차량의 조향 반경은 전륜(前輪)(11W, 12w)과 후륜(後輪)(21W, 22w)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결정되게 되므로, 도 1과 같이 후륜(後輪)(21W, 22w)이 전방향을 유지할 때 그 조향 반경은 전륜(前輪)(11W, 12w)의 조향 각도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조향 반경이 매우 크게 된다.In general, a 6x6 wheeled vehicle employs a front-wheel steering system that ensures that only the front wheels are steered during steering, which results in a relatively large draw radius. This fact is mor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ual diagram of FIG. 1, which shows the steering radius of a conventional 6x6 wheeled vehicle employing a front wheel steering system. Referring to FIG. 1, the steering radius of a 6x6 wheeled vehicle is determined by the angle formed by the axes of the front wheels 11W and 12w and the rear wheels 21W and 22w. (Iii) When the 21W, 22w maintains the forward direction, the steering radius depends solely on the steering angles of the front wheels 11W, 12w, and the steering radius becomes very large.

그러나, 근래에는 최소의 조향 반경이 요구되는 열악한 환경 또는 도로 조건 에서도 6x6 차륜형 차량의 기동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며, 무엇보다 다양한 지형 및 도로 조건을 갖춘 외국에의 수출시 필요한 조향 조건 및 기동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라도 종래의 6x6 차륜형 차량에 대한 전륜(前輪) 조향 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maneuvering operation of a 6x6 wheeled vehicle is often required even in a harsh environment or road conditions where a minimum steering radius is required, and above all, steering conditions required for export to a foreign country with various terrain and road conditions. And even in order to satisfy the maneuverability, improvement of the front wheel steering system for the conventional 6x6 wheeled vehicle has been requested |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6x6 차륜형 차량에 전차륜(全車輪) 조향(ALL WHEEL STEERING)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최소 조향 조건이 요구되는 열악한 환경 또는 특수한 도로 조건에서 최소한의 조향 반경에 의해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향 시간을 단축하고 기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ALL WHEEL STEERING system to a 6x6 wheeled vehicle, the minimum steering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a 6x6 wheeled vehicle that can steer with a minimum steering radius in such a harsh environment or in a special road condition to shorten steering time and improve maneuverability.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지형 및 도로 조건을 갖춘 외국에의 수출시 필요한 조향 조건 및 기동성을 용이하게 만족시켜 다양한 국가로의 수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도록 한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tisfy the steering conditions and maneuverability required for export to a foreign country with a variety of terrain and road conditions to facilitate the exploration of export to a variety of countries to the front wheel of a 6x6 wheeled vehicle ( It is to provide a steering apparatu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출력축으로 회전력을 배분하는 T-형 미터 박스; 상기 T-형 미터 박스의 제2 출력축으로 배분된 회전력의 전달 방향을 변경하는 L-형 미터 박스; 상기 제1 출력축으로 배분된 회전력과 상기 L-형 미터 박스에 의해 방향이 변경된 회전력을 각각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축 및 제3축 조향 기어 박스;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기어 박스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 이를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하는 제1축 및 제3 축 운동 변환 기구; 상기 제1축 및 제3축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변환된 힘에 의해 각각 직선 운동하는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로부터 쌍을 이루며 분기되어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제1축 및 제3축 휠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1축 및 제3축 타이 로드;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으로부터 쌍을 이루며 분기되어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제2축 휠을 지지하는 제2축 타이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어링 휠의 회전시 그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제1축 및 제3축 타이어 쌍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되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의 조향각을 이루며 조향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a 6x6 wheeled vehicle, including: a T-type meter box configured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a steering wheel and to distribute rotational force to first and second output shafts; An L-type meter box for changing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al force 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shaft of the T-type meter box; A first shaft and a third shaft steering gear box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al force distributed to the first output shaft and the rotational force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L-shaped meter box at a predetermined ratio, respectively; First and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s for receiving the decelerated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and third shaft steering gear boxes, respectively,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into linear motion forc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ies that respectively linearly move by forces converted by the first and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s;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in pairs and branch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axis wheel connected to each end First and third shaft tie rods for changing; A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disposed independently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haft steering guide assemblies; And a second shaft tie rod branched from the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to support a second shaft wheel connected to each end thereof, and by the transmitted force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The first and third axle tire pairs are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but steer at opposite steering angl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각 운동 변환 기구는, 상기 각 기어 박스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트먼 암; 및 상기 피트먼 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피트먼 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드래그 링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motion conversion mechanism, Pitman arm is coupled to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of each gear box; And a drag link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tman arm to linearly mov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itman arm.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각 타이 로드와 휠 사이에는 너클 암이 결합되고, 상기 너클 암이 상기 타이 로드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휠을 그 킹핀 중심선에 대해 조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knuckle arm is coupled between each of the tie rods and the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nuckle arm is preferably configured to steer the wheel relative to its kingpin centerline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tie r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에 의하면, 6x6 차륜형 차량에 전차륜 조향(ALL WHEEL STEERING) 시 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최소 조향 조건이 요구되는 열악한 환경 또는 특수한 도로 조건에서 최소한의 조향 반경에 의해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향 시간을 단축하고 기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ll-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steering condition is required by applying the ALL WHEEL STEERING system to the 6x6 wheeled vehicle. In a harsh environment or a special road condition, the steering can be performed by a minimum steering radius, thereby reducing the steering time and improving maneuver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지형 및 도로 조건을 갖춘 외국에의 수출시 필요한 조향 조건 및 기동성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In addition, the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satisfying the steering conditions and maneuverability required for export to a foreign country having various terrain and road conditions.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의 플랫폼의 상면도이고, 도 2b는 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구성도이다.FIG. 2A is a top view of a platform of a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n all-wheel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thereof. 3 is a block diagram of an all-wheel steering apparatus of a 6x6 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1000)는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조립체(1100)와, 상기 스티어링 조립체(1100)에 의해 전달된 힘에 의해 전륜(前輪), 중륜(中輪), 및 후륜(後輪)을 각각 조향하는 제1축 조향 조립체(1200)와, 제2축 조향 조립체(1300), 및 제3축 조향 조립체(1400)로 구성된다.2A and 2B,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ering assembly 1100 controlled by a driver and a steering assembly 1100 controlled by the steering assembly 1100. A first shaft steering assembly 1200, a second shaft steering assembly 1300, and a third shaft steering assembly that steer the front wheel, the middle wheel, and the rear wheel by force, respectively; 140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티어링 조립체(1100)는 운전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스티어링 휠(1110)과, 상기 스티어링 휠(1110)과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1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입력된 회전력을 T-형 미터 박스(1210)의 입력 축(1130)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칼럼(112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teering assembly 1100 is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1110 directly operated by a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1110 to stably support the steering wheel 1110 while receiving the input rotational force. It consists of a steering column 1120 that transmits to an input shaft 1130 of the T-shaped meter box 1210.

상기 제1축 조향 조립체(1200)는 1개의 입력축(1130)과 2개의 출력축(1211, 1212)을 구비한 T-형 미터 박스(1210)와, 상기 2개의 출력축 중 제1 출력축(1211)으로 배분된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와, 상기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하시키는 제1축 운동 변환 기구(1230)와, 상기 제1축 운동 변환 기구(1230)에 의해 변환된 직선 운동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제1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와, 상기 제1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로부터 각각 쌍을 이루며 분기된 제1축 타이 로드(1241, 1242)와, 상기 제1축 타이 로드(1241, 1242)의 말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1축 너클 암(1241n, 1242n)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1축 너클 암(1241n, 1242n)의 단부에는 한 쌍의 제1축 휠(1241w, 1242w)이 각각 결합되어 스티어링 휠(1110)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조향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축 휠(1241w, 1242w)은 그 위치적 특징에 따라 전륜(前輪)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The first shaft steering assembly 1200 includes a T-shaped meter box 1210 having one input shaft 1130 and two output shafts 1211 and 1212, and a first output shaft 1211 of the two output shafts. A first shaft steering gear box 1220 for reducing the distributed rotational force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a first shaft movement converting mechanism 1230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decelerated in the first shaft steering gear box 1220 into linear movement force. And branched from the first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1240 and the first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1240 which are linearly moved by the linear kinetic force converted by the first axis motion converting mechanism 1230, respectively. First shaft tie rods 1241 and 1242 and a pair of first shaft knuckle arms 1241n and 1242n coupled to the ends of the first shaft tie rods 1241 and 1242,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shaft wheels 1241w and 1242w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nds of the pair of first shaft knuckle arms 1241n and 1242n to form a steering angle by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teering wheel 1110. In this case, the pair of first shaft wheels 1241w and 1242w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ront wheels according to their positional characteristics.

상기 제2축 조향 조립체(1300)는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조립체(1400)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1310)과, 상기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1310)으로부터 쌍을 이루며 분기된 제2축 타이 로드(1311, 1312)와, 상기 제2축 타이 로드(1311, 1312)의 말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2축 너클 암(1311n, 1312n)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2축 너클 암(1311n, 1312n)의 단부에는 한 쌍의 제2축 휠(1311w, 1312w)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축 휠(1311w, 1312w)은 그 위치적 특징에 따라 중륜(中輪)으로 통칭하도록 한 다. The second shaft steering assembly 1300 may include a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1310 disposed independently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third shaft steering assembly 1400, and the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 Second shaft tie rods 1311 and 1312 branched from 1310 and a pair of second shaft knuckle arms 1311n and 1312n respectively coupled to ends of the second shaft tie rods 1311 and 1312. It is provided. A pair of second shaft wheels 1311w and 1312w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shaft knuckle arms 1311n and 1312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air of second shaft wheels 1311w and 1312w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iddle wheels according to their positional characteristics.

상기 제3축 조향 조립체(1400)는 상기 T-형 미터 박스(1210)의 2개의 출력축 중 제2 출력축(1212)으로 배분된 회전력의 전달 방향을 약 90°만큼 변경하는 L-형 미터 박스(1410)와, 상기 L-형 미터 박스(1410)에 의해 방향이 변경된 회전력을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3축 조향 기어 박스(1420)와, 상기 제3축 조향 기어 박스(1420)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3축 운동 변환 기구(1430)와, 상기 제3축 운동 변환 기구(1430)에 의해 변환된 직선 운동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440)와, 상기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440)로부터 각각 쌍을 이루며 분기된 제3축 타이 로드(1441, 1442)와, 상기 제3축 타이 로드(1441, 1442)의 말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3축 너클 암(1441n, 1442n)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3축 너클 암(1441n, 1442n)의 단부에는 한 쌍의 제3축 휠(1441w, 1442w)이 각각 결합되어 스티어링 휠(1110)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조향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3축 휠(1441w, 1442w)은 그 위치적 특징에 따라 후륜(後輪)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The third axis steering assembly 1400 is an L-type meter box for changing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al force 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shaft 1212 of the two output shafts of the T-shaped meter box 1210 by about 90 °. 1410, a third shaft steering gear box 1420 for decelerating a rotational force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L-shaped meter box 1410, and a rotation force decelerated in the third shaft steering gear box 1420. A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 1430 for converting the linear motion into linear motion force, a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1440 for linear motion by the linear motion force converted by the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 1430, and Third shaft tie rods 1441 and 1442 branched and paired from the third shaft steering guide assembly 1440 and a pair of third couples respectively coupled to ends of the third shaft tie rods 1441 and 1442. And axial knuckle arms 1441n and 1442n. A pair of third axle wheels 1441w and 1442w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nds of the pair of third axis knuckle arms 1441n and 1442n to form a steering angle by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teering wheel 1110. At this time, the pair of third shaft wheels (1441w, 1442w)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rear wheel (後輪)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한편, 도 4를 미리 참조하면, 상기 제1축 운동 변환 기구(1230)는 상기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의 출력축(122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축 피트먼 암(1231)과, 상기 제1축 피트먼 암(123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축 피트먼 암(123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제1축 드래그 링크(1232)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제1축 운동 변환 기구(123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구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될 수 있다. 그 다른 예로는 피니언-랙 기어의 결합체가 대표적이다. 또한, 상기 제3축 운동 변환 기구(1430)는 상기한 제1축 운동 변환 기구(1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도록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haft motion converting mechanism 1230 may include a first shaft Pitman arm 1231 coupled to the output shaft 1221 of the first shaft steering gear box 1220 and rotating. And a first axis drag link 1232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axis Pitman arm 1231 to linearly mov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xis Pitman arm 1231.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 1230 is only b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mechanism can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to linear mo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ample is a combination of pinion-rack gears. In addition, the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 1430 is preferably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 1230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its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will be omit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도 3의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a는 도 3의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전륜(前輪) 조향 원리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b는 도 3의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후륜(後輪) 조향 원리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의 조향 반경을 나타낸 개념도이다.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of FIG. 5A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front wheel steering principl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of FIG. 3, and FIG. 5B is the front wheel steering of the 6x6 wheeled vehicle of FIG.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rear wheel steering principle of the device. Figure 6 is a front wheel steering state diagram of a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wheel (all whe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ii)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eering radius of a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 steering device.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110)을 조작하게 되면 발생된 회전력이 스티어링 칼럼(1120)을 통해 T-형 미터 박스(1210)의 입력축(1130)으로 전달된다. 상기 입력축(1130)을 통해 입력된 회전력은 T-형 미터 박스(1210)를 통해 2개의 출력축으로 배분된다. 그 중 제1 출력축(1211)으로 출력된 회전력은 힘의 전달 방향이 90°만큼 변경되어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로 입력되고, 나머지 제2 출력축(1212)은 릴레이 링크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L-형 미터 박스(1410)를 거쳐 힘의 전달 방향이 90°만큼 변경되어 상기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와 플랫폼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3축 조향 기어 박스(1420)로 입력되게 된다. 3 and 4, when the driver manipulates the steering wheel 1110, the generated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put shaft 1130 of the T-type meter box 1210 through the steering column 1120. The rotational force input through the input shaft 1130 is distributed to two output shafts through the T-type meter box 1210. Among them, the rotational force outputted to the first output shaft 1211 is inputted to the first shaft steering gear box 1220 by changing the force transmission direction by 90 °, and the remaining second output shaft 1212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elay link. The force transmission direction is changed by 90 ° via the L-shaped meter box 1410 to the first axis steering gear box 1220 and the third axis steering gear box 1420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platform. Will be enter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축 조향 조립체(1200)의 작동만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onl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aft steering assembly 1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에 입력된 회전력은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 내의 정적 기어비에 의해 일정 비율로 감속 및 배력되게 된다. 감속 및 배력된 회전력은 제1축 조향 기어 박스(1220)의 출력축(1221)과 연결된 제1축 피트먼 암(1231)을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축 피트먼 암(1231)에 연결된 제1축 드래그 링크(1232)가 도면상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직선 운동하는 상기 제1축 드래그 링크(1232)는 그에 연결된 제1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에 내장된 제1축 크래들 조립체(1243)를 직선 운동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축 크래들 조립체(1243)에 연결되어 한 쌍으로 분기된 제1축 타이 로드(1241, 1242)가 화살표와 같이 밀리거나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제1축 타이 로드(1241, 1242)의 운동은 그 말단에 결합된 한 쌍의 제1축 너클 암(1241n, 1242n)을 밀거나 당기게 되고, 상기 제1축 너클 암(1241n, 1242n)은 그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전륜(前輪)(1241w, 1242w)을 상기 제1축 너클 암(1241n, 1242n)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조향시키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rotational force input to the first shaft steering gear box 1220 as described above is decelerated and multiplied at a constant rate by a static gear ratio in the first shaft steering gear box 1220. The decelerated and boosted rotational force rotates the first shaft Pitman arm 1231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1221 of the first shaft steering gear box 1220, and thus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Pitman arm 1231. The first axis drag link 1232 linearly moves to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first axis drag link 1232, which linearly moves, linearly moves the first axis cradle assembly 1243 embedded in the first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1240 connected thereto. This causes the pair of first shaft tie rods 1241 and 1242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cradle assembly 1243 to be pushed or pulled as an arrow.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tie rods 1241 and 1242 pushes or pulls the pair of first shaft knuckle arms 1241n and 1242n coupled to the ends thereof, and the first shaft knuckle arms 1241n and 1242n A pair of front wheels 1241w and 1242w coupled to the end are ste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ints of the first shaft knuckle arms 1241n and 1242n.

이상의 제1축 조향 조립체(1200)의 조향 작동 원리는 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지닌 제3축 조향 조립체(1400)에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상호 동일한 조향각을 이루게 된다. 다만, 상기 제1축 조향 조립체 및 제3축 조향 조립체는 각 타이 로드의 분기된 방향의 차이로 인해 조향 방향이 반대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도 5a 및 도 5b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steering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shaft steering assembly 1200 is equally applied to the third shaft steering assembly 1400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same steering angle. However,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steering assembly and the third shaft steering assembly are revers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branched directions of the tie rods. This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도 5a를 참조하면, 제1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제1축 타이 로드 중 좌측 타이 로드(1242)는 좌측 전륜(前輪)(1242w)을 킹핀 중심선을 기준으로 밀어서 그 조향 방향이 시계 방향을 이루며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우측 타이 로드(1241)는 우측 전륜(前輪)(1241w)을 킹핀 중심선을 기준으로 당겨서 그 조향 방향이 시계 방향을 이루며 회전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A, when the first shaft steering guide assembly 1240 moves to the left, the left tie rod 1242 of the pair of first shaft tie rods moves the left front wheel 1242w to the kingpin centerline. Push to the reference so that the steering direction rotates clockwise. In addition, the right tie rod 1241 pulls the right front wheel 1241w with respect to the kingpin center line so that the steering direction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도 5b를 참조하면,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440)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제3축 타이 로드 중 좌측 타이 로드(1442)는 좌측 후륜(後輪)(1442w)을 킹핀 중심선을 기준으로 밀어서 그 조향 방향이 반시계 방향을 이루며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우측 타이 로드(1441)는 우측 후륜(後輪)(1441w)을 킹핀 중심선을 기준으로 당겨서 그 조향 방향이 반시계 방향을 이루며 회전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B, when the third shaft steering guide assembly 1440 moves to the left, the left tie rod 1442 of the pair of third shaft tie rods moves the left rear wheel 1442w to the kingpin centerline. Rotate the steering wheel to rotate counterclockwise. Further, the right tie rod 1442 pulls the right rear wheel 1441w with respect to the kingpin center line so that the steering direction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즉,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 1440)는 그 운동 방항이 동일하게 되나 제1축 및 제3축 타이 로드(1241, 1242; 1441, 1442)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배치되고 제1축 및 제3축 타이 로드(1241, 1242; 1441, 1442)가 전륜(前輪) 및 후륜(後輪)(1241w, 1242w; 1441w, 1442w)에 결합된 위치를 킹핀 중심선을 기준으로 반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동일하게 배분된 회전력에 의해 전륜(前輪) 및 후륜(後輪)(1241w, 1242w; 1441w, 1442w)이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at is, the first and third shaft steering guide assemblies 1240 and 1440 have the same movement direction but the first and third shaft tie rods 1241, 1242; 1441 and 1442 branch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third shaft tie rods 1241, 1242; 1441, 1442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1241w, 1242w; 1441w, 1442w relative to the kingpin center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1241w, 1242w; 1441w, 1442w rotate simultaneously by the same angle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same distributed torque. The front wheel steer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상기한 구성 및 작동 상의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 치(1000)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前輪)(1241w, 1242w)과 후륜(後輪)(1441w, 1442w)의 축선의 교차점이 차량으로부터 거리가 짧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륜(前輪)만 조향되던 종래의 기술(도 1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조향 반경을 지니게 된다. 도 8a 및 8b에는 종래 기술의 조향 반경과 본 발명의 조향 반경이 비교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에 따르면 6x6 차륜형 차량의 조향 반경이 종래에 비해 짧아짐으로 인해 최소 조향 조건이 요구되는 열악한 환경 또는 도로 조건에서 짧은 시간 내에 기동성 있는 조향이 가능하게 된다. 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the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the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ont wheel 1241w and a rear wheel 1242w as shown in FIG. (Iv) The intersection of the axes of 1441w and 1442w becomes shorter from the vehic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very short steering radius compared to the prior art (see FIG. 1) in which only the front wheel is steered. 8A and 8B show a comparison of the steering radius of the prior art with the steering radi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to 8B, according to the all-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 radi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is shorter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a minimum steering condition is required. Maneuverable steering is possible in a short time under environmental or road conditions.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However,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6x6 차륜형 차량의 조향 반경을 나타낸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eering radius of a conventional 6x6 wheeled vehicle.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의 플랫폼의 상면도이고, 도 2b는 그 사시도.FIG. 2A is a top view of a platform of a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thereof;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a 6x6 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작동도.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of FIG.

도 5a는 도 3의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전륜(前輪) 조향 원리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b는 도 3의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의 후륜(後輪) 조향 원리를 나타낸 작동도. 5A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front wheel steering principl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6x6 wheeled vehicle of FIG. 3, and FIG. 5B is the front wheel steering of the 6x6 wheeled vehicle of FIG.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rear-wheel steering principle of the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상태도.6 is a front wheel steering state diagram of a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의 조향 반경을 나타낸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eering radius of a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가 장착된 6x6 차륜형 차량의 실제 조향 반경의 차이를 나타낸 비교도.8A and 8B are comparison diagrams showing differences in actual steering radii of a 6x6 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0 :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1000: Front Wheel Steering System

1110 : 스티어링 휠1110: Steering Wheel

1210 : T-형 미터 박스 1410 : L-형 미터 박스1210: T-type meter box 1410: L-type meter box

1220 : 제1축 조향 기어 박스 1420 : 제3축 조향 기어 박스1220: first axis steering gear box 1420: third axis steering gear box

1230 : 제1축 운동 변환 기구 1430 : 제3축 운동 변환 기구1230: 1st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 1430: 3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

1240 : 제1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 1440 :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 first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1440: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y

1241, 1242 : 제1축 타이 로드 1441, 1442 : 제3축 타이 로드1241, 1242: 1st axis tie rod 1441, 1442: 3rd axis tie rod

1241n, 1242n : 제1축 너클 암 1441n, 1442n : 제3축 너클 암1241n, 1242n: 1st axis knuckle arm 1441n, 1442n: 3rd axis knuckle arm

1241w, 1242w : 제1축 휠(전륜(前輪)) 1441w, 1442w : 제3축 휠(후륜(後輪))1241w, 1242w: 1st axis wheel (front wheel) 1441w, 1442w: 3rd axis wheel (rear wheel)

1310 :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1310: 2nd axis tie rod mounting bracket

1311, 1312 : 제2축 타이 로드1311, 1312: 2nd axis tie rod

1311w, 1312w : 제2축 휠1311w, 1312w: 2nd axis wheel

Claims (3)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조향 장치는(1000),In the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1000) of a 6x6 wheeled vehicle, the steering apparatus (1000), 스티어링 휠(1110)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출력축(1211, 1212)으로 회전력을 배분하는 T-형 미터 박스(1210);A T-shaped meter box 1210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steering wheel 1110 and distribu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hafts 1211 and 1212; 상기 T-형 미터 박스(1210)의 제2 출력축(1212)으로 배분된 회전력의 전달 방향을 변경하는 L-형 미터 박스(1410);An L-shaped meter box 1410 for changing a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al force 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shaft 1212 of the T-shaped meter box 1210; 상기 제1 출력축(1211)으로 배분된 회전력과 상기 L-형 미터 박스(1410)에 의해 방향이 변경된 회전력을 각각 소정 비율로 감속시키는 제1축 및 제3축 조향 기어 박스(1220, 1420);First and third shaft steering gear boxes 1220 and 1420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al force distributed to the first output shaft 1211 and the rotational force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L-shaped meter box 1410, respectively;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기어 박스(1220, 1420)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아 이를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하는 제1축 및 제3축 운동 변환 기구(1230, 1430);First and third axis motion converting mechanisms 1230 and 1430 for receiving the decelerated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ear boxes 1220 and 1420, respectively,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into linear motion force; 상기 제1축 및 제3축 운동 변환 기구(1230, 1430)에 의해 변환된 힘에 의해 각각 직선 운동하는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 1440);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ies (1240, 1440) linearly moving by the forces converted by the first and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s (1230, 1430), respectively;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 1440)로부터 쌍을 이루며 분기되어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 1440)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제1축 및 제3축 휠(1241w, 1242w; 1441w, 1442w)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1축 및 제3축 타이 로드(1241, 1242; 1441, 1442); Branched in pairs from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ies 1240 and 1440 and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third axis steering guide assemblies 1240 and 1440 in a linear motion. First and third axis tie rods 1241, 1242; 1441, 1442 tha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ingle and third axis wheels 1241w, 1242w; 1441w, 1442w;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가이드 조립체(1240, 1440)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1310); 및 A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1310 disposed independently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haft steering guide assemblies 1240 and 1440; And 상기 제2축 타이 로드 마운팅 브라켓(1310)으로부터 쌍을 이루며 분기되어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제2축 휠(1311w, 1312w)을 지지하는 제2축 타이 로드(1311, 1312) Second shaft tie rods 1311 and 1312 supporting the second shaft wheels 1311w and 1312w which are branched and branched from the second shaft tie rod mounting bracket 1310 to each end thereof.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스티어링 휠(1110)의 회전시 그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제1축 및 제3축 휠(1241w, 1242w; 1441w, 1442w)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되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의 조향각을 이루며 조향되는 것인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1000).When the steering wheel 1110 rotates, the first and third shaft wheels 1241w, 1242w; 1441w, 1442w are steered in substantially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the transmitted force. Front wheel steering device 1000 for a 6x6 wheeled vehic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축 및 제3축 운동 변환 기구(1230, 1430)는, 각각, The first and third axis motion conversion mechanisms 1230 and 1430 are respectively 상기 제1축 및 제3축 조향 기어 박스(1220, 1420)의 출력축(1221, 142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축 및 제3축 피트먼 암(1231, 미도시); 및 First and third shaft Pitman arms 1231 (not shown) coupled to the output shafts 1221 and 1421 of the first and third shaft steering gear boxes 1220 and 1420 to rotate; And 상기 제1축 및 제3축 피트먼 암(1231, 미도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축 및 제3축 피트먼 암(1231, 미도시)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제1축 및 제3축 드래그 링크(1232, 미도시)A first ax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third axis Pitman arms 1231 (not shown) to linearly move according to rotational movements of the first and third axis Pitman arms 1231 (not shown) And third axis drag link 1232 (not shown) 를 포함하는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1000).A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1000) of a 6x6 wheeled vehicle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축 및 제3축 타이 로드(1241, 1242; 1441, 1442)와 제1축 및 제3축 휠(1241w, 1242w; 1441w, 1442w)의 사이에는 제1축 및 제3축 너클 암(1241n, 1242n; 1441n, 1442n)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축 및 제3축 너클 암(1241n, 1242n; 1441n, 1442n)이 상기 제1축 및 제3축 타이 로드(1241, 1242; 1441, 1442)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축 및 제3축 휠(1241w, 1242w; 1441w, 1442w)을 그 킹핀 중심선에 대해 조향되도록 하는 6x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全車輪) 조향 장치(1000).First and third axis knuckle arm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haft tie rods 1241, 1242; 1441, 1442 and the first and third shaft wheels 1241w, 1242w; 1441w, 1442w. 1241n, 1242n; 1441n, 1442n,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third axis knuckle arms 1241n, 1242n; 1441n, 1442n are the first and third axis tie rods 1241, 1242; 1441, All-wheel steering device 1000 of a 6x6 wheeled vehicle that causes the first and third axle wheels 1241w, 1242w; 1441w, 1442w to steer relative to the kingpin centerline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tion of 1442. ).
KR1020070139959A 2007-12-28 2007-12-28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KR1010431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59A KR101043147B1 (en) 2007-12-28 2007-12-28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59A KR101043147B1 (en) 2007-12-28 2007-12-28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999A KR20090071999A (en) 2009-07-02
KR101043147B1 true KR101043147B1 (en) 2011-06-21

Family

ID=4132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959A KR101043147B1 (en) 2007-12-28 2007-12-28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1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5947B (en) * 2016-06-12 2021-08-27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Multi-shaft synchronous steering system for automobile chassis
CN108528527A (en) * 2017-03-05 2018-09-14 郑庆华 Its steeraxle and rear axle parallelizable connection steering mechanism when being turned to by towed vehicle
DE102017126481A1 (en) * 2017-11-10 2019-05-16 Syn Trac Gmbh Method for steering a vehicle
CN110001774B (en) * 2019-04-02 2024-04-12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Integrated bracket carrier with double steering gea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6589A1 (en) 2002-07-24 2004-01-29 Ulschmid Timothy Gerard Four-wheel steering system for utility vehicle
US20050110262A1 (en) 2003-10-03 2005-05-26 Leblanc James C.Sr. Steer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20060208443A1 (en) 2003-10-03 2006-09-21 Leblanc James C Sr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KR100684663B1 (en) 2006-08-14 2007-02-22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Full trai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6589A1 (en) 2002-07-24 2004-01-29 Ulschmid Timothy Gerard Four-wheel steering system for utility vehicle
US20050110262A1 (en) 2003-10-03 2005-05-26 Leblanc James C.Sr. Steer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20060208443A1 (en) 2003-10-03 2006-09-21 Leblanc James C Sr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KR100684663B1 (en) 2006-08-14 2007-02-22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Full tra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999A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437A (en) Vehicle steering system with independent steering for each wheel
CN105579326A (en) Steering apparatus
KR101043147B1 (en)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6x6 wheels typed vehicle
Singh et al. Study of 4 wheel steering systems to reduce turning radius and increase stability
SE1851476A1 (en) A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arrangement
CA2013570C (en) Four-wheel steerable vehicle having a fore/aft sliding link
CN113895510B (en) Steering gear assembly and steering system
JPS58164478A (en) Steering gear for vehicle
US5013057A (en)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port means and a transport means for effecting the method
US2319880A (en) Steering gear
KR101043148B1 (en) APPARATUS FOR ALL WHEEL STEERING FOR 8x8 WHEELS TYPED VEHICLE
KR20000057976A (en) Steering assembly for means of transport
CN110497957B (en) Steering device
CN103043091B (en) A kind of angle driver and steering control mechanism
Kolekar et al. Review on steering mechanism
Tirumala et al. Analysis of a four-wheeled steering mechanism for automobiles
KR20120048248A (en) Structure of steering gearbox for vehicle
JPS6322769A (en) Multi-spindle steering gear
EP0002333B1 (en) Steering linkage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m
EP3653469A1 (en) Steering device of vehicle
JP2016055804A (en)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riving modes of vehicle
Brabec et al. Stability simulation of a vehicle with wheel active steering
CN220721186U (en) Steering control device and trailer control system
Soni et al. STUDY OF FOUR-WHEEL STEERING SYSTEMS’VIABILITY IN FUTURE AUTOMOBILES
Bevinkatti et al. Four wheel steering system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