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867B1 - Connector for card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2867B1 KR101042867B1 KR1020090039249A KR20090039249A KR101042867B1 KR 101042867 B1 KR101042867 B1 KR 101042867B1 KR 1020090039249 A KR1020090039249 A KR 1020090039249A KR 20090039249 A KR20090039249 A KR 20090039249A KR 101042867 B1 KR101042867 B1 KR 101042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contact terminal
- contact
- connector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connectors capable of contact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memory stick and SD card readers sharing at least one connector contact and the associated signal line, e.g. both using the same signal line for input or output of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소형화한 경우에도, 컨택트 단자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Problem] Even when the size is reduced, the contact terminals are prevented from contacting each other and the thickness is reduced.
[해결 수단] 제 1 카드 (A) 를 장착할 수 있는 제 1 장착부 (7), 제 2 카드 (B) 를 장착할 수 있는 제 2 장착부 (8) 및 제 1 장착부 (7) 와 제 2 장착부 (8) 를 구분하는 칸막이벽 (9) 을 갖는 하우징 (2) 과, 제 1 카드 (A) 의 접촉부 (A1) 와 접촉할 수 있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카드 (B) 의 접촉부 (B2) 와 접촉할 수 있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구비하고, 제 1 컨택트 단자 (14) 및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칸막이벽 (9) 에 대향하여 배치한 카드용 커넥터 (1) 에 있어서, 제 1 카드 (A) 및 제 2 카드 (B) 가 동시에 장착되는 경우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접점부에 형성된 오목부 (143) 의 범위 내에서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olution] A first mounting portion 7 into which the first card A can be mounted, a second mounting portion 8 into which the second card B can be mounted,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7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2) of the housing (2) having partition walls (9) separating the first contact terminals (14) and the second card (B),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s (A1) of the first card (A). A card connector comprising a second contact terminal 15 capable of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B2 and having the first contact terminal 14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15 opposed to the partition wall 9 ( 1), the second contact terminal (within the range of the recessed portion 143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14 when the first card A and the second card B are mounted at the same time) 15) is arranged in a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terminal 14.
카드용 커넥터 Connector for c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 종류의 카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장착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d connector for simultaneously mounting two cards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종래, 2 종류의 카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장착하는 카드용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SD 카드가 착탈되는 SD 카드용 커넥터부와 SIM 카드가 착탈되는 SIM 카드 커넥터부를 상하 일체로 수지로 성형하고, SD 카드용 컨택트 단자 및 SIM 카드용 컨택트 단자의 인출 방향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있다. Conventionally, the card connector which mounts two types of cards simultaneously to cross | intersect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In such a card connector, the SD card connector portion to which the SD card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SIM card connector portion to which the SIM card is detached are molded up and down integrally with resi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D card contact terminal and the SIM card contact terminal are drawn out. Are arrang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그런데, 최근, 이와 같은 카드용 커넥터에 장착되는 SD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는 소형화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기록 등을 실시하는 전자기기도 소형화 및 박형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 탑재되어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는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도, 추가적인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청되고 있다.By the way, in recent years, memory cards, such as an SD card mounted in such a card connector, have become small. On the other hand, electronic devices for recording various data and the like on such a memory card are also downsized and thinned. For this reason, the further miniaturization and thickness reduction are requested | required also in the card connector mounted in such an electronic device and mounting a memory card.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07801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07801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2 종류의 카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장착하는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그 소형화를 진행해 가면, 각각의 카드용 컨택트 단자가 상하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고, 당해 부분에 있어서 컨택트 단자끼리 접촉할 우려가 있어 그 박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rd connector which simultaneously mounts two types of cards as described above in the intersecting direction, if the miniaturization thereof proceeds, a part where each card contact terminal overlaps vertically occurs, and the contact is made in the par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terminals could contact each other, and the thickness was limi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화한 경우에도, 컨택트 단자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d connector which can be reduced in thickness by preventing contact between contact terminals even in the case of miniaturization.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는, 제 1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제 1 장착부, 제 2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제 2 장착부 및 상기 제 1 장착부와 상기 제 2 장착부를 구분하는 칸막이벽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제 1 카드의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제 1 컨택트 단자와, 상기 제 2 카드의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제 2 컨택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 및 상기 제 2 컨택트 단자를 상기 칸막이벽에 대향하여 배치한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카드 및 제 2 카드가 동시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의 접점부에 형성된 오목부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 2 컨택트 단자를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first card, a second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second card, and a partition wall for separating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a first contact terminal capable of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ard, and a second contact terminal capable of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ard, wherein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nector for a card disposed opposite to a partition wall, wherein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within the range of a recess formed in a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when the first card and the second card are mounted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by arrange | positioning in the position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a contact terminal.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제 2 컨택트 단자는, 제 1 컨택트 단자의 접 점부에 형성된 오목부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컨택트 단자가 서로 접근한 경우에도,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이들을 대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컨택트 단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카드용 커넥터를 소형화하여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컨택트 단자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컨택트 단자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aid card connector, since a 2nd contact terminal is arrange |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contact part of a 1st contact terminal, even if a 1st contact terminal and a 2nd contact terminal approach each other, Since these parts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even when the connector for the card is miniaturized and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overlap, the contact terminals can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2 카드의 접촉부의 설치 범위 내에서 상기 제 2 컨택트 단자를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2 카드의 접촉부의 설치 범위 내에서 제 2 컨택트 단자의 위치가 조정되기 때문에, 제 2 컨택트 단자에 있어서의 제 2 카드의 접촉부와의 접촉을 확보하면서, 제 1 컨택트 단자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rd connecto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t a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terminal within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ard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adjusted within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ard,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secured while ensuring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ard at the second contact terminal. The contact can be prevented.
또,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는, 상기 칸막이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칸막이벽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키는 경우보다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컨택트 단자를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본 카드용 커넥터를 박형화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rd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directly face each other in an opening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can be arranged closer to each other than the case where the partition wall is opposed to each other, whereby the connector for the card can be made thinner.
또한,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장착부를 덮는 제 1 커버 부재와, 상기 제 2 장착부를 덮는 제 2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카드를 삽입하는 제 1 카드 삽입구와, 상기 제 2 카드를 삽입하는 제 2 카드 삽입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제 1 측면에는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 2 측면에는 상기 제 2 카드 삽입구 및 상기 제 2 컨택트 단자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 3 측면에는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 4 측면에는 상기 제 1 커버 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1 카드 삽입구 및 제 2 카드 삽입구, 그리고,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우징의 제 4 측면에 접속 부재를 형성하여 제 1 커버 부재와 제 2 커버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점에서, 본 카드용 커넥터의 박형화를 저해하지 않고, 외래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card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ver member covering the first mounting portion, a second cover member cover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card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first card; And a second card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second card, wherein the first card insertion hole is formed on a first sid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card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re formed on a second side of the housing.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formed on a third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to a fourth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is 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ard insertion port, and the fourth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s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re not formed are formed. Since the two cover membe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resistance to foreign noise can be ensured without hindering the thinning of the connector for the card.
또한,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는,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와 맞닿아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 경로 상으로의 일정 위치 이상의 돌출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와 맞닿아 상기 제 2 장착부측으로의 돌출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 사이에 끼여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제 1 카드와 상이한 카드가 제 1 장착부에 삽입되고, 제 1 컨택트 단자가, 제 1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보다 크게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 2 장착부로 돌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컨택트 단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rd connector, the first contact terminal includes a first restricting portion that contacts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restricts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position or more onto the insertion path of the first card; It is preferable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2nd restriction | restoration parts which contact | connect a contact terminal and restrict | limit the protrusion to the said 2nd attachment part side. In this case, even if a card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first card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terminal moves larger than when the first card is inserted, it can be restricted from protruding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Therefore,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can be prevented.
특히,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에는, 상기 제 1 규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장착부와 상기 제 2 장착부가 연 통되고,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측의 상기 칸막이벽이고, 상기 제 1 규제부는 상기 칸막이벽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1 규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칸막이벽의 제조시에 제 1 규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rd connector, an opening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so as to face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attaching portion and the second attaching por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said partition wall of both sides, and the said 1st control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id partition wall.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artition wall.
또,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단자는,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개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칸막이벽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규제부에 의해 확실하게 제 1 컨택트 단자의 제 2 장착부측으로의 돌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rd connector, the first contact terminal preferably has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projec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from the side of the second attachment portion by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formed of partition wal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컨택트 단자는 제 1 컨택트 단자의 접점부에 형성된 오목부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컨택트 단자가 서로 접근한 경우에도,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이들을 대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콘택트 단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카드용 커넥터를 소형화하여 제 1 컨택트 단자와 제 2 컨택트 단자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컨택트 단자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within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even when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pproach each other,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s. Since it can replace, the contact of a 1st contact terminal and a 2nd contact terminal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even when the connector for the card is miniaturized and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overlap, the contact terminals can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드용 커넥터 (이하, 「커넥터」라고 한다) 는, 2 종류의 카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장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 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휴대 전화기 등에 탑재되어 마이크로 SD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 그리고, SIM 카드 등의 계약자 정보를 기록한 IC 카드를 장착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에 장착되는 카드의 종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The card connec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at the same time in a direction crossing two kinds of cards. For example,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and mounts a memory card such as a micro SD card and an IC card that records contractor information such as a SIM card. In addition, the kind of card attached to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change suitably.
도 1 및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와 커넥터 (1) 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카드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 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카드가 장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적당히 도 1 에 나타내는 지면 상방측을 「커넥터 (1) 의 전방측」또는 간단히「전방측」이라고 부르고, 동 도면에 나타내는 지면 하방측을 「커넥터 (1) 의 후방측」또는 간단히 「후방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지면 우방측을 「커넥터 (1) 의 우방측」또는 간단히「우방측」이라고 부르고, 동 도면에 나타내는 지면 좌방측을 「커넥터 (1) 의 좌방측」또는 간단히 「좌방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제 1 카드 (A) 및 제 2 카드 (B) 가 장착되는 하우징 (2) 과, 하우징 (2) 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부재 (3) 와, 하우징 (2) 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 2 커버 부재 (4)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제 1 커버 부재 (3) 및 제 2 커버 부재 (4) 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1) 에는, 후방측으로 개구한 제 1 카드 삽입구 (5) 가 형성되는 한편, 좌방측으로 개구한 제 2 카드 삽입구 (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카드 삽입구 (5) 는, 커넥터 (1) 의 후면에 있어서의 상방측 부분에 형성되는 한편, 제 2 카드 삽입구 (6) 는, 커넥터 (1) 의 좌방측 측면에 있어서의 하방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2) 에 있어서의 제 1 카드 삽입구 (5) 의 전방측 내부에는, 제 1 카드 (A) 가 장착되는 제 1 장착부 (7) 가 형성되고, 제 2 카드 삽입구 (6) 의 우방측 내부에는, 제 2 카드 (B) 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 (8) 가 형성된다. 제 1 카드 (A)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삽입구 (5) 로부터 제 1 장착부 (7) 에 대해 커넥터 (1) 의 전방하여 장착된다. 한편, 제 2 카드 (B)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카드 삽입구 (6) 로부터 제 2 장착부 (8) 에 대해 커넥터 (1) 의 우방측을 향하여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1) 의 내부에서는 제 1 카드 (A) 와 제 2 카드 (B) 가 상하로 겹쳐 배치되어 있다.As described later,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first
이 경우에 있어서, 제 1 카드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로서의 접촉 패드 (A1) 를 하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커넥터 (1) 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제 1 장착부 (7) 의 하방 영역에 형성된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접촉 패드 (A1) 에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카드 (B)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로서의 접촉 패드 (B1) 를 상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커넥터 (1) 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제 2 장착부 (8) 의 상방 영역에 형성된 제 2 컨택트 단자 (15) 가 접촉 패드 (B1) 에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1st card A is attached to the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의 하우징 (2) 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또한, 도 3 ∼ 도 5 에 있어서는, 모두 제 1 카드 (A) 및 제 2 카드 (B) 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초기 상태) 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제 1 커버 부재 (3) 및 제 2 커버 부재 (4) 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재료에 펀칭 가공을 실시함과 함께,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버 부재 (3) 는,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의 단면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걸어맞춤부 (31), 그리고, 측방측의 단면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걸어맞춤부 (32) 를 구비하고, 이들 걸어맞춤부 (31), 걸어맞춤부 (32) 에서 후술하는 하우징 (2) 의 걸어맞춤편 (101, 111, 121 및 131) 을 수용함으로써 하우징 (2) 에 고정된다. 한편, 제 2 커버 부재 (4) 는,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 단면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걸어맞춤부 (41), 그리고, 우방측의 단면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걸어맞춤부 (42) 를 구비하고, 이들 걸어맞춤부 (41), 걸어맞춤부 (42) 에서 후술하는 하우징 (2) 의 걸어맞춤편 (102, 112 및 122) 를 수용함으로써 하우징 (2) 에 고정된다. 이들 제 1 커버 부재 (3) 및 제 2 커버 부재 (4) 는, 각각 후술하는 제 1 장착부 (7) 및 제 2 장착부 (8) 를 덮도록 하우징 (2) 에 고정된다.The
제 1 커버 부재 (3) 의 상면에 있어서의 우방측의 소정 위치에는, 후술하는 걸어맞춤핀 (18) 을 하방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 (33) 과, 후술하는 슬라이더 (16) 가 소정 위치까지 이동한 경우에 그 상면에 접촉하여 하중을 부여하는 탄성 지지편 (3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커버 부재 (3) 의 상면에 있어 서의 좌방측의 소정 위치에는, 하우징 (2) 의 소정 지점에 접촉하여 제 1 커버 부재 (3) 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위치 결정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탄성 지지편 (33) 및 탄성 지지편 (34), 그리고, 위치 결정부 (35) 는, 제 1 커버 부재 (3) 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ight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제 1 커버 부재 (3) 의 우방측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는,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접속 부재 (36)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속 부재 (36) 는, 제 2 커버 부재 (4) 의 우방측의 측면의 소정 위치에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접속 부재 (43)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1 커버 부재 (3) 와 제 2 커버 부재 (4)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제 2 커버 부재 (4) 는, 그라운드 접속되어 있고, 이 제 2 커버 부재 (4) 에 대해 제 1 커버 부재 (3) 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외래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하우징 (2) 은, 합성 수지 재료 등의 절연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하우징 (2) 에는, 그 상면에 제 1 카드 (A) 가 장착되는 제 1 장착부 (7) 가 형성되는 한편, 그 하면 에 제 2 카드 (B) 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착부 (8) 에 대해서는 도 3 에 도시하지 않음). 제 1 장착부 (7) 와 제 2 장착부 (8) 의 사이에는, 이들을 구분하는 칸막이벽 (9)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 (2) 에는, 그 전면을 구성하는 전벽부 (10) 와, 그 후면을 구성하는 후벽부 (11) 와, 그 우방측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벽부 (12) 와, 그 좌방측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벽부 (13)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벽부 (11) 는 제 1 측면을 구성 하고, 좌방측의 측벽부 (13) 는 제 2 측면을 구성하고, 전벽부 (10) 는 제 3 측면을 구성하고, 우방측의 측벽부 (12) 는 제 4 측면을 구성한다.The housing | casing 2 is formed by shape | molding insulation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shape as shown in FIG. The
이들 전벽부 (10) 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서술한 제 1 커버 부재 (3) 에 형성된 걸어맞춤부 (31)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 (101) 과, 제 2 커버 부재 (4) 에 형성된 걸어맞춤부 (41)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 (10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하지 않음, 도 5 참조). 마찬가지로, 후벽부 (11) 의 소정 위치에는, 제 1 커버 부재 (3) 의 걸어맞춤부 (31)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 (111) 과 제 2 커버 부재 (4) 의 걸어맞춤부 (41)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 (112)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 (12) 의 소정 위치에는, 제 1 커버 부재 (3) 의 걸어맞춤부 (32)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 (121) 과, 제 2 커버 부재 (4) 의 걸어맞춤부 (42)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 (122) 이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측벽부 (13) 의 소정 위치에는, 제 1 커버 부재 (3) 의 걸어맞춤부 (32) 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 (131)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하지 않음, 도 5 참조).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se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 (9) 의 전방측 단부 근방에는, 제 1 카드 (A) 용 복수의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커넥터 (1) 의 좌우 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컨택트 단자 (14) 는, 칸막이벽 (9) 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외부 접속부 (141) 는, 커넥터 (1) 의 전벽부 (10) 로부터 전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제 1 컨택트 단자 (14) 는, 성형된 하우징 (2) 에 대해 상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As shown to FIG. 4 and FIG. 5,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side edge part of the
칸막이벽 (9) 의 소정 위치에는, 커넥터 (1) 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의 개구부 (91, 9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 (91, 92) 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카드 (B) 용 복수의 제 2 컨택트 단자 (15)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2 컨택트 단자 (15) 는, 칸막이벽 (9) 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외부 접속부 (151) 는, 커넥터 (1) 의 좌방측의 측벽부 (13) 로부터 좌방측으로 도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제 2 컨택트 단자 (15) 는 하우징 (2) 에 대해 인서트 성형된다.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이들 제 2 컨택트 단자 (15) 중,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91, 92) 에 있어서,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 1 컨택트 단자 (14) 및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구성, 그리고,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shown in FIG. 5, the
하우징 (2) 의 내부에 있어서의 우방측의 측벽부 (12) 의 근방에는, 제 1 카드 (A) 의 삽입 및 배출 동작에 수반하여 커넥터 (1) 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 (16) 와, 이 슬라이더 (16) 를 제 1 카드 (A) 의 배출 방향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스프링 (17) 과 슬라이더 (16) 의 상면에 형성된 캠홈 (161) 과 걸어맞춰지고, 탄성 지지 스프링 (17)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더 (16) 를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는 걸어맞춤핀 (18)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슬라이더 (16) 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그 후방측 부분의 상면에 캠홈 (161) 이 형성됨과 함께, 커넥터 (1) 에 삽입되는 제 1 카드 (A) 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A2) (도 1 참조) 와 걸어맞춰지는 돌출부 (162a) 를 갖는 판 스프링 (162) 이 매설되어 있다. 캠홈 (161)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하트 형상을 갖는 하트형 캠 (161a) 과, 이 하트형 캠 (161a) 의 좌방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 홈 (161b), 우방측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 홈 (161c), 그리고,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 (161b, 161c) 에 연결되어, 걸어맞춤핀 (18) 의 일단을 거는 걸림부를 갖는 오목홈 (161d) 으로 구성된다. 또한, 캠홈 (161) 에는, 걸어맞춤핀 (18) 을 일정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그 내부 바닥면에 소정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걸어맞춤핀 (18) 은, 전방측의 일단이 이와 같이 구성된 캠홈 (161) 에 걸어맞춰지는 한편, 후방측의 일단이 하우징 (2) 의 후벽부 (11) 에 형성된 유지 구멍 (113)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걸어맞춤핀 (18) 의 전방측의 일단은, 커넥터 (1) 에 대한 제 1 카드 (A) 의 삽입 동작에 수반하여 제 1 가이드 홈 (161b), 오목홈 (161d) 및 제 2 가이드 홈 (161c) 을 따라 안내되고, 커넥터 (1) 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오목홈 (161d) 의 걸림부에 걸리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핀 (18) 에는, 상기 서술한 제 1 커버 부재 (3) 의 탄성 지지편 (33) 에 의한 탄성 지지력이 가해지고 있어서, 그 탄성 지지력에 의해 캠홈 (161) 측에 꽉 눌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The
하우징 (2) 의 내부에 있어서의 좌방측의 측벽부 (13) 의 근방에는, 제 1 카드 (A) 의 장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스위치 (19)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검 지 스위치 (19) 는, 제 1 카드 (A) 와 접촉하여 회전 운동하는 레버 (191) 와, 이 레버 (191) 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스프링 (192) 과, 측벽부 (13) 의 전방측 단부 근방에 설치되고, 가동 접점 스프링 (192) 이 이간·접촉되는 고정 접점 (193a, 193b) 으로 구성된다. 레버 (191) 는, 그 후방측 단부에 있어서 하우징 (2) 에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고, 그 일부를 제 1 카드 (A) 의 삽입 경로 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The
커넥터 (1) 에 삽입된 제 1 카드 (A) 가 접촉되면, 레버 (191) 는, 후방측 단부를 회전 운동 지점으로 하여 좌방측으로 회전 운동하여, 가동 접점 스프링 (192) 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고정 접점 (193a) 에 접촉시킨다. 한편, 제 1 카드 (A) 가 뽑히면, 레버 (191) 는, 후방측 단부를 회전 운동 지점으로 하여 우방측으로 회전 운동하여, 가동 접점 스프링 (192) 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고정 접점 (193a) 로부터 이간시킨다. 검지 스위치 (19)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가동 접점 스프링 (192) 과 고정 접점 (193a) 의 접촉·이간 상태에 따라 제 1 카드 (A) 의 장착 상태를 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When the first card A inserted into the
여기에서, 하우징 (2) 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및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구성, 그리고,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의 하우징 (2) 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및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8 및 도 9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의 하우징 (2) 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및 제 2 컨 택트 단자 (15) 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8 에 있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우방측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9 에 있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하방측으로부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 ∼ 도 9 에 있어서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와 동일하게 하우징 (2) 에 인서트 성형되는 고정 접점 (193a, 193b) 에 대해서도 나타내고 있다.Here, about the structure of the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단자 (14) 는, 커넥터 (1) 의 후방측으로서 약간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 근방에는, 제 1 카드 (A) 의 접촉 패드 (A1) 에 접촉하는 접점부 (142) 가 형성되어 있다. 접점부 (142) 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를 상방측으로 만곡시킴으로써 구성되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면에는 오목부 (14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에는, 광폭부 (144) 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한편, 제 2 컨택트 단자 (15) 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우방측으로서 약간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 근방에는, 제 2 카드 (B) 의 접촉 패드 (B1) 에 접촉하는 접점부 (152) 가 형성되어 있다. 접점부 (152) 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하방측으로 만곡시킴으로써 구성되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에는 오목부 (153) 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와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그 선단부 근방에 있어서 상하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오목부 (143) 의 범위 내의 위치에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배치하여, 제 1 카드 (A) 및 제 2 카드 (B) 가 동시에 장착되었을 때에 이들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In the
도 10 및 도 11 은, 제 1 카드 (A) 및 제 2 카드 (B) 가 장착된 경우의 제 1 컨택트 단자 (14) 및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 은, 제 1 카드 (A) 및 제 2 카드 (B) 가 장착된 경우의 제 1 컨택트 단자 (14) 및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 은, 각각 도 6 및 도 7 에 대응하고, 도 12 및 도 13 은, 도 8 및 도 9 에 대응하는 것이다.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top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커넥터 (1) 에 제 1 카드 (A) 가 장착되면, 제 1 카드 (A) 의 접촉 패드 (A1) 와의 접촉에 의해 접점부 (142) 가 눌려지고, 제 1 컨택트 단자 (14) 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하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커넥터 (1) 에 제 2 카드 (B) 가 장착되면, 제 2 카드 (B) 의 접촉 패드 (B1) 와의 접촉에 의해 접점부 (152) 가 밀어올려져, 제 2 컨택트 단자 (15) 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상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1st card A is attached to the
이 경우에 있어서,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선단부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14) 의 오목부 (143) 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하방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제 2 컨 택트 단자 (15) 가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양자가 서로 접근한 경우에도, 오목부 (143) 를 사이에 두고 이들을 대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가 접촉되는 일은 없다.In this case, the tip portion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제 1 카드 (A) 및 제 2 카드 (B) 가 동시에 장착되는 경우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접점부 (142) 에 형성된 오목부 (143) 의 범위 내에서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가 서로 접근한 경우에도, 오목부 (143) 를 사이에 두고 이들을 대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커넥터 (1) 를 소형화하여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컨택트 단자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칸막이벽 (9) 에 형성한 개구부 (91, 92) 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대향시키고 있다. 이로써, 칸막이벽 (9) 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키는 경우보다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를 접근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본 커넥터 (1) 를 박형화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위치를,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오목부 (143) 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는데, 이 때, 제 2 컨택트 단자 (15) 와 제 2 카드 (B) 의 접촉 패드 (B1) 의 접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제 2 카드 (B) 에 있어서의 해당하는 접촉 패드 (B1) (커넥터 (1) 에 대한 장착시에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접촉 패드 (B1)) 의 범위 내에서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In the
도 1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의 하우징 (2) 에 설치된 제 2 컨택트 단자 (15) 와, 제 2 카드 (B) 의 접촉 패드 (B1) 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위치를, 제 2 카드 (B) 가 해당하는 접촉 패드 (B1) 의 중앙보다 약간 후방측의 위치에 접촉하도록 조정하고 있다. 이로써, 제 2 컨택트 단자 (15) 에 있어서의 제 2 카드 (B) 의 접촉 패드 (B1) 와의 접촉을 확보하면서,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IG. 14: is a top view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2 컨택트 단자 (15) 뿐만 아니라, 전방측으로부터 2 번째의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위치도, 해당하는 제 2 카드 (B) 의 접촉 패드 (B1) 의 중앙보다 약간 후방측의 위치에 접촉하도록 조정하고 있다. 이것은,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와 이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후방측에 배치되는 2 개의 제 2 컨택트 단자 (15) 에 대해서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접촉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이미 알려진 컨택트 단자와 동일하게, 해당하는 제 2 카드 (B) 의 접촉 패드 (B1) 의 중앙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Moreover, in the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미리 정해진 제 1 카드 (A) 가 장착된 경우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 1 카드 (A) 와 상이한 카드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에도,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접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상이한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칸막이벽 (9) 을 초과하여 제 2 장착부 (8)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규제한다.By the way, in the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를 커넥터 (1) 의 전방측 단부 근방에서 고정시키고, 그 후방측의 선단부를 자유단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방측의 선단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카드 (A) 의 삽입 경로 상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돌출되어, 제 1 카드 (A) 의 삽입에 수반하여 선단부가 좌굴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제 1 카드 (A) 의 삽입 경로 상에 일정 위치를 초과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규제한다. 또한, 제 1 카드 (A) 의 삽입 경로 상의 일정 위치는, 예를 들어,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가 제 1 장착부 (7) 에 대한 카드의 삽입에 수반하여 좌굴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위치가 고려된다.Moreover, in the
이하,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제 2 장착부 (8) 측으로의 돌출, 그리고,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제 1 카드 (A) 의 삽입 경로 상으로의 일정 위치 이상의 돌출을 규제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 15 ∼ 도 17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의 하우징 (2) 을 전방측 (제 1 컨택트 단자 (14) 측) 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 은, 도 15 에 나타내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6 에 있어서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를 생략하였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which restricts the protrusion of the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 (9) 에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 근방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가 제 1 카드 (A) 의 삽입 경로 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 (93) 와,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가 제 2 장착부 (8)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 (9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규제부 (93) 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일정 위치 이상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고, 제 2 규제부 (94) 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일정 위치 이상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5, in the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부 (93) 는, 칸막이벽 (9) 의 상면 부 근방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부 (93) 는, 제 1 카드 (A) 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에 형성된 광폭부 (144) 의 상면에 맞닿아,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제 1 카드 (A) 의 삽입 경로 상으로의 일정 위치 이상의 돌출을 규제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6, the
칸막이벽 (9) 에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부 (93) 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 (95)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장착부 (7) 와 제 2 장착 부 (8) 는, 이 개구부 (95) 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제 2 규제부 (94) 는, 이 개구부 (95) 의 측방측 칸막이벽 (9) 으로 구성된다.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선단부에 형성된 광폭부 (144)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95) 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규제부 (94) 는, 예정되어 있는 제 1 카드 (A) 와 상이한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도, 광폭부 (144) 의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방측 하면의 일부) 과 맞닿아,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제 2 장착부 (8) 측으로의 돌출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개구부 (95) 는, 제 1 규제부 (93) 로서의 돌출편을 하우징 (2) 의 성형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규제부 (93) 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 (95) 를 형성함으로써, 칸막이벽 (9) 의 제조시에 제 1 규제부 (93) 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를, 제 1 규제부 (93) 와 제 2 규제부 (94)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제 1 카드 (A) 와 상이한 카드가 제 1 장착부 (7) 에 삽입되고,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제 1 카드 (A) 가 삽입되는 경우보다 크게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 2 장착부 (8) 로 돌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us, in the
특히, 이 경우에 있어서, 개구부 (95) 의 양측에 배치되는 칸막이벽 (9) 에서 제 2 규제부 (94) 를 구성하고, 이 개구부 (95) 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광폭부 (144) 를 맞닿게 하고 있다. 이로써, 확실하게 제 1 컨택트 단자 (14) 의 제 2 장착부 (8) 측으로의 돌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It can variously change and implement.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ize, shape, and the lik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hibited. In addition, unless it deviates from the range of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t can change suitably and can implement.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장착부 (7) 에 제 1 카드 (A) 와 상이한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 제 1 컨택트 단자 (14) 가 제 2 장착부 (8) 로 돌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구성에 더하여 제 2 컨택트 단자 (15) 가, 제 1 장착부 (7) 가 돌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구성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2 카드 (B) 와 상이한 카드가 제 2 장착부 (8) 에 삽입된 경우에도,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제 1 장착부 (7) 측으로의 돌출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제 1 컨택트 단자 (14) 와 제 2 컨택트 단자 (15) 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rst and second cards attached to the connector.
도 2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rst and second cards attached to the connector.
도 3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5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의 상면도이다.5 is a top view of a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6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7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Fig. 7 is a top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9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10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11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Fig. 11 is a top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도 12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 1st contact terminal and a 2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도 13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컨택트 단자 및 제 2 컨택트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 1st contact terminal and a 2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도 14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2 컨택트 단자와 제 2 카드의 접촉 패드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상면도이다.It is a top view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 casing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and the contact pad of a 2nd card.
도 15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을 전방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from the front side.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제 1 컨택트 단자의 선단부 근방의 확대도이다.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a tip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5.
도 17 은 도 15 에 나타내는 제 1 컨택트 단자의 선단부 근방의 확대도이다.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5.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A 제 1 카드 A1 접촉 패드 A 1st card A1 contact pad
B 제 2 카드 B1 접촉 패드 B 2nd card B1 contact pad
1 카드용 커넥터 (커넥터) 2 하우징 1 Connector for
3 제 1 커버 부재 31 걸어맞춤부 3 First cover
32 걸어맞춤부 33 탄성 지지편32
34 탄성 지지편 36 접속 부재 34
4 제 2 커버 부재 43 접속 부재 4
5 제 1 카드 삽입구 6 제 2 카드 삽입구 5
7 제 1 장착부 8 제 2 장착부 7 First mounting
9 칸막이벽 91, 92 개구부 9
93 제 1 규제부 94 제 2 규제부 93
95 개구부 10 전벽부 95
11 후벽부 12, 13 측벽부 11
14 제 1 컨택트 단자 141 외부 접속부 14
142 접점부 143 오목부 142
15 제 2 컨택트 단자 151 외부 접속부 15
152 접점부 153 오목부 152
16 슬라이더 161 캠홈 16
161a 하트형 캠 161b 제 1 가이드 홈
161c 제 2 가이드 홈 161d 오목홈 161c
17 탄성 지지 스프링 18 걸어맞춤핀 17
19 검지 스위치 191 레버 19
192 가동 접점 193a, 193b 고정 접점192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122973A JP4536126B2 (en) | 2008-05-09 | 2008-05-09 | Card connector |
JPJP-P-2008-122973 | 2008-05-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7627A KR20090117627A (en) | 2009-11-12 |
KR101042867B1 true KR101042867B1 (en) | 2011-06-20 |
Family
ID=4143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9249A KR101042867B1 (en) | 2008-05-09 | 2009-05-06 | Connector for car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536126B2 (en) |
KR (1) | KR1010428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44049B1 (en) * | 2011-03-03 | 2012-10-1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Connector device |
CN103367998B (en) * | 2012-04-03 | 2015-10-21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Device for clamping chip card and apply its electronic install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542B1 (en) | 2005-12-16 | 2007-03-21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Terminal's manufacturing method of 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9861A (en) * | 1996-12-25 | 1998-07-21 | Texas Instr Japan Ltd |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01307801A (en) * | 2000-04-17 | 2001-11-02 | Kuurii Components Kk | Connector for memory card |
JP4743396B2 (en) * | 2004-07-29 | 2011-08-10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Power module, motor control unit, electric transpor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wer module |
-
2008
- 2008-05-09 JP JP2008122973A patent/JP453612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5-06 KR KR1020090039249A patent/KR10104286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542B1 (en) | 2005-12-16 | 2007-03-21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Terminal's manufacturing method of 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7627A (en) | 2009-11-12 |
JP2009272197A (en) | 2009-11-19 |
JP4536126B2 (en) | 2010-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17724B2 (en) | Connector card housing with a slider restraining protrusion | |
JP3800591B2 (en) | Card connector | |
EP1764723B1 (en) | Memory card socket structure | |
TWI509900B (en) | Card connector | |
KR101015422B1 (en) | Memory car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160936B2 (en) | Card connector | |
US7744421B2 (en) | Car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
US11043764B2 (en) | Flat-conductor connector | |
JP2001351739A (en) | Female terminal bracket | |
JP2011034832A (en) | Card connector | |
US7372136B2 (en) |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 |
KR101042867B1 (en) | Connector for card | |
US10014630B1 (en) | Card connector | |
JP2011124001A (en) | Card connector | |
JP2004171911A (en) | Connector | |
JP5497717B2 (en) | Card connector | |
KR200463254Y1 (en) | Hood Switch for Vehicle | |
JP5329792B2 (en) | Card connector | |
JP5556535B2 (en) | Electronic equipment | |
US9594931B2 (en) | Card connector | |
US20070131777A1 (en) |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 |
JP5615601B2 (en) | Connector for recording media | |
US20090053918A1 (en) |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an insulative housing integrally molded with a shell | |
CN112740486B (en) | Connector and substrate unit | |
JP5062428B2 (en) | Push-type memory car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