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561B1 - Wearing device for flying - Google Patents

Wearing device for fly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561B1
KR101041561B1 KR1020090128155A KR20090128155A KR101041561B1 KR 101041561 B1 KR101041561 B1 KR 101041561B1 KR 1020090128155 A KR1020090128155 A KR 1020090128155A KR 20090128155 A KR20090128155 A KR 20090128155A KR 101041561 B1 KR101041561 B1 KR 10104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hole
waist
t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원규
Original Assignee
짚라인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짚라인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짚라인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09012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5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5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wearing device for flying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afely fly between different two points and prevent sudden accidents. CONSTITUTION: A wearing device for flying comprises a lumbar supporter, a suspender, a hip supporter, and a thigh supporter. The length of the lumbar supporter is controllable. The suspender is connected with the lumbar supporter and has an adjustable length. The hip suppor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lumbar supporter. The thigh supporter is composed of a pair of thigh supporting strings connected to the hip supporter and the lumbar supporter and has an adjustable length. The lumbar supporter and the thigh suppor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ain connecting ring(52). The length of at least one of the lumbar supporter, the suspender and the thigh supporter is adjusted with a fixing clip(12).

Description

비행용 착용복{Wearing device for flying}Wearing device for flying {Wearing device for flying}

본 발명은 비행용 착용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에 구비된 이동장치에 의하여 서로 다른 두 지점 사이를 비행하는 이용자가 착용하는 레저용 착용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ying wear cloth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isure wear clothes worn by a user flying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by a mobile device provided in the wire.

암벽등반이나 등산용과 같은 산악용 용품으로서 하네스는 신체의 여러 부분을 둘러싸는 벨트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형상으로서, 산악인의 안전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하네스는 암벽등반시 암벽에 걸쳐진 줄과 하네스를 연결함으로써, 산악인의 미끄러짐 등에 의한 낙하사고를 방지한다.As a mountain product such as rock climbing or mountain climbing, the harness is a complex configuration of belts surrounding various parts of the body, and serves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climber. For example, the harness prevents a fall accident due to slipping of a climber by connecting the harness and the harness over the rock wall at the time of the rock climbing.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지점인 두 개의 위치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구비된 레저용 시설물을 이용함에 있어, 비행하려고 하는 이용자가 착용하는 레저용 착용복으로서 산악용 하네스와 다른 구성을 갖는다. 만약, 산악용 하네스를 레저용 시설물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비행함에 사용한다면, 이용자의 체중을 모두 지지해야하는 점, 암벽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원거리를 이동해야하는 점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mountain harness as a leisure wear clothes worn by the user who is going to fly in using the leisure facilities equipped with a wire connecting two positions, which are different points. If mountain harnesses are used to fly wires using recreational facilities, the safety of the user should be ensured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at the user must support all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must be moved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rock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또한, 와이어를 타고 레저 시설물을 이용할 때, 레저용 착용복이 이용자의 체중을 모두 지지해야하므로 이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쓸림이 발생할 수 있어 착용감이 저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leisure facilities on the wire, since the leisure wear should support all of the user's weigh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wear may be impaired since the wear may occur in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sk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로부터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에 구비된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타고 비행하는 이용자를 안전하게 이동시면서도 착용감이 좋은 비행용 착용복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from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ight wear suit with good comfort while safely moving a user flying on a wire using a mobile device provided in the wi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리 지지대와, 일단부는 서로 교차되어 허리 지지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허리 지지대와 연결된 한쌍의 어깨 지지끈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멜빵과, 허리 지지대의 하부와 연결되어 이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지지대와, 엉덩이 지지대 및 허리 지지대와 연결된 한쌍의 허벅지 지지끈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벅지 지지대를 포함하고, 허리 지지대와 허벅지 지지대는 주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비행용 착용복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waist wrap, adjustable waist suppo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 is crossed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a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waist support The adjustable thigh support consists of a length adjustable suspenders, a hip suppor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ist support to support the user's hips, and a pair of thigh support straps connected to the hip support and the waist support. And the waist support and thigh support are achievable by a flying wear garment connected by a main lin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한쌍의 어깨 지지끈에는 이동장치와 멜빵을 연결하기 위한 보조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may be formed with an auxiliary link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and suspend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허리지지대와 멜빵 및 허벅지 지지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한쪽으로 돌출된 끈을 잡아당기면 잡아당긴 만큼 길이가 줄어들어 고정되는 고정클립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waist support and suspenders and thigh support, the length is reduced by pulling the string protruding to one side to reduce the length by the fixing clip is fixed to be fixed Can be.

이 경우, 고정클립은 끈이 관통할 수 있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제1클립부 및 제1관통공 크기의 프레임 형상으로 제1관통공을 통과한 끈이 통과 할 수 있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클립부를 포함하고, 이 때 끈은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통과한 후, 제2클립부의 일단을 감싼 후 제1관통공으로 다시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clip is the first clip portion of the frame shape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tring can penetrate, and the second passage through which the string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in the frame shape of the first through hole size can pass. The ball includes a second clip portion, wherein the strap may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n may be inserted back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fter wrapping one end of the second clip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한쌍의 어깨 지지끈의 교차 지점에는 이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such as supporting the user's back.

또한, 등 지지판에는 이동장치와 비행용 착용복을 연결하기 위한 배면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 support plate may be formed with a back connecting ring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flight wea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는 안전하게 서로 다른 두개의 위치를 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행용 착용복의 구조 및 패드에 의하여, 체중을 지지하는 허리 지지대, 멜빵, 허벅지 지지대 등에 집중되는 힘이 분산되므로 이용자는 보다 안락하게 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afely fly two different locations. In this case, by the structure and the pad of the flight wear clothes, the force concentrated on the waist support, suspenders, thigh support, etc. to support the weight is dispersed,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flying more comfortably.

또한, 주선과 보조선을 연결할 수 있는 주 연결고리와 보조 연결고리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accidents by providing both the main connection ring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ring that can connect the main line and the auxiliary lin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 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을 이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전면도이고, 도 3은 후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은 크게 허리 지지대, 어깨를 지지하기 위한 멜빵, 엉덩이 지지대, 허벅지 지지대 등을 포함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flight wear s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ight wear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show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a flight wear s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Figure 3 is a rear view to be. Flight wear cloth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waist support, suspenders for supporting the shoulder, hip support, thigh support and the like.

허리 지지대는 이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허리 지지끈(11)과 고정클립(12)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클립(12)은 이용자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행용 착용복의 전면, 예컨대 복부 쪽에 구비될 수 있다. 허리 지지끈(11)에는 이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고 피부의 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드(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waist support is a shape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user, and the waist support strap 11 and the fixing clip 12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while wearing the flight wear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ing clip 1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light wear, for example, the abdomen to facilitate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user. The waist support strap 11 may further include a pad 13 to disperse the force applied to the user's waist and to prevent skin rubbing.

멜빵은 와이어를 타고 비행하는 이용자의 어깨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쌍의 어깨 지지끈(21)으로 구성된다. 각 어깨 지지끈(21)의 양단부는 허리 지지 대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어깨 지지끈(21)의 일단부는 서로 교차되어 허리 지지대와 연결되고, 한쌍의 어깨 지지끈(21)의 타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허리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어깨 지지끈(21)이 교차되는 지점은 이용자의 배면이고, 한쌍의 어깨 지지끈(21)이 서로 평행하게 나란한 지점은 이용자의 복부면이 될 수 있다. 한쌍의 어깨 지지끈(21)에는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클립(22)이 구비되어 있다.Suspenders are for supporting the shoulder of the user flying on a wire,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21. Both ends of each shoulder support strap 21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waist support. One end of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21 crosses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21 is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point where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21 intersect is the back of the user, and the point where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21 are parallel to each other parallel to the user's abdomen.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21 is provided with a fixed clip 22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in a state wearing the flight wear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어깨 지지끈(21)의 교차 지점에는 등 지지판(60)이 구비될 수 있다. 등 지지판(60)에는 패드(23)가 구비되어, 이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23)는 어깨 지지끈(21)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이용자의 어깨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back support plate 60 may be provided at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shoulder support strap 21. The back support plate 60 is provided with a pad 23 to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and to prevent bleeding. In addition, the pad 23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houlder support strap 21 can distribute the force concentrated on the user's shoulder.

엉덩이 지지대(30)는 비행용 착용복의 후면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이용자에게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패드가 삽입될 수 있다. 엉덩이 지지대(30)의 일단은 허리 지지대와 연결되고, 타단은 이하에서 후술할 허벅지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다.Hip support 30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flight wear clothes to support the hips of the user, the pad may be inserted to give a cushion to the user. One end of the hip support 30 is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high suppo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허벅지 지지대는 이용자의 허벅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허벅지 지지끈(41)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허벅지 지지끈(41)은 허벅지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클립(42)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다. 허벅지 지지끈(41)에는 이용자의 허벅지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고 피부의 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드(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허벅지 지지끈(41)에 구비되는 패드(43)의 너비도 허벅지 지지끈(41)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허벅지 지지끈(41)과 접촉하는 부분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thigh support is for supporting the thigh of the user,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thigh support straps 41. Each thigh support strap 41 has a shape surrounding the thigh, and the fixing clip 42 is provided at the front side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while wearing the flight wear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gh support strap 41 may further include a pad 43 to disperse the force applied to the thigh of the user and to prevent the skin from being washed. The width of the pad 43 provided on the thigh support strap 41 may als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thigh support strap 41 to disperse the force concentrated on the part contacting the thigh support strap 41.

허리 지지대와 허벅지 지지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연결고리(52)로 연결되어 있다. 주 연결고리(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선(430)이 연결되어 있다. 주선(430)은 이용자(400)와 와이어(410)의 이동장치(4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선(430)의 일단은 이용자(400)가 착용한 비행용 착용복의 주 연결고리(52)와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장치(420)와 연결된다.The waist support and the thigh support are connected to the main link 52, as shown in Figs. The main connecting ring 52 is annular as shown in FIG. 2, and the main line 430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4. The main line 430 is for connecting the user 400 and the moving device 420 of the wire 410, one end of the main line 430 is the main connection ring 52 of the flight wear clothes worn by the user 400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device 420.

한쌍의 어깨 지지끈(21)에는 보조 연결고리(54)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연결고리(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선(44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선(440)은 이용자(400)와 와이어(410)의 이동장치(420)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보조선(440)의 일단은 비행용 착용복의 보조 연결고리(54)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이동장치(420)와 연결된다.A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21 are formed with an auxiliary linkage 54. The auxiliary connecting ring 54 is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line 440,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line 440 i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user 400 and the moving device 420 of the wire 410, one end of the auxiliary line 44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ring 54 of the flight wear clothes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device 420.

주선(430)과 보조선(440)은 모두 이용자(400)와 와이어(410)의 이동장치(4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인 역할이 유사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주 연결고리(52)와 보조 연결고리(54) 중에서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주선(430)과 보조선(440) 중에서 어느 하나가 헐겁거나 고정이 잘 안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선(430)과 보조선(440)을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주 연결고리(52)와 보조 연결고리(54)가 모두 형성됨이 좋다.The main line 430 and the auxiliary line 440 are both for connecting the user 400 and the mobile device 420 of the wire 410, and have similar basic roles, and thus, the main connection ring 52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corresponding thereto. Only one of the rings 54 may be provided. However, in order to prevent inadvertent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any one of the main line 430 and the auxiliary line 440 is loose or not fixed, the main line 430 and the auxiliary line 4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primary link 52 and the secondary link 54 are formed.

등 지지판(60)에는 배면 연결고리(62)와 배면 보조 연결고리(64)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 연결고리(62)는 앞서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주 연결고리(52)의 변형예이고 배면 보조 연결고리(64)는 보조 연결고리(54)의 변형예이다. 배면 연결고리(62)에 주선(430)을 연결하고 배면 보조 연결고리(64)에 보조선(440)을 연결하면, 이용자는 배면이 하늘을 향하고 복부면이 땅을 향하는 자세로 비행할 수 있다. The back support plate 60 is formed with a back connecting ring 62 and a back auxiliary connecting ring 64. The rear link ring 62 is a modification of the main link ring 52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rear auxiliary link ring 64 is a modification of the auxiliary link ring 54. When the main line 430 is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ng ring 62 and the auxiliary line 440 is connected to the rear auxiliary connecting ring 64, the user may fly in a posture with the back facing the sky and the abdomen facing the ground.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지지대, 엉덩이 지지대와 허벅지 지지대는 연결용 끈(7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허리 지지대로부터 허벅지 지지대까지의 거리는 이용자의 체형에 따라 서로 다르므로, 연결용 끈(71)에도 길이조절을 위한 고정클립(72)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waist support, hip support and thigh sup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trap (71). Since the distance from the waist support to the thigh suppor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s body shape, the connecting clip 71 may also be provided with a fixing clip 72 for adjusting the length.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은 와이어(410)에 구비된 이동장치(420)에 의하여 서로 다른 두 지점 사이를 비행하는 이용자(400)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비행용 착용복의 재질은 이용자의 몸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일실시예로서, 비행용 착용복은 웨빙 또는 일정 강도 이상의 섬유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Flight wear cloth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worn by the user 400 flying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by the mobile device 420 provided in the wire 410, the material of the flying wear clothes is the weight of the user It should have sufficient strength to support it. In one embodiment, the flying wear suit may be made of webbing or a fiber material of a certain strength or more.

본 발명의 허리 지지대에는 이용자(400)의 소지품이나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의 보관시 기타 부속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wais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cket 80 that can store other belongings when storing the belongings of the user 400 or the flying wear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허리 지지끈(11), 어깨 지지끈(21), 허벅지 지지끈(41), 연결용 끈(71) 등은 고정클립(12, 22, 42, 72)이 구비되어 각각의 끈을 몸 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고정클립을 설명한다. 도 5는 고정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고정클립과 각각의 끈이 연결되기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aist support strap (11), shoulder support strap (21), thigh support strap (41), connection straps 71 and the like are provided with fixing clips (12, 22, 42, 72), respectively The strap can be configured to stick to the bod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ixed clip will be describ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clip, Figures 6a and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fixing clip and each string is connected.

고정클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립부(552)와 제2클립부(554)로 구성된다. 제1클립부(552)는 중심부분이 뚫려 제1관통공(552a)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이고, 제2클립부(554)도 중심부분이 뚫려 제2관통공(554a)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제1관통공(552a)과 제2관통공(554a)으로 길이조절을 위한 끈(600b)(이하, '길이조절용 끈'이라 함)이 통과한다.As shown in FIG. 5, the fixed clip includes a first clip portion 552 and a second clip portion 554. The first clip portion 552 may be a frame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drilled to form a first through hole 552a, and the second clip portion 554 may be a frame shape in which the second clip portion 554 is formed to have a second through hole 554a formed therein. have. A string 600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ngth adjusting string') for adjusting the length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552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54a.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용 끈(600b)은 제1관통공(552a)을 통과한 후, 제2관통공(554a)을 통과한다. 제2관통공(554a)을 통과한 길이조절용 끈(600b)은 제2클립부(554)의 일단을 바깥쪽으로 감싼 후 다시 제1관통공(552a)을 통과한다. 길이조절용 끈(600b)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과 연결되면, 이용자는 길이조절용 끈(600b)을 잡아당기기만 하더라도, 잡아당긴 길이만큼 길이조절용 끈(600b)의 길이가 줄어들어 그대로 고정된다.6A and 6B, the length adjusting string 600b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552a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554a. The length adjusting strap 600b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554a wraps one end of the second clip part 554 outward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552a. When the length adjusting strap 600b is connected to the fixed clip as shown in FIG. 6B, even if the user only pulls the length adjusting strap 600b,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strap 600b is reduced and fixed as it is. do.

제2클립부(554)의 세로 길이는 제1클립부(552)의 세로 길이보다 작다. 제1클립부(552)와 제2클립부(554)의 세로 길이의 차이는 프레임 형상인 제1클립부(552)의 테두리 부분의 너비인 d만큼 차이 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클립부(552)와 제2플립부(554)의 세로 길이의 차가 d이면, 제1,2관통공(552a, 554a)을 통과하여 제2클립부(554)의 일단을 감싸고 다시 제1관통공(552a)을 지난 길이조절용 끈(600b)이 풀림현상 없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clip portion 554 is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lip portion 552.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first clip portion 552 and the second clip portion 554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by the width d of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clip portion 552 having a frame shap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ngitudinal lengths of the first clip portion 552 and the second flip portion 554 is d, the first clip portion 552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552a and 554a to surround one end of the second clip portion 554 and is formed again. Length adjusting strap 600b past the one through hole 552a may be firmly fixed without loosening.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용 착용복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ight wear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용자가 비행용 착용복을 착용한 상태로서 정면도이며,2 is a front view of a user wearing a flight wear suit,

도 3은 이용자가 비행용 착용복을 착용한 상태로서 후면도이고,3 is a rear view of a user wearing a flight wear suit,

도 4는 비행용 착용복을 착용한 이용자가 실제 비행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a flight wear suit actually flies,

도 5는 도 1에 사용되는 고정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며,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clip used in FIG.

도 6a 및 도 6b는 고정클립과 길이조절용 끈의 연결 전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6a and 6b is a state diagram showing before and after connection of the fixing clip and the length adjustment strap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허리 지지끈11: waist support strap

21: 어깨 지지끈21: Shoulder Support Strap

30: 엉덩이 지지대30: hip support

41: 허벅지 지지끈41: thigh support strap

71: 연결용 끈71: strap

12, 22, 42, 72: 고정클립12, 22, 42, 72: retaining clip

13, 23, 43: 패드13, 23, 43: pad

52: 주 연결고리52: main link

54: 보조 연결고리54: auxiliary link

60: 등 지지판60: back support plate

62: 배면 연결고리62: back link

552: 제1클립부552: first clip portion

552a: 제1관통공552a: first through hole

554: 제2클립부554: second clip portion

554a: 제2관통공554a: second through hole

600a: 길이조절용 끈600a: length strap

Claims (7)

와이어에 구비된 이동장치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를 타고 비행하는 이용자가 착용하는 비행용 착용복으로서,As a flight wear suit worn by a user flying on the wire by a mobile device provided in the wire, 허리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리 지지대;A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ist, the waist support of which length is adjustable; 일단부는 서로 교차되어 상기 허리 지지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상기 허리 지지대와 연결된 한쌍의 어깨 지지끈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멜빵;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 in parallel, adjustable suspenders; 상기 허리 지지대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지지대; 및A hip suppor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ist support to support the hip of the user; And 상기 엉덩이 지지대 및 상기 허리 지지대와 연결된 한쌍의 허벅지 지지끈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벅지 지지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adjustable thigh support, consisting of a pair of thigh support straps connected to the hip support and the waist support, 상기 허리 지지대와 상기 허벅지 지지대는 주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The waist support and the thigh support are connected by the main link, 상기 허리 지지대, 상기 멜빵 및 상기 허벅지 지지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클립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At least one of the waist support, the suspenders and the thigh support is adjustable in length by a fixing clip, 상기 고정클립은,The fixing clip, 한쪽으로 돌출된 끈이 관통할 수 있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제1클립부; 및A first clip portion having a frame shape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string projecting to one side may pass; And 상기 제1관통공 크기의 프레임 형상으로,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끈이 통과할 수 있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클립부를 포함하는 것The second through hole in the frame shape of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hole, the second through-hol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string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is formed. 인 비행용 착용복.Flight w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어깨 지지끈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상기 이동장치와 상기 멜빵을 연결하기 위한 보조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비행용 착용복.Flight wear suit is formed with an auxiliary link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suspend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clip, 상기 끈을 잡아당기면 잡아당긴 만큼 길이가 줄어들어 고정되는 것인 비행용 착용복.The flight wear clothing that is fixed by reducing the length by pulling the st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aps,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제2클립부의 일단을 감싼 후 상기 제1관통공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인 비행용 착용복.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e flight wear clothing that is inserted back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fter wrapping one end of the second cli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어깨 지지끈의 교차 지점에는,According to claim 1, At the intersection of the pair of shoulder support straps, 상기 이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비행용 착용복.Flight wear clothing further comprises a back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판에는,The back support plate of claim 5, 상기 이동장치와 상기 비행용 착용복을 연결하기 위한 배면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비행용 착용복.Flight wear clothing that is formed with a back connecting ring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flying wear cloth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지지대에는,According to claim 6, The waist support, 상기 이동장치와 상기 이용자를 연결하기 위한 배면 보조 연결고리가 더 포 함되어 있는 비행용 착용복.Flight wear clothing further comprises a back auxiliary ring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user.
KR1020090128155A 2009-12-21 2009-12-21 Wearing device for flying KR1010415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55A KR101041561B1 (en) 2009-12-21 2009-12-21 Wearing device for fly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55A KR101041561B1 (en) 2009-12-21 2009-12-21 Wearing device for fly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561B1 true KR101041561B1 (en) 2011-06-15

Family

ID=4440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155A KR101041561B1 (en) 2009-12-21 2009-12-21 Wearing device for fly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5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370B1 (en) 2015-11-09 2016-05-0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sedentary harn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7582B1 (en) * 2000-07-24 2002-04-09 Ronald C. Derby Adaptable rescue harness and method of use
KR20030048060A (en) * 2000-10-19 2003-06-18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Ep4 receptor inhibitors to treat rheumatoid arthritis
KR200348060Y1 (en) * 2004-01-05 2004-04-28 김상실 Safety swing for a high place work
US20070012261A1 (en) * 2005-07-18 2007-01-18 Altieri David P K-9 Rappel harness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7582B1 (en) * 2000-07-24 2002-04-09 Ronald C. Derby Adaptable rescue harness and method of use
KR20030048060A (en) * 2000-10-19 2003-06-18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Ep4 receptor inhibitors to treat rheumatoid arthritis
KR200348060Y1 (en) * 2004-01-05 2004-04-28 김상실 Safety swing for a high place work
US20070012261A1 (en) * 2005-07-18 2007-01-18 Altieri David P K-9 Rappel harnes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370B1 (en) 2015-11-09 2016-05-0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sedentary harn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142B2 (en) Full body climbing harness
CA2173181C (en) Climbing harness having adjustable leg loops and rise
US7490610B2 (en) Fall protection harness
US10016633B2 (en) Utility belt
US6390234B1 (en) Shock absorbing safety harness
US4303041A (en) Supportive body harness
US10159858B2 (en) Leg strap assembly and safety harness including the same
US20130175118A1 (en) DS-001 Full-Body Safety Harness
US20150135395A1 (en) Garment retaining apparatus
US62411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a child
US4967421A (en) Physiologically conformable suspenders for firefighters&#39; bunker pants
US2760699A (en) Carrying harness or equipment for human beings
US9492692B2 (en) Attachable arrangement
KR101041561B1 (en) Wearing device for flying
GB2039209A (en) Shoulder belt for use in climbing and mountaineering
CN216759869U (en) Flexible exoskeleton for high-place operation
US10617194B2 (en) Load adjustment system for backpacks
KR200489690Y1 (en) Pants type safety belt
USRE34094E (en) Physiologically conformable suspenders for firefighters&#39; bunker pants
CN114393568A (en) Flexible exoskeleton for high-altitude operation
EP3512609A1 (en) Harness connector and harness
CN202682603U (en) Safety belt for climbing exercise
CN214963251U (en) Buffering shock attenuation knapsack
KR102520619B1 (en) A backpack that can protect waist
WO2008001068A1 (en)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