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383B1 - Connector housing - Google Patents

Connector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383B1
KR101041383B1 KR1020090013098A KR20090013098A KR101041383B1 KR 101041383 B1 KR101041383 B1 KR 101041383B1 KR 1020090013098 A KR1020090013098 A KR 1020090013098A KR 20090013098 A KR20090013098 A KR 20090013098A KR 101041383 B1 KR101041383 B1 KR 101041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ce
housing
hook en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3935A (en
Inventor
황의만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383B1/en
Publication of KR2010009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9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랜스를 구비하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22)이 고정설치되는 관통공간(35)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33)와, 상기 터미널(22)이 삽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선단부(41)와, 상기 선단부(41)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22)이 걸어지는 걸이단(43)과, 상기 걸이단(43)에서 상기 선단부(4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안내하는 안내면(47)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간(35)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몸체(3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랜스(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랜스가 탄성변형될 때 터미널에 걸어지는 부분이 터미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터미널의 착탈과정에서 랜스의 손상이 방지되어 하우징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터미널의 리워크를 위해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공구가 랜스의 길이방향으로 걸이단에서부터 길게 형성된 공구가이드채널을 따라 안내됨에 의해 랜스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의 리워크를 위한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housing having a lance to allow a terminal to be fixed in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body 33 having a through space 35 through which the terminal 22 is fixed and penetrating the inside and the rear is formed, and a front end portion 41 formed at the side into which the terminal 22 is inserted. The hook end 43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portion 41 and the terminal 22 is hooked, and the guide surface 47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hook end 43 toward the tip portion 41 to guide the terminal. And a lance 39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33 in the through space 3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the part which is hung on the terminal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lance during the detachment of the terminal,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housing, and lance for reworking the terminal.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is guided along the tool guide channel formed long from the hook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ce can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for the rework of the terminal becomes very convenient.

커넥터하우징, 터미널, 랜스, 슬릿 Connector Housing, Terminal, Lance, Slit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Connector housing}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랜스를 구비하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housing having a lance to allow a terminal to be fixed in the connector housing.

커넥터는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결합되는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부에서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랜스를 형성한다.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extends outside the rear end of the housing. A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terminal, and a lance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position in the housing is not changed during insertion of the mating terminal.

도 1에는 종래 기술에서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 랜스에 의해 걸어진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10)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관통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14)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2)이 설치된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engaged by a lance inside a housing in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housing 12 forms the skeleton and the appearance of the connector 10. The housing 1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penetrates through the interior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rough spaces 14 are formed. Each of the through spaces 14 is provided with a terminal 22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관통공간(14)의 내부에는 하우징랜스(16)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랜스(16)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게 상기 관통공 간(14)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랜스(16)는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우징랜스(16)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2)의 결합부(24)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랜스(16)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부(24)에 걸어지는 걸이단(16')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16')보다 더 선단으로 연장되게 조작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돌기(17)는 리워크를 위한 공구에 의해 하우징랜스(16)가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힘을 받는 부분이다.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in the through space 14. 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space 14 so as to extend inclined toward the front end from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2. The housing lance 16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The housing lance 16 serves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4 of the terminal 22 to be described below.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16, a hook end 16 'which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art 24 is formed, and an operation protrusion 17 is formed to extend further to the front end than the hook end 16'.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7 is a portion which receives a force for causing the housing lance 16 to elastically deform by a tool for rework.

상기 관통공간(14)에는 걸이턱(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8)은 상기 하우징랜스(16)가 형성된 관통공간(14)의 내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턱(18)은 상기 관통공간(14)의 후단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된 경사면(19)을 가진다. 물론 상기 경사면(19)이 형성된 반대쪽 걸이턱(18) 부분은 상기 관통공간(14)의 내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8)은 상기 하우징랜스(16)의 선단보다 더 하우징(12)의 선단쪽에 위치한다. Hanging jaw 18 is formed in the through space 14. The hooking jaw 18 is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14 in which 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The hooking jaw 18 has an inclined surface 19 which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through space 14. Of course, the part of the opposite hanger 18 on which the inclined surface 19 is formed is orthogona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14. The hooking jaw 18 is located at the tip side of the housing 12 more than the tip of the housing lance 16.

상기 하우징(12)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간(14)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스토퍼(2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0)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2)의 선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20)는 상기 관통공간(24)의 선단 입구 네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다.A stopper 2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through space 14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2 to face each other. The stopper 20 serves to support the tip of the terminal 22 to be described below. The stoppers 20 ar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tip inlet of the through space 24, respectively.

터미널(22)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2)은 상기 하우징(12)의 관통공간(14)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22)의 선단에는 결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4)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4)는 일반적으 로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형태로 내부가 터미널(2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The terminal 22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generally made by pressing a metal. The terminal 22 is installed inside the through space 14 of the housing 12. An engaging portion 2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terminal 22. The engaging portion 24 is a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he coupling part 24 is generally formed so that the inside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22 in a form in which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상기 터미널(22)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2)의 걸이턱(18)에 걸어지는 터미널랜스(26)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26)는 상기 터미널(22)의 일측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26)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터미널랜스(26)는 상기 터미널(22)이 상기 하우징(12)의 관통공간(14)에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기 걸이턱(18)에 걸어질 수 있게 된다.One side of the terminal 22 is formed with a terminal lance 26 that hangs on the hooking jaw 18 of the housing 12. The terminal lance 26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terminal 22. The terminal lance 26 can als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terminal lance 26 may be hooked to the hanging jaw 18 when the terminal 22 is installed in the through space 14 of the housing 12 and coupled with the mating terminal.

상기 터미널(22)의 후단에는 바렐(28)이 구비되고, 상기 바렐(28)은 와이어(29)를 상기 터미널(22)에 고정하고 터미널(22)과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rear end of the terminal 22 is provided with a barrel 28, the barrel 28 serves to secure the wire 29 to the terminal 22 an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22 and the wir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하우징랜스(16)는 하우징(12)과 일체로서 몰드물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22)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랜스(16)가 상기 터미널(22)에 걸어지거나 분리될 때, 터미널(22)에 의해 마모되는 등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That is, the housing lance 1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2, and the terminal 22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us, when the housing lance 16 is hooked to or detached from the terminal 22, the housing lance 16 is likely to be damaged or worn by the terminal 22.

이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랜스(16)는 터미널(22)이 하우징(12)에 삽입될 때, 또는 공구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랜스(16)가 탄성변형됨에 의해 상기 걸이단(16')의 선단이 그리는 궤적(R)은 상기 터미널(22)과 간섭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housing lance 16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terminal 2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2 or by a tool, wherein the housing end 16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hook end 16 ' The trajectory R, which is drawn by the distal end, interferes with the terminal 22.

이와 같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22)에 걸이단(16')이 걸리는 부 분과 걸이단(16')의 사이에 소정의 갭(G)을 두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22)이 하우징(12) 내에서 유동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에 문제가 발생된다.In order to avoid such interference, the terminal 22 may have a predetermined gap G between the portion of the hook end 16 'and the hook end 16'. However, in this case, the terminal 22 flows in the housing 12, causing a problem in couplin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그리고, 상기 하우징랜스(16)와 터미널(22) 사이에 갭(G)이 없도록 하면 상기 하우징랜스(16)가 탄성변형될 때, 걸이단(16')과 터미널(22)중 걸이단(16')이 걸어지는 부분이 서로 간섭하여 걸이단(16')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And if there is no gap G between the housing lance 16 and the terminal 22, when the housing lance 16 is elastically deformed, the hook end 16 of the hook end 16 'and the terminal 22 The part where ') is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terferes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hook end 16' is damaged.

한편, 상기 하우징랜스(16)의 선단에 형성된 조작돌기(17)는 터미널(22)을 하우징(12)에서 분리할 때, 공구에 의해 눌러져 하우징랜스(16)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상기 조작돌기(17)는 하우징랜스(16)에 돌출되어 있어 공구로 조작돌기(17)를 누를 때, 공구가 조작돌기(17)에서 쉽게 미끄러져 하우징랜스(16)를 탄성변형시키는 것, 즉 터미널(22)을 리워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protrusion 17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16 is a portion which is pressed by a tool when the terminal 22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2 so that the housing lance 16 is elastically deformed. However,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7 protrudes from the housing lance 16 so that when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7 is pressed by the tool, the tool easily slips from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7 to elastically deform the housing lance 16. That is, the work of reworking the terminal 22 becomes very difficult.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하우징랜스(16)가 상기 하우징(12)의 관통공간(14) 내부에 외팔보의 형태로 형성되고, 선단에는 걸이단(16')과 리워크를 위한 조작돌기(17)가 형성되므로 하우징(16)의 설계가 상대적으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beam in the through space 14 of the housing 12, and at the front end thereof, a hook end 16 ′ and an operation protrusion 17 for rework are provided. Si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 of the housing 16 is relatively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서 터미널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면서도 랜스가 탄성변형시에 터미널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the lance from interfering with the terminal during elastic deformation while fixing the terminal so as not to flow inside the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리워크를 위해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공구가 랜스에 정확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tool that elastically deforms the lance for reworking the terminal to exert a precise force on the lan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고정설치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이 걸어지는 걸이단과, 상기 걸이단에서 상기 선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랜스의 길이방향 양단을 따라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랜스의 안내면에는 상기 걸이단에서 상기 선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공구가이드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공구가이드채널의 바닥면은 상기 걸이단에서 선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구가이드면이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body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is formed to penetrate back and forth inside the terminal;
A tip end portion formed on the side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a hook end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end, and a guide surface for inclining downward from the hook end toward the tip end to guide the terminal; And a lanc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in the through space, wherein the housing body has slits formed along both ends of the l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ide surface of the lance has the slit at the hook end. A tool guide channel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tip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ottom surface of the tool guide channel is a tool guide surfac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tip portion at the hook e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랜스가 탄성변형될 때 터미널에 걸어지는 부분이 터미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터미널의 착탈과정에서 랜스의 손상이 방지되어 하우징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the part which is hung on the terminal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lance during the detachment of the terminal,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housing.

이에 더해, 위와 같이 랜스의 탄성변형방향이 설정되므로 랜스의 걸이단과 터미널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deformation direction of the lanc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end of the lance and the terminal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flow of the terminal inside the housing.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리워크를 위해 랜스를 탄성변형시키는 공구가 랜스의 길이방향으로 걸이단에서부터 길게 형성된 공구가이드채널을 따라 안내됨에 의해 랜스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의 리워크를 위한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for the rework of the terminal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guided along the tool guide channel formed long from the hook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for the rework of the terminal becomes very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랜스가 외팔보의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하우징몸체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하우징의 설계가 상대적으로 간단해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nce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cantilever beam, the design of the housing is relatively simpl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랜스가 구비된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랜스가 구비된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랜스가 터미널에 대해 탄성변형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미널의 도면부호는 종래 도면의 것을 원용하기로 한다.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using provided with a l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using provided with a l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d 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relative to th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terminals are used for the conventional drawing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31)은 커넥터의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제작된 하우징몸체(33)의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 개의 관통공간(3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35)에는 각각 터미널(2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간(35)은 상기 터미널(22)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housing 31 forms a skeleton and an appearance of the connector, and a plurality of through spaces 35 ar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33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erminals 22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through spaces 35. Therefore, the through space 35 may be formed as many as the number of terminals 22.

상기 하우징몸체(33)에는 상기 터미널(22)의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슬롯(37)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슬롯(37)은 상기 하우징몸체(33)의 일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관통공간(35)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슬롯(37)은 스페이서(미도시)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Spacer slots 37 are formed in the housing body 33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22. The spacer slot 37 is open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33 and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space 35. The spacer slot 37 is a portion into which a spacer (not shown) is inserted and coupled.

상기 관통공간(35)의 내부에는 랜스(39)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39)는 상기 관통공간(35)이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몸체(3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31)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랜스(39)의 선단부(41)는 터미널(22)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상기 하우징(31)의 후단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1)의 선단은 상대 커넥터와 마주보고 결합되는 부분이고, 후단은 상기 선단의 반대쪽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41)의 반대편에는 걸이단(4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43)은 상기 터미널(22)이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몸 체(33)의 선단을 향한다.A lance 39 is formed inside the through space 35. The lance 39 protrudes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33 in which the through space 35 is formed,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31. The tip portion 41 of the lance 39 is formed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22 is inserted, that is, toward the rear end of the housing 31. Here,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31 i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face the mating connector, the rear end means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end. And the hook end 43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portion 41. The hook end 43 is a portion on which the terminal 22 is hooked and faces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body 33.

상기 랜스(39)는 상기 선단부(41) 측과 걸이단(43) 측만이 각각 상기 하우징몸체(33)에 연결된다. 즉, 상기 랜스(39)의 길이방향 양단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몸체(33)에는 슬릿(45)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45)의 존재에 의해 상기 랜스(39)는 선단부(41)와 걸이단(43) 측에서만 상기 하우징몸체(33)에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22)이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22)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이 가능하다.The lance 39 i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33 only the tip end portion 41 side and the hook end 43 side, respectively. That is, slits 45 are formed in the housing body 33 along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lance 39. Due to the presence of the slit 45, the lance 39 i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33 only at the tip end portion 41 and the hook end 43 side, and when the terminal 22 is inserted, the terminal ( 22)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상기 걸이단(43)과 선단부(41)의 사이에는 안내면(4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47)은 상기 걸이단(43)으로부터 상기 선단부(41) 쪽으로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47)은 상기 터미널(22)이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22)을 안내하면서 상기 랜스(39)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면(47)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랜스(39)의 선단부(41)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된다.A guide surface 47 is formed between the hook end 43 and the tip end portion 41. The guide surface 47 is formed in a planar or curved surface which is inclined from the hook end 43 toward the tip portion 41. The guide surface 47 serves to allow the lance 39 to elastically deform while guiding the terminal 22 when the terminal 22 is inserted. Since the guide surface 47 is formed, the tip portion 41 of the lance 39 is configured such that its thickness becomes thinner toward the tip.

상기 랜스(39)의 안내면(47)에는 상기 걸이단(43)으로부터 상기 선단부(41)를 향하는 공구가이드채널(49)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가이드채널(49)은 상기 하우징몸체(33)의 선단에서 관통공간(35)의 내부로 삽입된 리워크용 공구가 안내되어 상기 랜스(39)를 탄성변형시키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공구가이드채널(49)은 상기 랜스(39)의 걸이단(43)으로부터 상기 선단부(41)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On the guide surface 47 of the lance 39, a tool guide channel 49 is formed from the hook end 43 toward the tip portion 41. The tool guide channel 49 is a portion to guide the rework tool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35 at the tip of the housing body 33 to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39. The tool guide channel 49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hook end 43 of the lance 39 toward the tip portion 41.

상기 공구가이드채널(49)의 바닥면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공구가이드면(51)으로, 상기 랜스(39)의 걸이단(43)에서 선단부(41)를 향해 상향 경사를 가진 다. 상기 공구가이드채널(49)의 공구가이드면(51)을 따라 공구가 안내됨에 의해 상기 랜스(39)가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랜스(39)의 탄성변형은 상기 걸이단(43)이 상기 터미널(22)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tool guide channel 49 is a tool guide surface 51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has an upward inclination toward the tip portion 41 from the hook end 43 of the lance 39. The lance 39 is elastically deformed by guiding the tool along the tool guide surface 51 of the tool guide channel 49. This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39 allows the hook end 43 to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22.

상기 하우징몸체(33)의 관통공간(35) 입구에는 스토퍼(53)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3)는 상기 하우징몸체(33)의 후단을 통해 관통공간의 입구로 들어온 터미널(22)이 상기 하우징몸체(33)의 선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22)이 상기 관통공간(35)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stopper 53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through space 35 of the housing body 33. The stopper 53 prevents the terminal 22 coming into the inlet of the through space through the rear end of the housing body 33 from falling to the tip of the housing body 33 and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22 of the mating connector. It serves to guide the insertion into the through space 35.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하우징몸체(33)의 내부로 터미널(22)이 삽입되는 것을 설명한다. 커넥터는 하우징몸체(33)의 내부에 터미널(22)이 삽입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22)은, 도 5에 화살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몸체(33)의 후단에서 관통공간(35)으로 삽입된다.Firs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terminal 2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3. The connector is made by inserting the terminal 22 into the housing body 33. The terminal 2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35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body 33, as indicated by arrow A in FIG. 5.

이때, 상기 터미널(22)은 상기 랜스(39)의 안내면(47)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랜스(39)가 탄성변형된다. 즉, 도 5에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은 궤적(R)을 그리면서 랜스(39)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하우징몸체(33)의 내측면에 상기 랜스(39)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슬릿(45)의 존재에 의해 상기 랜스(39)에 탄성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erminal 22 is guided along the guide surface 47 of the lance 39, the lance 39 is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the lance 39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drawing the trajectory R a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in FIG. 5.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to the lance 39 by the presence of slits 4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body 33 on the inner side of the lance 39.

이와 같은 상태로 터미널(22)이 관통공간(35)으로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22) 중 일부가 상기 안내면(47)을 통과하여 걸이단(43)에 걸어지면 터미널(22) 의 삽입이 완료된다. 상기 터미널(22)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랜스(39)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In this state, when the terminal 2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35 and a part of the terminal 22 passes through the guide surface 47 and hangs on the hook end 43, the insertion of the terminal 22 is completed. do. When insertion of the terminal 22 is completed, the lance 39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랜스(39)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이단(43)이 그리는 궤적(R)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22)에서 걸이단(43)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궤적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22)이 하우징(31)에 조립될 때, 상기 랜스(39)의 걸이단(43)이 터미널(2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as the lance 39 is elastically deformed, looking at the trajectory (R) drawn by the hook end 43, as shown in Figure 5, the hook end 43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erminal 22 It can be seen that it forms a trajectory. Thus, when the terminal 22 is assembled to the housing 31, the hook end 43 of the lance 39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terminal 22.

한편, 상기 하우징몸체(33)의 관통공간(35) 내에 삽입된 터미널(22)은 그 선단이 상기 스토퍼(53)의 존재에 의해 관통공간(35)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물론,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걸이턱과 터미널랜스를 두어 상기 터미널(22)이 관통공간(35)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22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35 of the housing body 33 does not protrude forward of the through space 35 due to the presence of the stopper 53. Of course, as in the prior art, a separate hanger and a terminal lanc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erminal 22 does not protrude forward of the through space 35.

그리고 상기 터미널(22)이 상기 관통공간(35)의 후방으로 빠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은 상기 랜스(39)에 의해 수행된다. 즉, 상기 랜스(39)의 걸이단(43)에 상기 터미널(22)의 일측이 걸어짐에 의해 상기 터미널(22)은 상기 하우징몸체(33)의 관통공간(35) 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걸이단(43)에 터미널(22)이 걸어지면, 상기 터미널(22)에 결합되는 상대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몸체(33)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22)이 밀리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22 is fixed by the lance 39 without falling out behind the through space 35. That is, the terminal 22 is fixed in the through space 35 of the housing body 33 by hooking one side of the terminal 22 to the hook end 43 of the lance 39. When the terminal 22 is hooked to the hook end 4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ting terminal coupled to the terminal 2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3, the terminal 22 is not pushed.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22)을 상기 하우징몸체(33)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22)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워크용 공구는 도 5의 화살표 B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39)를 탄성변형 시킨다. 즉, 상기 하우징몸 체(33)의 선단에서 상기 관통공간(35)의 내부로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공구가이드채널(49)로 삽입되고, 상기 공구가이드채널(49)에서 상기 공구가이드면(51)에 밀착되어 공구가 이동함에 의해 상기 랜스(39)는 탄성변형된다.Next, the separation of the terminal 22 from the housing body 33 will be described. The rework tool used to separate the terminal 22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5 to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39. That is,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tool guide channel 49 from the tip of the housing body 33 into the through space 35, and the tool guide surface 51 from the tool guide channel 49. The lance 39 i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tool moves in close contact.

상기와 같이, 랜스(39)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랜스(39)의 걸이단(43)이 상기 터미널(22)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랜스(39)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터미널(22)을 하우징몸체(33)의 후단에서 전선을 당겨 빼내면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nce 39 is elastically deformed, the hook end 43 of the lance 39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22. This state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22 may be pulled out of the rear end of the housing body 33 while the lance 39 is elastically deform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컨대, 상기 공구가이드채널(49)의 바닥면에는 공구가이드면(51)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공구가이드면(51)이 경사지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되더라도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공구가이드면(51)을 눌러주면 랜스(39)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tool guide surface 51 is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ol guide channel 49, which is not necessary. That is, even if the tool guide surface 51 is formed in a plane without being inclined,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tool guide surface 51 using a tool,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39 is possible.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랜스에 의해 걸어진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engaged by the housing lance inside the housing in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하우징랜스가 터미널에 대해 탄성변형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at the housing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n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랜스가 구비된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ousing provided with a l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랜스가 구비된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ousing provided with a l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랜스가 터미널에 대해 탄성변형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5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at the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2: 터미널 31: 하우징22: terminal 31: housing

33: 하우징몸체 35: 관통공간33: housing body 35: through space

37: 랜스 39: 선단부37: Lance 39: Tip

41: 걸이단 43: 안내면41: hanger 43: guide surface

45: 공구가이드채널 47: 공구가이드면45: Tool guide channel 47: Tool guide surface

49: 슬릿 51: 스토퍼49: slit 51: stopper

R: 궤적R: Trajectory

Claims (3)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고정설치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A housing body having a through space through which the terminal penetrates back and forth to fix and install the terminal;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이 걸어지는 걸이단과, 상기 걸이단에서 상기 선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 tip end portion formed on the side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a hook end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end, and a guide surface for inclining downward from the hook end toward the tip end to guide the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nc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in the through space,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랜스의 길이방향 양단을 따라서 슬릿이 형성되고, The housing body is formed with slits along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ce, 상기 랜스의 안내면에는 상기 걸이단에서 상기 선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공구가이드채널이 형성되며,On the guide surface of the lance a tool guide channel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hook end to the tip portion, 상기 공구가이드채널의 바닥면은 상기 걸이단에서 선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구가이드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The bottom surface of the tool guide channel is a connecto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leading end from the hook en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13098A 2009-02-17 2009-02-17 Connector housing KR101041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98A KR101041383B1 (en) 2009-02-17 2009-02-17 Connector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98A KR101041383B1 (en) 2009-02-17 2009-02-17 Connector ho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35A KR20100093935A (en) 2010-08-26
KR101041383B1 true KR101041383B1 (en) 2011-06-15

Family

ID=4275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98A KR101041383B1 (en) 2009-02-17 2009-02-17 Connector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38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11B1 (en) * 2018-12-20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KR102088899B1 (en)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KR102088898B1 (en)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KR102088900B1 (en)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235B1 (en) 2010-09-28 201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cleaner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520A (en) 2004-03-03 2005-09-15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2005259363A (en) * 2004-03-09 2005-09-22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KR100814934B1 (en) 2006-09-01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ance and house for connecto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520A (en) 2004-03-03 2005-09-15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2005259363A (en) * 2004-03-09 2005-09-22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KR100814934B1 (en) 2006-09-01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ance and house for connector hav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11B1 (en) * 2018-12-20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KR102088899B1 (en)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KR102088898B1 (en)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KR102088900B1 (en) * 2020-02-0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35A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US9958623B1 (en) Tool for plug, plug and cable with plug
US71285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unlocking means
JP3121386U (en) Connector guide member
KR101041383B1 (en) Connector housing
US10276980B2 (en) Connector with a CPA receiving space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uch a connector
US8708759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5651652B2 (en)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CN104466469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47848Y1 (en) Connector assembly
US20210005986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571568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100814934B1 (en) Lance and house for connector having the same
JP7271471B2 (en) connector
JP2014075308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EP1804343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KR101062648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KR200440518Y1 (en) Connector
EP1901400A2 (en) A wire cover and a locking construction therefor
CN115693234A (en) Terminal with contact piec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KR100966788B1 (en) Rear Holder To Be Used in Connector Assembly
JP2019009007A (en) connector
KR101288335B1 (en) Connector
KR200424469Y1 (en) Connector
JP2010140884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