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983B1 - 분전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전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983B1
KR101040983B1 KR1020100015780A KR20100015780A KR101040983B1 KR 101040983 B1 KR101040983 B1 KR 101040983B1 KR 1020100015780 A KR1020100015780 A KR 1020100015780A KR 20100015780 A KR20100015780 A KR 20100015780A KR 101040983 B1 KR101040983 B1 KR 10104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rackets
distribution unit
pair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보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보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보산전
Priority to KR102010001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그 케이스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분전 유니트와, 상기 한 쌍의 브라켓들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분전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전반 어셈블리{Cabinet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분전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케이스에 한 쌍의 분전 유니트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케이스에 각각 분전 유니트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설비수 감소로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각 분전 유니트와 기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의 길이 축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분전반 설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분전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분전반 어셈블리는, 기기(13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1분전 유니트(101)와 제2분전 유니트(102)가 서로 다른 케이스(110)(120)에 설치된다. 즉, 제1케이스(110)에 상기 제1분전 유니트(101)가 설치되고, 제2케이스(120)에 상기 제2분전 유니트(10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분전 유니트(101)와 제2분전 유니트(102)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케이스(110)(120)의 설치로 설비수의 증가 및 작업공간의 축소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으며, 각 기기(130)와 각 분전 유니트(101)(102)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배선길이의 증가 및 배선의 꼬임 등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부품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공간을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하여 현장작업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분전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그 케이스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분전 유니트;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들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분전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은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각 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브라켓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마주하는 한 쌍의 일측면들과 그 일측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타측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각 측면에 상기 케이스와의 위치고정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분전 유니트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각 일면에는 통풍을 위한 복수의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는 설비수의 감소를 통해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 제품설치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짧은 배선의 사용이 가능하여 부품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브라켓의 도 6과 다른 설치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브라켓의 도 6과 다른 설치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는 케이스(10)와 한 쌍의 브라켓(16)(18)들과 제1분전 유니트(22)와 제2분전 유니트(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제1분전 유니트(22)와 제2분전 유니트(2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전 유니트(22)에 마주하는 일면과 상기 제2분전 유니트(24)에 마주하는 일면에 각각 복수의 통풍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통풍공(12)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발생하는 열을 쿨링하여 줄 수 있도록, 공기가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통풍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일면에,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분전 유니트(22)와 제2분전 유니트(24)로의 작업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개폐도어(14)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개폐도어(14)는 상기 케이스(1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브라켓(16)(18)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그 케이스(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16)(18)은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브라켓(16)(18)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0)을 구비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브라켓(16)(18)은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그 브라켓(16)(18)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분전 유니트(22)와 기기(130)와의 전기적인 연결작업 및 상기 제2분전 유니트(24)와 기기(130)와의 전기적인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의 연결작업시에는 그 배선(W)연결을 위한 작업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배선(W)연결을 완료하고 난 후에는 상기 각 브라켓(16)(18)을 상기 케이스(10)의 원하는 위치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브라켓(16)(18)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마주하는 한 쌍의 일측면들과 그 일측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타측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서로 다른 분전 유니트(22)가 하나의 브라켓(16)에 설치될 수 있어서, 제품공용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분전 유니트(22)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16)(18)들 중 어느 하나(16)에 결합되고, 상기 제2분전 유니트(24)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16)(18)들 중 다른 하나(18)에 결합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브라켓(16)(18)은 하나의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분전 유니트(22)와 제2분전 유니트(24) 또한 하나의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분전 유니트(22)와 제2분전 유니트(24)를 각각 별개로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10)를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케이스(10)에 수용시킬 수 있어서 설비수의 감소 및 설비설치를 위한 공간확보의 용이함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을 도출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순히 하나의 케이스(10)의 한 쌍의 분전 유니트(22)(24)를 수용하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각 분전 유니트(22)(24)가 결합되는 브라켓(16)(18)을 상기 케이스(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하나의 케이스(10)에 한 쌍의 분전 유니트(22)(24)의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는 설비수의 감소를 통해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 제품설치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짧은 배선(W)의 사용이 가능하여 부품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S는 상기 각 브라켓(16)(18)을 케이스(10)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이고, 16a는 상기 각 브라켓(16)(18)과 케이스(10)간의 결합 및 각 브라켓(16)(18)과 분전 유니트(22)(24)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스크류(S)가 관통하는 결합공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케이스 12:통풍공
14:개폐도어 16:브라켓
16a:결합공 18:브라켓
20:가이드레일 22:제1분전 유니트
24:제2분전 유니트 S:스크류
W:배선

Claims (5)

  1.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그 케이스(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16)(18); 상기 한 쌍의 브라켓(16)(18)들 중 어느 하나(16)에 결합되는 제1분전 유니트(22);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16)(18)들 중 다른 하나(18)에 결합되는 제2분전 유니트(24);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브라켓(16)(18)은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각 브라켓(16)(18)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0)을 구비하며,
    상기 각 분전 유니트(22)(24)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10)의 각 일면에는 통풍을 위한 복수의 통풍공(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16)(18)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마주하는 한 쌍의 일측면들과 그 일측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타측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각 측면에 상기 케이스(10)와의 위치고정을 위한 결합공(16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15780A 2010-02-22 2010-02-22 분전반 어셈블리 KR101040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80A KR101040983B1 (ko) 2010-02-22 2010-02-22 분전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80A KR101040983B1 (ko) 2010-02-22 2010-02-22 분전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983B1 true KR101040983B1 (ko) 2011-06-16

Family

ID=4440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780A KR101040983B1 (ko) 2010-02-22 2010-02-22 분전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9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377A (ko) * 2002-11-25 2004-06-0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트랜스의 구동 방법 및 구동 회로, 냉음극관 발광장치, 액정 패널, 및 액정 패널 장착 기기
KR100566662B1 (ko) * 2005-07-20 2006-03-31 김선배 조립식 분배전반
KR200445377Y1 (ko) * 2007-08-13 2009-07-23 동영전기 주식회사 양면복합 분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377A (ko) * 2002-11-25 2004-06-0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트랜스의 구동 방법 및 구동 회로, 냉음극관 발광장치, 액정 패널, 및 액정 패널 장착 기기
KR100566662B1 (ko) * 2005-07-20 2006-03-31 김선배 조립식 분배전반
KR200445377Y1 (ko) * 2007-08-13 2009-07-23 동영전기 주식회사 양면복합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8895B2 (e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sections of a pre-fabricated electrical canalization to perform adjustment of said canalization in length
KR101071408B1 (ko)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EP3089304B1 (en) Modular apparatus for high-voltage direct-current transmission system
KR101040983B1 (ko) 분전반 어셈블리
CN204090344U (zh) 一种组装灵活且便于线缆整理的多功能管理机柜
US9871362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2114981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20160126339A (ko) 배선 처리와 차단기 스위치 조립이 용이토록 한 캐비넷
KR200465224Y1 (ko)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CN102933057A (zh) 一种穿线结构及穿线装置和使用该穿线装置的机柜
CN210153942U (zh) 走线机构及设有其的电暖器
KR20170028073A (ko) 조절 가능한 패널 케이블 코밍장치
CN215681694U (zh) 一种便于穿线的母线槽
CN219741067U (zh) 一种plc控制柜
DE202015006719U1 (de) Kabel-, Geräteeinbau- und lnstallationskanalsystem
CN106972351B (zh) 用于承载连接至电力电缆和通信电缆的模块的线槽
CN216872569U (zh) 一种便于排线的弱电工程用控制柜
CN110267473A (zh) 一种双向走线服务器机柜
CN202651658U (zh) 用于固定开关柜的安装结构
CN211017800U (zh) 易于组装的电气柜
KR20190111450A (ko) 설치가 용이한 분전함 유닛
CN215579691U (zh) 一种便于调节的中置式开关柜
CN203405021U (zh) 带线槽的热回收风冷冷水机组
KR102042622B1 (ko)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CN110043951B (zh) 走线机构及设有其的电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