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103B1 -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 - Google Patents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103B1
KR101040103B1 KR1020080137905A KR20080137905A KR101040103B1 KR 101040103 B1 KR101040103 B1 KR 101040103B1 KR 1020080137905 A KR1020080137905 A KR 1020080137905A KR 20080137905 A KR20080137905 A KR 20080137905A KR 101040103 B1 KR101040103 B1 KR 10104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coloring
dormant
weight
la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422A (ko
Inventor
김희종
박덕민
이주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Priority to KR102008013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1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2Emulsions, e.g. oil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디용 착색도료는 휴면기 잔디의 표면 코팅용 무독성 수분산 수지 5 내지 20중량%, 천연염료 1 내지 5중량%,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3 내지 3 중량% 및 여분의 물이 혼합된 조성을 갖는다. 잔디용 착색도료는 건조 후에는 내수성이 우수하여 착색 효과가 오래가며 또한 착색제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다.
잔디, 착색, 휴면기, 도료

Description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Coloured paint for lawn grass and method of Colorating lawn grass}
본 발명은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잔디의 휴면기인 동절기에 변색 및 탈색된 잔디를 초록된 잔디로 착색시키기 위한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지면을 덮고 있는 수많은 초 본류의 지피식물 중에 짧은 예초에 견디는 능력이 높은 것과 질감이 좋은 초종을 일컫는다. 잔디는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종으로 약 600속 7500종이 있으나 이 중 30여종만이 실제 잔디로 이용되고 있다. 각 종들은 적응지역이 특이하여 종의 발생기원지와 그와 유사한 기후조건 및 토양조건에 따라 각 지역에서 최적의 생육상태를 갖는다.
잔디 종류는 발생기원지와 생육형에 의해 크게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로 구분된다. 난지형 잔디는 지상부 생장 적정온도가 약 27 내지 35℃이고, 한지형 잔디는 상대적으로 낮은 약 15 내지 24℃에서 왕성한 지상부 생장이 이루어지는 초종이다. 대표적인 난지형 초종으로는 국내에 많이 자생되는 들잔디, 금잔디, 비단잔디, 갯잔디, 왕잔디 등의 한국 잔디, 세인트오거스틴그래스, 버뮤다그래스, 버팔로 그래스, 바아아그래스, 센티피드그래스 등이 있다. 대표적인 한지형 잔디로는 애뉴얼블루그래스, 러프블루그래스, 켄터키블루그래스 등의 블루그래스 류, 톨 페스큐, 츄잉 페스큐, 크리핑 레드페스큐, 쉽 페스큐, 하드 페스큐 등의 페스큐 류, 크리핑벤트그래스, 코로니얼벤트그래스 등의 벤트그래스 류,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이탈리안라이그래스 등의 라이그래스 류가 있다.
난지형의 한국 잔디는 수분요구도가 낮고 내서성이 강하고 비료요구도가 낮으며 내병성이 강하고 생육중에는 내마모성이 가장 강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단점으로는 회복속도와 잔디밭 조성속도가 느리고 6개월 정도의 짧은 녹색기간과 휴면중에 내마모성이 약한 것이 특징이다. 한지형 잔디는 내한성이 강하고 녹색기간이 길며 잔디 손상시 회복속도가 빠르며 잔디밭 조성속도가 빠르고 예초후 잔디품질이 좋은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내서성이 약하고 수분요구도가 높고 잦은 예초로 인한 비료요구도가 높아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며 내병이 약하여 농약 사용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골프장에서 쓰이는 잔디는 퍼팅 그린, 티, 페어웨이 및 러프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현장에서도 상기의 초종들 중에서 선택된 것이 적절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골프장용 잔디를 살펴보면 퍼팅그린에는 난지형 잔디인 버뮤다그래서, 비로드잔디, 금잔디가 있고 한지형 잔디로는 크리핑벤트그래스와 애뉴얼블루그래스가 이용되고 있다. 티나 페어웨이에 이용되고 있는 난지형 잔디로는 버뮤다그래스, 들잔디, 금잔디, 세인트오거스틴그래스 등이 있고, 한지형 잔디로는 크리핑벤트그래스, 애뉴얼블루그 래스,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코로니알벤트그래스, 츄잉페스트, 레드페스트 등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러프지역에는 버뮤다그래스, 들잔디, 세인트오거스틴그래스, 버팔로그래스, 센티페데그래스, 카페트그래스 등이 난지형 잔디로 이용되고 한지형잔디로는 크리핑벤트그래스,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츄잉페스트, 하드페스트, 쉽페스트, 톨페스트 등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골프장을 비롯하여 공원이나 도로 등에 사용되는 잔디의 대부분은 추운 날씨로 인해 휴면기가 시작되는 대략 9 내지 10월쯤의 가을철부터 변색 혹은 탈색이 되기 시작되어 추운 겨울철에는 잔디 본연의 색상인 녹색이 사라지게 된다. 즉, 잔디 조성의 1차 목적인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휴면기인 겨울철에는 잔디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문화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국내의 골프 인구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여 년간 약 1000만명을 능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골프인구의 다양화와 골프장의 증가에 따른 골프 코스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골프장은 골프 코스의 질적 향상과 다양화를 꾀하게 되었으며 그 일환으로 골프 코스의 잔디 초종을 녹색 기간이 보다 긴 한지형 잔디로 조성하는 것이 검토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지형 잔디가 아닌 난지형 잔디가 시공되어 진 국내 많은 골프장에서는 잔디의 휴면기인 동절기에 운동하고자 하는 골프 인구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난지형 잔디를 한지형 잔디로 대체하기에는 그 비용과 노력이 너무 크기 때문에 사실상 곤란한 실정이다. 더욱이 많은 골프장이 동절기 잔디를 관리하는데 직면 하는 또 다른 문제는 휴면중인 잔디를 계속해서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이 취약해져서 쉽게 담압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된다.
또한, 잔디의 변색 혹은 탈색현상은 가뭄, 폭우, 우박, 불규칙한 온도 변화 등 예측 불허한 기후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 특히, 겨울철의 비, 눈, 얼음 등은 잔디에 치명적인 해가 될 수도 있다. 휴면기에 의해서든지 혹은 외부적인 조건에 의해서든지 잔디의 변색 혹은 탈색은 이듬해 잔디가 휴면기에서 깨어나 봄 새싹이 돋아나는 대사활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잔디의 교체가 아닌 잔디의 녹화를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에 변색 및 탈색된 잔디를 잔디 본연의 색상으로 착색시키는 동시에 동절기 잔디 관리의 문제점인 잔디의 내마모성을 향상 및 담압현상 감소시키는 기능성의 잔디 착색용 도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잔디 착색용 도료를 이용하여 동절기에 변색 및 탈색된 잔디를 잔디 본연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잔디 착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용 착색도료는 휴면기 잔디의 표면 코팅용 무독성 수분산 수지 5 내지 20중량%, 천연염료 1 내지 5중량%,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3 내지 3 중량% 및 여분의 물이 혼합된 조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독성 수분산 수지로 키토산 변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단백질 변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소 변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아크릴 에멀젼, 우레탄 에멀젼 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천연 염료로 클로로필(chlorophyll) 환상체 구조를 갖고, 기본 골핵으로는 포르피린(porphyrin)환을 갖는 녹색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제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의 잔디용 잔디의 착색방법에 따르면, 휴면기 잔디의 표면 코팅용 무독성 수분산 수지 5 내지 20 중량%, 천연염료 1 내지 5 중량%,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3 내지 3 중량% 및 여분의 물이 혼합된 조성을 갖는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마련한다. 이어서, 상기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휴면기 잔디에 스프레이 코팅한다. 그 결과 변색 또는 탈색된 휴면기 잔디는 녹색으로 착색된 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착색도료는 잔디의 휴면기인 동절기에 변색 및 탈색된 잔디를 녹색으로 착색시켜 동절기 골프코스의 외관 및 공원의 외관을 아름답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잔디의 착색으로 인해 동절기 골프 인구의 수요를 충족시켜 국내 동계 골프시장을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동절기 잔디 관리의 문제점인 잔디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담압 현상을 감소시키며 이듬해 잔디의 초록화(green-up)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잔디 착색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을 하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들의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 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
본 발명의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는 10월 이후 변색되기 시작하는 잔디를 본연의 녹색으로 착색시키기 위한 잔디용 코팅 도료로서 휴면기 잔디 표면코팅용 무독성 수분산 수지 5 내지 20 중량%, 천연염료 1 내지 5 중량%,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3 내지 3 중량% 및 여분의 물이 혼합된 조성을 갖는다.
상기 무독성 수분산 수지는 휴면기 잔디의 표면에 접착 또는 코팅도될 수 있 는 무독성을 갖는 수용성 수지이다. 상기 무독성 수분산 수지의 예로서는 키토산 변성 아크릴 에멀젼, 단백질 변성 아크릴 에멀젼, 규소 변성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 에멀젼, 우레탄 에멀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에 적용되는 상기 무독성 수분산 수지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휴면기 잔디의 표면에 천연염료의 흡착이 용이하지 않고, 그 함유량이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도료의 점도가 증가되어 스프레이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료의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따라서, 상기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는 무독성 수분산 수지를 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중량%를 함유한다.
천연염료는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에 잔디색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 염료이다. 일반적으로 염료는 식물에서 얻어지는 식물성 염료와 곤충에서 얻는 동물성 염료 그리고 광물성 염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식물에서 얻어지는 식물성 염료는 식물의 초근목피에서 추출해 낸 색소이며 인조색소와 합성에 성공한 후 대부분은 합성원료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천연염료는 합성염료에서 볼 수 없는 우아하고 독특한 향기와 색깔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직도 고급 염색에는 몇 가지 종류의 식물성 염료가 쓰이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 염료는 피롤(pyrrol)핵을 기본으로 하는 색소가 많으며 특히, 녹색 염료의 경우는 클로로필(chlorophyll) 환상체이며 기본 골핵으로는 프로피린(porphyrin)환을 가진다.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에 적용되는 상기 천연염료의 함유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휴면기 잔디의 표면 착색이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고, 그 함유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착색 효과의 증가 없이 도료의 점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따라서, 상기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는 천연염료를 1 내지 5 중량%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 물질로서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의 저장 안정성, 스프레이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 예로서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소포제, 방부제 및 제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서 소포제는 도료의 스프레이 작업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부여하고, 상기 방부제는 도료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초제는 도료가 제초능력을 갖도록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첨가제는 도료의 전체 중량의 0.3 내지 3 중량%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가 사용된다.
상기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에 포함된 물은 상기 무독성 수분산 수지와 상기 천연염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용매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물은 무독성 잔디용 착색도료의 스프레이 작업성을 위해 도료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무독성 잔디용 착색방법
본 발명에 따른 휴면기 잔디의 착색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독성 수분산 수지 5 내지 20 중량%, 천연염료 1 내지 5 중량%,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3 내지 3 중량% 및 여분의 물이 혼합된 조성을 갖는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마련한다. 상기 잔디용 착색도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휴면기 잔디에 코팅한다. 상기 잔디용 착색도료의 코팅은 스프레이를 이용한 도료의 스프레이 분사를 수행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도료의 코팅으로 인해 상기 휴면기 잔디는 녹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상술한 잔디용 착색도료로 착색된 휴면기 잔디는 외관을 아름답게 유지됨과 동시에 동절기 잔디 관리의 문제점인 잔디의 내마모성을 향상되고, 또한 담압 현상을 감소되어 이듬해 초록화(green-up)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잔디용 착색도료를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독성 아크릴에멀젼 수지 200g, 천연염료 10g, 소포제 2g, 방부제 1g, 제초제 1g 및 물 786g를 혼합하여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무독성 단백질 변성아크릴 에멀젼 수지 200g, 천연염료 10g, 소포제 2g, 방부제 1g, 제초제 1g 및 물 786g를 혼합하여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미국 제품의 잔디착색제인 터프코트(TURF-COTE)를 마련하였다.
평가예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도료를 20ml 바이알에 각각 주입한 후 상온에서 3일 방치한 다음 안료나 염료의 침전상태 여부를 평가하는 저장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1에 개시되어 있다.
[표 1]
Figure 112008090900673-pat00001
◎: 침전이 발생하지 않음 ○ : 침전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
△ : 침전이 조금 발생함 × : 침전이 50% 이상 발생
평가예 2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된 도료의 내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75mm X 150mm 유리판에 상기 도료를 각각 도장한 후 상온에서 1일간 건조한 다음 정수에 침적하여 도막의 녹음 현상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가 표 2에 개시되어 있다.
[표 2]
Figure 112008090900673-pat00002
◎: 도막의 녹음이 발생하지 않음 ○ : 도막이 녹음이 미미함
△ : 도막의 녹음이 조금 발생 × : 도막이 거의 녹음
평가예 3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된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의 착색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직접 동면기의 잔디에 코팅한 다음 이듬해 봄까지 잔디 착색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3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표 3]
Figure 112008090900673-pat00003
도 1은 도료 착색 전 동면기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잔디용 착색도료가 코팅된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 실시예 1의 잔디용 착색도료는 그 착색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디 착색도료는 휴면기인 동절기에 변색 및 탈색된 잔디에 녹색으로 착색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잔디 착색도료는 변색 및 탈색된 잔디를 녹색으로 착색시킬 수 있어 동절기 골프장 골프코스의 외관을 아름답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동절기 잔디 관리의 문제점인 잔디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담압 현상을 감소시키며 이듬해 잔디의 초록화(green-up)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골프장등에 적용되는 잔디에 푸름을 제공함으로서 동절기 골프 인구의 수요를 충족시켜 국내 동계 골프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도료 착색 전 동면기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잔디용 착색도료가 코팅된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5)

  1. 키토산 변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단백질 변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규소 변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및 우레탄 에멀젼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휴면기 잔디의 표면 코팅용 무독성 수분산 수지 5 내지 20중량%;
    클로로필(chlorophyll) 환상체이며 기본 골핵으로는 포르피린(porphyrin)환을 갖는 녹색 천연염료 1 내지 4중량%;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3 내지 3 중량%; 및
    여분의 물이 혼합된 조성을 갖는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제초제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
  5. 키토산 변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단백질 변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규소 변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및 우레탄 에멀젼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휴면기 잔디의 표면 코팅용 무독성 수분산 수지 5 내지 20중량%, 클로로필(chlorophyll) 환상체이며 기본 골핵으로는 포르피린(porphyrin)환을 갖는 녹색 천연염료 1 내지 5중량%, 소포제와 방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0.3 내지 3 중량% 및 여분의 물이 혼합된 조성을 갖는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기 잔디용 착색도료를 휴면기 잔디에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서 상기 휴면기 잔디를 녹색으로 착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디의 착색방법.
KR1020080137905A 2008-12-31 2008-12-31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 KR10104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905A KR101040103B1 (ko) 2008-12-31 2008-12-31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905A KR101040103B1 (ko) 2008-12-31 2008-12-31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422A KR20100079422A (ko) 2010-07-08
KR101040103B1 true KR101040103B1 (ko) 2011-06-09

Family

ID=4264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905A KR101040103B1 (ko) 2008-12-31 2008-12-31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7392B1 (en) * 2015-03-30 2021-01-20 Shinyfield A chlorophyll-based agent for marking living green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576A (ja) * 1990-01-27 1991-09-30 Mitsubishi Kasei Corp 芝生用着色剤
KR19980057362A (ko) * 1996-12-30 1998-09-25 김충세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이용한 수계 방청도료 조성물
KR20080030594A (ko) * 2008-03-13 2008-04-04 주식회사 에코웰 우드칩 착색용 수분산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제조된 칼라 우드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576A (ja) * 1990-01-27 1991-09-30 Mitsubishi Kasei Corp 芝生用着色剤
KR19980057362A (ko) * 1996-12-30 1998-09-25 김충세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이용한 수계 방청도료 조성물
KR20080030594A (ko) * 2008-03-13 2008-04-04 주식회사 에코웰 우드칩 착색용 수분산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제조된 칼라 우드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422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69266A (zh) 一种茶叶病虫害防治方法
CN103503670A (zh) 红叶石楠扦插育苗方法
KR101040103B1 (ko) 잔디용 착색도료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착색방법
JP3277146B2 (ja) 植生草用着色剤及び植生草の着色方法
CN110892858A (zh) 一种草种喷播的基材及其制备方法与应用
AU2010218397A1 (en) Low-maintenance lawn seed mixtures and use thereof
US20110307977A1 (en) Grass Seed Providing Distinguishing Color From Surrounding Environments
US20060248794A1 (en) Method for repairing, regrassing or establishing a green
US20030101644A1 (en) Methods of improving winter-spring turfgrass quality
WO2016090314A1 (en) Biorational treatment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0073883A (zh) 一种二至三年生幼树苗越冬方法
Moore et al. Water-effficient landscapes for Oklahoma
KR100416521B1 (ko) 천연 식물성 염료를 이용한 칼라샌드 그 제조방법
CA2866339A1 (en) Low-maintenance lawn seed mixtures and use thereof
O’BRIEN et al. Ultradwarfs in the off-season–a winter wonderland
KR101110421B1 (ko) 대면적지 녹화용 혼합 종자 자재
Chapman Effect of Athletic Field Paint on Athletic Field Plant Species
Miller Landscaping with native plants of Texas
Alderman The effect of management practices on buffalograss divot recovery and tolerance to golf cart traffic
Booth Impact of Management Practices on Cold Tolerance of Ultradwarf Bermudagrass Putting Greens
Jacobs et al. Ecology and management of invasive hawkweeds (Hieracium Spp)
Stier Take advantage of Poa annua winterkill: Increase bentgrass on putting greens
Gordon The ecology and control of common broomweed
Duncan Christmas bells
Mathew et al. Recent Advances in Turf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