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065B1 - Mixing Cup - Google Patents

Mixing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065B1
KR101040065B1 KR1020100138898A KR20100138898A KR101040065B1 KR 101040065 B1 KR101040065 B1 KR 101040065B1 KR 1020100138898 A KR1020100138898 A KR 1020100138898A KR 20100138898 A KR20100138898 A KR 20100138898A KR 101040065 B1 KR101040065 B1 KR 10104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cup
stirring cup
solve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4348A (en
Inventor
김맹기
Original Assignee
김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맹기 filed Critical 김맹기
Priority to KR102010013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065B1/en
Publication of KR2011000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 상태의 용매가 수용되는 공간인 용매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용매 수용 공간의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는 교반컵에 있어서, 상기 교반컵에 상기 용매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되되, 상기 미세홀은 내부의 용매가 외부로 통과하지 못하며 외부의 기체가 내부로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홀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어 교반컵 또는 자판기용 컵의 내부에 형성되는 기포류 및 와류에 의해 교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교반막대 등과 같은 교반을 위한 별도의 부재료 사용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덜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신속하게 교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irring cup having a solvent accommodating space which is a space accommodating a liquid solvent therein and having an in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olvent accommodating space, such that the solvent accommodating space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stirring cup. A plurality of micro-holes are formed, the micro-hol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vent is not formed to pass through the outside and the size of the outside gas can pass through the in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micro-holes and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bubbles and vortices formed inside the stirring cup or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the use of a separate material for stirring such as a stirring rod, etc. The stirring can be performed quickly while reducing the burden and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Description

교반컵 {Mixing Cup}Stirring Cup {Mixing Cup}

본 발명은 교반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을 위한 별도의 부재료 사용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덜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신속하게 용질을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는 교반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ing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rring cup that can dissolve the solute quickly in a solvent while reducing the hassle caused by using a separate subsidiary material for stirring and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일반적으로, 용질을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만드는 교반 작업이나 서로 다른 두 액체 물질을 균일하게 섞어 혼합용액을 만드는 혼합 작업은 일상생활에서나 화학 실험을 진행하면서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진다.In general, agitation, in which a solute is dissolved in a solvent to make a solution, or mixing, in which two different liquid materials are uniformly mixed to form a mixed solution, is very frequently performed in daily life or during a chemical experiment.

일상생활에서는 커피믹스나 차믹스를 물에 용해시켜 커피나 차를 만들어 섭취할 때와 같이, 음료믹스를 물에 용해시켜 음료를 만드는 교반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티스푼을 사용하거나, 티스푼의 사용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음료믹스의 포장지를 사용하여 물 속을 저음으로써 컵 내부에서 물의 유동이 생기도록 하는 방식으로 교반 작업이 수행된다.In everyday life, it is necessary to stir a drink mix by dissolving the drink mix in water, such as dissolving coffee mix or tea mix in water to make coffee or tea. To this end, a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water is flowed inside the cup by using a teaspoon, or when the use of the teaspoon is not feasible, by stirring the water in the packaging of the beverage mix.

그러나, 이러한 티스푼, 음료믹스의 포장지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료를 물 속에 위치시킬 때, 부재료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세균이 함께 물 속에 유입될 수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반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티스푼 등과 같이 위생적인 부재료를 사용하되, 사용 전 항상 이에 대한 세척 및 건조 작업이 필요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a separate subsidiary material such as a teaspoon, a beverage mix wrapper, etc. is placed in water, foreign substances or bacteria in the subsidiary material may flow together into the water, thereby causing an unsanitary problem. In order to prevent this, a hygienic material such as a teaspoon is used every time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but there is a cumbersome disadvantage because it is necessary to always wash and dry it before use.

특히, 음료 자판기의 경우에는 음료믹스를 물에 용해시킨 음료를 내부에서 제조하여 자판기용 컵에 담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이렇게 음료 자판기 내부에서 음료믹스를 물에 용해시키는 과정은 심한 유동이 생기도록 제작된 관을 따라 물을 통과시키면서 음료믹스를 해당 관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beverage vending machine, a beverage in which the beverage mix is dissolved in water is prepared inside and placed in a cup for the vending machine to be provided to the user. It is made by injecting a beverage mix into the tube while passing water along the manufactured tube.

그러나, 이러한 음료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관의 내부 표면에는 음료믹스가 물에 용해된 음료가 통과한 후 해당 음료의 일부가 잔류하게 되는데, 주로 다량의 당류를 포함하고 있는 음료믹스의 성분이 상기 관의 내부 표면에 점착된다.However, in such a beverage vending machine, a portion of the beverage remains after the beverage mix dissolved in water passe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and a component of the beverage mix mainly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ugar is contained in the tube. Stick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따라서, 종래의 음료 자판기는, 당류에 의한 끈적임으로 음료 자판기 내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관의 내부 표면에 흡착되거나, 이러한 당류에 의해 상기 관 내부에서 세균 번식이 왕성해질 수 있다. 즉, 이러한 이물질이나 세균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료에 유입될 수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빈번하게 상기 관에 대한 세척 및 건조 작업이 필요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beverage vending machine is sticky by the sugar,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nside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can be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or the bacteria propagation in the inside of the tube by the sugar. That is, such foreign matter or bacteria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provided to the user there is an unsanitary problem.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for the tube are very frequently required, which is cumbersome.

한편, 실험실 등에서 화학 실험 등에서는 액상의 원료(용매)에 약품 등과 같은 분말의 고체원료(용질)를 용해시키는 교반 작업, 및 액상 화학약품이나 유류 화학약품 등 서로 다른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 작업이 빈번하게 수행되는데, 이러한 교반 작업 또는 혼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교반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chemical experiments in laboratories, stirring operations for dissolving solid raw materials (solutes) such as chemicals in liquid raw materials (solvents) and mixing operations for mixing different raw materials such as liquid chemicals or oil chemicals are frequently performed. In the case of carrying out such a stirring or mixing operation, an optional stirring device may be used.

이러한 종래의 교반장치는, 교반 대상물이나 혼합 대상물을 수용하는 교반컵 내부에 프로펠러 형상 등으로 구비되는 교반부재가 위치되고, 별도의 구동부가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교반컵 내부에 유동을 만드는 방식으로 교반 작업을 수행한다.In the conventional stirring apparatus, a stirring member provided in a propeller shape or the like is positioned inside a stirring cup for accommodating a stirring object or a mixing object, and a separate driving unit rotates the stirring member to create a flow in the stirring cup. Perform the stirring operation.

그러나, 종래의 교반장치는 교반 대상물 또는 혼합 대상물이 변경되는 경우 교반컵 내부에 대한 세척 및 건조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세척 작업 시에 교반컵 내부의 교반부재를 꼼꼼히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교반부재가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도록 개발된 교반장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세척 작업 시 마다 교반부재를 분리해야 하고, 건조시킨 후에는 해당 교반부재를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irring device requires a washing and drying operation for the inside of the stirring cup when the stirring object or the mixing object is changed, there is a hassle to thoroughly wash the stirring member inside the stirring cup during this washing operation. There is also a stirring device developed to separate or assemble the stirring member in order to alleviate this hassle, but even in this case, the stirring member must be removed every time the w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trouble of assembling the stirring member after drying still remains. have.

또한, 대개 상기 교반컵에 별도의 구동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로 인한 무게 및 부피로 인해 세척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drive unit is usually fixed to the stirring cup,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hing operation is inconvenient due to the weight and volum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반막대 등과 같이 교반을 위해 용매 내부에 위치되는 별도의 부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교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교반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irring cup that can perform the stirring opera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material located inside the solvent for stirring, such as a stirring ro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 상태의 용매가 수용되는 공간인 용매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용매 수용 공간의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는 교반컵에 있어서, 상기 교반컵에 상기 용매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되되, 상기 미세홀은 내부의 용매가 외부로 통과하지 못하며 외부의 기체가 내부로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irring cup is formed in the solvent receiving space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liquid solvent is accommodated inside the inle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olvent receiving space, A plurality of micro holes are formed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solvent accommodating space, wherein the micro holes are formed to have a size that does not allow the solvent inside to pass through the outside and allows the outside gas to pass through therein.

상기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0.001 ~ 0.2mm의 크기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 holes have a size of 0.001 ~ 0.2mm.

상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컵에 상기 용매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구비되며, 상기 미세홀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the stirring cup to form the solvent receiving space, the fine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외주부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mber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so that the cavity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상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컵은 컵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자판기용 컵으로 이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stirring cup may have a cup shape, it may be used as a cup for the vending machine.

이러한 본 발명의 교반컵에 의하면, 교반컵에 형성된 미세홀을 통해 기체가 유입 토출되어 교반컵의 내부에 형성되는 기포류 및 와류로 인해 교반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irring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due to the bubbles and vortice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tirring cup by the gas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ne holes formed in the stirring cup.

따라서, 교반막대나 티스푼 등과 같은 교반을 위한 별도의 부재료 사용으로 인한 구비 및 반복적인 세척ㆍ건조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상기 부재료가 교반 대상물과 접촉됨에 따라 이를 통한 이물질이나 세균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어 교반이 완료된 교반물에 이물질이 없고 위생적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f the preparation and repetitive washing and drying due to the use of a separate material for agitation, such as a stirring rod or a teaspoon, and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bacteria through the material as it is in contact with the stirring object. The agitation is complete, there is no foreign matter and sanitary.

그리고, 교반 대상물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교반장치와는 별도의 경량 교반컵의 내부만 세척 및 건조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상기 교반컵을 다수개 구비하여 교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tirring object is changed, the inside of the lightweight stirring cup separate from the stirring device can be used simply by washing and drying, and a plurality of stirring cups tha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can be replaced and used. Easy to maintain and manage

또한, 음료 자판기에 있어서, 음료 자판기 내부에서 음료믹스를 물에 용해시켜 자판기용 컵에 담지 않고, 자판기용 컵에 음료믹스와 물을 각각 별도로 담아 신속하게 용해시킬 수 있으므로 음료 자판기 내부를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료에도 이물질이 없고 위생적이다.In addition, i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dissolve the beverage mix in water in the vending machine and not dissolve it in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Not only can it be kept clean, but the drink provided to the user is free of foreign substances and hygienic.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사용되는 교반컵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irring cup used in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odule provided in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는, 용질을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만드는 교반 작업이나 서로 다른 두 액체 물질을 균일하게 섞어 혼합용액을 만드는 혼합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음료믹스를 물에 용해시키는 교반 작업이 필요한 음료 자판기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erforming a stirring operation for dissolving a solute in a solvent to form a solution or a mixing operation for uniformly mixing two different liquid substances to form a mixed solution, and a stirring operation for dissolving a drink mix in water.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necessary beverage vending machine.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사용되는 교반컵에 대해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컵(100)의 내부에는 액체 상태의 용매(10)와 고체 상태의 용질(20)과 같은 교반 대상물들이 수용되는 용매 수용 공간을 이루며, 용매 수용 공간에서 교반 작업이 수행된다. 아울러 교반컵(100)의 용매 수용 공간의 상부에는 용매(10)나 용질(20)을 투입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된다.First, the stirring cup used in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1 and 2, inside the stirring cup 100, the solvent 10 in the liquid state and the solute in the solid state ( 20) forms a solvent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stirring objects, such as 20) are accommodated, and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olvent receiving space. In addition, an inlet for injecting the solvent 10 or the solute 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olvent receiving space of the stirring cup 100.

교반컵(100)은 컵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바닥면(100a)에 복수의 미세홀(110)이 형성된다.The stirring cup 100 is provided in a cup shape, and a plurality of fine holes 11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0a.

상기 복수의 미세홀(110)은 외부의 기체가 교반컵(100)의 내부로 토출되는 곳으로서, 교반컵(100) 내부의 용매(10) 또는 용질(20)은 용매(10)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되지 못하고, 외부의 기체는 내부로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is a place where external gas is discharged into the stirring cup 100, and the solvent 10 or the solute 20 inside the stirring cup 100 i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lvent 10. By not pass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outside gas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pass through the inside.

이에 따라, 미세홀(110)의 크기는 교반 대상물의 종류와 온도 및 교반컵(100)의 재질 등에 따라 0.001 ~ 0.2mm의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교반 대상물인 용매(10)가 상온의 물이고 용질(20)이 커피믹스인 경우에는 약 0.05mm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size of the fine hole 110 may be formed in a size within the range of 0.001 ~ 0.2mm depending on the type and temperature of the stirring target and the material of the stirring cup 100, for example, the solvent (10) ) Is water at room temperature and the solute 20 is a coffee mix,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of about 0.05mm.

만약, 상기 미세홀(110)의 크기가 0.001mm 미만으로 구비될 경우, 매우 높은 압력을 인가하더라도 기체의 토출 강도가 미미할 수 있고, 0.2mm 초과로 구비될 경우, 용매(10)가 미세홀(11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표면장력이 한계점에 이르러 용매(10)가 하측으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size of the micro holes 110 is less than 0.001 mm, even if a very high pressure is applied, the discharge strength of the gas may be insignificant, and if the size of the micro holes 110 is greater than 0.2 mm, the solvent 10 may be fine holes ( This is because the solvent 10 may leak to the lower side when the surface tension that prevents it from passing through 110 is reached.

이러한 복수의 미세홀(110)은 복수의 미세핀이나 레이저 가공기 등을 이용하여 교반컵(100)의 바닥면(100a)에 형성할 수 있는데, 그 형성 방법은 자유롭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0a of the stirring cup 100 using a plurality of micro pins or a laser processing machine, and the forming method may be freely applied.

바람직하게 복수의 미세홀(110)은 교반컵(100)의 바닥면(100a) 전면(全面)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100여개가 형성되는데, 그 형성 분포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70여개의 미세홀(110)이 바닥면(100a)의 중심부에는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에 집중되어 분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are formed to be approximately 100 to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00a of the stirring cup 100, but the distribution or number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bout 70 micro holes 110 may be formed so as to be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art instead of be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00a.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는, 밀착모듈(200) 및 기체공급모듈(300)을 포함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1,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effect and use state of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se contact module 200 and a gas supply module 300.

상기 밀착모듈(200)은 기체공급모듈(300)에서 공급되는 고압 기체가 교반컵(100)의 바닥면(100a)에 공급 인가될 수 있도록 교반컵(100)과 기체공급모듈(300)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The close contact module 200 connects the stirring cup 100 and the gas supply module 300 so that the high pressure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module 300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00a of the stirring cup 100. It acts as an intermediary.

이를 위해, 상기 밀착모듈(200)은 상면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상기 바닥면(100a)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으로 압력홈(210)이 형성된 일종의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모듈(200)에는 압력홈(210)과 연통되며 기체공급모듈(300)에 연결되는 연통유로(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에서 공급되는 고압 기체는 연통유로(220)를 통과하여 압력홈(210)에 도달하게 된다.To this end,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upper surface elasticity,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in a kind of plate shape in which the pressure groove 210 is formed with an area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100a). In addition,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ressure groove 210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220 is connected to the gas supply module 300 is formed. Therefore, the high pressure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module 300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220 to reach the pressure groove 210.

상기 밀착모듈(200)의 상면에는 압력홈(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교반컵(100)의 바닥면(100a)이 밀착된다. 이러한 밀착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별도의 밀착유닛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ottom surface 100a of the stirring cup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groove 210. Such a close operation may be made by a user, or may be made by a separate close contact unit.

그리고 상기 밀착모듈(200)의 상면에는 압력홈(210)의 바깥쪽으로 교반컵(100)의 밀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별도의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guide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to guide the close contact position of the stirring cup 100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groove 210.

이렇게 밀착모듈(200)과 교반컵(100)이 밀착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모듈(200)의 상면은 교반컵(100)의 바닥면(100a)에 의해 가압되고, 압력홈(210)은 그 상측이 바닥면(100a)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기체공급모듈(300)에서 공급되어 압력홈(210)에 인가된 고압 기체는 상기 바닥면(100a)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된다.When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and the stirring cup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s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100a of the stirring cup 100, and the pressure groove 210 ) Is sealed by the bottom surface 100a. Therefore, the high pressure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module 300 and applied to the pressure groove 210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ne holes 110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0a.

상기 고압 기체가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되면 기포(30) 형태로 부력에 의해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용매(10)의 내부에는 기포(30)에 의한 기포류(Bubble flow)와 와류(Vortex)가 일어나 교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포류와 와류에 의한 교반 작용으로 용질(20)이 용매(10)에 급격히 용해된다.When the high-pressur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the bubble 30 rises rapidly by buoyancy in the form of bubbles 30, and at this time, bubbles inside the solvent 10 are bubbled by bubbles 30 and Vortex occurs and stirring takes place. The solute 20 rapidly dissolves in the solvent 10 due to the stirring action of the bubbles and vortices.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은 고압 기체를 생성하여 연통유로(220) 및 압력홈(210)을 통해 교반컵(100)의 바닥면(100a)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고압 기체의 압력은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교반컵(100)의 내부에서 바닥면(100a)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높게 구비된다.The gas supply module 300 generates a high pressure gas and applies it to the bottom surface 100a of the stirring cup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220 and the pressure groove 210.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is provided higher tha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00a) inside the stirring cup 10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ne hole (110).

그리고, 교반 작용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미세홀(110)을 통해 고압 기체가 빠른 속도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압 기체의 압력은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되는 고압 기체의 유량이 1000cc/min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용매(10)가 상온의 물, 용질(20)이 커피믹스인 경우 0.1kg/cm2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 pressure gas is discharged at a high speed through the micro holes 110 so that the stirring ac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To this end,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is the solvent 10 is water at room temperature, solute 20 is a coffee mix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high-pressure ga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can be 1000cc / min or more If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more than 0.1kg / cm 2 .

그러나, 이러한 고압 기체의 압력은 이와 같은 예시적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매(10) 및 용질(20)의 종류와 온도, 교반컵(100)의 크기, 미세홀(110)의 크기 및 구비 개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gas is not limited to these exemplary values, but the type and temperature of the solvent 10 and the solute 20, the size of the stirring cup 100, the size and the size of the fine holes 110 are provided. It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number.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이 생성하는 고압 기체는 공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에 의한 오염이 염려될 경우에는 불활성기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교반이 완료된 교반물에 향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향이 첨가된 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온의 교반 대상물을 교반과 동시에 냉각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저온의 공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반대로 저온의 교반 대상물을 교반과 동시에 가열하고 싶을 경우에는 고온의 공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The high pressure gas generated by the gas supply module 300 may be 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it is concerned about contamination by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it may be made of an inert gas, and if it is desired to give an aroma to the stirred solution, it may be made of a gas with added fragrance, and a hot stirring object. If you want to cool at the same time with stirring, may be made of low-temperature air, on the contrary, if you want to heat the low-temperature stirring target at the same time may be made of hot air.

또한,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에는 통과하는 기체에 포함된 먼지 등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와 같은 거름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as supply module 30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with a filtering member such as a filter for filtering impuriti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gas passing through.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용매(10)와 용질(20)을 교반컵(100)에 넣고, 밀착모듈(20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교반컵(100)을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기체공급모듈(300)을 작동시키면 고압 기체가 생성되면서 압력홈(210)에 인가되어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교반 작업이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using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uts the solvent 10 and the solute 20 into the stirring cup 100 and seats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Thereaft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gas supply module 300 while pressing the stirring cup 100 downward, a high pressure gas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pressure groove 21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ne holes 110 to stir the work. Is done.

여기서, 교반컵(100)을 밀착모듈(200)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가압하는 작업은 사용자가 아닌 별도의 밀착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Here, the operation of seating and pressing the stirring cup 1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close contact unit instead of the user.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는 밀착모듈(200') 및 기체배출모듈(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effect and use state of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se contact module 200 ′ and a gas discharge module 400.

상기 밀착모듈(200')은 기체배출모듈(400)이 교반컵(10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교반컵(100)과 기체배출모듈(400)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The close contact module 200 'serves as a medium for connecting the stirring cup 100 and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so that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can discharge the gas inside the stirring cup 100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상기 밀착모듈(200')은 하면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종의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모듈(200')에는 하부가 개방되며 기체배출모듈(400)에 연결되는 연통유로(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배출모듈(400)에 의해 생성되는 낮은 압력은 연통유로(220')를 통과하여 연통유로(220')의 개방된 하부로 인가된다.To this end,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lower surface and is provided in a kind of plate shape. In addition, a communication passage 220 'is formed in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the lower portion of which is open and connected to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Therefore, the low pressure generated by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is applied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20'.

상기 밀착모듈(200')의 하면에 교반컵(100)의 입구(100b)가 밀착된다.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이러한 밀착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별도의 밀착유닛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inlet 100b of the stirring cup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such a close operation may be made by the user, it may be made by a separate close contact unit.

이렇게 밀착모듈(200')과 교반컵(100)이 밀착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모듈(200')의 하면은 교반컵(100)의 입구(100b)에 의해 가압되고, 연통유로(220')의 개방된 하부는 교반컵(100)의 내부와 연결되면서 밀폐된다. 이때, 기체배출모듈(400)이 연통유로(220')를 통하여 교반컵(10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면, 교반컵(1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외부의 공기가 복수의 미세홀(110)로 유입 토출된다.When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and the stirring cup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s pressed by the inlet 100b of the stirring cup 100, and a communication flow path (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220 'is clos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tirring cup 100. At this time, when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discharges the gas inside the stirring cup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220 ', the pressure inside the stirring cup 100 is lowered, the outside air is a plurality of fine Inflow and discharge into the hole (110).

이렇게 토출된 외부의 공기가 교반컵(100)의 내부에서 교반 작용을 일으키는 데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에 기술된 바와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xternal air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causing the stirring action inside the stirring cup 100 is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기체배출모듈(400)은 연결된 연통유로(220')를 통해 교반컵(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흡인 배출하여 교반컵(100) 내부에 낮은 압력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기체배출모듈(400)의 이상적인 흡인 세기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되는 고압 기체의 유량이 1000cc/min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s discharge module 400 suctions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stirring cup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ed communication passage 220 'to form a low pressure inside the stirring cup 100. At this time, the ideal suction strength of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 flow rate of the high-pressure ga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can be 1000cc / min or more as in the first embodiment. .

그러나, 이러한 흡인 세기는 용매(10) 및 용질(20)의 종류와 온도, 교반컵(100)의 크기, 미세홀(110)의 크기 및 구비 개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However, the suction strength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temperature of the solvent 10 and the solute 20, the size of the stirring cup 100, the size of the microholes 110 and the number of the provided holes.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용매(10)와 용질(20)을 교반컵(100)에 넣고, 밀착모듈(200')의 하면에 교반컵(100)의 입구(100b)가 밀착되도록 교반컵(100)을 상측으로 가압하면서 기체배출모듈(400)을 작동시키면 연통유로(220')를 통해 교반컵(100) 내부의 공기가 흡인 배출되면서 교반컵(100) 내부에 낮은 압력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교반 작업이 이루어진다.When using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uts the solvent 10 and the solute 20 into the stirring cup 100, the low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of the stirring cup 100 When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is operated while pressing the stirring cup 100 upward so that the inlet 100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100b, the air inside the stirring cup 100 is sucked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220 'and the stirring cup 100 is pressed. Low pressure is formed in the inside), and as a resul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ne holes 110 to perform stirring.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는 지지모듈(500) 및 기체공급모듈(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은 제1실시예의 기체공급모듈(300)과 그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기체공급모듈(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use of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odule 500 and a gas supply module 300 '. Here, the gas supply module 300 'is similar in configuration to the gas supply module 3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as supply module 300 ′ refers to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사용되는 교반컵(100')은 전술된 제1ㆍ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교반컵(100)과 다소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모듈(500)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기 교반컵(100')에 대해 우선적으로 설명한다.The stirring cup 100 'used in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stirring cup 100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fore,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support module 500, the stirring cup 100 'will be described first.

상기 교반컵(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형상으로 구비되고, 바닥면(100a')에 복수의 미세홀(110')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100a')의 외주부를 따라 하측으로 지지부재(120)가 돌출되어 바닥면(100a')의 하측에 공동부(13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tirring cup 100 ′ is provided in a cup shape, and a plurality of fine holes 110 ′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0 a ′,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00 a ′. The support member 120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cavity 130 is formed below the bottom surface (100a ').

여기서, 상기 바닥면(100a')에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홀(110')은 제1ㆍ제2실시예의 교반컵(100)에 대한 설명에 기재된 미세홀(110)과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0 a ′ hav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micro holes 110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irring cup 100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부재(120)는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이나 다회용 플라스틱컵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구조로서, 후술되는 지지모듈(500)은 지지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130)를 이용하여 교반컵(100')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는,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이나 다회용 플라스틱컵을 교반컵(100')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착안하여 구성된 교반장치이다.The support member 120 is a structure generally provided in a widely used disposable paper cup or a multi-use plastic cup, the support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using the cavity 130 formed by the support member 120 The stirring cup 100 'is fixedly supported. That is,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irring device configured by focusing on using a widely used disposable paper cup or a multi-use plastic cup as a stirring cup 100 '.

그리고, 이러한 지지부재(120)를 이용하여, 제1ㆍ제2실시예에 구비되었던 밀착모듈(200, 200')의 역할을 후술되는 지지모듈(500)이 겸하게 된다.Then, by using the support member 120, the support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serves as the close contact module (200, 200 ')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이러한 지지모듈(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모듈(500)은 삽입부재(510), 가압부재(520), 탄성부재(530), 고정축(540) 및 구동부(5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support module 500 in more detail, the support module 500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510, the pressing member 520, the elastic member 530, the fixed shaft 540 and the driving unit 550. do.

상기 삽입부재(510)는 교반컵(100')의 공동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공동부(1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중심부에 관통홀(511)이 형성되며, 지지판(X)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13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재(510)의 형상도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sertion member 51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vity 130 of the stirring cup 100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cavity 130, and a through hole 511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It is located on the support plate X.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vity 130 has a circular shape, but the shape of the insertion member 510 is also shown in a 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가압부재(520)는 삽입부재(510)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고, 삽입부재(510)의 상측에 위치되며, 관통홀(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521)이 형성된다.The pressing member 520 is provided to have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insertion member 510, is positioned above the insertion member 510, and a fastening hole 52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511. .

상기 탄성부재(530)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삽입부재(510)와 가압부재(520)의 사이에 개재된다.The elastic member 53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elasticity,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510 and the pressing member 520.

상기 고정축(540)은 그 상단이 삽입부재(510)의 관통홀(511)을 통과하여 가압부재(520)의 체결홀(521)에 고정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540)의 상단측 내부에는 기체유로(541)가 형성되는데, 그 기체유로(541)의 출구(541a)는 고정축(54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삽입부재(510) 및 가압부재(520)가 교반컵(100')의 공동부(130) 내에 삽입되어 교반컵(100')이 지지되었을 때, 상기 공동부(130) 내에 위치된다.The upper end of the fixed shaft 54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511 of the insertion member 510 and is fixed to the fastening hole 521 of the pressing member 520. In addition, a gas flow passage 541 is formed inside the upper end side of the fixed shaft 540, and the outlet 541a of the gas flow passage 54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shaft 540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510. When the pressure member 520 is inserted into the cavity 130 of the stirring cup 100 ′ and the stirring cup 100 ′ is supported, the pressing member 520 is positioned in the cavity 130.

상기 기체유로(541)의 입구(541b)는 기체공급모듈(300')과 연결되고, 고정축(540)의 측부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기체유로(541)의 입구(541b)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541b of the gas passage 541 is connected to the gas supply module 300 ′ and is provided at the side of the fixed shaft 54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inlet 541b of the gas passage 54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freely.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510) 및 가압부재(520)가 교반컵(100')의 공동부(130) 내에 삽입되어 교반컵(100')이 지지되었을 때, 기체공급모듈(300')로부터 공급된 고압 기체는 기체유로(541)를 통과하여, 교반컵(100')의 공동부(130) 내부에 인가된다.Therefore, when the insertion member 510 and the pressure member 520 are inserted into the cavity 130 of the stirring cup 100 'and the stirring cup 100' is supported, it i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module 300 '. The high pressure gas passes through the gas flow passage 541 and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vity 130 of the stirring cup 100 '.

한편, 상기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기둥의 각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는 고정판(Y)에 설치되는데, 고정판(Y)에는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가 삽입될 수 있는 육각 형상의 홀이 형성된다. 즉, 그 육각 형상의 홀 내부에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가 설치되므로, 고정축(540)은 고정판(Y)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portion 540a of the fixed shaft 540 may be provided in an angular shape of a hexagonal pillar,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540a of the fixed shaft 540 is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Y, and the fixed plate Y is formed with a hexagonal hole into which the lower end 540a of the fixed shaft 540 can be inserted. That is, since the lower end portion 540a of the fixed shaft 540 is provided inside the hexagonal hole, the fixed shaft 540 is fixed not to be rotated by the fixing plate Y.

그리고, 상기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54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홈(542)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구동부(550)의 볼스크류(551)가 결속된다.In addition, a screw groove 542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540a of the fixed shaft 540. The ball screw 551 of the driving unit 55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crew groove 542.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는 육각 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각진 형상으로 구비되면 족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Y)에도 사각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portion 540a of the fixed shaft 54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but if provided in an angular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ower end portion 540a of the fixed shaft 54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nd a square hole may also be formed in the fixing plate Y.

상기 구동부(550)는 고정축(540)을 승강시켜 고정축(540)에 고정 체결된 가압부재(520)를 선택적으로 삽입부재(510) 측으로 이송함으로써, 삽입부재(510)와 가압부재(520)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30)를 가압 변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550)는 볼스크류(551) 및 구동모터(552)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550 lifts the fixed shaft 540 to selectively transfer the pressing member 520 fixedly fastened to the fixed shaft 540 to the insertion member 510, thereby inserting the member 510 and the pressing member 520. Pressure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530 interposed between the). To this end, the driving unit 550 includes a ball screw 551 and a driving motor 552.

상기 볼스크류(551)는 고정축(540)의 하단부(540a) 내부에 형성된 나사홈(542)에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결속되어 구동모터(552)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볼스크류(551)가 회전되면 고정판(Y)에 의해 회전될 수 없도록 고정된 고정축(540)은 볼스크류(551)의 정ㆍ역방향 회전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The ball screw 551 is bound by a state capable of rotating in the screw groove 542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540a of the fixed shaft 54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552. When the ball screw 551 is rotated, the fixed shaft 540 fixed so as not to be rotated by the fixing plate Y is lift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ball screw 551.

상기 구동모터(552)는 회전되는 구동축이 볼스크류(551)의 하단과 결합되어 볼스크류(55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552)는 베이스(B)에 고정 설치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스크류(551)의 회전에 따라 고정축(540)이 승강한다.The driving motor 55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ll screw 551, the rotating drive shaft to rotate the ball screw 55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ince the driving motor 55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B,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shaft 54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551.

상기 구동모터(552)에 의해 고정축(540)에 연결된 가압부재(520)가 삽입부재(510) 측으로 하강하면, 삽입부재(510)와 가압부재(520)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30)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교반컵(100')의 지지부재(120)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5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교반컵(100')이 지지모듈(500)에 의해 지지되고, 교반컵(100')의 공동부(130)가 밀폐될 수 있다.When the pressing member 520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540 by the driving motor 552 is lowered to the insertion member 510, the elastic member 530 interposed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510 and the pressing member 520. ) Is elastically deformed and protrudes out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20 of the stirring cup 100 '. The stirring cup 100 ′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odule 500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530, and the cavity 130 of the stirring cup 100 ′ may be sealed.

이 상태에서, 기체공급모듈(300')이 고압 기체를 기체유로(541)를 통해 공동부(130)에 공급하면, 고압 기체는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교반컵(100') 내부에서 교반 작업이 이루어진다.In this state, when the gas supply module 300 ′ supplies the high pressure gas to the cavity 130 through the gas flow passage 541, the high pressur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ne holes 110 ′, as described above.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side the stirring cup 100 '.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510)에는 이처럼 탄성부재(530)가 가압 변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안내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513)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clined surface 513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member 510 to guide and enlarge the elastic member 530 under pressure deformation and protrude outwar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축(540)과 구동부(550)는 삽입부재(510)의 상측에 위치된 가압부재(520)를 하강시켜 탄성부재(530)의 변형을 일으키도록 구비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가압부재(520)가 삽입부재(510)의 하측에 위치되고 고정축(540)과 구동부(550)가 가압부재(520)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shaft 540 and the driving unit 550 is provided to cause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530 by lowering the pressing member 520 located above the insertion member 510. However, on the contrary, the pressing member 52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insertion member 510 and the fixed shaft 540 and the driving unit 550 may be provided to raise the pressing member 520.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용매(10)와 용질(20)을 교반컵(100')에 넣고, 지지모듈(500)의 상측에 안착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구동부(550)를 작동시키면 지지모듈(500)에 의해 교반컵(100')이 고정되고, 공동부(130)가 밀폐된다. 그 후, 사용자가 기체공급모듈(300')을 작동시키면 고압 기체가 공동부(130)에 공급되어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교반 작업이 이루어진다.
When using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uts the solvent 10 and the solute 20 into the stirring cup 100 ', and seats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odule 500. Thereaft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driving unit 550, the stirring cup 100 ′ is fixed by the support module 500, and the cavity 130 is sealed. Thereaft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gas supply module 300 ′, the high pressure gas is supplied to the cavity 13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ne holes 110 ′ to perform the stirring operation.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사용되는 교반컵(100')은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교반컵(100')과 동일하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the configuration, operation effect and use state of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irring cup 100 'used in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tirring cup 100'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는 지지모듈(500') 및 기체공급모듈(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은 제1실시예의 기체공급모듈(300)과 그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하고, 이하 상기 지지모듈(5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odule 500 'and a gas supply module 300' '. Here, the gas supply module 300 ″ is similar in configuration to the gas supply module 3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as supply module 300 ″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support module 500 ′.

상기 지지모듈(500')은 교반컵(100')을 지지하고 기체공급모듈(300'')의 고압 기체가 공동부(130)에 공급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모듈(500')은 삽입체(560) 및 탄성체(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upport module 500 ′ supports the stirring cup 100 ′ and serves as a medium for supplying the high pressure gas of the gas supply module 300 ″ to the cavity 130. To this end, the support module 500 'includes an insert 560 and an elastic body 570.

상기 삽입체(560)는 교반컵(100')의 공동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공동부(1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그 측면을 따라 공압홈(5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체(560)에는 공압홈(561)의 내측과 연통되고 기체공급모듈(300'')과 연결되는 제1공압유로(562)가 형성된다.The insert 56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vity 130 of the stirring cup 100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cavity 130, and a pneumatic groove 561 is formed along the side thereof. do. In addition, a first pneumatic flow path 562 is formed in the insert 560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pneumatic groove 561 and to be connected to the gas supply module 300 ″.

상기 탄성체(57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삽입체(560)의 측면을 따라 공압홈(561)을 밀폐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은 제1공압유로(562)를 통해 공압홈(561)의 내부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고, 이에 따라 도 6에 상세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홈(56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탄성체(570)가 외측으로 변형되며 교반컵(100')의 지지부재(120) 내면에 밀착되고, 이에 의해 교반컵(100')이 지지되는 것이다.The elastic body 57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provided to seal the pneumatic groove 561 along the side of the insert 560. Therefore, the gas supply module 300 ″ supplies the high pressure gas into the pneumatic groove 561 through the first pneumatic flow path 562, and thus, 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pneumatic groove ( As the pressure inside the 561 increases, the elastic body 570 is deformed to the outsid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20 of the stirring cup 100 ', thereby supporting the stirring cup 100'.

한편, 상기 삽입체(560)의 중심부에는 기체공급모듈(300'')과 연결되는 제2공압유로(563)가 형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570)가 외측으로 변형되며 교반컵(100')의 지지부재(120) 내면에 밀착되면 공동부(130)가 밀폐되게 되고, 이때 기체공급모듈(300'')로부터 고압 기체가 제2공급유로(563)에 공급되면 고압 기체가 공동부(130)에 공급 인가되면서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되어 교반컵(100') 내부에서 교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a second pneumatic flow path 563 connected to the gas supply module 300 ″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 560.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body 570 is deformed to the outside and the stirring cup ( The cavity 130 is sealed when the support member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20. At this time, when the high pressure gas i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module 300 ″ to the second supply passage 563, the high pressure gas is hollow. As it is supplied to the unit 130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fine holes (110 ') is a stirring operation is made in the stirring cup (100').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500')은 기체공급모듈(300'')로부터 고압 기체가 공압홈(561)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탄성체(570)가 외측으로 변형되어 교반컵(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었으나, 고압 기체를 공급하여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변형시킴으로써 교반컵(100')을 지지하도록 구현되는 방식이면 족하고, 그 구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지지모듈(500')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튜브가 구비되고, 기체공급모듈(300'')로부터 고압 기체가 이러한 튜브에 공급됨에 따라 튜브가 부피가 커져 교반컵(100')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odule 500 ′ is supplied with a high pressure gas from the gas supply module 300 ″ into the pneumatic groove 561, whereby the elastic body 570 is deformed outward. Although it is provided to support the stirring cup 100 ', it is sufficient if the method is implemented to support the stirring cup 100' by deforming a component made of an elastic member by supplying a high pressure gas, the implementation manner is not limited thereto. . That is, the support module 500 'is provided with a tube made of an elastic member, and as the high pressure gas is supplied to the tube from the gas supply module 300' ', the tube becomes bulky to support the stirring cup 100'. It may be implemented to.

상기 기체공급모듈(300'')은 고압 기체를 제1공압유로(562) 및 제2공압유로(563)에 모두 공급하도록 구비되는데, 여기서 제1ㆍ제2공압유로(562, 563) 각각에 요구되는 고압 기체의 압력은 상이할 수 있고, 각각 요구되는 압력의 고압 기체가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별도의 제어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The gas supply module 300 ″ is provided to supply high pressure gas to both the first pneumatic flow path 562 and the second pneumatic flow path 563, w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neumatic flow paths 562 and 563 is provided. The pressure of the required high pressure gas may be different, and a separate control module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supply of the high pressure gas at the required pressure.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기체공급모듈(300'')이 고압 기체를 제1공압유로(562) 및 제2공압유로(563)에 모두 공급하도록 구비되었으나, 제1ㆍ제2공압유로(562, 563)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모듈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supply module 300 ″ is provided to supply high pressure gas to both the first pneumatic flow path 562 and the second pneumatic flow path 563, but the first and second pneumatic pressures are increased. Modules for supplying high pressure gas to the flow paths 562 and 563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용매(10)와 용질(20)을 교반컵(100')에 넣고, 지지모듈(500')의 삽입체(560)가 공동부(130)에 삽입되도록 안착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기체공급모듈(300'')을 작동시켜 제1공압유로(562)에 고압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면 탄성체(570)가 외측으로 변형 돌출되면서 교반컵(100')이 고정되고 공동부(130)가 밀폐된다. 그 후, 사용자가 기체공급모듈(300'')의 고압 기체가 제2공압유로(563)로 공급되도록 하면, 고압 기체가 공동부(130)에 공급 인가되어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교반 작업이 이루어진다.When using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uts the solvent 10 and the solute 20 into the stirring cup 100 ', the insert 560 of the support module 500' Seated to be inserted into the portion 130. Thereaft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gas supply module 300 ″ to supply the high pressure gas to the first pneumatic flow path 562, the stirring body 100 ′ is fixed while the elastic body 570 is deformed and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the cavity part is fixed. 130 is sealed. Thereafter, when the user causes the high pressure gas of the gas supply module 300 ″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pneumatic flow path 563, the high pressure gas is supplied to the cavity 130 to supply a plurality of fine holes 110 ′. By discharging through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본 발명의 제3ㆍ제4실시예는 지지모듈(500, 500')로 교반컵(100')의 공동부(130)를 지지 밀폐시키고, 공동부(130)에 고압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고압 기체가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되도록 구현되었으나, 이러한 지지모듈(500, 500')의 구성은 제2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and seal the cavity 130 of the stirring cup 100 'with the supporting modules 500 and 500', and supply the high pressure gas to the cavity 130 to supply the high pressure gas. Is implement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odules 500 and 500'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예를 들어, 상기 지지모듈(500, 500')에 대응되는 구성요소가 상측에서 교반컵(100, 100')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고, 그 내측 상부를 지지 밀폐한 상태로 기체배출모듈(400)이 교반컵(100, 100') 내부의 기체를 배출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토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odules 500 and 500 'is positioned above the inner side of the stirring cups 100 and 100' from the upper side, and the gas discharge module 400 supports and seals the inner upper side thereof. )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by discharging the gas inside the stirring cups 100 and 10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ㆍ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경우,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이나 다회용 플라스틱컵을 교반컵(100')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이나 다회용 플라스틱컵을 자판기용 컵으로 사용하는 음료 자판기에 적용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a widely used disposable paper cup or a multi-use plastic cup can be used as the stirring cup 100 ', such a disposable paper cup or a multi-use The plastic cup can be applied to a beverage vending machine using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단, 본 발명의 제3ㆍ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적용시킨 음료 자판기에 사용되는 자판기용 컵은, 상기 일회용 종이컵이나 다회용 플라스틱컵은 그 바닥면에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것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미세핀을 이용하거나 레이저 가공기 등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 추가로 손쉽게 대량 제조될 수 있다.However,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used i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disposable paper cup or the multi-use plastic cup should be used hav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is can be easily mass-produced by the addition of a simple process by using the above-described fine pin or using a laser processing machine.

상세히 설명하면, 음료 자판기 내부에 구비되는 자판기용 컵 공급기에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일회용 종이컵이나 다회용 플라스틱컵을 적재해 두고, 음료를 내부에 수용시키기 위해 자판기용 컵 공급기가 자판기용 컵을 공급 안착시키는 위치의 하측에 상기 지지모듈(500, 500')이 위치되도록 상기 교반장치를 설치한다.In detail, a cup machine for a vending machine provided inside a beverage vending machine is loaded with a disposable paper cup or multiple plastic cups having a plurality of micro holes, and the cup machine for the vending machine supplies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to accommodate the beverage therein. The stirring device is installed so that the support modules 500 and 500 'are positioned below the seating position.

그리고, 자판기용 컵 공급기에 의해 상기 위치에 자판기용 컵이 공급되면, 지지모듈(500, 500')이 작동하여 자판기용 컵을 고정하고, 자판기용 컵 내부에는 음료믹스와 물을 각각 별도로 공급한다.When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is supplied to the position by the cup feeding machine for the vending machine, the support modules 500 and 500 'operate to fix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and the beverage mix and the water are separately supplied to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

이 후, 기체공급모듈(300', 300'')에 의해 고압 기체가 공급되어 복수의 미세홀(110')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토출되면, 토출되는 기포에 의한 기포류 및 와류로 음료믹스가 물에 신속하게 용해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high pressure gas is supplied by the gas supply modules 300 'and 300' 'and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11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everage mix is caused by bubbles and vortices caused by the discharged bubbles. Soluble in water quickly.

그 후, 사용자가 음료가 수용된 자판기용 컵을 가져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모듈(500, 500')이 작동 중지되어 자판기용 컵을 분리한다.Thereafter, the support modules 500 and 500 'are deactivated to separate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so that the user can take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in which the drink is accommodated.

한편, 상기 지지모듈(500, 500')에 의해 자판기용 컵이 고정된 후, 자판기용 컵 내부에 음료믹스와 물이 각각 공급될 때, 물은 필요량의 일부만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당류가 다량 포함된 음료믹스가 물에 용해될 때, 하측 미세홀(110')을 통해 고압 기체가 토출되면 소정의 높이로 거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거품이 컵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물의 필요량의 일부만 공급하여 음료믹스와 교반시킨 후, 물의 필요량의 나머지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용해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after the cups for the vending machine are fixed by the support modules 500 and 500 ', when the drink mix and the water are respectively supplied into the cups for the vending machine, the water may be set to supply only a part of the required amount. The reason is that when the beverage mix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ugar is dissolved in water, bubbles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n high pressur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microholes 110 ′, thereby preventing the bubbles from overflowing from the cup. To do this. That is, only a part of the required amount of water is stirred and mixed with the beverage mix, and then the dissolution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quired amount of water.

이처럼 본 발명의 제3ㆍ제4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음료 자판기에 적용되는 경우, 음료 자판기 내부에는 자판기용 컵에 깨끗한 물과 음료믹스를 공급하는 관이 각각 구비될 수 있어 청결하고 위생적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everage vending machine, a tube for supplying clean water and a beverage mix to the cup for the vending machine may be provided inside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thereby being clean and hygienic. .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수의 미세홀이 이미 형성된 일회용 종이컵이 자판기용 컵 공급기에 적재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case where a disposable paper cup hav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already formed is used by being loaded into a cup feeder for a vending machin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상기 복수의 미세홀은 복수의 미세핀을 일회용 종이컵의 바닥면에 압착시킴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자판기용 컵 공급기가 일회용 종이컵을 공급하기 전에 복수의 미세핀을 이용하여 일회용 종이컵에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이 공급되더라도 복수의 미세홀을 간단히 형성하여 지지모듈(500, 500')의 상측에 공급하도록 음료 자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can be formed very easily by compressing a plurality of micro pi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osable paper cup, so that the cup feeder for the vending machine uses the plurality of micro pins in the disposable paper cup before supplying the disposable paper cup. In addition to the apparatus for forming a plurality of micro holes, even if a widely used disposable paper cup is supplied, a beverage vending machine may be implemented to simply form a plurality of micro holes and supply them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odules 500 and 500 '. .

이러한, 복수의 미세핀을 일회용 종이컵의 바닥면에 압착시켜 복수의 미세홀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micro holes by pressing the plurality of micro pi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osable paper cup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 : 용매 20 : 용질
30 : 기포 100, 100' : 교반컵
100a, 100a' : 교반컵의 바닥면 100b : 교반컵의 입구
110, 110' : 미세홀 120 : 지지부재
130 : 공동부 200, 200' : 밀착모듈
210 : 압력홈 220, 220' : 연통유로
300, 300', 300'' : 기체공급모듈 400 : 기체배출모듈
500, 500' : 지지모듈 510 : 삽입부재
511 : 관통홀 512 : 가이드홈
513 : 경사면 520 : 가압부재
521 : 체결홀 522 : 돌기부
530 : 탄성부재 540 : 고정축
540a : 고정축의 하단부 541 : 기체유로
541a : 기체유로의 출구 541b : 기체유로의 입구
542 : 나사홈 550 : 구동부
551 : 볼스크류 552 : 구동모터
560 : 삽입체 561 : 공압홈
562 : 제1공압유로 563 : 제2공압유로
570 : 탄성체 X : 지지판
Y : 고정판 B : 베이스
10 solvent 20 solute
30: bubble 100, 100 ': stirring cup
100a, 100a ':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up 100b: inlet of the stirring cup
110, 110 ': fine hole 120: support member
130: cavity 200, 200 ': close contact module
210: pressure groove 220, 220 ': communication flow path
300, 300 ', 300'': Gas supply module 400: Gas discharge module
500, 500 ': support module 510: insertion member
511: through hole 512: guide groove
513: inclined surface 520: pressing member
521: fastening hole 522: protrusion
530: elastic member 540: fixed shaft
540a: lower end of the fixed shaft 541: gas flow path
541a: outlet of the gas passage 541b: inlet of the gas passage
542: screw groove 550: drive part
551: ball screw 552: drive motor
560: insert 561: pneumatic groove
562: first pneumatic channel 563: second pneumatic channel
570: elastic body X: support plate
Y: fixed plate B: base

Claims (5)

내부에 액체 상태의 용매가 수용되는 공간인 용매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용매 수용 공간의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는 교반컵에 있어서, 상기 교반컵에 상기 용매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되되, 상기 미세홀은 내부의 용매가 외부로 통과하지 못하며 외부의 기체가 내부로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컵.
In a stirring cup having a solvent containing space which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liquid solvent therein and the inle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olvent receiving space, a plurality of fine to communicate the solvent receiving space and the outside to the stirring cup Holes are formed, the fine hole is a stirr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vent does not pass through the outside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pass through the gas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0.001 ~ 0.2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컵.
The method of claim 1,
The fine hole is a stirr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ize of 0.001 ~ 0.2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컵에 상기 용매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구비되며, 상기 미세홀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컵.
The method of claim 1,
A stirr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for forming the solvent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the stirring cup, the fine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외주부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컵.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tirring cup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so that the cavity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컵은 컵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컵.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tirring cu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having a cup shape.
KR1020100138898A 2010-12-30 2010-12-30 Mixing Cup KR101040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98A KR101040065B1 (en) 2010-12-30 2010-12-30 Mixing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98A KR101040065B1 (en) 2010-12-30 2010-12-30 Mixing Cup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249A Division KR101057396B1 (en) 2008-10-29 2008-10-29 Stirring device and beverage vending machine with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48A KR20110004348A (en) 2011-01-13
KR101040065B1 true KR101040065B1 (en) 2011-06-13

Family

ID=4361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898A KR101040065B1 (en) 2010-12-30 2010-12-30 Mixing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06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9170U (en) * 1983-11-24 1985-06-19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Drinkable plant leaf shaker paper container
KR100199323B1 (en) * 1995-11-17 1999-06-15 다카노 야스아키 Beverage brewing device and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device
KR100217304B1 (en) * 1997-05-28 1999-09-01 구형우 Apparatus for promoting germination of se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9170U (en) * 1983-11-24 1985-06-19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Drinkable plant leaf shaker paper container
KR100199323B1 (en) * 1995-11-17 1999-06-15 다카노 야스아키 Beverage brewing device and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device
KR100217304B1 (en) * 1997-05-28 1999-09-01 구형우 Apparatus for promoting germination of s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48A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102B2 (en) Beverag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vibratory energy
CA2784752C (en) Beverag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nic energy
CN112844138B (en) Blender container and method of assembling a blender container including a telescoping shaft
ES2539508T3 (en) Single dose to prepare a drink
CN2768621Y (en) Infusing container and a group components containing the same infusing container, foaming device and beverage machine
JP6246735B2 (en)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nd beverage production method using cartridge holder
KR20030092059A (en) Re-usable beverage filter cartridge
RU2691298C2 (en) Milk frother,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P2168468A1 (en) Device for In-cup-preparation of a beverage
BR112019013345A2 (en) self-drilling single portion receptacle for powder, liquid and granular beverage concentrates
PT2341805E (en) Appliance for fine steam-frothing a milk-based liquid
WO2006043109A1 (en) Pod and pad for preparing a beverage
TW201400065A (en) Bever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with beverage outlet control
TW201350065A (en) Bever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with multi-part beverage cartridge holder
KR101057396B1 (en) Stirring device and beverage vending machine with same
KR101923771B1 (en) Shaker tumlber
CA2597858A1 (en) Brewing element with a central inlet
CN110731699A (en) Hot beverage brewing mechanism, hot beverage machine and hot beverage brewing method
KR20160083165A (en) Coffee vending machine
KR101040065B1 (en) Mixing Cup
KR20200083475A (en)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multi-ingredient beverages from various container types
US20050132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ewing beverages with an anti-splashover enhancement
CN106724944B (en) Milk bubble and chocolate stirrer
CN108814294B (en) Brewing equipment
KR20080103035A (en) Stirring cup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