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039B1 - 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039B1
KR101039039B1 KR1020080123317A KR20080123317A KR101039039B1 KR 101039039 B1 KR101039039 B1 KR 101039039B1 KR 1020080123317 A KR1020080123317 A KR 1020080123317A KR 20080123317 A KR20080123317 A KR 20080123317A KR 101039039 B1 KR101039039 B1 KR 10103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func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4735A (en
Inventor
오정채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08012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039B1/en
Publication of KR2010006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며, 송수화기 체결부를 구비한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와 별도로 분리되되,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 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송수화기; 및 상기 단말기 바디와 상기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연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the terminal body having a handset fastening unit; A handset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and fastened and fixed within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And an extension line for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handset.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통화 중에도 송수하기만을 분리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자유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use the multimedia function by separating only the transmission during the voice call,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freedom of the user.

분리형, 단말기, 바디, 송수화기, 연장선 Detachable, Terminal, Body, Handset, Extension

Description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이외의 멀티미디어 기능(무선 인터넷, 카메라,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문자 메시지 작성, DMB 시청 및 메모 작성 기타 등등)을 이용할 때 음성통화가 착신되는 경우, 단말기 바디 내에 체결되어 있는 송수화기를 별로로 분리하여 음성 통화를 착신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u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use multimedia functions other than a voice call (wireless internet, camera, music play, video play, game, text message, DMB watch, memo, etc.) When the incoming call, and separates the handset fastened in the terminal body to a voice call to receive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continue to use the multimedia functions at the same time.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s computers,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dvanced dramaticall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have been provided. Accordingly, a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developing into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for transmitting data such as circuit data, packet data, and the like, as well as a voice service.

즉,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기술이 상용화되고 보급되어 휴대폰, 개인 휴대 단말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In other words,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distribute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ersonal portable terminals have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man.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음성 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이동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휴대가 간편하도록 더욱 소형화, 경량화되고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voice calls and data communication while moving, and has been further miniaturized and reduced in weight for easy portability in order to maximize mobility.

또한, 이와 같이 소형으로 제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용하기에는 편리하고, 무선 인터넷, 카메라,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다.In addition, such a small siz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venient for users to carry and use, and is basically released with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a camera, music playback, video playback, and games.

한편,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Bar) 형태, 슬라이드 형태 및 폴더 형태로 제작된 단말기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단말기들은 멀티테스킹 기능을 지원하지만, 무선 인터넷, 카메라,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음성 통화가 착신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기능을 일시 정지한 후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음성 통화가 종료된 후 다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어서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bar (bar), slide type and most of the terminal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older. Such conventional terminals support multitasking functions. However, when a voice call is received while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such as wireless internet, camera, music playback, video playback, or game, the terminal stops the multimedia function before making a voice call. After the voice call is terminated, the multimedia function is provided again.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단말기의 표시부를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단말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이어폰을 이용하면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서 단말기 표시부를 볼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이어폰을 항상 휴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us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cannot be viewed in order to use a multimedia function while performing a voice call. When using earphones provided by the terminal manufacturer, the terminal display unit can be viewed while performing a voice call, but the user has to carry the earphone at all times.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이외의 멀티미디어 기능(무선 인터넷, 카메라,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문자 메시지 작성, DMB 시청 및 메모 작성 기타 등등)을 이용할 때 음성통화가 착신되는 경우, 단말기 바디 내에 체결되어 있는 송수화기를 별로로 분리하여 음성 통화를 착신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ltimedia functions other than voice calls (wireless Internet, camera, music playback, video playback, games, text message creation, DMB watching and notes, etc. In the case where the voice call is received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inuously using multimedia functions while receiving a voice call by separating the handsets which are fastened in the terminal bod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며, 송수화기 체결부를 구비한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와 별도로 분리되되,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 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송수화기; 및 상기 단말기 바디와 상기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연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the terminal body having a handset fastener; A handset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and fastened and fixed within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And an extension line for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handse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이외의 멀티미디어 기능(무선 인터넷, 카메라,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문자 메시지 작성, DMB 시청 및 메모 작성 기타 등등)을 이용할 때 음성통화가 착신되는 경우, 단말기 바디 내에 체결되어 있는 송수화기를 별로로 분리하여 음성 통화를 착신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multimedia functions other than voice calls (wireless internet, camera, music playback, video playback, game, text message creation, DMB viewing, memo, etc.) When the voice call is received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handset which is fastened in the body of the terminal is separated into stars and the voice call is received, and at the same time, the multimedia function can be continuously u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통화 중에도 송수하기만을 분리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자유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use the multimedia function by separating only the transmission in the voice cal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convenience and freedom is increas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화기와 단말기 바디가 결합된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handset and a terminal body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110), 송수화기(120), 송수화기 체결부(130), 연장선(140), 태엽 스프링부(150), 결합장치(160) 및 스프링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body 110, the handset 120,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the extension line 140, the spring spring unit 150, the coupling device 160 and the spring unit 17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110)는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며, 송수화기 체결부(130)를 구비하며, 송수화기(120)는 단말기 바디(110)와 별도로 분리되되, 송수화기 체결부(130) 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body 110 processe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has a handset fastening unit 130, and the handset 120 is separate from the terminal body 110. Separated, but fastened and fixed in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한편, 단말기 바디(110)는 폴더 또는 슬라이드 형상으로 제작 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바(Bar)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lthough the terminal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in a folder or slide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body 110 is manufactured in a bar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단말기 바디(110)는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450), 데이터 또는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440),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는 무선통신 처리부(470) 및 키 입력부(450) 및 표시부(440)를 제어함으로써 무선통신 기능이 처리되도록 제어하되, 멀티미디어 기능이 처리되는 중에 무선통신 처리부(470)를 통해 음성 호가 착신되면, 송수화기(120)를 이용하여 음성 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멀티미디어 기능을 표시부(440)를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110 includes a key input unit 450 for receiving a key or command, a display unit 440 for outputting data or message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470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key input unit 450, and a display unit. The controller 44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be processed. When the voice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470 while the multimedia function is being processed, the mobile phone 120 controls the voice call to be process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controller 460 for controlling to continuously output the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440.

여기서, 멀티미디어 기능은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게임 실행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DMB 시청 기능 및 메모 작성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ultimedia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a music playing function, a video playing function, a game play function, a text message function, a DMB viewing function, and a memo writing function.

송수화기(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송수화기 체결부(130)는 송수화 기(120)와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단말기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송수화기(120)가 삽입된다.The handset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110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handset 120 is inserted into the handset 120.

송수화기 체결부(130)는 단말기 바디(110)의 세로 기준축 또는 가로 기준축을 기준으로 형성된다.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is formed based on the vertical reference axis or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of the terminal body 110.

연장선(140)은 일단이 송수화기(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일측에 연결된다.Extension line 140 is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set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태엽 스프링부(150)는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내벽의 일측에 형성되며, 연장선(140)의 타단과 연결되며,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연장선(140)을 일방향으로 감거나 타방향으로 풀리도록 조절한다.The self-winding spring unit 15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e 140, and use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wind the extension line 140 in one direction or pulley in the other direction. Adjust so that

결합 장치(160)는 송수화기(120) 및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일면에 형성되어 송수화기(120)와 송수화기 체결부(130)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스프링부(170)는 스프링 구조로서,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일면(도 3을 기준으로 밑면)에 형성된다.Coupling device 16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andset 120 and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is a device for fixing the handset 120 and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the spring unit 170 is a spring structure,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set fastener 130 (bottom surface with reference to Figure 3).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화기와 단말기 바디가 분리된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handset and a terminal body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110)에서 분리된 송수화기(120)는 연장선(140)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handset 120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110 may be connected by an extension line 140.

예를 들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송수화기(120)가 송수화기(120)와 대응하는 원통 형상의 단말기 바디(110)와 분리되는 경우, 연장선(140)은 일단이 송수화기(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일측 에 연결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cylindrical handset 120 is separated from the cylindrical terminal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handset 120, the extension line 140 has one end of the handset 120.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set fastener 130.

또한, 사용자가 송수화기(120)를 단말기 바디(1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연장선(140)을 일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연장선(140)의 타단과 연결된 태엽 스프링부(150)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연장선(140)을 일방향으로 감기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extension line 140 in one direction in order to couple the handset 120 to the terminal body 110, the spring spring 15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e 140 is an extension line us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he 140 may be adjusted to be wound in one direction.

만약, 반대로 사용자가 송수화기(120)를 단말기 바디(110)에서 분리하는 경우 태엽 스프링부(150)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연장선(140)이 타방향으로 풀리도록 조절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separates the handset 120 from the terminal body 110, the spring spring 150 may adjust the extension line 140 to be released in the other direction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또한, 송수화기(12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로폰(410),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se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phone 410 for converting the voice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to an electrical signal for transmission, and a speaker 420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160)는 돌출부(220), 걸림부(240), 제 1 경사부(260), 제 2 경사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Coupling devic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trusion 220, the locking portion 240, the first inclined portion 260,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0.

돌출부(220)는 막대 형상으로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내벽에 형성되며, 걸림부(240)는 막대 형상의 돌출부(220)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홈으로서, 돌출부(220)가 걸림부(240)에 삽입될 수 있다. Protruding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130 in the shape of a rod, the locking portion 240 is a rectangula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od-shaped protrusion 220, the protrusion 220 is the locking portion 240 Can be inserted in

제 1 경사부(260)는 송수화기(120)의 일면에 형성된 홈으로서,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떨어지는 경사면를 갖으며, 제 2 경사부(280)는 송수화기(120)의 일면에 형성된 홈으로서, 도 3을 기준으로 상에서 하으로 내려가는 경사 면를 갖는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260 is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andset 120, and has an inclined surface falling from left to right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0 is a groove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handset 120. As an example, it has an inclined surface which goes down from the top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0)가 걸림부(240)에 체결되어 송수화기(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120)가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막대 형상의 돌출부(220)가 송수화기(120)의 일단(밑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돌출부(220)와 대응되는 구조의 걸림부(240)에 체결되어 송수화기(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220 may be fastened to the catching part 240 to fix the handset 120. For example, when the handset 120 is inserted into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130 as shown in FIG. 3, the rod-shaped protrusion 220 forms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one end (bottom surface) of the handset 120. Accordingly, the handset 120 may be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240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20.

또한, 송수화기(120)의 타단으로부터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돌출부(220)가 걸림부(240)에서 일방향(위쪽)으로 이동하여 제 1 경사부(260)와 맞닿는 경우, 제 1 경사부(260)의 경사면에 따라 제 2 경사부(280)로 이동하며, 제 2 경사부(280)의 경사면에 따라 일방향(밑쪽) 이동하여 송수화기(120)와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a pressure exceeding the reference pressure occurs from the other end of the handset 120, when the protrusion 220 moves in one direction (upward) from the locking portion 240 to contact the first inclined portion 260, the first Moving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0 accor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60, one direction (bottom) to mov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0 may be released from the handset 120.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을 통해 돌출부(220)와 걸림부(240)의 체결방식과 분리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돌출부(220)와 걸림부(240)의 체결방식과 분리방식을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but the fastening method and the separation method of the protrusion 220 and the locking portion 24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which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pplicable by modifying and modifying the fastening method and the separation method of the protrusion 220 and the engaging portion 240 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송수화기 체결부(130)의 내벽의 일단에는 송수화기(120)의 일단(밑단)과 맞닿는 스프링부(170)가 형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handset fastening unit 130 is formed with a spring portion 170 in contact with one end (bottom) of the handset 120.

또한, 돌출부(220)의 일측(도 3을 기준 우측면)과 일면(도 3을 기준 밑면)에는 스프링부가 형성되어 돌출부(220)가 송수화기(120)의 걸림부(240)에 삽입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pr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3) and one side (bottom reference with FIG. 3) of the protrusion 220 to the position before the protrusion 22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240 of the handset 120. Could be moved.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parat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이크로폰(410), 스피커(420), 메모리부(430), 표시부(440), 키 입력부(450), 단말기 제어부(460) 및 무선통신 처리부(470) 등을 포함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410, the speaker 420, the memory unit 430, the display unit 440, the key input unit 450, the terminal control unit 46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470 And the like.

마이크로폰(410)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음성 입력 수단이다. 스피커(420)는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이다.The microphone 410 is a voice input means for converting a voice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420 is a voice output means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메모리부(43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본 소프트웨어,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이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430)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omory) 및 에스디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The memory unit 430 is a basic software for dri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software for perform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mera function, protocol software for processing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like. It is a storage means for storing. To this end, the memory unit 430 is a non-volatile memory,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that can modify the contents in byte units or Flash memory that can modify the contents in blocks. ) And 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dom Access Memory).

표시부(440)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문자, 숫자,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표시 수단이다. 또한, 표시 부(440)는 단말기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440)로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표시부(340)는 LCD 단말기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440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power supply state, the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the date and time, and outputs the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letters, numbers, and images. Screen display means.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40 displays messages generated while execut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43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460, and i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a schedule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 messages. Herein, an LCD may be used as the display unit 440. For this purpose, the display unit 34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키 입력부(450)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 수단이다. The key input unit 450 is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or a command from a user who u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including a numeric button for inputting a number such as a phone number, a character button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a menu selection button. .

단말기 제어부(4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키 입력부(450) 또는 무선통신 처리부(4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기능뿐만 아니라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460)는 즉시 실행되지 않는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메모리부(430)로 송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460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for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45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470, the terminal controller 460 is additionally added. In order to perform a function, various softw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430 is executed. In addition, when data that is not executed immediately is input, the terminal controller 460 transmits the data to the memory 430 to store the data.

단말기 제어부(4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 입력부(450) 및 표시부(440)을 제어함으로써 무선통신 기능이 처리되도록 제어하되, 멀티미디어 기능이 처리되는 중에 무선통신 처리부(470)를 통해 음성 호가 착신되면, 송수화기(120)를 이용하여 음성 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멀티미디어 기능을 표시부(440)를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4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y controlling the key input unit 450 and the display unit 440, while the multimedia function is being processed. When the voice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mobile phone 120 controls the voice call to be processed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multimedia function to be continuous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440.

무선통신 처리부(470)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변환 기능,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화하며,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는 RF 신호 처리 기능, 공기 중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기능 등을 수행하여 무선통신을 처리하는 무선통신 처리 수단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470 encodes or decodes a voice signal, performs an equalizer function to remove multipath noise, and perform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function for performing an acoustic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converts a transmitted / received signal into a baseband signal. Baseband conversion function that performs digital-to-analog conversion and analog-to-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receives RF (Radio Frequency) signal and converts it into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converts IF signal into RF signal, RF signal processing function for demodulating and amplifying a signal, an antenn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in the air, and the like,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mean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independent hardware, each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화기와 단말기 바디가 결합된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handset and a terminal body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화기와 단말기 바디가 분리된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handset and a terminal body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parat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0: 단말기 바디 120: 송수화기110: terminal body 120: handset

130: 송수화기 체결부 140: 연장선130: handset fastener 140: extension line

150: 태엽 스프링부 160: 결합 장치150: spring spring 160: coupling device

170: 스프링부 170: spring portion

Claims (10)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며, 송수화기 체결부를 구비한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와 별도로 분리되되,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 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송수화기; 상기 단말기 바디와 상기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연장선; 및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 내로 인입된 상기 송수화기를 고정시키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A terminal body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and having a handset fastening unit; A handset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and fastened and fixed within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handset; And a coupling device to fix the handset introduced into the handset fastening part.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의 내벽에 형성된 막대 형상의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송수화기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 상기 송수화기의 일면에 형성되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떨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제 1 경사부; 및 상기 송수화기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에서 하방향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을 갖는 제 2 경사부를 포함하되,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bar-shaped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A catch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handset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andset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alling from left to right;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andset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descending downward from the top, 상기 송수화기가 송수화기 체결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걸림부에 체결되어 상기 송수화기를 고정시키며, 상기 송수화기의 타단으로부터 초과하는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에서 일방향의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경사부와 맞닿아, 상기 제 1 경사부의 경사면에 따라 상기 제 2 경사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 2 경사부의 경사면에 따라 일방향의 밑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송수화기와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handset is inserted into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the protrusion is fastened to the engaging por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to fix the handset, and an excess pressure is gene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andset. When the protrusion is moved upward in one direction from the engaging portion and abuts the first inclined portion, the protrusion moves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ccor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in one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to the handset is moved downwar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화기는,The handset,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는,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상기 송수화기와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송수화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set is formed inside the terminal body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handset is insert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연장선은 일단이 상기 송수화기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송수화 기 체결부의 일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extension line is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se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장선의 타단과 연결되되,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연장선을 일방향으로 감거나 타방향으로 풀리도록 조절하는 태엽 스프링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태엽 스프링부는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의 내벽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line,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further comprises a spring to adjust the winding in one direction or to unwind in the other direction, wherein the spr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Remov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화기 체결부는,The handset fastening portion, 상기 단말기 바디의 세로 기준축 또는 가로 기준축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reference axis or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of the terminal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바디는,The terminal body,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or a command; 데이터 또는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data or message information; 상기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는 무선통신 처리부; 및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proces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상기 키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 기능이 처리되도록 제어하되, 멀티미디어 기능이 처리되는 중에 상기 무선통신 처리부를 통해 음성 호가 착신되면, 상기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controlled to be processed by controlling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When a voice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while the multimedia function is being processed, the voice call is controlled using the handset.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continuously output the multimedia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은,The multimedia function,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게임 실행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DMB 시청 기능 및 메모 작성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 detachabl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a camera shooting function, a music play function, a video play function, a game play function, a text message function, a DMB viewing function, and a memo writ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화기는,The handset, 이동통신 가입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로폰; 및A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voice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And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that converts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into audible sound and outputs it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KR1020080123317A 2008-12-05 2008-12-05 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39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17A KR101039039B1 (en) 2008-12-05 2008-12-05 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17A KR101039039B1 (en) 2008-12-05 2008-12-05 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35A KR20100064735A (en) 2010-06-15
KR101039039B1 true KR101039039B1 (en) 2011-06-03

Family

ID=4236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317A KR101039039B1 (en) 2008-12-05 2008-12-05 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03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8904A (en) 1997-08-25 1999-03-09 Kojima Press Co Ltd Microphone/earphone separation type portable telephone set
KR20020024908A (en) * 2000-09-27 2002-04-03 구자홍 Mobile station with Antenna and Microphone/Earphone in one
JP2005229347A (en) 2004-02-13 2005-08-25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Cellular phone having detachable calling unit
KR100809613B1 (en) * 2004-06-24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performing multimedia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8904A (en) 1997-08-25 1999-03-09 Kojima Press Co Ltd Microphone/earphone separation type portable telephone set
KR20020024908A (en) * 2000-09-27 2002-04-03 구자홍 Mobile station with Antenna and Microphone/Earphone in one
JP2005229347A (en) 2004-02-13 2005-08-25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Cellular phone having detachable calling unit
KR100809613B1 (en) * 2004-06-24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performing multimedia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35A (en)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8285B1 (en) Mobile terminal
US7672700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P36412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20140302836A1 (en) Apparatus enabling automatically adjusting functions of cpmponents thereof
KR101039039B1 (en) Separ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7803B1 (en) Ultra Wide B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070058140A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video call function by using special effect
KR100700597B1 (en) Mobile terminal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20070075581A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aking image call list by using captured image
JP5245406B2 (en) Image display system,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118518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ee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US2005018698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20103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olume by using voice recogni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856071B1 (en)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202859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0864900B1 (en) Remote control for television outfitted with communication medium linked to a cellular telephony network
JP2005045732A (en) Mobile phone
KR20100001586A (en) 4 pole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nnecting thereof
JP2007073157A (en)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medium
JP2006352882A (en) Device for hands-free operation cum remote control of mobile terminal
KR20010054455A (en) Imag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 Image data using the same
KR10064754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usic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271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output data limiting in calling and its method
KR101023301B1 (en) Method for sending and editing mp3 file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