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505B1 -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505B1
KR101038505B1 KR1020100116480A KR20100116480A KR101038505B1 KR 101038505 B1 KR101038505 B1 KR 101038505B1 KR 1020100116480 A KR1020100116480 A KR 1020100116480A KR 20100116480 A KR20100116480 A KR 20100116480A KR 101038505 B1 KR101038505 B1 KR 10103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transmission block
synchronization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언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91Transmitt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할 데이터를 각각의 채널별로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각 채널별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는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Multi channel transmission system being capable of transmitting at the same period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다채널 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할 데이터를 각각의 채널별로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각 채널별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는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채널 송신시스템은 다수개의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모든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고, 미리 생성된 데이터를 각 채널에 전달하여 전송을 위한 준비를 한 후, 중앙제어부가 전송 시작 신호를 부여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다채널 전송 시스템은 전송할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각 채널에 전송하여야 하므로 실시간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를 각각의 전송 채널로 전달하고 각 채널별로 전송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충분한 양의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의 실시간 생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다수개의 프로세서가 데이터의 생성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다수개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시간 데이터 생성을 하는 시스템의 경우, 각 프로세서 상호간의 데이터의 생성 시간을 채널별로 조정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실시간 데이터 생성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생성된 각 채널별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는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가진 본 발명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의 구성은, 다수개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들과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들을 각각 가진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송신블럭은 데이터 생성의 타이밍과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신호를 상기 부 송신블럭으로 전달하여 상기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의 송신부들의 데이터의 전송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은,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한 후 데이터 생성의 타이밍과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신호에 맞추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므로,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의 데이터의 전송이 동일한 시간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가 송신부의 버퍼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다가 전송시작 신호에 의하여 전송되므로, 적은 용량의 데이터의 저장공간만이 요구되어 송신시스템의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 송신블럭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가 순차적으로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에 전달되어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의 데이터 생성이 수행되므로,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의 데이터 생성을 위한 프로세스의 데이터 생성 시간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 효과를 수득한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2 는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의 주 송신블럭의 동기신호 지연부에 의한 동기화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의 출력신호의 타이밍챠트,
도 5 는 본 발명 다채널 송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은 채널별로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전송을 처리하는 주 송신블럭(10) 및 부 송신블럭(20)의 2 개의 송신블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 송신블럭(10) 및 부 송신블럭(20)은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이 가지는 총 부하 채널의 절반 만큼씩의 부하 채널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제 1 송신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부 송신블럭(20)은 제 2 송신부(260)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이 가지는 부하 채널의 총 갯수가 총 320 채널이라면, 상기 주 송신블럭(10)이 총 갯수의 절반인 160 채널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고, 상기 부 송신블럭(20)도 총 갯수의 절반인 160 채널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160,260)는 데이터의 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송신부(160,260)에 할당된 채널들을 일정한 갯수로 나누어 전송을 처리하는 소단위의 송신모듈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제 1 송신부(160)가 4 개의 소단위 송신모듈(161,162,163,164)을 포함하고, 상기 부 송신블럭(20)의 제 2 송신부(260) 역시 4 개의 소단위 송신모듈(261,262,263,2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제 1 송신부(160)의 부하 채널이 160 채널이라면, 상기 제 1 송신부(160)의 송신모듈(161,162,163,164)들은 각각 40 채널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고, 상기 부 송신블럭(20)의 제 2 송신부(260)의 부하 채널이 160 채널이라면, 상기 제 2 송신부(260)의 송신모듈(261,262,263,264)들은 각각 40 채널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한다.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데이터 생성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부 송신블럭(20)도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데이터 생성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생성부(110,210)에 의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는 원 데이터(raw data)를 변환시킨 디지털 방식의 데이터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생성부(110,210)의 데이터 생성의 타이밍과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160,260)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는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160,260)로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지령하는 전송시작 신호(T_Start)도 발생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생성부(110)는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에 의한 동기신호의 생성과 상기 전송시작 신호(T_Start)의 생성을 제어한다.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에 의하여 발생된 동기신호는 부 송신블럭(20)으로 전달되어 데이터의 전송을 동기화시키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동기 신호를 상기 부 송신블럭(20)으로 전달하는 제 1 동기신호 전달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 송신블럭(20)은 상기 제 1 동기신호 전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부 송신블럭(20)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기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된 동기신호를 부 송신블럭(20)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송신블럭(10)의 송신부(160)로 전달하는 동기신호를 일정한 시간동안 지연시킨다.
왜냐하면, 동기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된 동기신호가 상기 부 송신블럭(20)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주 송신블럭(10)과 부 송신블럭(20) 상호간의 이격 공간에 부설되는 케이블 등의 전송 선로상의 지연시간(t1)이 발생하므로, 주 송신블럭(10)이 이러한 전송 선로상의 지연시간(t1)에 의하여 지연된 시간 만큼을 보상하여 부 송신블럭(20)과의 동기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주 송신블럭(10)은 동기신호 지연부(140)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신호 지연부(140)는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전달받아 공지된 신호 지연회로에 의하여 상기 동기신호의 타이밍을 상기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 만큼을 지연시킨 후, 제 1 송신부(160)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제 1 송신부(160)에 도달하는 동기신호의 타이밍과 상기 부 송신블럭(10)의 제 2 송신부(260)에 도달하는 동기신호의 타이밍은 상호 동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상기 동기신호 지연부(140)로부터 지연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송신부(160)로 전달하되 동기신호를 제 1 송신부(160)에 포함된 각각의 송신모듈로 분배하는 제 1 동기신호 분배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 송신블럭(20)은 상기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에 전달된 동기신호를 제 2 송신부(260)로 전달하되 동기신호를 제 2 송신부(260)에 포함된 각각의 송신모듈로 분배하는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 송신블럭(20)은 상기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로 전달된 동기신호를 수신받는 동기신호 수신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주 송신블럭(10)에서 제 1 동기신호 분배부(150)와 제 1 송신부(160) 상호간 데이터 전달에 따른 시스템 지연시간(t2)이 발생하고, 마찬가지로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와 제 2 송신부(260) 상호간 데이터 전달에 따른 시스템 지연시간(t2)이 발생하나, 양 송신블럭에서의 시스템 지연시간(t2)은 상호 동일한 것으로 상정한다.
도 2 는 상술한 동기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된 동기신호가 전달되는 각 경로에 따른 동기신호의 타이밍 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송신블럭(10)의 동기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된 동기신호(도면의 (a) 부분)가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로 수신될 경우에는 상술한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이 이 시간만큼의 신호의 타이밍 지연이 발생한 동기신호가 발생하며(도면의 (b) 부분), 동기신호가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로부터 제 2 송신부(260)로 전달될 경우에도 상술한 시스템 지연시간(t2)이 발생하게 된다(도면의 (c) 부분).
따라서, 주 송신블럭(10)의 동기신호 지연부(140)가 동기신호를 상기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 만큼을 지연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송신부(160)로 전달된 동기신호는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과 제 1 동기신호 분배부(150)로부터 제 1 송신부(160) 상호간의 시스템 지연시간(t2)의 합계 시간(t1+t2) 만큼 타이밍이 지연된 동기신호가 제 1 송신부(160)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도면의 (d) 부분).
이때, 주 송신블럭(10) 및 부 송신블럭(20)의 시스템 지연시간(t2)은 상호 동일한 것으로 상정함은 상술한 바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신호 지연부(140)가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부 송신블럭(20)은 주 송신블럭(10)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입력받았을 때, 이 동기신호를 다시 주 송신블럭(10)으로 피드백(feedback)시킨 후 제 2 송신부(260)로 동기신호를 분배한다.
그리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상기 부 송신블럭(20)으로부터 피드백 된 동기신호와 자신이 보낸 동기신호와의 오차 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된 오차 시간은 상기 주 송신블럭(10)이 부 송신블럭(20)에게 동기신호를 전달할 경우의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과 상기 부 송신블럭(20)이 주 송신블럭(10)에게 동기신호를 피드백시킬 경우의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의 합계 시간이므로, 이 합계 시간의 반 만큼의 시간을 주 송신블럭(10)으로부터 부 송신블럭(20)까지의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으로 측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동기신호 지연부(140)는 동기신호를 측정된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 만큼을 지연시켜 동기신호 분배부(150)를 통하여 제 1 송신부(160)로 동기신호를 분배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의 작동을 도 3 및 도 4 의 타이밍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주 송신블럭(10) 및 부 송신블럭(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양 송신블럭이 기동되면,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동기신호 발생부(120)는 동기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는 상기 제 1 데이터생성부(110)의 데이터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신호의 12 클럭(clock)당 1 클럭의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제 1 동기신호 전달부(130)는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이 발생한 동기신호를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로 전달하며, 동시에 상기 동기신호는 동기신호 지연부(14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동기신호 지연부(140)는 상술한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 만큼 동기신호의 타이밍을 지연시켜 동기신호 분배부(150)로 전달하며, 상기 동기신호 분배부(150)는 제 1 송신부(160)로 동기신호를 분배시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로 전달된 동기신호를 동기신호 수신부(220)가 수신하며,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는 수신된 동기신호를 제 2 송신부(260)로 분배시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신호 수신부(220)는 제 2 데이터생성부(210)의 데이터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제 1 데이터생성부(110) 및 상기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데이터생성부(210)의 인터럽트 신호 처리 루틴(routine)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INT)가 발생할 때마다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의 각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량 만큼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데이터생성부(110) 및 제 2 데이터생성부(210)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INT)가 발생할 경우에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가 주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이러한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가 주여졌을 경우에만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는 외부의 제어시스템(미도시)로부터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데이터생성부(210)로 부여되며, 제 2 데이터생성부(210)가 제 1 데이터생성부(110)로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데이터생성부(210)는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가 주어지면 이 명령신호(CONT)를 제 1 데이터생성부(110)로 전달한 후, 상기 동기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INT)가 수신될 때마다 제 2 송신부(260)를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제 1 데이터생성부(110)는 상기 제 2 데이터생성부(210)로부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INT)가 수신될 때마다 제 1 송신부(160)를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가 외부의 제어시스템(미도시)로부터 제 2 데이터생성부(210)로 주어지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동기신호 발생부(120) 및 동기신호 지연부(140)에 의하여 주 송신블럭(10)과 부 송신블럭(20)을 동기화하였다 하더라도, 상술한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의 전달시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부 송신블럭(20) 사이의 통신 부하에 따라서 예상하지 못한 임의의 지연시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기치 못한 지연시간의 존재는 주 송신블럭(10)과 부 송신블럭(20)의 데이터 전송의 동기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를 외부의 제어시스템(미도시)로부터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데이터생성부(210)로 먼저 부여되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명령신호(CONT)를 전달받은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데이터생성부(210)가 주 송신블럭(10)의 제 1 데이터생성부(110)보다 선행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설정을 마친후 이 명령신호(CONT)를 주 송신블럭(10)으로 전달하고 주 송신블럭(10)으로부터 전송시작신호(T_Start) 신호를 기다리고, 주 송신블럭(10)은 상기 제 2 데이터생성부(210)으로부터 상기 명령신호(CONT)를 받으면 제 1 데이터생성부(110)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설정을 마친후 동기신호 발생부(120)이 전송시작 신호(T_Start)가 발생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주 송신블럭(10) 및 부 송신블럭(20)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준비된 상태에 진입하게 되므로, 외부의 제어시스템과부 송신블럭(20)의 상호간 발생될 수 있는 임의의 지연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터를 동기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주 송신블럭(10)의 제 1 송신부(160) 및 부 송신블럭(20)의 제 2 송신부(260)는 각각 제 1 데이터생성부(110) 및 제 2 데이터생성부(210)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는 각각 다수개의 송신모듈들을 포함하며, 이 송신모듈들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는 각각 동기신호 발생부(120)와 동기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상술한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160,260)로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지령하는 전송시작 신호(T_Start)가 수신될 때까지 데이터를 전달받아 자신의 버퍼(미도시)에 저장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의 버퍼는 최대 5 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버퍼를 채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 및 동기신호 수신부(220)가 상기 송신부(160,260)들의 버퍼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시하고 있다가, 일정량의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인지되면 상기 전송시작 신호(T_Start)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로 전달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송신할 데이터가 상기 버퍼상에서 3 프레임까지 저장되었을때 상기 전송시작 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상기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의 데이터 버퍼가 약간의 여분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전송시작 신호(T_Start)의 신호의 지연시간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전송시작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는 상기 제 1 동기신호 분배부(150) 및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로부터 전달받은 동기신호에 맞추어 각각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처로 전송한다.
도 4 는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의 송신에 있어서의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와, 전송시작 신호(T_Start) 및 동기신호의 타이밍챠트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의 2 내지 5 프레임 저장량의 데이터가 전송시작 신호(T_Start)에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되되, 제 1 및 제 2 동기신호 분배부(150,250)로부터 전달되는 동기신호에 따라서 주 송신블럭(10)의 제 1 송신부(160)와 부 송신블럭(20)의 제 2 송신부(260)가 동기화되어 동시에 데이터가 전송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할 데이터가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시작 신호(T_Start)가 비활성화되면서 제 1 송신부(160)와 제 2 송신부(260)에 의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 다채널 송신시스템은 다수개의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전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정확한 시간에 맞추어 전송하여야 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채널 송신 방법은, 다수개의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송신부들을 각각 가진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으로 이루어진 다채널 송신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방법임을 전제로 한다.
먼저, 상기 주 송신블럭은 데이터 생성의 타이밍과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동기화시키는 동기신호를 생성하고(단계 S 100), 생성된 동기신호를 부 송신블럭과의 동기화를 위하여 부 송신블럭으로 전달한다(단계 S 101).
그리고, 상기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 상호간의 이격 공간에 부설되는 케이블 등의 전송 선로상의 지연시간(t1)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주 송신블럭은 발생한 동기신호를 상기 전송 선로상의 지연시간(t1) 만큼을 지연시켜 자신의 송신부로 전달한다(단계 S 102).
그리고, 상기 주 송신블럭은 전송할 데이터의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 103).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신호의 12 클럭(clock) 당 1 클럭의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 송신블럭도 상기 주 송신블럭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동기신호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동기신호를 자신의 송신부로 전달하고(단계 S 104), 전송할 데이터의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 105).
다음으로, 상기 주 송신블럭 및 부 송신블럭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한 경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가 주어졌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 106), 이러한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가 주여졌을 경우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 107).
이때, 상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는 외부의 제어시스템(미도시)로부터 부 송신블럭으로 부여되고 난 후, 부 송신블럭이 이 명령신호를 주 송신블럭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의 전달시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부 송신블럭 사이의 통신 부하에 따라서 예상하지 못한 임의의 지연시간이 발생되어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의 데이터 전송의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보다 상세한 이유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부 송신블럭 및 주 송신블럭은 생성된 데이터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송신부로 전달하여 임시로 저장시킨다(단계 S 108). 이때, 상기 송신부들은 다수개의 송신모듈들을 포함시켜, 이 송신모듈들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가 생성되어 송신부 버퍼에 저장되면, 상기 주 송신블럭은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지령하는 전송시작 신호를 생성하고(단계 S 109), 생성된 전송시작 신호를 부 송신블럭에 전달한다(단계 S 110).
이때, 상기 주 송신블럭은 송신부 버퍼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시하고 있다가, 일정량의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인지되면 상기 전송시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전송시작 신호에 따라서 주 송신블럭의 송신부 및 부 송신블럭의 송신부가 전달된 동기신호에 맞추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 111).
이후, 송신부에 저장되었던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다(단계 S 112).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채널 송신 방법에 따라서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의 데이터들이 동기화되어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주 송신블럭
20; 부 송신블럭
110; 제 1 데이터 생성부
120; 동기신호 발생부
130; 제 1 동기신호 전달부
140; 동기신호 지연부
150; 제 1 동기신호 분배부
160; 제 1 송신부
210; 제 2 데이터 생성부
220; 동기신호 수신부
230; 제 2 동기신호 전달부
250; 제 2 동기신호 분배부
260; 제 2 송신부

Claims (16)

  1. 다채널 송신시스템에 있어서,
    다수개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각각 가진 주 송신블럭(10)과 부 송신블럭(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데이터 생성의 타이밍과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부 송신블럭(20)과의 동기화를 위하여 상기 부 송신블럭(20)으로 전달한 후에 전송할 데이터의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부 송신블럭(20)은 동기 신호를 전달받으면 전송할 데이터의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부 송신블럭(20)의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INT)가 발생될 경우에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가 주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이러한 명령신호(CONT)가 주어졌을 경우에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주 송신블럭(10)의 송신부 및 상기 부 송신블럭(20)의 송신부가 상기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동기 신호에 맞추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데이터 생성부(110)와,
    상기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발생부(120)와,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동기 신호를 부 송신블럭(20)으로 전달하는 제 1 동기신호 전달부(130)와,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동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동기신호의 타이밍을 일정한 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송신부(160)로 전달하는 동기신호 지연부(140)와,
    상기 동기신호 지연부(140)로부터 지연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송신부(160)로 전달하는 제 1 동기신호 분배부(150)와,
    상기 제 1 동기신호 분배부(15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하는 제 1 송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160)는 주 송신블럭(10)에 할당된 채널들을 일정한 갯수의 채널로 나누어 처리하는 소단위의 송신모듈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동기신호 분배부(150)는 상기 동기신호를 제 1 송신부(160)에 포함된 각각의 송신모듈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지연부(140)는 상기 주 송신블럭(10)과 부 송신블럭(20) 상호간의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 만큼 동기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의 측정은,
    상기 부 송신블럭(20)이 상기 주 송신블럭(10)으로부터 입력받은 동기신호를 주 송신블럭(10)으로 피드백시키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상기 부 송신블럭(20)으로부터 피드백된 동기신호와 자신이 보낸 동기신호와의 오차 시간을 측정하여 이 오차 시간의 반 만큼의 시간을 상기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송신블럭(20)은,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데이터 생성부(210)와,
    상기 제 1 동기신호 전달부(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기신호를 전달받는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와,
    상기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로 전달된 동기신호를 수신받는 동기신호 수신부(220)와,
    상기 제 2 동기신호 전달부(230)에 전달된 동기신호를 제 2 송신부(260)로 전달하는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와,
    상기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하는 제 2 송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부(260)는 부 송신블럭(20)에 할당된 채널들을 일정한 갯수의 채널로 나누어 처리하는 소단위의 송신모듈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동기신호 분배부(250)는 상기 동기신호를 제 2 송신부(260)에 포함된 각각의 송신모듈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0)는 상기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로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지령하는 전송시작 신호(T_Star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는 외부의 제어시스템로부터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데이터생성부(210)로 부여되며, 제 2 데이터생성부(210)가 상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를 제 1 데이터생성부(11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CONT)를 전달받은 부 송신블럭(20)의 제 2 데이터생성부(210)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설정을 마친후 상기 주 송신블럭(10)으로부터 전송시작신호(T_Start) 신호를 기다리고,
    상기 주 송신블럭(10)은 상기 제 2 데이터생성부(210)으로부터 상기 명령신호(CONT)를 받아 제 1 데이터생성부(110)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설정을 마친후 동기신호 발생부(120)가 전송시작 신호(T_Start)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160) 및 제 2 송신부(260)는 각각 동기신호 발생부(120)와 동기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상기 전송시작 신호(T_Start)가 수신될 때까지 데이터를 전달받아 버퍼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시스템.
  14. 다수개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들과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들을 각각 가진 주 송신블럭과 부 송신블럭을 통한 다채널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송신블럭이 데이터 생성의 타이밍과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동기화시키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 100);
    생성된 동기신호를 부 송신블럭과의 동기화를 위하여 부 송신블럭으로 전달하는 단계(단계 S 101);
    상기 주 송신블럭이 상기 동기신호를 전송선로상의 지연시간(t1) 만큼을 지연시켜 주 송신블럭의 송신부로 전달하는 단계(단계 S 102);
    상기 주 송신블럭은 전송할 데이터의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 103);
    상기 부 송신블럭은 전달된 동기신호를 부 송신블럭의 송신부로 전달하고(단계 S 104), 전송할 데이터의 생성 주기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 105);
    상기 주 송신블럭 및 부 송신블럭이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한 경우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가 주어졌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 106), 상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가 주여졌을 경우 상기 주 송신블럭 및 부 송신블럭이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 107);
    상기 부 송신블럭 및 주 송신블럭이 생성된 데이터를 각각의 송신부로 전달하여 송신부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단계 S 108);
    상기 송신부 버퍼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주 송신블럭은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지령하는 전송시작 신호를 생성하고(단계 S 109), 생성된 전송시작 신호를 부 송신블럭에 전달하는 단계(단계 S 110);
    상기 전송시작 신호에 따라서 주 송신블럭의 송신부 및 부 송신블럭의 송신부가 전달된 동기신호에 맞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단계 S 111);
    송신부에 저장되었던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는 단계(단계 S 11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송신블럭 및 부 송신블럭의 송신부는,
    상기 주 송신블럭 및 부 송신블럭에 할당된 채널들을 일정한 갯수의 채널로 나누어 처리하는 소단위의 송신모듈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을 위한 명령신호는 외부의 제어시스템로부터 부 송신블럭으로 부여되고 난 후, 부 송신블럭이 이 명령신호를 주 송신블럭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신방법.
KR1020100116480A 2010-11-22 2010-11-22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480A KR101038505B1 (ko) 2010-11-22 2010-11-22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480A KR101038505B1 (ko) 2010-11-22 2010-11-22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505B1 true KR101038505B1 (ko) 2011-06-01

Family

ID=4440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480A KR101038505B1 (ko) 2010-11-22 2010-11-22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70A (ko) * 2017-06-30 2019-01-09 국방과학연구소 Csma 기반의 반이중 무전기에서 채널 간섭을 회피하는 패킷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857A (ko) * 2008-07-02 2010-01-12 원진테크닉큐주식회사 다채널 회로 식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857A (ko) * 2008-07-02 2010-01-12 원진테크닉큐주식회사 다채널 회로 식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70A (ko) * 2017-06-30 2019-01-09 국방과학연구소 Csma 기반의 반이중 무전기에서 채널 간섭을 회피하는 패킷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9365B1 (ko) * 2017-06-30 2019-04-16 국방과학연구소 Csma 기반의 반이중 무전기에서 채널 간섭을 회피하는 패킷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0982B1 (en) Delay management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s networks
US8689035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interface, and synchronization method
US6816818B2 (en) Method, clock generator module and receiver module for synchronizing a receiver module
EP2595331A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time synchronization
US8743292B2 (en) Video/audio production processing control synchronization
JP2008061093A (ja) ビットレート混在光通信方法並びに光加入者装置及び光局側装置
US201503189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ock reference streams
US10444788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time partition windows
CN102916758B (zh) 以太网时间同步装置和网络设备
WO2020170947A1 (ja) 時刻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JP6381392B2 (ja) Ponシステム、olt、onuおよび伝送方法
KR101038505B1 (ko) 동기화 전송 가능한 다채널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JP5088281B2 (ja) パケット同期切替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JP6529063B2 (ja) Ponシステム、oltおよび伝送方法
CN104426647B (zh) 同步化控制单元和至少一个分配的外围单元的方法和设备
KR1999005898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인트라-네트워크 동기방법
US8565293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measuring channel assemblies and/or measuring devices, and appropriate measuring device
JP2003179584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同期方法
CN102546144A (zh) 用于同步信息的方法和装置
TW201731265A (zh) 時間同步從裝置及通訊控制方法
CN111106891A (zh) 一种相对时间同步方法、设备和系统
CN111416681A (zh) 一种适应多场景应用的高可靠时频同步组网方法
Ballesteros et al. Achieving elementary cycle synchronization between masters in the flexible time-triggered replicated star for Ethernet
JP2009278333A (ja) 非同期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電波送信システム及び電波同期送信方法
US10122486B2 (en) Method for clock synchronization between two devices connected by an ethernet wir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