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162B1 -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162B1
KR101038162B1 KR1020080097179A KR20080097179A KR101038162B1 KR 101038162 B1 KR101038162 B1 KR 101038162B1 KR 1020080097179 A KR1020080097179 A KR 1020080097179A KR 20080097179 A KR20080097179 A KR 20080097179A KR 101038162 B1 KR101038162 B1 KR 10103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pring
mobile phone
module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856A (ko
Inventor
여리나
Original Assignee
여리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리나 filed Critical 여리나
Priority to KR102008009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1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활한 작동성을 부여하면서 휴대폰의 슬림화와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창과 기능 버턴을 가지는 어퍼바디와 숫자버턴을 가지는 로어바디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타입의 휴대폰에 적용되어 휴대폰 사용을 위하여 로어바디에 대하여 어퍼바디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더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모듈은 어퍼바디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직이동하고, 로어바디에 힌지 고정되어 회전운동하도록 대칭형상으로 구비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사이에 연결되어 닫힘 상태와 개방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힘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Figure R1020080097179
휴대폰, 슬라이더, 모듈, 인장스프링

Description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SLIDER MODUL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면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폰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한 개선된 슬라이더 모듈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에 적용되는 슬라이더 모듈은 표시창과 기능버턴을 가지는 어퍼바디와 숫자버턴을 가지는 로어바디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타입의 휴대폰에 적용되어 휴대폰 사용을 위하여 로어바디에 대하여 어퍼바디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만들어 내는 슬라이더 모듈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휴대폰 등에 다수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 대표적인 예를 도 8을 통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슬라이더 모듈(1)은 휴대폰을 구성하는 로어바디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에 가이드 또는 레일을 통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3)를 결합하여 어퍼바디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와 슬라이딩플레이트(3)에는 작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4)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하나 이상의 토션 타입 또는 여러 개의 압축스프링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슬라이더 모듈은 로어바디와 어퍼바디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데, 플레이트와 스프링의 크기 때문에 모듈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을 슬림화에 지장을 주게 된다.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압축스프링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압축스프링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탈되거나 서로 연접된 압축스프링이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을 잡아주기 위함 심재를 별도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듈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많은 부품으로 인한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원가 상승의 원인에 의하여 휴대폰의 슬림화와 제조원가 인하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생산성이 취약하게 되고 부품의 관리와 물류에도 상당한 애로점이 발생한다.
또한, 토션스프링 방식의 경우에는 모듈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스프링을 연결하기 위한 부위와의 유격이 발생하여 작동이 스무드하지 못하고, 슬라이딩 과정에서 좌,우 방향으로 흔들림이 심하게 일어나는 불안한 동작으로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께 측면에서는 손실이 적으나 연결고리 부위의 취약성과 더불어 슬라이딩 과정에서 스프링이 과도하게 변형됨으로서 모듈의 손상을 초래하여 수명을 단축시키면서 작동성을 저해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휴대폰 전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표시창과 기능 버턴을 가지는 어퍼바디와 숫자버턴을 가지는 로어바디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타입의 휴대폰에 적용되어 휴대폰 사용을 위하여 로어바디에 대하여 어퍼바디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더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모듈은 어퍼바디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고, 로어바디에 힌지 고정되어 회전운동하도록 대칭형상으로 구비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연결되어 닫힘 상태와 개방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힘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원활한 작동성을 부여하면서 휴대폰의 슬림화와 경량화가 가능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더 모듈을 개선하여 부품 수를 줄이면서 용이한 조립성을 부여하고, 두께를 줄여 휴대폰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여 휴대폰의 품질과 수명을 증대시켜 대외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을 사용하는 모듈에 비하여 본 발명의 모듈에 사용되는 인장스프링의 힘은 최저일때와 최고일때의 차이가 급격하지 않아서 훨신 부드러운 작동성을 가지는 등 기대되는 효과가 많은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스프링홀더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표시창과 기능 버턴을 가지는 어퍼바디(100)와 숫자버턴을 가지는 로어바디(101)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타입의 휴대폰(102)에 적용되어 휴대폰(102) 사용을 위하여 로어바디(101)에 대하여 어퍼바디(100)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슬라이더 모듈(110)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모듈(110)을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면서 휴대폰(102)의 경량화 슬림화가 가능하고 슬라이딩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슬라이더 모듈(110)은 어퍼 및 로어바디(100,10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대칭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111,112)와, 상기 슬라이더(111,112)에 구비되는 스프링걸이구(113,114)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인장력에 의하여 슬라이더(111,112)가 초기 상태로의 복귀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닫힘 상태 또는 개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인장스프링(115,116)으로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더(111,112)는 슬림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가급적이면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개략 ⊂ 형상의 슬라이더바디(122,123)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바디(122,123)의 어느 한 방향에는 슬라이더바디(122,123)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긴 길이로 슬라이더로드(124,125)를 돌출시키고, 상기 슬라이더로드(124,125)의 끝단에는 어퍼바디(100) 또는 로어바디(101)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126,127)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로드(124,125) 대향 위치의 슬라이더바디(122,123)에는 슬라이더로드(124,125)가 삽입되어 상호 슬라이딩 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로드홀(128,129)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111,112)는 경량화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또는 아연캐스팅을 통하여 성형하거나 강화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과 금속재질의 인서트 사출성형, 프레싱을 통한 접합구성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인장스프링(115,116)은 하나 이상의 복수 개를 사용함으로서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작동력을 부여하고, 어느 하나의 인장스프링(115,116)에 이상 발생이 있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는 인장스프링(115,116)을 슬라이더(111,112)에 결합 되는 스프링홀더(130,131)에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스프링홀더(130,131)는 슬라이더바디(122,123)와 결합 가능하게 외측에 결합슬로트(S)을 가지는 사각형상의 홀더바디(132,133)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슬로트(S)와 연장되는 위치의 홀더바디(132,133)에 슬라이더바디(122,123)에 형성되는 걸림턱(120,121)과 결합 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홀(134,135)을 형성한다.
상기 홀더바디(132,133)의 내부에는 홀더바디(132,133)와는 다른 재질로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스프링고정구(136,137)를 구비하여 인장스프링(115,116)의 양단부를 결합하여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구(136,137)는 홀더바디(132,133)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고정구바디(138)에 인장스프링(115,116)의 양단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스프링핀(139)을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기 스프링핀(139)의 끝단에는 걸림턱(140)을 형성하여 인장스프링(115,116)을 걸림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홀더바디(132,133)를 사출성형할 때 홀더바디(132,133)를 형성하는 성형물이 인서트된 인장스프링(115,116)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1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더 모듈(1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111,112)를 서로 대향 되게 위치시켜 슬라이더로드(124,125)를 슬라이더바디(122,123)에 형성되는 결합홀(126,127)에 삽입하고, 슬라이더바디(122,123)의 중앙에 형성되는 스프링걸 이구(113,114)에는 인장스프링(115,116)의 양단부를 걸어서 결합 되도록 한다.
또는, 인장스프링(115,116)을 연결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스프링홀더(130,131)를 슬라이더바디(122,123)에 결합하여도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스프링홀더(130,131)에 형성되는 결합슬로트(S)를 통하여 슬라이더바디(122,123)로 진입한 후 걸림홀(134,135)에 걸림턱(120,121)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게 하여도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로드(124,125)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홀(126,127)을 통하여 어퍼바디(100)와 로어바디(101)에 힌지핀으로 결합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휴대폰(102)을 구성하는 로어바디(101)에 결합된 어퍼바디(1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가 어퍼바디(100)를 밀어서 올리면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바디(100)를 밀어서 내려 줌으로서 닫혀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어퍼바디(10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폐할 때에는 로어바디(101)에 고정된 슬라이더로드(124)는 고정점(P)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고, 어퍼바디(100)에 고정된 슬라이더로드(125)는 고정점(P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직선(수직)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초기상태에는 인장스프링(115,116)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한 쌍의 슬라이더(111,112)는 최대한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어퍼바디(100)를 밀어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측으로 이동하는 어퍼바디(100)에 고정된 슬라이더(112)의 고정점(P1)은 직선이동(수직)하기 때문에 로어바디(101)에 고정된 슬라이더(111)의 결합홀(126)에 삽입된 슬라이더로드(125)는 밀려지는 형태가 되면서 슬라이더바디(122,123)에 결합 된 스프링홀더(130,131)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인장스프링(115,116)은 늘어나게 된다.
또한, 어퍼바디(100)가 전체 개방상태의 1/2이 개방되었을 때에는 인장스프링(115,116)의 인장상태는 최고점에 달하게 되고, 이때의 슬라이더로드(124,125)의 고정점(P,P1)은 수평상태의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퍼바디(100)를 조금만 개방위치로 밀어주게 되면 인장스프링(115,116)의 최고점을 넘어가게 되므로 인장스프링(115,116)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복귀력이 발생하고 두 고정점(P,P1)은 멀어지게 되고, 한 쌍의 슬라이더(111,112)는 초기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어퍼바디(100)에 고정된 슬라이더(112)의 고정점(P1)의 위치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방향이 바뀐 형태를 유지하여 개방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방된 어퍼바디(100)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어퍼바디(100)를 닫는 위치로 밀어줌으로서 어퍼바디(100)와 고정된 슬라이더(112)의 고정점(P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선(수직)이동하고, 로어바디(101)에 고정된 슬라이더(111)의 고정점(P)은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개방의 반대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인장스프링(115,116)의 최대 인장지점을 넘어서는 위치까지 밀어주면 그 뒤로는 힘을 주지 않아도 인장스프링(115,116)이 초기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하여 닫혀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은 부품 수를 최소화하면서 두께를 줄여 휴대폰의 슬림화와 제조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슬라이딩 개,폐 작동성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스프링홀더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2; 휴대폰
110; 슬라이더 모듈
111,112; 슬라이더
115,116; 인장스프링
122,123; 슬라이더바디
130,131; 스프링홀더

Claims (4)

  1. 어퍼바디(100)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고, 로어바디(101)에 힌지 고정되어 회전운동하도록 대칭형상으로 구비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111,112)와;
    상기 슬라이더(111,112)에 사이에 연결되어 닫힘 상태와 개방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힘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115,116)으로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더(111,112)는 박판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더바디(122,123)와;
    상기 슬라이더바디(122,123)의 어느 한 방향에 슬라이더바디(122,123)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긴 길이로 돌출되는 슬라이더로드(124,125)와;
    상기 슬라이더로드(124,125)의 끝단에 어퍼바디(100) 또는 로어바디(10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홀(126,127)과;
    상기 슬라이더로드(124,125) 대향위치 슬라이더바디(122,123)에 슬라이더로드(124,125)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드홀(128,129)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스프링(115,116)은 슬라이더바디(122,123)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프링걸이구(113,114) 또는 슬라이더바디(122,123)와 결합 되는 스프링홀더(130,131)에 연결되어;
    어퍼바디(100)와 로어바디(101)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타입의 휴대폰(102)에 적용되어 로어바디(101)에 대하여 어퍼바디(100)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더 모듈(110)을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홀더(130,131)는 슬라이더바디(122,123)와 결합 가능하게 외측에 결합슬로트(S)을 가지고 구비하는 홀더바디(132,133)와;
    상기 슬라이더바디(122,123)에 형성되는 걸림턱(120,121)과 결합 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홀더바디(132,133)에 형성하는 걸림홀(134,135)과;
    상기 홀더바디(132,133)의 내부에 인장스프링(115,116)의 양단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스프링고정구(136,137)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고정구(136,137)는 홀더바디(132,133)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고정구바디(138)와;
    상기 고정구바디(138)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인장스프링(115,116)의 양단부를 결합하는 스프링핀(139)과;
    상기 스프링핀(139)의 끝단에 형성하여 인장스프링(115,116)을 걸림시키면서 사출시 홀더바디(132,133)를 사출성형시 홀더바디(132,133)를 형성하는 성형물이 인서트 된 인장스프링(115,116)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걸림턱(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97179A 2008-10-02 2008-10-02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KR10103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179A KR101038162B1 (ko) 2008-10-02 2008-10-02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179A KR101038162B1 (ko) 2008-10-02 2008-10-02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856A KR20100037856A (ko) 2010-04-12
KR101038162B1 true KR101038162B1 (ko) 2011-05-31

Family

ID=4221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179A KR101038162B1 (ko) 2008-10-02 2008-10-02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29B1 (ko) * 2011-12-29 2013-01-21 (주) 세이텍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탄성구동체
CN107419259B (zh) * 2017-08-15 2019-08-06 江苏新行健实业有限公司 一种不锈钢件表面钝化处理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15B1 (ko) * 2005-09-29 2008-06-23 (주)하이텍파츠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15B1 (ko) * 2005-09-29 2008-06-23 (주)하이텍파츠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856A (ko)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1444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s
KR100839415B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US807351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634116B1 (ko)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부재
KR101035126B1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38162B1 (ko) 휴대폰용 슬라이더 모듈
EP2675139B1 (en) Spring module and slide phone with the same
KR1008847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0431364Y1 (ko) 휴대폰 폴더부 개폐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70056782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KR20070036862A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804592B1 (ko) 휴대폰 폴더부 개폐용 슬라이드 조립체
JP2010161763A (ja) スライド式ハンドセットおよびスライダ
KR100861074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30928B1 (ko) 슬라이딩 힌지 액추에이터
KR20100123063A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림형 슬라이드 휴대폰
KR100876552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
KR200374127Y1 (ko) 슬라이딩 방식 휴대폰의 슬라이딩 작동구조
KR20041744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100095148A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개폐기구
KR101030933B1 (ko) 슬라이딩 힌지 액추에이터
KR20100083053A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개폐기구
KR20120045577A (ko) 슬림형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