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964B1 -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964B1
KR101037964B1 KR1020090050350A KR20090050350A KR101037964B1 KR 101037964 B1 KR101037964 B1 KR 101037964B1 KR 1020090050350 A KR1020090050350 A KR 1020090050350A KR 20090050350 A KR20090050350 A KR 20090050350A KR 101037964 B1 KR101037964 B1 KR 10103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tip
dental
gutter
elastic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647A (ko
Inventor
박병활
Original Assignee
박병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활 filed Critical 박병활
Priority to KR102009005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9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신경치료 중 가장 마지막 단계인 근관충전에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주입용건에 비해서 예열이 필요없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크기가 작아 시술에 필요한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하며, 초기구입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근관내에 거터퍼쳐(gutter- percha)를 충전한 다음 동일한 기구로 다져 누르는 작업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간결한 시술이 가능한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팁이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팁 상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팁의 단부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팁의 단부가 관통 출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팁의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과, 근관충전, 거터퍼쳐, 고정부재, 이동부재, 탄성스프링부재

Description

치과용 근관충전기구{INSTRUMENT FOR DENTAL TREATMENT OF ROOTCANAL OBTURATION}
본 발명은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신경치료 중 가장 마지막 단계인 근관충전에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주입용건에 비해서 예열이 필요없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크기가 작아 시술에 필요한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하며, 초기구입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근관내에 거터퍼쳐(gutter- percha)를 충전한 다음 동일한 기구로 다져 누르는 작업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간결한 시술이 가능한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관치료(神經治療, endodontic treatment)란 일반적으로 신경치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치과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는 진료 중 하나이다.
이 치료는 충치가 심하거나 이가부러져 치아의 신경조직인 치수에까지 세균 감염이 진행되었을 경우, 신경조직을 제거한 후 그 자리를 불활성(inert) 재료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근관치료는 치아의 썩은 부위를 제거하고 치료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신경관이 있는 부분까지 치료부위를 확대해 준 다음, 파일(file)을 신경관에 넣고 길이를 측정하여 남아있는 치수조직을 긁어내게 된다.
그런 다음, 치수조직 잔사나 염증조직을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 근관구멍을 넓히고 최종적으로 빈 공간을 채워주는 치료를 하게 되는데 신경관을 넓히는데는 주로 파일(file)과 같은 뾰족한 기구들이 사용되며, 근래에는 나이타이 파일(Ni-Ti file)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나서 최종적으로 확대된 치근관에는 거터퍼쳐(Gutta Percha)라고 하는 불활성 재료를 근관을 충전해 치료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근관충전은 근관 내에 실러(sealer)라고 하는 근관충전용 시멘트를 묻힌 거터퍼쳐를 넣은 다음, 가열된 수직가압펜을 이용해 거터퍼쳐를 일정부분을 잘래낸 후 가압해 근관의 치근단 부위를 밀봉한다.
그런 다음, 주입용 건을 이용해 연회된 거터퍼쳐로 나머지 근관을 완전히 막아준 후 다시 컨덴서로 가압해 다져주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주입용 건 사용시 거터퍼쳐의 연화를 위해 자체적으로 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게 되는바 화상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입용 건 자체의 크기가 커서 시술을 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입용 건은 구입 비용이 100만원 이상으로 비싸고, 고열을 발생시켜야 하는바 유지비용도 많이 소요되며, 고장이나 파손시 보수비용 또한 만만치 않은 실정이었다.
뿐만 아니라 주입용 건을 이용해 근관을 완전히 막아준 후, 거터퍼쳐가 굳기 전에 또 다시 컨덴서를 이용해 다져주는 작업을 해야해 시술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신경치료 중 가장 마지막 단계인 근관충전에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주입용건에 비해서 예열이 필요없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화상의 위험이 없는 치과용 근관충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가 작아 시술에 필요한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하며, 초기구입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관내에 거터퍼쳐(gutter- percha)를 충전한 다음 동일한 기구로 다져 누르는 작업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간결한 시술이 가능한 치과용 근관충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팁이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팁 상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팁의 단부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팁의 단부가 관통 출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팁의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 중 상기 탄 성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측에는 각각 탄성스프링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이동부재는 상기 팁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에 따르면 첫째, 치과 신경치료 중 가장 마지막 단계인 근관충전에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주입용건에 비해서 예열이 필요없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화상의 위험이 없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크기가 작아 시술에 필요한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하며, 초기구입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셋째, 근관내에 거터퍼쳐(gutter- percha)를 충전한 다음 동일한 기구로 다져 누르는 작업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간결한 시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용 근관충전기구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a 내지 4e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1)는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의 단부에 팁(14)이 연결되는 본체(10)와, 팁(14) 상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부재(20)와, 팁(14)의 단부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팁(14)의 단부가 관통 출납되는 이동부재(30)와, 고정부재(20) 및 이동부재(30)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부재(30)를 팁(14)의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손잡이(12)의 단부에 팁(14)이 연결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치과진료시 사용되는 컨덴서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손잡이(12)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 각각 팁(14)이 연결 구비되는데, 양쪽의 팁(14)은 그 형상과 두께가 다른것으로 하며, 환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팁(14) 상에는 고정부재(20)가 고정 위치되는데, 이 고정부재(20)는 추후에 설명될 탄성스프링부재(40)의 일단을 고정하여 이 탄성스프링부재(40)가 역시 추후에 설명될 이동부재(30)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20)는 팁(14)이 절곡되는 위치에 고정 되는 것으로 하며 추후에 설명될 탄성스프링부재(40)가 끼워져 고정될 결합돌기(22)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고정부재(20)가 구비된 팁(14)의 단부측에는 이동부재(30)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데, 이 이동부재(30)는 거터퍼쳐(50)가 삽입 고정되어 이를 치근 내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이동부재(30)는 팁(14)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위치됨에 따라 그 이동여부에 따라 팁(14)의 단부가 관통 출납되는데, 이를 위해 이동부재(30)는 팁(14)이 관통 위치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거터퍼쳐(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이동부재(30)의 일단에는 전술한 고정부재(20)에서와 마찬가지로 추후에 설명될 탄성스프링부재(40)가 고정 결합될 결합돌기(32)가 형성된다.
전술한 고정부재(20) 및 이동부재(30) 사이에는 탄성스프링부재(40)가 개재되는데, 이 탄성스프링부재(40)는 이동부재(30)를 팁(14)의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치근 내에 삽입된 거터퍼쳐(50)를 가압해 주게 된다.
즉, 이동부재(30) 내에 삽입된 거터퍼쳐(50)를 치아(60)의 근관(62) 내에 삽입한 다음, 이동부재(30)의 탄성력을 이용해 근관(62) 입구측을 가압해 굳기 전의 거터퍼쳐(5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아(60)의 썩은 부위와 치수조직 잔사 및 염증조직을 완전히 제거한 근관(62) 내에 실러를 묻힌 거터퍼쳐(50)를 삽입한 다음, 가열된 수직가압펜을 이용해 잘라낸 후 가압해 다져준다.
그런 다음, 근관(62)의 크기에 맞게 절단된 거터퍼쳐(50)를 관통된 이동부재(30)의 내부에 삽입 고정해 준다.
그런 다음, 토치램프를 이용해 거터퍼쳐(50)의 단부를 0.1초 정도 살짝 가열하여 연화시켜 준다.
그런 다음, 이동부재(30)의 단부를 근관(62) 입구측에 밀착시킨 후 팁(14)이 이동부재(30) 내를 통과하도록 손잡이(12)를 지그시 눌러주는데, 이때 팁(14)이 이동부재(30)를 관통하면서 이동부재(30) 내에 삽입되어 있던 거터퍼쳐(50)를 탈락시켜 근관(62)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거터퍼쳐(50)가 근관(62) 내에 삽입된 후에도 이동부재(30)를 근관(62) 입구측에 밀칙시킨 채로 거터퍼쳐(50)를 가압해 다져줌으로써 시술을 마무리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의 단면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기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10 : 본체
12 : 손잡이 14 : 팁
20 : 고정부재 22, 32 : 결합돌기
30 : 이동부재 40 : 탄성스프링부재
50 : 거터퍼쳐 60 : 치아
62 : 근관

Claims (3)

  1.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팁이 연결되는 본체;
    상기 팁 상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팁의 단부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팁의 단부가 관통 출납되는 이동부재;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팁의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 중 상기 탄성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측에는 각각 탄성스프링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팁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KR1020090050350A 2009-06-08 2009-06-08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KR10103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350A KR101037964B1 (ko) 2009-06-08 2009-06-08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350A KR101037964B1 (ko) 2009-06-08 2009-06-08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647A KR20100131647A (ko) 2010-12-16
KR101037964B1 true KR101037964B1 (ko) 2011-06-01

Family

ID=4350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350A KR101037964B1 (ko) 2009-06-08 2009-06-08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024B1 (ko) * 2022-03-14 2023-06-29 이재영 측방 가압 및 수직 가압이 가능한 근관 치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160A (ja) * 1995-03-14 1996-09-24 Showa Yakuhin Kako Kk 注入用具
JPH09253094A (ja) * 1996-03-11 1997-09-30 Maillefer Instr Sa 歯科治療処置済根管のガッタパ−チャ充填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装置
KR100531015B1 (ko) * 2002-07-12 2005-1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KR100762889B1 (ko) * 2006-06-01 2007-10-04 이광석 치아치료용 근관충전기의 니들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160A (ja) * 1995-03-14 1996-09-24 Showa Yakuhin Kako Kk 注入用具
JPH09253094A (ja) * 1996-03-11 1997-09-30 Maillefer Instr Sa 歯科治療処置済根管のガッタパ−チャ充填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装置
KR100531015B1 (ko) * 2002-07-12 2005-1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KR100762889B1 (ko) * 2006-06-01 2007-10-04 이광석 치아치료용 근관충전기의 니들부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647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514B2 (en) Self-heating electric plugger/syringe needle for use in a root canal
DE60002017D1 (de) Vorrichtung zum Dosieren von chirurgischen, härtbaren Massen
US200502821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sealant in medical applications
JP6967583B2 (ja) 誘導加熱を用いた歯内治療材料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60317249A1 (en) Assembled device for retrieving broken instrument from root canal
CN102869312A (zh) 用于无创拔牙的符合人体工程学的工具
KR101037964B1 (ko)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WO2006098557A1 (en) Dentition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using the same
KR10137336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공구
KR102097596B1 (ko) 치과용 치료기구
CN205007379U (zh) 手持式麻醉注射器
EA201992541A1 (ru) Способ мандибулярной анестезии
US7008222B2 (en) Root canal plugging apparatus for dental work
CN206167065U (zh) 一种旋转式携热牙胶充填针
KR20140005818U (ko) 임플란트 상부구조물 구멍마개
KR101629667B1 (ko) 크라운 제거장치
CN202168864U (zh) 执笔式根管治疗器械
EP3016609B1 (en) Improved cervical matrix
JP5384876B2 (ja) 根管充填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7291454B1 (ja) 刺入深度を設定可能な無菌対応型の鍼管及び台座ゲージの組み合わせ。
KR20220000668U (ko) 근관 치료기용 절단팁
CN216495807U (zh) 树脂取用器
KR20100066020A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JP5828176B2 (ja) 歯科装置
US888071A (en) Dental crown-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