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788B1 -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 Google Patents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788B1
KR101037788B1 KR1020090037813A KR20090037813A KR101037788B1 KR 101037788 B1 KR101037788 B1 KR 101037788B1 KR 1020090037813 A KR1020090037813 A KR 1020090037813A KR 20090037813 A KR20090037813 A KR 20090037813A KR 101037788 B1 KR101037788 B1 KR 10103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d
door lock
digital door
lock
al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881A (ko
Inventor
배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riority to KR102009003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78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7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이 개시된다. 디지털 도어록용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의 키 정보(KEY ID)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요청된 키 정보가 저장된 키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 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디지털 도어록으로 전송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 및 디지털 도어록을 강제 알람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강제 알람 명령을 생성하는 강제 알람 버튼을 포함한다. 중앙 제어부는 강제 알람 버튼이 눌려지면, 강제 알람 명령을 무선 반송파(RF carrier)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디지털 도어록의 구동 모터를 강제 잠금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강제 잠금 명령을 생성하는 강제 잠금 버튼을 더 포함한다.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전이 향상된다.
Figure R1020090037813
디지털 도어록, 강제 알람, 강제 잠금, 스마트 키

Description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Smart key for digital door lock with forceful alarming and locking functions}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도어록을 제어하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으로서, 사용자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였을 때 디지털 도어록에 강제 알람 신호 및 강제 잠금 신호를 송신하여 위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킨 디지털 도어록용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각종 건축물의 출입문에 설치되는데, 문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조립체, 문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조립체, 및 모티스(mortise)를 구비한다. 외측 조립체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며, 이러한 키패드는 슬라이딩 덮개에 의해 덮여 있다. 슬라이딩 덮개는 통상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딩 덮개가 위쪽 방향으로 미끄러지면 키패드가 외부에 노출된다. 모티스는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데드볼트,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모티스는 문의 안쪽 면에 또는 문 속의 벽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내측 조립체에는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해 모티스를 가동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기존의 기계식 도어록에 비해 엄격한 출입통제 기능을 제공하며,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나, 지문인식기, 카드리더 등과 같은 출입인증수단을 구비하여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반면에,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거나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을 디지털 도어록에 접촉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런데, 디지털 도어록을 감제로 해정하여 주거 또는 건물에 침입하고자 하는 범죄가 증가한다. 특히, 범죄 수법도 진화하여, 최근에는 철제 도어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서 구멍을 통해 가는 철사를 삽입하고, 삽입된 철사를 이용하여 도어 내측의 디지털 도어록 본체에 위치한 해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용이하게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범죄도 발생한다. 또는, 디지털 도어록 근처에 숨어 있다가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 번호의 일부를 몰래 익혀둔 뒤, 나머지 번호의 조합을 지속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에 입력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범죄도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외부에서 범죄자가 디지털 도어록의 해정을 시도하는 경우, 건물 내부의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이러한 범죄 시도를 무산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현재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침입 시도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두려움에 싸인 채 112에 연락하여 경찰이 도우러 올 때까지 무작정 대기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치안 담당자들이 도착하는 시간은 반드시 일정한 것이 아니며, 업무 폭주나 교통 체증 때문에 도착이 지연될 경우 이미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침입하여 귀중한 신체 또는 재산 에 손상을 입히더라도 속수무책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도어록의 사용자가 직접 위험을 감지하였을 경우, 용이한 방식으로 잠재적인 범죄자에게 경고하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범죄 시도를 포기하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록의 사용자가 위험을 감지하였을 경우, 직접적으로 범죄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은 물론, 필요할 경우 강제로 디지털 도어록을 잠글 수 있도록 허용하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디지털 도어록용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의 키 정보(KEY ID)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요청된 키 정보가 저장된 키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 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디지털 도어록으로 전송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 및 디지털 도어록을 강제 알람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강제 알람 명령을 생성하는 강제 알람 버튼을 포함한다. 특히, 중앙 제어부는 강제 알람 버튼이 눌려지면, 강제 알람 명령을 무선 반송파(RF carrier)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알람 모드 동안에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알람 램프에 의하여 생성되는 시각적 신호 또는 스피커에 의하여 생성되는 청각적 신호가 생성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디지털 도어록의 구동 모터를 강제 잠금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강제 잠금 명령을 생성하는 강제 잠금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강제 알람 모드 및 강제 잠금 모드는, 강제 알람 버튼 및 강제 잠금 버튼이 눌러진 때마다 토글(toggle)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휴 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무선 원격 조정기 또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이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이 내장된 하드웨어 스마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사용자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의 강제 알람 버튼 또는 강제 잠금 버튼을 이용하여, 위험을 감지하였을 경우 직접적으로 범죄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송출하거나 디지털 도어록을 강제로 잠글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용자는 범죄자의 범죄 시도를 원천 봉쇄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 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용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40)은 직류 3V의 배터리(403), 저주파 3차원(3D) 안테나(404), 3차원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nalog front end; AFE) 집적회로(406), 마이크로제어부(MCU; 408), 발광다이오드(LED) 구동부(410), RF 송신부(412) 및 강제 알람 버튼(420) 및 강제 잠금 버튼(440)을 포함한다.
저주파 3D 안테나(404)는 안테나의 중심을 원점으로 한 3차원 공간에서 x, y 및 z축의 모든 방향들로의 수신 감도들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안테나이다. 3D AFE 집적회로(406)는, 저주파 3D 안테나(404)와는 공통선과 x, y 및 z축의 각 방향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선들(X, Y, Z)에 의해 연결되며, 항상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3D AFE 집적회로(406)는 수신된 데이터와 기상(WAKE) 신호를 마이크로제어부(408)로 전송한다. 마이크로제어부(408)는 평상시에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대기모드에 있으며, 기상(WAKE) 신호에 의해 동작을 시작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마이크로제어부(408)는 기상(WAKE) 신호를 수신할 때 LED 구동부(410)를 구동하며, 추후에 데이터의 처리 결과에 따라 LED 구동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제어부(408)로부터 인에이블 신호(RFEN) 및 데이터(DATA)를 송수신하 는 RF 송신부(412)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디지털 도어록으로 발신한다.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LF 챌린지 신호가 수신되면, MCU(408)는 이를 인식하고 RF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한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KEY ID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MCU(408)는 수신된 KEY ID 요청 신호에 포함된 KEY ID가 내부 저장된 KEY ID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동일하다면, MCU(408)는 자신의 KEY ID를 암호화하여 KEY ID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RF 송신부(412)가 KEY ID 응답 신호를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한다. KEY ID 응답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도어록은,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KEY ID와 일치할 경우 모터 구동부(도 2의 216)를 구동하여 데드 볼트를 개방한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40)에 포함되는 강제 알람 버튼(420) 및 강제 잠금 버튼(440)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각각 강제 알람 신호 및 강제 잠금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MCU(408)는 수신된 강제 알람 신호 및 강제 잠금 신호를 RF 송신부(412)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한다. 강제 알람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도어록은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며, 강제 잠금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도어록은 모터 구동부(도 2의 216)의 동작을 차단하여 전자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이와 같이, 강제로 알람이 발생되면, 디지털 도어록 외부에서 침입을 시도하던 범죄자는 자신의 존재를 사용자가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기 때문에 범행을 포기하게 된다. 또는, 강제 알람에도 불구하고 범죄자가 여전히 침입을 시도한 다면, 디지털 도어록이 강제 잠금 상태에 들어가기 때문에, 더 이상 유사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더라도 디지털 도어록은 쉽게 열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신체상 손해 또는 금전적 손해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과 함께 동작하는 디지털 도어록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은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은 프론트 유닛(10), 메인 유닛(20), 및 모티스(30)를 구비한다. 프론트 유닛(10)은 문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조립체에 구비되며, 메인 유닛(20)은 문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조립체에 구비된다.
프론트 유닛(10)은 저주파 안테나(102), 리셋 스위치(104), 발광다이오드(LED)부(106), 오픈 스위치(108), 키패드(110), 및 무선 주파수(RF) 안테나(112)를 구비한다. 저주파 안테나(102)는 저주파수의 전자기파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이용되며, 저주파 안테나 구동부(204)에 의하여 구동된다. 저주파 안테나(102)는, 페라이트(ferrite) 안테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34.2kHz의 저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안테나(102)는 0.7m 내지 1m의 유효 발신거리를 가진다. LED부(106)는 오픈 스위치(108) 또는 키패드(110) 상의 키가 눌러지면 LED들(미도시)을 점등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RF) 안테나(112)는 헬리컬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안테나(112)는 약 315 MHz의 주파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유닛(10)은 9V의 비상전원을 위한 단자들(116)도 구비한다. 비상전 원 단자들(116)은,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배터리가 완전 방전 등에 의해 장치 동작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도어록을 임시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 외부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단자들이다.
메인 유닛(20)은 전원 관리부(202), 저주파 안테나 구동부(204), RF 수신기(206), 스마트 키 등록 스위치(208), 비밀번호 등록 스위치(210), 도어 센서 스위치(302), 데드볼트 스위치(304), 내부 강제 잠금 스위치(212), 스피커(214), 모터 구동부(216), 및 제어부(218)를 구비한다. 직류 6V의 배터리(220)가 연결되는 전원 관리부(202)는 디지털 도어록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220V의 상용 전원이 수신되면, 전원 관리부(202)는 이를 6V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 요소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저주파 안테나 구동부(204)는 프론트 유닛(10)의 저주파 안테나(102)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된다. RF 수신기(206)는 프론트 유닛(10)의 헬리컬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18)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스마트 키 등록 스위치(208)는 스마트 키의 등록을 위해 사용된다. 프론트 유닛(10)에 있는 스마트 키 등록 스위치(208)를 누르면, 디지털 도어록은 스마트 키들을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할 수 있는 '등록모드'로 설정된다. 비밀번호등록 스위치(210)는 디지털 도어록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내부 강제 잠금 스위치(212)는 문 밖에서 문을 여는 시도를 모두 무시하고 문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어 센서 스위치(302)는 문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즉, 도어 센서 스위치(302)는 현재 문이 열려있는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데드볼트 스위치(304)는 데드 볼트를 조작하여 문을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즉, 데드볼트 스위치(304)가 눌러지면, 데드볼트가 돌출되어 문을 잠그게 된다.
스피커(214)는 디지털 도어록의 동작 상태를 소리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40)으로부터 강제 알람 신호 및 강제 잠금 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214)는 알람 소리 및 경고 소리를 출력하여 경고할 수 있다. 메인 유닛(20)에 외부 LED(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강제 알람 모드 또는 강제 잠금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모터 구동부(216)는 모터(308)를 구동하여 문을 잠그거나 열기 위한 것이다. 메인 유닛(2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제어부(218)에 연결되며 제어부(218)의 제어 하에 자신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자동 모드일 경우, 점선으로 표시된 도달 거리 내에 스마트 키(40)가 접근하면, 디지털 도어록은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스마트 키(40)를 인증하고 도어를 잠금 해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스마트 키(40)를 꺼내거나 디지털 도어록에 접촉시킬 필요 없이 용이하게 문을 열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40)으로부터 강제 알람 신호 및 강제 잠금 신호가 수신될 경우 외부의 침입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 도어록을 강제로 잠글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향상된다. 알람 신호는 버저음과 같은 단순한 경고음이거나, '당신의 행동은 현재 주목받고 있습니다' 라는 구체적인 경고 메시지일 수도 있다. 또는, 버저음 및 LED 점멸을 동시에 수행하여 한결 강렬한 인상을 주 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에 포함되는 강제 알람 버튼 및 강제 잠금 버튼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우선, 강제 알람 스위치는 T1의 시간 간격동안 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강제 알람 신호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이유는,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강제 알람 스위치가 소정 시간 동안 눌려진 경우에만 강제 알람 신호가 활성화되도록 구현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정된 시간 이상의 시간인 T2 동안 강제 알람 스위치가 눌려지면, 이번에는 강제 알람 신호가 활성화된다. 강제 알람 신호가 활성화되면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은 강제로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3에서, 강제 알람 신호는 T4의 시간 간격 동안에 활성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강제 알람 신호가 비활성화되는 이유는, 강제 알람 신호가 활성화된 이후에, 강제 알람 스위치가 다시 한번 눌려졌기 때문이다. 이 때, 강제 알람 스위치는 T3의 기간 동안 눌려졌으며, 이것은 T1보다 커야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T3이 T1보다 길기 때문에, 강제 알람 신호는 강제 알람 스위치가 비활성화되는 시점에 맞춰서 비활성화된다.
도 3에 도시된 강제 알람 스위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강제 잠금 스위치의 동작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되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 외부에 구현된 동작 버튼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a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또는 FOB 키)(500)를 도시하고, 도 4b는 디지털 도어록 용 원격 조정기(550)를 도시한다. 스마트 키(500) 및 원격 조정기(550)는 모두 디지털 도어록을 원거리에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다만, 스마트 키(500)의 경우 내부에 메인 콘트롤러(도 1의 408 참조)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인증 동작이 더욱 정밀하게 수행된다는 점이 다르다.
도 4a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500)는 강제 알람 버튼(510) 및 강제 잠금 버튼(520)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 알람 버튼(510) 및 강제 잠금 버튼(520)를 누를 때마다 강제 알람 모드 및 강제 잠금 모드가 토글된다. 하지만, 도 4b에 도시된 원격 조정기(550)는 강제 알람 버튼(580) 및 강제 잠금 버튼(560) 외에도 알람 해제 버튼(590) 및 잠금 해제 버튼(570)을 포함한다. 원격 조정기(550)의 경우에는, 강제 알람 모드 및 강제 잠금 모드가 강제 알람 버튼(580) 및 강제 잠금 버튼(560)이 눌릴 때마다 토글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해제 버튼들이 눌릴 경우에 해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사용자가 위협을 느낄 때 강제로 알람을 작동시키거나 디지털 도어록을 강제 잠금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용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과 함께 동작하는 디지털 도어록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에 포함되는 강제 알람 버튼 및 강제 잠금 버튼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되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 외부에 구현된 동작 버튼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Claims (5)

  1.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의 키 정보(KEY ID)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요청된 키 정보가 저장된 키 정보와 일치하는지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에 의하여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 상기 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으로 전송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강제 알람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강제 알람 명령을 생성하는 강제 알람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강제 알람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알람 램프 및 스피커를 통하여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가 출력되도록 야기하는 상기 강제 알람 명령을 무선 반송파(RF carrier)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구동 모터를 강제 잠금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강제 잠금 명령을 생성하는 강제 잠금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알람 모드 및 상기 강제 잠금 모드는, 상기 강제 알람 버튼 및 상기 강제 잠금 버튼이 눌러진 때마다 토글(toggl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5. 삭제
KR1020090037813A 2009-04-29 2009-04-29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Expired - Fee Related KR101037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813A KR101037788B1 (ko) 2009-04-29 2009-04-29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813A KR101037788B1 (ko) 2009-04-29 2009-04-29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881A KR20100118881A (ko) 2010-11-08
KR101037788B1 true KR101037788B1 (ko) 2011-05-27

Family

ID=4340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8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7788B1 (ko) 2009-04-29 2009-04-29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7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85A (ko) * 2001-08-22 2003-03-04 이삼현 확장판 인출장치 및 이 인출장치가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KR200317785Y1 (ko) 2003-03-28 2003-06-25 한명재 침입 알림 기능을 가지는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85A (ko) * 2001-08-22 2003-03-04 이삼현 확장판 인출장치 및 이 인출장치가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KR200317785Y1 (ko) 2003-03-28 2003-06-25 한명재 침입 알림 기능을 가지는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881A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6677A1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CN202380826U (zh) 防盗门用智能进入及报警装置
JPH05506322A (ja) 警備装置
WO2012017214A1 (en) Vehicle security device
CN101174352A (zh) 用于安全系统的无源解除收发器
CN104484970B (zh) 防盗方法及系统
CN106555539A (zh) 基于人脸识别技术的智能防盗门
KR101952522B1 (ko)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100742263B1 (ko) 무선 id를 갖는 열쇠를 이용한 전자 시건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204877162U (zh) 多功能智能安防防盗门
KR101037788B1 (ko) 강제 알람 기능 및 강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스마트 키
KR101045103B1 (ko) 보안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 방법
KR100899446B1 (ko)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3831172B2 (ja) 建物用ドア錠の遠隔操作装置
JP2014173324A (ja) 電気錠システム
CN205100688U (zh) 一种具有告警功能的安全房门锁具
KR100936773B1 (ko)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형 전자식 잠금장치
JP2001271523A (ja) ド ア
KR20040091172A (ko) 무선 도어키와 알에프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입문 잠금장치
TWI472673B (zh) Wireless sensor lock
CN201269027Y (zh) 具有被撬报警功能的防盗门
KR101103044B1 (ko) 물체 감지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 방법
JP4560326B2 (ja) 入退室管理装置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KR20100049991A (ko) 스마트 키의 저전압 통지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N101270630A (zh) 具有被撬报警功能的防盗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