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234B1 - 수질 정화용 화분 - Google Patents

수질 정화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234B1
KR101036234B1 KR1020100087397A KR20100087397A KR101036234B1 KR 101036234 B1 KR101036234 B1 KR 101036234B1 KR 1020100087397 A KR1020100087397 A KR 1020100087397A KR 20100087397 A KR20100087397 A KR 20100087397A KR 101036234 B1 KR101036234 B1 KR 10103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water
space
cultivation spac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해
송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to KR102010008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적어도 일부가 물에 뜨는 화분이 개시된다. 화분은 바닥부 및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재배공간을 구비하는 화분 본체를 포함한다. 측벽부는 재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제1 개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분을 이용하면, 수질을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 정화용 화분{POTS FOR PURIFYING WATER}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뜨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4대강 사업 등으로 인하여 환경 오염, 특히, 수질 오염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고, 수질 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화분을 이용하여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재배공간을 구비하는 화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재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제1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화분은 물에 뜰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화분이 물에 뜨기 위해, 상기 화분 본체는 상기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화분 본체는 상기 재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화분 본체의 내면과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화분 본체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화분은 상기 측벽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리 형상의 부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재배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측벽부 및 상기 베이스 측벽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측벽부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부력 부재가 상기 화분 본체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측벽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은 상기 재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화분 본체의 내면 및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화분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산화 촉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촉매층은 광촉매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화분은 상기 화분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산화 촉매층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은 물 위에 뜬 상기 화분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무게중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화분은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고정부재, 상기 재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된 중심추 부재 및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상부 단부와 상기 중심추 부재와 결합하는 하부 단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은 상기 재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된 미생물 서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광촉매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질정화장치 및 상기 화분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광촉매층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분은 상기 재배 상기 공간의 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수질정화장치들이 상기 재배 공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분에 따르면, 화분본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산화 촉매층이 형성되어 있고, 재배공간 외부에 고정된 미생물 서식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연못, 호수 등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은 적어도 일부가 물위에 뜰 수 있고, 화분 본체(1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화분(100)을 연못, 호수 등에 투입하여 상기 화분(100)에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상기 화분(100)은 연못, 호수 등의 물 위를 떠서 이동할 수 있다.
화분 본체(110)는 바닥부(113) 및 바닥부(113)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부(111a, 111b)를 포함한다. 바닥부(113) 및 측벽부(111a, 111b)는 재배 공간을 형성하고, 측벽부(111a, 111b)에는 재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제1 개구(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분(100)을 연못, 호수 등의 물 위에 띄울 경우, 연못, 호수 등의 물이 상기 제1 개구(111c)를 통하여 화분 본체(110)의 재배 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화분 본체(110)의 재배 공간 내부에 있는 물이 상기 제1 개구(111c)를 통하여 연못, 호수 등으로 유출될 수 있다.
화분(100)이 물에 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례로서, 화분 본체(110)는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화분 본체(110)는 재배 공간을 정의하는 화분 본체(110)의 내면과 이에 대향하는 화분 본체(110)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 공간에 채워진 기체 등에 의해 화분(100)이 물에 뜨는 것이다. 또다른 예로서, 화분(100)은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형성된 별도의 부력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보다 밀도가 큰 물질로 형성된 화분 본체(110)를 부력 부재(120)를 이용하여 물에 띄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력 부재(120)는 화분 본체(110) 측벽부(111a, 111b)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력 부재(120)가 측벽부(111a, 111b)를 감싸는 고리 구조를 가지는 경우, 연못, 호수 등의 물에 의해 부력 부재(120)에 인가되는 부력에 의해 부력 부재(120)는 물위에 뜨고자 함에 반해 화분 본체(110)는 물에 가라앉고자 하므로, 부력 부재(120)가 화분 본체(110)의 상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화분 본체(110)의 측벽부(111a, 111b)는 바닥부(113)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바닥부(113)와 함께 상기 재배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측벽부(111a) 및 베이스 측벽부(111a)의 상부 단부로부터 베이스 측벽부(111a)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부력 부재(120)가 화분 본체(11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측벽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측벽부(111b)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베이스 측벽부(111a)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측벽부(111a, 111b)의 직경을 상부로 갈수록 크게 형성하고, 고리 형상의 부력 부재(120)의 직경을 측벽부(111a, 111b) 최상단의 직경보다는 작고, 측벽부(111a, 111b) 최하단의 직경보다는 크도록 형성하여, 부력 부재(120)가 화분 본체(11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화분(100)은 상기 재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화분 본체(110)의 내면 및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화분 본체(11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산화 촉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화분 본체(1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된 산화 촉매층을 이용하여, 연못, 호수 등의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다. 산화 촉매층은 광촉매 물질로 형성된 광촉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광촉매층은 광촉매 물질인 산화티탄(TiO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층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촉매작용을 한다. 즉, 광촉매층에 포함된 광촉매 물질에 일정한 에너지를 가진 광이 조사되면 광촉매 물질의 전자가 가전자대(VALANCE BAND)에서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되므로, 전도대에는 전자(e-)가 형성되고 가전자대에는 정공(h+)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전자와 정공은 강한 산화 또는 환원작용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리시키는 등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화분(100)의 산화 촉매층이 광촉매층을 포함하는 경우, 화분(100)은 화분 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광촉매층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광촉매층은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광촉매 반응을 하고, 야간에는 광원(150)에서 제공된 광을 이용하여 광촉매 반응을 하는 것이다. 광원(150)은 점광원인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형광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분(100)을 연못, 호수 등에 띄울 경우, 화분(100)이 전복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분(100)은 화분(100)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무게 중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무게 중심부(130)는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화분 본체(110) 바닥부(113)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가져서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고정부재(133), 상기 재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중심추 부재(131) 및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재(133)와 결합하는 상부 단부와 상기 중심추 부재(131)와 결합하는 하부 단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무게 중심부(130)는 고정부재(133)를 포함하지 않고, 연결부재(132)가 화분 본체(110) 바닥부(113)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연못, 호수 등의 수질을 정화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분(100)은 상기 재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된 제1 미생물 서식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생물 서식체(140)는 호기성 미생물, 혐기성 미생물 및 임의성 미생물 중 적어도 일 종 이상이 서식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제1 미생물 서식체(140)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미생물 서식체(140)는 극세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미생물 서식체(140)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수지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와 달리, 제1 미생물 서식체로 중심추 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 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미생물 서식체를 부착함으로써, 별도의 중심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제1 미생물 서식체는 바닥부의 중앙 부분뿐만 아니라 바닥부의 다른 부위에 결합된 연결 부재에 부착될 수도 있다.
화분(100)은 재배 공간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수질정화장치들(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질정화장치들(160) 각각은 몸체부(160a) 및 몸체부(160a)의 외부면에 코팅된 광촉매층(160b)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60a)는 합성수지, 점토 또는 전분 등에 제올라이트(zeolite) 및 산화타니타늄(TiO2)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들을 흡착할 수 있다. 몸체부(160a)는 제올라이트 및 광촉매 물질인 산화티타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여 이를 분해할 수 있다. 몸체부(160a)는 물보다 밀도가 작아서 물에 뜨거나, 물보다 밀도가 커서 물에 가라앉을 수 있다. 몸체부(160a)는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몸체부(160a)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관통공(through-hole: 160c)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공들(160c)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공들(160c)을 통해 외부의 물이 몸체부(160a)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160a) 내부 공간의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몸체부(160a)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60a)는 서로 결합하는 상부 반구(161) 및 하부 반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반구(161)의 결합면에는 결합 돌기(161a)가 형성되고, 하부 반구(163)의 결합면에는 결합 돌기(161a)가 삽입되는 결합홀(16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161a)가 결합홀(163a)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 반구(161)와 하부 반구(163)가 서로 결합되어 구형의 수질정화장치(160)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2에는 몸체부(160a)가 구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몸체부(160a)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60a)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등의 다면체 형상, 원기둥 형상, 원뿔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광촉매층(160b)은 몸체부(160a)의 외부면에 코팅된다. 일례로, 광촉매층(160b)은 산화티탄(TiO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층(160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촉매작용을 한다. 수질정화장치들 각각은 몸체부(160a)의 내부공간 안에 배치되고, 호기성 미생물, 혐기성 미생물 또는 임의성 미생물 중 적어도 일 종 이상이 서식하는 제2 미생물서식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미생물서식체는 제1 미생물 서식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높은 표면적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미생물서식체는 극세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미생물 서식체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수지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화분(100)은 화분 본체(110)에 형성된 재배 공간의 입구를 차단하여 수질정화장치들(160)이 재배 공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170)에는 다수의 개구(170a)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170)의 개구(170a)는 수질정화장치들(130)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수질정화장치들(160)이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수질정화장치들(160a)은 화분 본체(110)에 형성된 재배 공간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덮개(170)는 상기와 같이 재배 공간의 입구를 통하여 수질정화장치들(16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화분(100)은 화분 본체(110)가 물속에 침수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침수조절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경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재배 공간이 물로 채워져야 하고, 재배 공간이 물로 채워지기 위해서는 화분 본체(110)가 소정 깊이만큼 연못, 호수 등의 물에 가라앉아야 한다. 특히, 화분 본체(110)가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형성된 경우, 화분 본체(110)는 침수조절부재(190)에 의해 소정 깊이만큼 물속에 가라앉을 수 있다. 이 경우, 화분 본체(110)가 물속에 완전히 가라앉지 않도록 침수조절부재의 무게를 조절하여야 한다. 침수조절부재는 물보다 밀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침수조절부재는 다수의 자갈을 포함할 수 있다. 침수조절부재는 화분 본체(110)의 재배 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수질정화장치들(130)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100)은 화분 본체(110)의 외면에 형성된 연결 고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분(100)을 연못, 호수 등에 띄워서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연결 고리부를 통해 복수의 화분(1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고리부는 돌출 측벽부(111b)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화분(100)은 상기 연결 고리부들에 삽입되어 로프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화분(100)에 재배되는 식물이 특정 계절에만 생존하는 경우, 상기 특정 계절이 지나면 화분(100)을 호수, 연못 등의 외부로 수거하여 죽은 식물을 제거해 줘야 한다. 죽은 식물을 그대로 호수, 연못 등에 방치하는 경우, 죽은 식물에 의해 호수, 연못 등의 물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화분들(100)을 호수, 연못 등의 외부로 수거하고자 하는 경우, 로프를 이용하여 화분들(100)을 서로 연결하여 두면 용이하게 화분들(100)을 외부로 수거할 수 있다.
연못, 호수, 어항 등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을 이용하여 수경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화분 본체(110)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된 산화 촉매층, 재배 공간의 외부에 고정된 미생물 서식체, 재배 공간의 내부에 배치된 수질정화장치들에 의해 연못, 호수 등의 물이 정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화분 110 : 화분 본체
120 : 부력 부재 130 : 무게 중심부
140 : 미생물 서식체 150 : 광원
160 : 수질정화장치 170: 덮개

Claims (10)

  1.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재배공간을 구비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바닥부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재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된 중심추 부재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물 위에 뜬 화분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무게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재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는 상기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는 상기 재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화분 본체의 내면과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화분 본체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리 형상을 갖고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형성된 부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재배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측벽부 및 상기 베이스 측벽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측벽부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부력 부재가 상기 화분 본체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화분 본체의 내면 및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화분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산화 촉매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에 결합된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중앙 부분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중심부는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홀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추 부재는 상기 재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된 미생물 서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9. 제8항에 있어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된 산화촉매층을 포함하고,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질정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공간의 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수질정화장치들이 상기 재배 공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20100087397A 2010-09-07 2010-09-07 수질 정화용 화분 KR10103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397A KR101036234B1 (ko) 2010-09-07 2010-09-07 수질 정화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397A KR101036234B1 (ko) 2010-09-07 2010-09-07 수질 정화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234B1 true KR101036234B1 (ko) 2011-05-20

Family

ID=4436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397A KR101036234B1 (ko) 2010-09-07 2010-09-07 수질 정화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2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136A (ja) * 1995-11-13 1997-05-20 Shotaro Mogami 湿原植物用植木鉢
KR20030000173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200300173Y1 (ko) 2002-10-07 2003-01-10 (주)이앤비코리아 공기정화용 인조화분
JP2003038037A (ja) 2001-07-27 2003-02-12 Hiroshi Yoshinuma 植木鉢
JP2006050992A (ja) * 2004-08-16 2006-02-23 Fujitsu Ltd 光触媒機能をもつ植物栽培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136A (ja) * 1995-11-13 1997-05-20 Shotaro Mogami 湿原植物用植木鉢
KR20030000173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
JP2003038037A (ja) 2001-07-27 2003-02-12 Hiroshi Yoshinuma 植木鉢
KR200300173Y1 (ko) 2002-10-07 2003-01-10 (주)이앤비코리아 공기정화용 인조화분
JP2006050992A (ja) * 2004-08-16 2006-02-23 Fujitsu Ltd 光触媒機能をもつ植物栽培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937B2 (en) Turnkey aquaponics system
KR101175306B1 (ko) 섬유필터를 구비한 인공 수초섬
CN204474413U (zh) 多功能立体式生态浮岛
CN204643971U (zh) 用于水体净化的生态沉床-固定化微生物耦合装置
KR100924538B1 (ko) 다기능 조경 및 생태정화 식물섬
KR101959294B1 (ko) 수생식물 재배용 용기
CN111233162A (zh) 一种湖库底泥资源化利用的生态礁石装置
CN106305195A (zh) 一种用于防鱼啃食的漂浮种植装置
KR100582210B1 (ko)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JP2006289275A (ja) 水質浄化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水耕栽培装置
KR200459971Y1 (ko) 수생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용기
JP2009195848A (ja) 水質浄化構造物
KR200462881Y1 (ko) 수족관이 결합된 수경재배 정원
CN211470937U (zh) 一种生态净水杀菌型人工生态浮岛系统
KR101036234B1 (ko) 수질 정화용 화분
CN106745768B (zh) 生态位优化配置型太阳能动力生态浮岛及配置系统
KR100264091B1 (ko) 수상식물 재배장치
KR20050074690A (ko) 수경재배용 뜨게
CN215798745U (zh) 一种带水作业水体综合修复系统
KR20200089909A (ko) 세라믹볼을 이용한 새싹 수경재배용 어항
CN210656366U (zh) 一种水质修复生态浮床
CN201400599Y (zh) 可移动式水净化装置
CN202449954U (zh) 生态循环过滤生物岛
CN113371839A (zh) 用于水体生态修复的水下森林的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