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109B1 -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109B1
KR101036109B1 KR1020090043936A KR20090043936A KR101036109B1 KR 101036109 B1 KR101036109 B1 KR 101036109B1 KR 1020090043936 A KR1020090043936 A KR 1020090043936A KR 20090043936 A KR20090043936 A KR 20090043936A KR 101036109 B1 KR101036109 B1 KR 10103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steam
sterilization
he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965A (ko
Inventor
양명환
Original Assignee
(주)수정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4089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361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정테크원 filed Critical (주)수정테크원
Priority to KR102009004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1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증기로 냉수통의 내부를 살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살균 방법은 냉수통과, 냉수 파이프와, 컵 공급부와, 컵 수거부, 다수의 급수전을 갖는 기존의 냉수 급수대에다 제1, 제2, 제3 전자변과, 히터 및 증기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있는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을 열고 냉수통 내부의 냉수 전부를 비우고, 냉수통의 냉수 전부를 비운 후에,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을 닫고 제2 전자변을 열고, 물을 히터에 공급하고 공급된 물을 내장 가열기로 가열하며, 가열된 물은 증기 발생기 안으로 흘러들어가서 증기 발생기에서 고온의 증기가 생성하고, 생성된 고온의 증가가 증기 공급 파이프 및 제2 전자변을 통하여 냉수통 안으로 유입하여 냉수통 전체를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된다.
이 살균 방법에 의하면, 작업의 능률 향상 및 작업 시간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급수대, 증기 살균, 냉수통 살균

Description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method for sterilizing a cool water supplier}
본 발명은 냉수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증기로 냉수통의 내부를 살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수 급수대는 단체 급식장 예컨대, 관공서나 학교 및 회사 등의 대규모 식당이나, 여타의 급식장 등에서 많은 급식자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기기이다.
특히, 상기한 냉수 급수대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현재 대규모의 급식장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냉수 급수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기존의 냉수 급수대는 크게 냉수통(11과, 냉수 파이프(21)와, 컵 공급부(31) 및 컵 수거부(32) 그리고, 다수의 급수전(41)을 가진다.
냉수통(11)에는 냉수가 들어있다.
냉수 파이프(21)는 냉수통(11)에 연통되어 냉수를 안내한다.
컵 공급부(31)는 다수의 컵이 적재된 선반이며, 컵 수거부(32)는 사용된 컵을 수거 하는 통이다.
급수전(41)은 냉수 파이프(21)를 따라 다수 장착되어 냉수 파이프(21)를 유동하는 냉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수도꼭지이다.
따라서, 냉수를 마시고 싶을 경우에는 컵을 냉수 파이프(21)를 따라 장착된 다수의 냉수용 급수전(41)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급수전(41)을 조작하여 냉수를 받아 마시면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수 급수대는 식수 제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위생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있다.
물론, 종래의 냉수통(11)으로의 식수 공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살균 장치를 구비하여 제공되는 식수의 살균을 수행하고 있으나, 냉수통(11) 내부에 대한 살균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일차적인 오염이 발생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냉수가 냉수 파이프(21)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수 파이프(21)의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미생물에 의한 이차적인 오염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위생 관리상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히터에서 공급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급수를 고온의 증기로 발생하여 냉수통 및 냉수 파이프를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은 냉수통과, 냉수 파이프와, 컵 공급부와, 컵 수거부, 다수의 급수전을 갖는 기존의 냉수 급수대에다 제1, 제2, 제3 전자변과, 히터 및 증기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있는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을 열고 냉수통 내부의 냉수 전부를 비우고, 냉수통의 냉수 전부를 비운 후에,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을 닫고 제2 전자변을 열고, 물을 히터에 공급하고 공급된 물을 내장 가열기로 가열하며, 가열된 물은 증기 발생기 안으로 흘러들어가서 증기 발생기에서 고온의 증기가 생성하고, 생성된 고온의 증가가 증기 공급 파이프 및 제2 전자변을 통하여 냉수통 안으로 유입하여 냉수통 전체를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에서 고온 증기가 냉수통 안으로 계속하여 투입하면서 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 안으로 확산 침투하여서 이들을 살균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에서 살균 소독한 후에, 계속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2 전자변을 닫고 제1 및 제3 전자변을 열어 냉수통 안의 증기를 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에 의하면, 작업의 능률 향상 및 작업 시간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에 적용되는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에 적용되는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에 적용되는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은 냉수통(11)과, 냉수 파이프(21)와, 컵 공급부(31)와, 컵 수거부(32), 다수의 급수전(41)을 갖는 기존의 냉수 급수대에다 제1, 제2, 제3 전자변(40), (50), (70)과, 히터(60) 및 증기 발생기(63)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제1 전자변(40)은 냉수 파이프(21)와 다수의 급수전(41) 사이에 설치된다. 제2 전자변(50)은 냉수통(11)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증기 유입구(51)에 설치되어서 증기의 출입을 단속하게 되고 또 증기 공급 파이프
(64)를 통하여 증기 발생기(63)에 결합한다.
제3 전자변(70)는 컵 수거부(31)의 바닥면 하부에 설치되어 냉수의 배수와 증기 배출을 단속하게 된다. 제3 전자변(70)는 또 컵 수거부(32) 내에서 냉수 파이프(21)와 연통하고 있는 배수 파이프(33)와 결합하여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자변(40), (50), (70)은 마이크로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히터(60)는 증기 발생기(63)와 결합하여 있다. 히터(60)는 그의 내부에 가열기(62)를 내장하고 있다. 히터(60)의 유입구(61)는 필요 시에 호스를 통하여 상용 수도꼭지에 연결된다.
더욱이, 증기 발생기(63)는 연결 파이프(63)를 통하여 제2 전자변(50)에 결합하여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냉수통(11) 안으로 증기를 투입하기 이전에, 마이크로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40), (70)을 열고 냉수통(11) 내부에 채워진 냉수 전부를 각각 제1 및 제3 전자변(40), (70)을 통하여 각각 급수전(41) 및 배수구(71)를 통하여 유출시켜 비운다.
냉수통(11)이 텅 빈 상태로 만들고나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40), (70)을 닫고 제2 전자변(50)을 열어 놓는다.
그리고 히터(60)의 유입구(61)를 호스를 통하여 상용 수도꼭지에 연결한 다음에, 물을 히터(60)에 공급하면서 히터(60)를 가동시킨다. 히터(60)를 가동하면 히터(60)에 내장된 가열기(62)가 가열되어서 가열기(62)로 흐르는 물은 가열기(62)와 충동하면서 또는 대류현상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된다. 가열된 물은 증기 발생기(63) 안으로 흘러들어가서 증기 발생기(63)에서 고온의 증기, 예를 들면 온도 150℃의 증기를 만들어져서 증기 공급 파이프(64)로 유입된다.
생성된 고온의 증기는 증기 공급 파이프(64) 및 제2 전자변(50)을 통하여 냉수통(11) 안으로 흘러들어 간다.
냉수통(11) 안으로 유입된 150℃의 고온 증기는 냉수통(11) 전역으로 확산되어 나아가면서 냉수통(11) 내부 전체를 가열하여 시작하여 가열 온도로 냉수통(11) 내부 전체를 살균해나간다.
150℃의 고온 증기가 냉수통(11) 안으로 계속하여 투입하면서 냉수 파이프(21) 및 배수 파이프(33) 안으로 확산 침투하여 나아가서 150℃의 고온 증기에 의하여 이들이 살균 소독된다.
배수 파이프(33)와 배수구(71)를 살균 소독한 후에, 계속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2 전자변(50)을 닫아 냉수통(11) 안으로 150℃의 고온 증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1 및 제3 전자변(40), (70)을 열어 냉수통(11)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150℃의 고온 증기를 제1 및 제3 전자변(40), (70)을 통하여 유출시킨다
.
도 1은 종래의 냉수 급수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에 적용되는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 냉수통 21 : 냉수 파이프
31 : 컵 공급부 32 : 컵 수거부
41 : 급수전 40, 50, 70 : 제1, 제2, 제3 전자변
60 : 히터 63 : 증기 발생기

Claims (3)

  1. 냉수통(11)과, 냉수 파이프(21)와, 컵 공급부(31)와, 컵 수거부(32), 다수의 급수전(41)을 갖는 기존의 냉수 급수대에다 제1, 제2, 제3 전자변(40), (50), (70)과, 히터(60) 및 증기 발생기(63)을 더 포함하고 있는 냉수 급수대 살균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40), (70)을 열고 냉수통(11) 내부의 냉수 전부를 비우고,
    냉수통(11)의 냉수 전부를 비운 후에,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제3 전자변(40), (70)을 닫고 제2 전자변(50)을 열고,
    물을 히터(60)에 공급하고 공급된 물을 내장 가열기(62)로 가열하며,
    가열된 물은 증기 발생기(63) 안으로 흘러들어가서 증기 발생기(63)에서 고온의 증기가 생성하고
    생성된 고온의 증가가 증기 공급 파이프(64) 및 제2 전자변(50)을 통하여 냉수통(11) 안으로 유입하여 냉수통(11) 전체를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고온 증기가 냉수통(11) 안으로 계속하여 투입하면서 냉수 파이프(21) 및 배수 파이프(33) 안으로 확산 침투하여서 이들을 살균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살균 소독한 후에, 계속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2 전자변(50)을 닫고 제1 및 제3 전자변(40), (70)을 열어 냉수통(11) 안의 증기를 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KR1020090043936A 2009-05-20 2009-05-20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KR101036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936A KR101036109B1 (ko) 2009-05-20 2009-05-20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936A KR101036109B1 (ko) 2009-05-20 2009-05-20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965A KR20100124965A (ko) 2010-11-30
KR101036109B1 true KR101036109B1 (ko) 2011-05-20

Family

ID=4340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936A KR101036109B1 (ko) 2009-05-20 2009-05-20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2164A (zh) * 2016-03-26 2016-06-15 中山市丰申电器有限公司 一种蒸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968A (ja) * 1994-09-20 1996-04-09 Tatsuo Okazaki 蒸気殺菌洗浄機能を備えた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968A (ja) * 1994-09-20 1996-04-09 Tatsuo Okazaki 蒸気殺菌洗浄機能を備えた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965A (ko)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62897U (zh) 一种热水循环消毒式饮水机
CN203762898U (zh) 一种全方位热水循环消毒式饮水机
CN201061464Y (zh) 强制循环高温水消毒饮水机
CN201029781Y (zh) 高温水消毒饮水机
CN203762896U (zh) 一种热水循环消毒式外加热饮水机
CN105996765B (zh) 一种直饮机及其除菌方法
CN104939677A (zh) 一种饮水机
KR101036109B1 (ko) 냉수 급수대의 살균 방법
CN106419549A (zh) 饮水机
CN106912394A (zh) 一种猪饮水系统
KR200424091Y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CN210673071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饮水机
CN104548156B (zh) 常温饮水机放水部件的自动定时高温杀菌装置
CN207581558U (zh) 一种温度可调的壁挂式饮水分机
CN109276137A (zh) 基于滴水起电消毒的饮水机
CN210989737U (zh) 一种自消毒清洁的温开水机
CN201727357U (zh) 一种饮水机
CN210961519U (zh) 温开水饮水机
KR200452878Y1 (ko) 단체급수용 식수대
CN210169738U (zh) 一种茶具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CN2927914Y (zh) 冷胆自加热消毒的桶装水饮水机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101644563B1 (ko) 절수 배관 시스템
CN204909061U (zh) 一种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608

Effective date: 2011090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