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176B1 -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 Google Patents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176B1
KR101035176B1 KR1020090121177A KR20090121177A KR101035176B1 KR 101035176 B1 KR101035176 B1 KR 101035176B1 KR 1020090121177 A KR1020090121177 A KR 1020090121177A KR 20090121177 A KR20090121177 A KR 20090121177A KR 101035176 B1 KR101035176 B1 KR 10103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isposed
dielectric substrates
aluminum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경섭
최재훈
하재근
이영기
김정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가 개시된다. 알루미늄 지그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를 배치하고, 알루미늄 지그의 내부에 중계기를 배치하여, 도너 안테나, 서비스 안테나, 및 중계기를 일체형으로 제공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중계기,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도너 안테나, 서비스 안테나

Description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MICROSTRIP PATCH ANTENNA FOR SMALL SIZE REPEATER}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가 개시된다. 특히, 댁내형 중계기에서의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가 개시된다.
국내외 3G 이동통신과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영 지역에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계기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분리되어 있다. 이때, 건물 또는 구조물에 중계기가 설치되는 경우,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각각 건물 안과 밖에 분리되어 설치되고, 중계기를 통해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송수신을 한다. 여기서,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인접하게 설치된 경우,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간의 간섭으로 인해 중계기가 이상 동작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중계기의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전체 중계기의 크기 및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설계하여 중계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간이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는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는 알루미늄 지그, 알루미늄 지그와 연결되며,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를 둘러싸는 복수의 "ㄱ"자형 알루미늄 벽, 알루미늄 지그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접지면, 복수의 접지면 각각의 상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전체 기판, 복수의 유전체 기판 각각의 상단에 도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T-접합 전력 분배부, 복수의 유전체 기판 각각의 중심에 배치되며, T-접합 전력 분배부를 급전시키는 급전 홀, 복수의 유전체 기판의 상단 각각에 배치되며, 노치가 삽입된 복수의 복사체, 복수의 유전체 기판 각각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기생 유전체 기판, 및 복수의 기생 유전체 기판의 상단 각각에 배치되며, 도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기생 복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너 안테나는, 알루미늄 지그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안테나는, 도너 안테나와 90도 회전각을 가지며, 알루미늄 지그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지그의 내부에 중계기가 배치되어, 서비스 안테나, 도너 안테나, 및 중계기가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는, 중계기가 위치하는 지그의 높이 제약을 제거함으로써 댁내형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ㄱ"자 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통해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간의 격리도(Isolation)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는, 도너 안테나(100), 서비스 안테나(200) 및 알루미늄 지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알루미늄 지그(300)는 도너 안테나(100)와 서비스 안테나(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지그(300)의 내부에는 중계기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 지그(300)의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70mm×170mm×20mm이 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지그(300)의 크기를 조절하여 복사체(130)의 후면으로 방사되는 전력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 지그(300)의 크기가 커질수록 복사체(130)로부터 후면으로 방사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의 감소로 인해, 도너 안테나(100)와 서비스 안테나(200) 간의 격리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너 안테나(100)는 접지면(110), 유전체 기판(120), 복사체(130), 기생 유전체 기판(150), 기생 복사체(160) 및 알루미늄 벽(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너 안테나(100)는 가로, 세로, 높이가 150mm×150mm×11mm인 크기로 알루미 늄 지그(3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접지면(110)은 알루미늄 지그(300)의 상단, 유전체 기판(1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면(110)은 직사각형의 도체로 구성되어 전기적인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120)은 접지면(110)의 상단에 배치되며, RF 신호의 매질에 해당될 수 있다. 일례로, 유전체 기판(120)으로는 유전율이 4.4, 높이 1.6mm인 글라스 에폭시 기판(FR-4)이 이용될 수 있다. 글라시 에폭시 기판을 유전체 기판(120)으로 사용하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복사체(130)는 제1 및 제2 복사체(131, 132)를 포함하며, 복사체(130)는 유전체 기판(1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과 같이, 복사체(130)에는 노치(190)가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복사체(131, 132)는 유전체 기판(120)의 상단에 2×1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복사체(132)는 제1 복사체(131)와 80mm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복사체(131, 132)에는 각각 제1 및 제2 노치(190, 195)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노치(190, 195)의 길이 및 폭을 조절하여 동작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노치의 길이(191)와 제1 노치의 폭(192)을 조절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할 수 있다. 이때, 낮은 동작 주파수를 원하는 경우, 제1 노치의 길이(191)가 길게 조절되어 제1 복사체(13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높은 동작 주파수를 원하는 경우, 제1 노치의 폭(192)이 넓게 조절되어 제1 복사체(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노치(290)는 제1 노치(190)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2 노치(290)의 길이 및 폭을 조절하여 동작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 노치이 길이 및 폭을 조절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노치(190, 290)의 크기는 6mm×11mm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및 제2 복사체(131, 132)는 각각 제1 및 제2 노치(190, 195)를 통해 는 T-접합 전력 분배부(18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T-접합 전력 분배부(180)는 유전체 기판(120) 상단에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접합 전력 분배부(180)에 의해 형성된 전류 방향은 알루미늄 지그(300) 하단의 복사체(230)에 의해 형성된 전류 방향과 90도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 방향의 90도 차이로 인해, 도너 안테나(100)의 복사체(130) 및 T-접합 전력 분배부(180)와 서비스 안테나(200)의 복사체(230) 및 T-접합 전력 분배부(280) 간의 상호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너 안테나(100)와 서비스 안테나(200) 간의 격리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T-접합 전력 분배부(180)는 유전체 기판(120)의 상단 전면에 평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T-접합 전력 분배부(180)는 급전 홀(185)에 의해 급전되어 복사체(130)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급전홀(185)은 중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T-접합 전력 분배부(180)를 급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T-접합 전력 분배부(180)로부터 전달된 전 력은 노치(190)가 삽입된 복사체(130)로 방사될 수 있다. 여기서, 급전 홀(185)은 유전체 기판의 상단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유전체 기판(13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기생 유전체 기판(15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생 유전체 기판(150)은 유전체 기판(130)의 상단으로부터 5.2mm의 공기층(140)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생 유전체 기판(150)은 제1 및 제2 기생 복사체(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생 복사체(160)는 제1 및 제2 기생 복사체(161, 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생 복사체(160)는 기생 유전체 기판(150)의 상단에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생 복사체(160)와 복사체(130)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정합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기생 복사체(161, 162)의 크기는 47mm×41.5mm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기생 복사체(160)는 복사체(130)와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복사체로 동작할 수 있다. 기생 복사체(160)를 통해 넓은 대역폭의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생 복사체(160)와 복사체(130)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T-접합 전력 분배부(180)로부터 복사체(130)로 방사된 전력이 다시 기생 복사체(160)로 방사될 수 있다.
이때, 도 1과 같이, 중계기 상단에 위치한 도너 안테나(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도너 안테나의 급전 홀(185)을 통해 중계기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중계기로부터 전달된 신호는 서비스 안테나의 급전 홀(285)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안테나(200)는 수신된 신호를 복사체(23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알루미늄 벽(170)은 알루미늄 지그(30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벽(170)은 도너 안테나(100)룰 둘러싸는 "ㄱ"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170)으로 인해 복사체(130) 및 기생 복사체(160)들로부터 측면으로 방사되는 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170)으로 인해 중계기의 격리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 알루미늄 벽(170)의 높이는 11mm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안테나(200)는 접지면(210), 유전체 기판(220), 복사체(230), 기생 유전체 기판(250), 기생 복사체(260) 및 알루미늄 벽(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안테나(200)는 가로, 세로, 두께가 150mm×150mm×11mm인 크기로 알루미늄 지그(3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안테나(2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도너 안테나(100)와 90도 회전각을 가지며, 알루미늄 지그(3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안테나(200)의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도너 안테나(1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지그(3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도너 안테나(100)와 서비스 안테나(200)가 배치되고, 알루미늄 지그(300)의 내부에 중계기가 배치됨에 따라 도너 안테나(100), 서비스 안테나(200), 및 중계기가 일체 형인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에서 이용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반사계수(VSW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서비스 안테나(200)와 도너 안테나(100)는 각각 1.5:1 이하의 반사계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지 않는 중계기에서 이용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격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다르면,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75dB 이상의 격리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는 중계기에서 이용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격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다르면,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는 경우, 80dB 이상의 격리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격리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사용하는 경우의 지그에 유기되는 E-field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E-field의 세기는 최대 약 80V/m이고, 도 10에 따르면,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는 경우 E-field의 세기는 최대 약 40V/m이다.
도 11은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의 E-plane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 는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의 H-plan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따르면,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는 각각 50도 이상의 빔폭 특성을 가진다.
도 13은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의 이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따르면,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의 이득이 9dBi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너 안테나가 알루미늄 지그의 상단에 위치하고, 서비스 안테나가 알루미늄 지그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도너 안테나가 알루미늄 지그의 하단, 서비스 안테나가 알루미늄 지그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너 안테나가 중계기의 하단, 서비스 안테나가 중계기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너 안테나 및 서비스 안테나는 각각 중계기의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너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사체에 삽입된 노치를 설명하기 이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에서 이용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반사계수(VSW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지 않는 중계기에서 이용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격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는 중계기에서 이용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격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ㄱ"형태의 알루미늄 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사용하는 경우의 지그에 유기되는 E-field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의 E-plane 복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의 H-plane 복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의 이득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는 알루미늄 지그;
    상기 알루미늄 지그와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안테나와 상기 도너 안테나를 둘러싸는 복수의 "ㄱ"자형 알루미늄 벽;
    상기 알루미늄 지그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접지면;
    상기 복수의 접지면 각각의 상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전체 기판;
    상기 복수의 유전체 기판 각각의 상단에 도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T-접합 전력 분배부;
    상기 복수의 유전체 기판 각각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T-접합 전력 분배부를 급전시키는 급전 홀;
    상기 복수의 유전체 기판의 상단 각각에 배치되며, 노치가 삽입된 복수의 복사체;
    상기 복수의 유전체 기판 각각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기생 유전체 기판; 및
    상기 복수의 기생 유전체 기판의 상단 각각에 배치되며, 도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기생 복사체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 안테나는, 상기 알루미늄 지그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서비스 안테나는, 상기 도너 안테나와 90도 회전각을 가지며, 상기 알루미늄 지그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지그의 내부에 중계기가 배치되고,
    상기 서비스 안테나, 상기 도너 안테나, 및 상기 중계기가 일체형인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사체는,
    상기 복수의 유전체 기판의 상단 각각에 2×1 배열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기생 복사체는,
    상기 복수의 기생 유전체 기판의 상단 각각에 2×1 배열로 배치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전체 기판과 상기 복수의 기생 유전체 기판 사이에는 공기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KR1020090121177A 2009-12-08 2009-12-08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KR10103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77A KR101035176B1 (ko) 2009-12-08 2009-12-08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77A KR101035176B1 (ko) 2009-12-08 2009-12-08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176B1 true KR101035176B1 (ko) 2011-05-17

Family

ID=4436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177A KR101035176B1 (ko) 2009-12-08 2009-12-08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231A1 (en) * 2011-09-08 2013-03-14 Intel Corporation Overlapped and staggered antenna arrays
KR101593825B1 (ko) * 2014-09-18 2016-0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통신용 중계 시스템 안테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574A (ko) * 1998-07-01 1998-12-05 김상기 고전후방비를 가지는 저가형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안테나
KR20080040538A (ko) * 2006-11-02 2008-05-08 (주) 엘지텔레콤 Rf 방식으로 구현된 일체형 초소형 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574A (ko) * 1998-07-01 1998-12-05 김상기 고전후방비를 가지는 저가형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안테나
KR20080040538A (ko) * 2006-11-02 2008-05-08 (주) 엘지텔레콤 Rf 방식으로 구현된 일체형 초소형 중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231A1 (en) * 2011-09-08 2013-03-14 Intel Corporation Overlapped and staggered antenna arrays
US9214739B2 (en) 2011-09-08 2015-12-15 Intel Corporation Overlapped and staggered antenna arrays
KR101593825B1 (ko) * 2014-09-18 2016-0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통신용 중계 시스템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7737B2 (en) Antenna apparatus
US8854270B2 (en) Hybrid multi-antenna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85354B1 (ko) 유전체 덮개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이를 배열한 배열 안테나
Mak et al. A shorted bowtie patch antenna with a cross dipole for dual polarization
US20070257851A1 (en) Small ultra wideband antenna having u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US20020126062A1 (en) Flat panel array antenna
US9263807B2 (en) Waveguide or slot radiator for wide E-plane radiation pattern beamwidth with additional structures for dual polarized operation and beamwidth control
US6067054A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antennas
KR20130090770A (ko) 절연 특성을 가진 지향성 안테나
CN107949954A (zh) 无源串馈式电子引导电介质行波阵列
CN109830802B (zh) 一种毫米波双极化贴片天线
Hwang et al. Cavity-backed stacked patch array antenna with dual polarization for mmWave 5G base stations
Bae et al. 5G dual (S-/Ka-) band antenna using thick patch containing slotted cavity array
WO2006079994A1 (en) Radiation enhanced cavity antenna with dielectric
CN111670546B (zh) 一种用于移动设备的天线系统以及移动设备
KR101082775B1 (ko) 광대역 패치 안테나 및 그것을 이용한 중계기
KR101097057B1 (ko) 일체형 중계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N109037932B (zh) 宽带多贴片天线
KR20190131666A (ko) 간접 급전형 5g용 광대역 안테나
KR101035176B1 (ko) 소형 중계기를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US11437736B2 (en) Broadband antenna having polarization dependent output
KR100854470B1 (ko)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 및 이를이용한 무선통신 중계 시스템
KR20100134182A (ko) 후방 방사 억압용 이중 안테나 구조
KR100911480B1 (ko)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시스템
Liu et al. Patch microstrip antenna with improving radiation performance for 2.4-GHz WLAN access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