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125B1 -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125B1
KR101035125B1 KR1020090074989A KR20090074989A KR101035125B1 KR 101035125 B1 KR101035125 B1 KR 101035125B1 KR 1020090074989 A KR1020090074989 A KR 1020090074989A KR 20090074989 A KR20090074989 A KR 20090074989A KR 101035125 B1 KR101035125 B1 KR 10103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liding plate
plate
base plate
sli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7502A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9007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25B1/en
Publication of KR2011001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시에 사이즈가 확장되도록 하고,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개방과 사이즈의 확장이 상호 연계되어 반자동으로 작동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size of the slide module and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expanded. It relates to a slid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하여,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제1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a first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sliding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liding plate. A plate and 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the second sliding plate being slid in one direction. The slid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by the first elastic body automatically.

슬라이드 모듈, 베이스플레이트, 슬라이딩플레이트, 탄성체, 스토퍼, 쿼티 자판 Slide Module, Base Plate, Sliding Plate, Elastomer, Stopper, Qwerty Keyboard

Description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AME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시에 사이즈가 확장되도록 하고,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개방과 사이즈의 확장이 상호 연계되어 반자동으로 작동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size of the slide module and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expanded. It relates to a slid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 또는 자판이 장착되는 하부바디,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되는 상부바디,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 사이에 내장되어 양자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lower body on which a keypad or a keyboard is mounted, an upper body on which a liquid crystal display is mounted, a slide module embedd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to enable relative movement of both. .

여기서, 슬라이드 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슬라이드 모듈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하부플레이트가 하부바디에 고정되고 상부플레이트가 상부바디에 고정됨으로써, 하부플레이트 및 상부플레이트의 상대 슬라이딩시 동시에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가 상대 이동된다.Here, looking at the slide module in detail, the slide module is composed of a lower plate and an upper plat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plate is fixed to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plate is fixed to the upper body, thereby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When the relative sliding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is moved relative.

이러한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의 상대 이동을 통한 상부바디의 개폐를 좀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반자동으로 상부바디가 개폐되도록 하는 구조, 즉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탄성 스프링을 장착하여 반자동 슬라이딩이 되도록 하는 구조가 주를 이루고 있다.In order to more easily open and close the upper body through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pper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that is, the elastic spring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he main structure is to make it semi-automatic sliding by mounting.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부바디가 하부바디에 대해 소정 거리까지만 이동되면 그 이후에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부바디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f the upper body is moved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since the upper body can be automatically sli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thereafter,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n and close the upper body will be.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오직 탄성 스프링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미세한 외력에 의해 상부바디가 이동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이에 불구하고 이를 저지할 스토퍼 수단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ies on only elastic springs to maintain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upper body is often moved by a fine external force. Means are not provided separately.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는 경우 예기치 않은 상부바디의 개방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carr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unexpected opening of the upper body occur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onsumed.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사용을 위해 상부바디의 잦은 개폐가 있어야 하는데, 상부바디의 잦은 개폐로 인해 슬라이드 모듈 내의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된 경우에는 원하지 않은 상부바디의 개폐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frequently open and close the upper body for its use.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in the slide module is weakened due to the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body, unwanted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body may occur more frequently. .

이러한 문제는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사이에 탄성 스프링을 장착하여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종래 구조에서는 어쩔 수 없이 뒤따르는 것이다.This problem is inevitably followed by a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spring is mount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so as to slide semi-automatically.

한편, 현재 적용되고 있는 슬라이딩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가 장 착되는 하부바디의 상면의 사이즈가 가변적이지 못하다. 최근 사용자들은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호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각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키패드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질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ly applied has a variabl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on which the keypad is mounted. Recently, users tend to pref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and thus, the area occupied by the keypad required to implement each function needs to be widened.

이를 위해 하부바디의 면적을 넓히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구비해야할 편리한 휴대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To this end, when the area of the lower body is widened, since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t porta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be basically provided.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사용시에 사이즈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그러한 작동이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slide module that allows the size to be expanded in use without increasing the basic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such an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semi-automatically.

더욱이, 최근 쿼티(QWERTY) 자판을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기 늘어나는 추세인데, 쿼티 자판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와는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쿼티 자판의 사용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a QWERTY keyboard is increasing recently. The QWERTY keyboard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like the keypad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use the QWERTY keybo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tructure sliding in the width direction.

그러나, 쿼티 자판이 장착된 경우에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와는 달리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부바디를 개방시킨 후 자판을 누르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 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자판을 눌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쿼티 자판 사용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기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when the QWERTY keyboard is installed, unlik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press the keyboard after opening the upper body with one hand, and hold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hand and press the keyboard with the other hand. I use it.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a handle function for stably hol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of a qwerty keyboard is emerging.

또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쿼티 자판은 하부바디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자판이 매우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에 두 개씩 눌러지는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the QWERTY keyboard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onvenient to be pressed two at a time because the keyboard is arranged very densely due to the narrow space of the lower body.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하부바디의 면적을 넓히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겠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사이즈 증가로 인해 편리한 휴대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may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lower body, bu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mpedes convenient portabil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되 미세한 외력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기치 않은 개방 현상이 줄어들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providing a slid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to open and clo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mi-automatically to reduce the unexpected opening phenomen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fine external force. There is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시에 사이즈가 확장되도록 하고,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개방과 사이즈의 확장이 상호 연계되어 반자동으로 작동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that allows the size to be expanded in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opening and the expansion of the size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mi-automatically linked to each other. Is 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쿼티 자판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 기능이 부여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handle function to facilitate the use of a qwerty keyboard.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상기 제1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슬 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the first sliding plate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s slidably coupl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liding plate. The second sliding plate includes a second sliding plate and 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When the sliding in one direc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a slid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first elastic body.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후단과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제1스토퍼가 상방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1스토퍼에 의한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made of a flat plate type, the height of the rear sliding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can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so that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is limited. When the first stoppe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slides in one direction, the sliding restriction of the first sliding plate by the first stopper is released to allow the first sliding plate to automatically slide. .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부와, 하면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가이드부와 교차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Preferably, the base plate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pair of first guide parts bent upward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bent downward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intersect with the first guide part. Has a pair of second guide portion, the first sliding plate is slidably coupled through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portion.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부 각각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형성되는 힌지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제1탄성체는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 일단이 상기 힌지브래킷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d the base plate has a hinge bracket which extends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guide portion, the first elastic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to form a symmetrical with each one end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inge bracket Rotatingly coupled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late.

더욱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제1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체는 인장상태로 유지된다.Furthermore, when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is restricted by the first stopper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first elastic body is kept in a tensioned state.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슬라 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최초상태로 환원되도록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최초상태로 환원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sliding plate further includes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 When the sliding to reduce to the initial state may be the second sliding plate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second elastic body to be reduced to the initial state.

여기서,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타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장상태로 된다.Here,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second sliding When the plate is slid in one direction, the plate is in tension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other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2탄성체가 인장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측면에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타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is slid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elastic body is in a tensioned state, the first stopper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late, thereby sli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is is limited.

더욱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표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장공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간격을 제어하는 제2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된다.Further, the second sliding plate has a long hole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n the surface, and a second stopper penetrately coupled to the long hole to control the sliding interval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second stopper of the base plate It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를 갖는 슬라이드 모듈;와, 상면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서브바디;와, 하면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되면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될 때 동시에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the first sliding plate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crossing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A slide module having a second sliding plate coupled thereto and 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the first sliding plate; A lower body on which the base plate of 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and a sub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to slide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And a first sliding of the slide module on the lower surface An upper body which is fixed at a rate and integrally slides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and when the upper body is sli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body is automatically slid thereafter and the sub The body is automatically sli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and then the subbody is sli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ody at the same time when the upper body is sli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reafter the upper body It is also achieved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sliding.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상부바디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홈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홈은 상기 상부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상부바디의 측방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는 곡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ha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late, the rail o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can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A groove is formed, and the rail groove may be formed of a straight portion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upper body and a curve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to the side of the upper body in the straight portion.

이 경우,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상부바디의 레일홈의 직선부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레일홈의 곡선부로 진입하면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sliding plate is limited in sliding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straight portion of the rail groove of the upper body, and the sliding restriction is release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enters the curved portion of the rail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상기 상부바디의 레일홈의 직선부 및 곡선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면 상기 제1탄성체가 데드 포인트 상태로 되도록 한다.Preferably, when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rail groove of the upper body are connected, the first elastic body is in a dead point stat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서브바디의 자동 슬라이딩을 보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lide module has one e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to assist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sub-body elastic for sliding on the second sliding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body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를 갖는 슬라이드 모듈;과, 상면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양측에 결합되되 각각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서브바디와, 하면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되면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서브바디가 각각 상기 하부바디의 양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될 때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서브바디가 각각 상기 하부바디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the first sliding plate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crossing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A pair of second sliding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and symmetrically dispos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an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of the first sliding plate. A slide module having a first elastic body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and a lower body to which the base plate of 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body of the slide modul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The second sliding is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sliding plate And a pair of sub-bodies slidable integrally with a rate, and an upper body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lide module and slidable integrally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wherein the upper body is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is automatically slid from thereafter and the pair of subbodies are automatically slid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respectively, and the upper body is forward of the lower body. By sli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sub-body is also achieved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is automatically slid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and thereafter automatically slides thereafter.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서브바디의 자동 슬라이딩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lide module is a second elastic body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as to assist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sub-body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second sliding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이 경우, 상기 제2탄성체는 코일부가 고정핀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 중앙부에 고정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econd elastic body is preferably a torsion spring in which the coil part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by a fixing pin and both ends are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sliding plates, respectively.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cond elastic body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pair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서브바디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부바디가 하부바디에 대해 자동으로 개방 되고, 상부바디가 최초 상태로 슬라이딩 되면 서브바디가 자동으로 최초 상태로 환원되기 때문에, 1회의 간단한 작동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반자동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lid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bbody is slid in one direction, the upper body is automatically opened to the lower body, and when the upper body is slid to the initial state, the subbody is automatically in the initial state. Since it is reduced to, there is an effect that semi-automatic opening or clos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ssible by one simple operation.

또한, 서브바디가 하부바디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미세한 외력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현상이 줄어들 수 있어 전력소모가 절감될 수 있고 탄성체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body is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reduce the opening and closing phenomen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fine external force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increase the life of the elastic body.

또한, 이통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상부바디를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동시에 서브바디도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사용시에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즈를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개방과 사이즈의 확장이 상호 연계되어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body is slid for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ubbody is also semi-automatically slid at the same time, so that not only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xpanded but also the size of the opening and the size for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This can b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emi-automatically.

또한, 서브바디의 슬라이딩시 하부바디의 상면이 확장되기 때문에 키패드 확장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바디를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s expanded when the sub body is sliding, not only a space for keypad expansion can be secured, but the sub body can be used as a hand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o be able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by limiting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mea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 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Ⅰ-Ⅰ'부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lide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1, and FIG. It is sectional drawing of -I 'par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은 베이스플레이트(100),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제1탄성체(400)를 포함한다.1 to 3, the slide modu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se plate 100, the first sliding plate 200,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first An elastic body 400 is included.

이러한 슬라이드 모듈(10)은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일측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제1탄성체(400)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 modul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slid in one direction (left side in the drawing). do.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좌우측 길이가 전후방의 길이보다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양측에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을 위한 한 쌍의 제1가이드부(110)가 형성되고, 하면 양측에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을 위한 한 쌍의 제2가이드부(120)가 형성된다.The base plate 100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preferably, the left and right lengths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pair of first guide portion 110 for sliding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as long as the sliding side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on both sides. A pair of second guide portion 120 is formed.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200, 300)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위해, 가이드부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것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위해 가이드부를 제1 또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n FIGS. 1 to 3, only the guide part is formed on the base plate 100 for the slidabl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00 and 300, but the guide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slidabl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art in the first or second sliding plate.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및 제2가이드부(110, 120)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아, 이에 대한 실시예만을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most preferable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10 and 12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late 100, and only the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

여기서,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양측, 구체적으로 좌우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12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 양측, 구체적으로 전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Here,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ar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guide part 110 is bent upwar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specifically, at the left and right ends thereof,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is formed of the base plate 100. ) Is bent downward at both sides, specifically front and rear ends.

이 경우, 제1 및 제2가이드부(110, 120)는 각각 가이드홈(112, 122)를 형성하게 되는데, 가이드홈(112, 122)은 대략 'ㄷ' 형상을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10 and 120 form guide grooves 112 and 122, respectively, and the guide grooves 112 and 122 have an approximately 'c' shape.

따라서, 제1 및 제2가이드부(110, 120)를 통해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200, 300)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00 and 300 may slide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10 and 120.

한편, 한 쌍의 제1가이드부(110) 각각의 상면에는 힌지브래킷(130)이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형성되는데, 힌지브래킷(130)은 제1탄성체(400)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hinge brackets 1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guide parts 110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hinge brackets 130 are provided for coupling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참고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의 제1가이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12)의 내측에는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등의 엔지니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부재(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base plate 100 may be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12 formed by the first guide portion 110 on both sides, polyoxymethylene (POM), polyphenylene oxide (PPO) A protective member (not shown) made of engineer plastic material such as) may be provided.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가이드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대략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가이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12)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스테인레스 재질 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a memb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110 of the base plate 10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shape, an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portion of the base plate 100. A guide rail 210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112 formed by the 110 is formed. The first sliding plate 200 may be made of stainless material.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2가이드부(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부재로서, 대략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마찬가지로 좌우측 단부의 길이가 전후방 단부의 길이보다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a memb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portion 120 of the base plate 100 and slides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200. Like the base plate 100,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ends is formed in a rectangl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ends.

그리고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도면상 후단에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는 제1스토퍼(310)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제1스토퍼(310)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후단과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된다.In ad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draw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 first stopper 310 protruding upward may restrict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and the first stopper 310 may have a first sliding angle. It protrudes to a height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plate 200.

즉,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하부에 위치하는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제1스토퍼(310)가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지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후단이 접촉되는 높이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0, so that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limited. The stopper 310 protrudes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so as to extend beyond the base plate 100 to a height at which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contacts.

이러한 제1스토퍼(3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200, 300)가 결합된 경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슬라이딩 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일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스토퍼(310)에 의한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되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도면상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The first stopper 310 serves to restrict the first sliding plate 200 from sliding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00 and 300 are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When the sliding plate 300 is slid in one direction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sliding restriction by the first stopper 310 is released, so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200 slides behind the base plate 100 in the drawing. do.

제1탄성체(400)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자동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결합된다.The first elastic body 400 serves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ne end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do.

이에 따라,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시 제1스토퍼(310)에 의한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되면 제1탄성체(400)에 의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liding restriction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by the first stopper 310 is released 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slid,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moved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Can be sliding automatically.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체(400)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가이드부(110)에 형성되는 힌지브래킷(130)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은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Preferably,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ne end of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inge bracket 130 formed on the first guide part 110 of the base plate 100. I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체(400)는 한 쌍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특히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나가 소정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이와 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탄성 복원력 제공 및 내구성 등의 면에서 효율적이다.More preferably,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is provided such that the pair i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one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and the other is symmetrical with this. It is efficient in terms of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and durability.

이러한 제1탄성체(400)로는 인장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양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A tension spring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astic body 400, and hinge portions (not shown) for coupling with the base plate 100 and the first sliding plate 2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t both ends.

이 경우, 제1탄성체(400)는 인장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200, 300)가 결합되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에 의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경우, 제1탄성체(400)가 인장상태로 되게 한다는 의미이다.In this cas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first elastic body 400 is kept in a tension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00 and 300 are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so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When the sliding is limited, it means that the first elastic body 400 is in a tensioned state.

따라서,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인장상태로 되어 있던 제1탄성체(400)의 복원력에 의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slid in one direction,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which is in the tensioned state.

참고로, 제1탄성체(400)로는 인장 스프링 외에도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수단이라면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elastic body 400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n elastic means capable of providing a restoring force for sliding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n addition to the tension spring.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은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해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lide modu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econd elastic body in order to allow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o automatically slid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탄성체(400)에 의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은 수동에 의해야 하므로,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자동 슬라이딩을 위해 제2탄성체가 마련되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but the slid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must be performed manually, so that the second sliding is performed. The second elastic body is provided for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plate 300.

이러한 제2탄성체(5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결합되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cond elastic body 500 has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so as to slide o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바람직하게는, 제2탄성체(500)는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결합고정되며, 특히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 치된다.Preferably, the second elastic body 500 has one e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particularly,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t is arranged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same direction.

이 경우, 제2탄성체(500)로는 인장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일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2탄성체(500)는 인장상태로 되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타측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case, a tension spring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elastic body 500. 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slid in one direction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second elastic body 500 is in a tensioned state and the second sliding is performed. The plate 3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slide in the other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후단에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제한을 위한 제1스토퍼(310)가 형성되는데, 이 제1스토퍼(310)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도면상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스토퍼(310)가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2탄성체(500)에 의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탄성 복원력이 제공되더라도 제1스토퍼(310)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 first stopper 310 for limiting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first stopper 310 is a second sliding plate. When the 300 is slid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slid backward in the drawing, since the first stopper 31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the second elastic body 500 Even i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by the first stopper 310, the sliding is limited.

결국, 제1스토퍼(310)는 번갈아 가면서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200, 3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stopper 310 alternately serves to limit sliding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00 and 300.

한편, 제2탄성체(500)는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리베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결합홈(34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500 may be fixed to the base plate 100 by riveting, and the other end may be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40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have.

그리고 제2탄성체(500)에 의한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는 장공(320)과 제2스토퍼(330)를 갖는다.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liding interval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by the second elastic body 500, for this purpose,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the long hole 320 and the second stopper 330 Has

여기서,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장공(320)은 표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스토퍼(330)는 장공(320)에 관통결합되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 간격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제2스토퍼(33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고정된다.Here, the long hole 32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n the surface, the second stopper 330 is coupled through the long hole 320 to control the sliding interval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Done. In this case, the second stopper 33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참고로, 제2스토퍼(330)는 장공(320)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332)와, 몸체부(332)의 하단에서 확장되어 몸체부(332)가 장공(320)을 완전하게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확장부(334)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삽입홈(14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3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몸체부(332), 확장부(334), 고정부(336)를 관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고정되는 고정핀(33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econd stopper 330 is a cylindrical body portion 332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320, and the body portion 332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332 is the long hole 320 It may include an expansion portion 334 to not completely penetrate, and a fixing portion 336 is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140 formed in the base plate 100, furthermore, the body portion 332, expansion The fixing unit 334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n 338 coupled to and fixed to the base plate 100 through the fixing unit 336.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에 대하여 명확하게 설명하였으며, 각 구성간 결합에 있어서 고정핀 등의 결합요소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learly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f coupling elements such as fixing pins is omitted in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but this i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only easily understand and apply.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개략적인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chematic operation of the slid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200, 300)가 결합된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First,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00 and 300 are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the first sliding plate 200 based on the base plate 100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It is moved downward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mov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이 경우, 제1탄성체(400)는 인장상태로 되어 있어 도면상 상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있지만,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가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후단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은 제한된다.In this case,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is in a tensioned state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upward in the drawing, but the first stopper 31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Since the contact with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limited.

그리고 제2탄성체(500)에 의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는 도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있으며, 외력이 가해져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도면상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 한, 이 상태가 유지된다.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sli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by the second elastic body 500, and this state is maintained as long as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not slid to the left in the drawing due to an external force. .

이후,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도면상 좌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는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제2탄성체(500)는 인장상태로 되어 우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며, 제1스토퍼(310)에 의한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된다.Subsequent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o the lef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slides to the left, and the second elastic body 500 is in a tensioned stat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the right side, and the sliding restriction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by the first stopper 310 is released.

이에 따라, 인장상태에 있던 제1탄성체(400)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동시에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도면상 상방으로 자동 슬라이딩 된다.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body 400 in the tensioned stat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liding plate 200 automatically slides upward in the drawing.

그리고 인장상태로 된 제2탄성체(500)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지만,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가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며, 외력이 가해져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 한, 이 상태가 유지된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body 500 in tension state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slides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drawing, but the first stopper 31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made of Since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the slid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limited, and this state is maintained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200 slides downward.

이후,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도면상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제1탄 성체(400)는 다시 인장상태로 되어 상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가 접촉되지 않게 된다.Subsequent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ownwardly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n the drawing,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slid downward as shown in FIG. 6, and the first elastic body 400 is in the tensioned state agai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upward, and the first stopper 31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not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이에 따라, 인장상태에 있던 제2탄성체(500)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동시에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는 도면상 우측으로 자동 슬라이딩 되며, 이 경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형성된 장공(320)과 제2스토퍼(330)에 의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우측 방향 슬라이딩 간격이 제어된다.Accordingly, the second elastic body 500 in the tensioned stat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utomatically slides to the right in the drawing, in this case, the long hole 320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 And the second stopper 330 to control the right sliding interval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더욱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는 다시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후단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어 최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urthermore, since the first stopper 31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again,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limited to maintain the initial stat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slid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모듈(10), 하부바디(20), 서브바디(30) 및 상부바디(4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모듈(1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앞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필요한 사항만 언급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slide module 10, a lower body 20, a subbody 30, and an upper body 40. Sinc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slide module 10 have been described above, only the necessary matters will be described herein.

하부바디(20)의 상면 전방에는 키패드(22)가 장착되고 상면 후방에 슬라이드 모듈(10)의 베이스플레이트(100)가 고정된다.The keypad 22 is mounted at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0, and the base plate 100 of the slide module 10 is fixed at the rear of the upper body.

그리고 서브바디(30)는 하부바디(2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일체로 슬라이딩 된다. 이 경우, 서브바디(30)에는 하부바디(20)의 일측이 삽입결합될 수 있는 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과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일단이 삽입결합될 수 있는 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sub-body 30 is coupled to be slidable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20,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of the slide module is integrally slid. In this case, a groove (not shown) in which one side of the lower body 20 can be inserted into the subbody 30 and a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inserted can be inserted into the subbody 30. (Not shown) is preferably formed.

또한, 상부바디(40)는 하부바디(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모듈(10)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와 결합고정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 모듈(10)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대해 슬라이딩 될 때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에 대해 슬라이딩 된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4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0, and is fix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f the slide module 10 to be slidabl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f the slide module 10 slides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100, the upper body 40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20.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서브바디(30)가 하부바디(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이며, 그 상태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유지된다. 그리고 하부바디(20)의 일측이 서브바디(30)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서브바디(30)도 쉽게 유동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미세한 외력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방되어 온 상태로 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tate in which the subbody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20 and the upper body 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when the user does not use it. Maintained by the slide module. And since one side of the lower body 20 is fitted to the sub body 30 is coupled to the sub body 30 is not easily flow. This is for minimizing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by a fine external force.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서브바디(30)를 하부바디(20)의 일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서브바디(30)에 결합고정된 슬라이드 모듈(10)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후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가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제한을 해제하게 되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와 함께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의 후방으로 자동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의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서브바디(30)는 슬라이딩이 제한되어, 상부바 디(40)의 개방상태가 유지된다.In order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ubbody 30 is pulled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20 (left side in the drawing), the second sliding of the slide module 10 fixed to the subbody 30 is fixed. When the plate 300 is sli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n the first stopper 31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releases the sliding restriction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together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200. The upper body 40 is automatically opene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20 is opened,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sub-body 30 by the first sliding plate 200 is limited sliding, the upper bar The open state of the die 40 is maintained.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바디(30)만을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oving only the subbody 30 to the left.

한편, 서브바디(30)의 슬라이딩시 하부바디(20)의 상면이 확장되기 때문에 쿼티 자판의 확장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서브바디(30)의 손잡이의 기능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is expanded during the sliding of the sub-body 30, a space for the expansion of the QWERTY keyboard can be secured, and serves as a handle of the sub-body 30.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오프(Off)시키고자 하는 경우, 외력을 가해 상부바디(40)를 도면상 하방으로 내리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후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가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 제한을 해제하게 되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과 함께 서브바디(30)가 하부바디(20)의 도면상 우측으로 자동 슬라이딩 되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제1스토퍼(310)에 의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 및 상부바디(4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어, 상부바디(40)의 폐쇄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user wants to turn of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pper body 40 is lowered downward by applying external force, the first sliding plate 200 slid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When the first stopper 310 of) releases the sliding restri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he subbody 30 together with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utomatically slides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lower body 20.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and the upper body 40 is limited by the first stopper 31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upper body 40.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 후 상부바디(40)만을 하방으로 내리면 자동 잠금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uses on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wers the upper body 40 downward, the user is in an automatic locking state.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7.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모듈(10'), 하부바디(20'), 서브바디(30'), 상부바디(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되 면 그 이후부터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서브바디(30')가 하부바디(20')의 일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이후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될 때 동시에 서브바디(30')가 하부바디(20')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그 이후부터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 module 10 ', a lower body 20', a subbody 30 ', and an upper body 40'.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body 40 'is automatically slid thereafter and the subbody 30' is automatically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ubbody 30 'is simultaneously lower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20'. Sliding to the other side of ') to be so that the upper body 40' automatically slides thereafter.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상부바디(40')를 슬라이딩시킬 때 동시에 서브바디(30')가 슬라이딩 되어 하부바디(20')의 상면이 확장되도록 하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끝나 상부바디(40')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동시에 서브바디(30')가 슬라이딩 되어 최초상태로 환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작동들이 상호 연계되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ubbody 30' is sli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is expanded, and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nished. When sliding the upper body 40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same time to the sub-body (30') is to be reduced to the initial state, in particular to ensure that these operations are mad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emi-automatically.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10'), 하부바디(20'), 서브바디(30'), 상부바디(4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과 기술적 특징에 있어서 유사한 면이 많은 관계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slide module 10 ', the lower body 20', the subbody 30 ', and the upper body 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mposed of the slide modul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s. Since there are many similar aspects in terms of technical features and the following,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먼저, 슬라이드 모듈(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드 모듈(10')은 베이스플레이트(100'),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제1탄성체(40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2탄성체(500')를 더 포함한다.First, the slide module 10 'will be described. The slide module 10' includes a base plate 100 ', a first sliding plate 200', a second sliding plate 300 ', and a first elastic body 400. '), And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econd elastic body 500'.

여기서,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되었을 때 일부분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데, 그 노출부분의 상면에 걸림돌기(350')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50')는 상부바디(40')가 슬라이딩 될 때 제 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동시에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Here, 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a part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late 100', and a locking protrusion 35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part. . The locking protrusion 350 'serves to allow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o simultaneously slide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경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위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제1스토퍼가 형성되었는데, 여기에서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는 별도로 제1스토퍼가 마련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in the slide module illustrated in FIGS. 1 to 3, a first stopper is formed on the second sliding plate to limit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topper.

그 이유는 별도의 스토퍼가 없더라도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슬라이딩 되지는 않기 때문이며, 또한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 제한은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걸림돌기(350') 및 상부바디(40')의 레일홈(42')에 의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reason is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200 'does not slide even without a separate stopper, and the sliding limit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limited by the locking projection 35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rail groove 42 'of the upper body 4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제1탄성체(40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결합되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제1탄성체(40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 In this respect, it performs a function similar to the first elastic body 400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S.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제1탄성체(400)가 최초 인장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과는 달리, 여기에서의 제1탄성체(400')는 어떠한 변형이 가해지지 않아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However, unlike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to maintain the initial tension state,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in this case is not subjected to any deformation so that no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It is installed in a state.

즉, 제1탄성체(400')는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힌지브래킷(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의 대략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 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 제1탄성체(400')는 압축을 받아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고 제1탄성체(400')의 데드 포인트를 지나게 되면 이후부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는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That is,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not shown) of the base plate 100 ′,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otatable abou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liding plate 200 ′.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pairs are arranged in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Accordingly, when the first sliding plate 200 ′ slides on the base plate 100 ′, the first elastic body 400 ′ is compressed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 dead point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 is generated. After passing, the first sliding plate 200 'will be automatically slid thereafter.

이러한 제1탄성체(400')로는 통상 슬라이드 모듈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한 두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예컨대, 일반적인 압축코일스프링, 선형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또는 스프링 조립체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1탄성체(400')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여러 다양한 탄성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As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 which is generally used in a slide module, it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mounted between two slidable plates to be semi-automatically slidable.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such as general compression coil springs, linear springs, helical springs, or spring assemblies. The first elastic body 400 ′ shown in FIGS. 7 and 8 is merely a means for illustrative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elastic mean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hereto.

하부바디(20'), 서브바디(30') 및 상부바디(40')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하부바디(20')의 상면 전방에는 키패드가 장착되고 상면 후방에 슬라이드 모듈(10')의 베이스플레이트(100')가 고정되며, 서브바디(30')는 하부바디(20')의 일측에 결합되되 슬라이드 모듈(10')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일단과 결합되어 하부바디(2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부바디(40')는 하면에 슬라이드 모듈(10')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고정되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하다.Referring to the lower body 20 ', the subbody 30' and the upper body 40 ', a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ure 1, the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lower body 20' is equipped with a keypad and the upper surface The base plate 100 'of the slide module 10' is fixed to the rear side, and the subbody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20', but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of the slide module 10 'is fixed. ')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body 20' and slides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body 40 'of the upper body 40' is fix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f the slide module 10'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Sliding integrally with the sliding plate 200 '.

상부바디(40')의 하면 일측에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걸림돌기(350')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홈(42')이 형성된다. 레일홈(42')은 상부바디(4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부(43')와, 직선부(43')에서 상부바 디(40')의 측방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는 곡선부(44')로 이루어진다.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40 ', a rail groove 42' into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35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inserted is formed. The rail groove 42 'has a straight portion 43' that is formed long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upper body 40 ', and is bent to the side of the upper body 40' at the straight portion 43 '. A curved portion 44 '.

이러한 걸림돌기(350')와 레일홈(42')은 두 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직선부(43')에 위치하는 동안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즉, 걸림돌기(350')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locking protrusion 350 'and the rail groove 42' perform two functions. First, slid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restricted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350' is positioned at the straight portion 43 'of the rail groove 42'.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350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from sliding.

둘째,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곡선부(44')로 진입하게 되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부바디(40')와 서브바디(30')의 슬라이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되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걸림돌기(350')는 레일홈(42')의 직선부(43')를 지나 곡선부(44')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계속해서 상부바디(40')가 슬라이딩 되면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곡선부(4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가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Second, when the locking projection 350 'enters the curved portion 44' of the rail groove 42 ', the sliding restri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released, so the upper body 40 'and the subbody Sliding of 30 'can be done simultaneously. That is,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locking protrusion 35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the straight portion 43 of the rail groove 42 '. It passes through ') to reach the curved portion 44'. After the upper body 40 'is slid continuously, the locking protrusion 350' is moved along the curved portion 44 'of the rail groove 42', and thus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slid. Will be.

이 경우,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직선부(43') 및 곡선부(44')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될 때 제1탄성체(400')가 데드 포인트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곡선부(44')로 진입하는 시점까지만 상부바디(40')를 슬라이딩시키면 이후에는 제1탄성체(40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고 동시에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서브바디(30')도 자동으로 슬라이딩 된다.In this case, when the locking projection 350 'is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the straight portion 43' and the curved portion 44 'of the rail groove 42' are connected,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is in a dead point state. In this case, the upper body 40 'is slid only until the locking projection 350' enters the curved portion 44 'of the rail groove 42'.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upper body 40 'automatically slides,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subbody 30 'also automatically slide.

아울러, 제1탄성체(400')의 탄성 복원력만으로도 상부바디(40') 및 서브바 디(30')를 자동 슬라이딩시킬 수 있겠지만, 서브바디(30')의 자동 슬라이딩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제2탄성체(50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 can automatically slide the upper body 40 ′ and the sub body 30 ′, it is to assist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sub body 30 ′. The second elastic body 500 ′ may be provided.

제2탄성체(500')는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고정되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고정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에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50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o provide elastic force for sliding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s shown in FIG. 8, one end is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by a fixing pin (not shown) and the other end is compressed coil spring fix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Can be done.

이 경우, 스프링(500')은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를 하부바디(20')의 일측으로 밀어내려는 복원력을 갖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pring 5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to have a restoring force to push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20 '.

이처럼, 스프링(500')이 압축상태로 설치되더라도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직선부(43')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서브바디(30')가 슬라이딩 될 염려는 없으며,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곡선부(44')에 진입하게 되면 제1탄성체(400')와 제2탄성체(500')가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서브바디(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As such, even when the spring 500 'is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subbody 30 are disposed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350 'is positioned at the straight portion 43' of the rail groove 42 '. ') Is not slid, and when the locking projection 350' enters the curved portion 44 'of the rail groove 42', the first elastic member 40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500' are provided. The slid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 and the subbody 30 ′ may be smoothly perform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반면, 상부바디(40')가 최초에 슬라이딩 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동안에는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곡선부(44')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서브바디(30')도 슬라이딩 된다. 이 경우, 걸림돌기(350')가 레일홈(42')의 곡선부(43') 및 직선부(44')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서브바디(30')의 슬라이딩이 완료되고, 그 이 후에는 제1탄성체(400')의 탄성 복원력을 인해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최초 상태로 환원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upper body 40 'is sli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direction, the locking projection 350' is moved along the curved portion 44 'of the rail groove 42', so that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subbody 30' are also slid. In this case, when the locking projection 350 'is loc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curved portion 43' and the straight portion 44 'of the rail groove 42' are connected,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and the subbody 30 Sliding of ') is completed, and after that, the upper body 40' is automatically slid and reduced to the initial stat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도로, 이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9 to 11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7, and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30')는 하부바디(20')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결합되고, 상부바디(40')는 하부바디(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Firs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off state, as shown in FIG. 9, the subbody 30 ′ is coupled to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lower body 20 ′ and the upper body 40 ′. ) Maintains the st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

이 경우, 제1탄성체(400')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탄성 복원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고, 제2탄성체(500')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를 하부바디(20')의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만,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의 걸림돌기(350')가 상부바디(40')의 레일홈(42')의 직선부(43')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및 서브바디(30')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In this case, the first elastic body 400 ′ is installed without being deformed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not provid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 and the second elastic body 500 ′ is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 It is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pushing the to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lower body (20 '). However, since the locking projection 350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is located at the straight portion 43 'of the rail groove 42' of the upper body 40 ', the second sliding plate 300' ) And the sliding of the subbody 30 'is limited.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40')를 하부바디(20')의 후방(도면상 상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시켜 제1탄성체(400')가 데드 포인트 지점을 지나게 하면, 그 이후부터는 제1탄성체(400')에 의해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와 동시에 제1탄성체(400') 및 제2탄성체(500')에 의해 서브바디(30')가 하부바디(20')의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된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이즈가 확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elastic body 400 ′ is sli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20 ′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20 ′. ) Passes through the dead point, after that the upper body 40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elastic body 40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500' As a result, the subbody 30 'is automatically slid to one side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lower body 20' (see FIG. 11).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panded size.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완료한 경우, 상부바디(40')를 하부바디(20')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시키면 이와 동시에 서브바디(30')가 하부바디(20')의 타측(도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제1탄성체(400')의 데드 포인트 지점을 지나게 되면 서브바디(30')의 슬라이딩은 완료되고 제1탄성체(400')에 의해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최초 상태로 환원된다.When the user completes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same time, the subbody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body 20'. Sli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when passing the dead point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the sliding of the sub-body 30' is completed and the upper body 40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 Automatically slides back to the initial state.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12.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모듈(10"), 하부바디(20"), 한 쌍의 서브바디(30a", 30b"), 상부바디(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되면 그 이후부터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한 쌍의 서브바디(30a", 30b")가 각각 하부바디(20")의 양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이후 상부바디(40")가 하부바디(20")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될 때 동시에 한 쌍의 서브바디(30a", 30b")가 각각 최초 상태로 슬라이딩 되고 그 이후부터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12 and 1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e module 10 ", a lower body 20", a pair of sub-bodies (30a ", 30b") And an upper body 40 ", and the upper body 40" is sli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reafter, and the upper body 40" automatically slides thereafter and a pair Of the sub-bodies 30a "and 30b" respectively slide automatically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 and t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same time, a pair of sub-bodies 30a "and 30b" are respectively slid to an initial state and the upper body 40 "is automatically slid thereafter.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상부바디(40")를 슬라이딩시킬 때 동시에 한 쌍의 서브바디(30a", 30b")가 각각 슬라이딩 되어 하부바디(20")의 상면이 확장되도록 하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끝나 상부바디(40")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동시에 한 쌍의 서브바디(30a", 30b")가 슬라이딩 되어 최초 상태로 환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작동들이 상호 연계되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air of subbodies 30a" and 30b "are simultaneously sli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is expanded. When the end of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to slide the upper body (40 ")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same time a pair of sub-bodies (30a", 30b ") is to be reduced to the initial state, especially these operations are mutually It is intended to be linked and semi-automatic.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바디(40')의 슬라이딩과 연계하여 하나의 서브바디(3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바디(40")의 슬라이딩시 좌우 한 쌍의 서브바디(30a", 30b")가 연계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바디(20")의 상면을 더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다.7 and 8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ubbody 30 'is slid in association with the sliding of the upper body 40',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shown in FIGS. Th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sub-bodies 30a "and 30b" slide together in sliding when the upper body 40 "slides, to further exp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Thus, in describ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portions that differ from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슬라이드 모듈(10")은 베이스플레이트(100"),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 한 쌍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 제1탄성체(40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2탄성체(500")를 더 포함한다.First, the slide module 10 "includes a base plate 100", a first sliding plate 200 ", a pair of second sliding plates 300a", 300b ", and a first elastic body 400". , Preferably, the second elastic body 500 ″.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00"),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 제1탄성체(4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베이스플레이트(100'),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 제1탄성체(400')와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Here, the base plate 100 ", the first sliding plate 200", and the first elastic body 400 "are the base plate 100 'and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 are substantially the same.

그리고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는 한 쌍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는 각각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되었을 때 그 일부분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그 노출부분의 상면에 걸림돌기(350a", 350b")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are arranged so that the pairs are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00 ". The seco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are respectively a base plate (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late 100 "when coupled to 100",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350a "and 350b"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하부바디(20")와 서브바디(30a", 30b")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부바디(20")의 양측에 한 쌍의 서브바디(30a", 30b")가 결합된다. 서브바디(30a", 30b")는 각각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의 일단과 결합되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하다.When the lower body 20 "and the subbody 30a", 30b "are demonstrated, a pair of subbody 30a", 30b "is couple | bonded with the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The sub-bodies 30a "and 30b" are coupled to one ends of the seco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respectively, and are integrally slidable with the seco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상부바디(40")는 하면에 슬라이드 모듈(10")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가 고정되어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데, 상부바디(40")의 하면 양측에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의 걸림돌기(350a", 350b")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레일홈(42a", 42b")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350a", 350b")와 레일홈(42a", 42b")의 기능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upper body 40 "is fix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of the slide module 10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so that it can slide integrally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200",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0 " The rail grooves 42a "and 42b" in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s 350a "and 350b" of the seco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are inserted are formed, respectively. Such locking projections 350a "and 350b" are formed. ) And rail grooves 42a "and 42b"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제2탄성체(500")는 서브바디(30a", 30b")의 자동 슬라이딩을 보조하기 위해 슬라이드 모듈(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양단은 각각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에 고정되어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에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second elastic body 500 "is provided on the slide module 10" to assist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sub-bodies 30a "and 30b", a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and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It is fixed to the two sliding plates (300a ", 300b")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to the second sliding plate (300a ", 300b").

제2탄성체(500")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의 좌우 슬라이딩 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프링이라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The second elastic body 500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spring that is compressed and tensioned in the left and right sliding directions of the seco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도 13에는 제2탄성체(500")의 한 예로 토션스프링이 도시되어 있다. 제2탄성체(500")는 코일부(510")가 고정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 중앙부에 고정되고 양단은 각각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13, an example of the torsion spring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second elastic body 500 ". In the second elastic body 500", the coil part 510 "is fixed to the base plate 100 by a fixing pin (not shown). ") Is fixed to the center part and both ends are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2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제2탄성체(5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더 강력한 탄성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탄성체(500")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second elastic body 500 ″ is disposed such that the pair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base plate 100 ″. This is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second elastic body 500 "while also providing a stronger elastic restoring force.

이와 같은 제2탄성체(500")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를 하부바디(20")의 양측으로 밀어내려는 복원력을 갖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Such second elastic body 500 "is particularly preferably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to have a restoring force for pushing the second sliding plates 300a" and 300b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도로, 이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14 to 16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2, and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30a", 30b")는 하부바디(20")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부바디(40")는 하부바디(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Firs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off state, as shown in FIG. 14, the subbodies 30a "and 30b"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 and the upper body 40" is It is kept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

이 경우, 제1탄성체(400")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에 탄성 복원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고, 제2탄성체(500")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를 각각 하부바디(20")의 양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만,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의 걸림돌기(350a", 350b")가 각각 상부바디(40")의 레일홈(42a", 42b")의 직선부(43a", 43b")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a", 300b") 및 서브바디(30a", 30b")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In this case, the first elastic body 400 "is installed without being deformed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not provid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500 "is the second sliding plate 300a", 300b ")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for pushing the lower body 20"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 However, the locking projections 350a "and 350b" of the second sliding plate 300a "and 300b" are respectively the straight portions 43a "and 43b" of the rail grooves 42a "and 42b" of the upper body 40 ". ), Slid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s 300a ", 300b" and the subbodies 30a ", 30b" is restricted.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부바디(40")를 하부바디(2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시켜 제1탄성체(400")가 데드 포인트 지점을 지나게 하면, 그 이후부터는 제1탄성체(400")에 의해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와 동시에 제1탄성체(400") 및 제2탄성체(500")에 의해 서브바디(30a", 30b")가 각각 하부바디(20")의 좌우로 자동 슬라이딩 된다(도 16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이즈가 확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elastic body 400 ″ is dead point by sliding the upper body 40 ″ to a predetermined length behind the lower body 20 ″. After passing through the point, the upper body 40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and at the same time, the subbody (1)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500" 30a "and 30b" respectively slide automatical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body 20 "(see FIG. 16).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panded size.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완료한 경우, 상부바디(40")를 하부바디(20")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시키면 이와 동시에 서브바디(30a", 30b")가 슬라이딩 되며, 제1탄성체(400")의 데드 포인트 지점을 지나게 되면 서브바디(30a", 30b")의 슬라이딩은 완료되고 제1탄성체(400")에 의해 상부바디(4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최초 상태로 환원된다.When the user completes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pper body 40 "is sli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ubbodies 30a "and 30b" slide at the same time. When passing the dead point of the first elastic body 400 ", the sliding of the sub-bodies 30a" and 30b "is completed, and the upper body 40"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first elastic body 400 ", and the initial state is completed. Reduc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lide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Ⅰ-Ⅰ'부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도.4 to 6 is an operation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도.9 to 11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12. FIG.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도.14 to 16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main part of drawing

10, 10', 10" : 슬라이드 모듈10, 10 ', 10 ": slide module

20, 20', 20" : 하부바디20, 20 ', 20 ": lower body

30, 30', 30a", 30b" : 서브바디30, 30 ', 30a ", 30b": subbody

40, 40' : 상부바디40, 40 ': upper body

42', 42a", 42b" : 레일홈42 ', 42a ", 42b": rail groove

43' : 직선부43 ': straight section

44' : 곡선부44 ': curved portion

100, 100', 100" : 베이스플레이트100, 100 ', 100 ": Base Plate

110 : 제1가이드부110: first guide part

120 : 제2가이드부120: second guide part

130 : 힌지브래킷130: hinge bracket

200, 200', 200" : 제1슬라이딩플레이트200, 200 ', 200 ": first sliding plate

300, 300', 300a", 300b" : 제2슬라이딩플레이트300, 300 ', 300a ", 300b": 2nd sliding plate

310 : 제1스토퍼310: first stopper

320 : 장공320: longevity

330 : 제2스토퍼330: second stopper

340 : 결합홈340: coupling groove

350', 350a", 350b" : 걸림돌기350 ', 350a ", 350b": Obstructions

400, 400', 400" : 제1탄성체400, 400 ', 400 ": first elastic body

500, 500', 500" : 제2탄성체500, 500 ', 500 ": second elastomer

Claims (21)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A first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 및A second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liding plate; And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상기 제1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including the second sliding plate sli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sliding plate slides automatically by the first elastic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후단과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제1스토퍼가 상방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1스토퍼에 의한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has a height that can contact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so that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is restricted. The first stoppe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is slid in one direction, the sliding restriction of the first sliding plate by the first stopper is released, so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is automatically slid. Slide modul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부와, 하면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가이드부와 교차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The base plate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pair of first guide parts bent upward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cross-sections bent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intersect with the first guide part. And a guide part, wherein the first sliding plate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part.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부 각각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형성되는 힌지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제1탄성체는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이 마련되되 각각 일단이 상기 힌지브래킷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The base plate has a hinge bracket which extends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guide portion, the first elastic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e end is rot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inge bracket The slid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possible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제1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체는 인장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When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is limited by the first stopper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first elastic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module is maintained in a tension state.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최초상태로 환원되도록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최초상태로 환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The first sliding plate is further reduced to an initial state b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slid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liding to the second sliding plate is automatically slid by the second elastic body to be reduced to the initial stat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타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장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second sliding plate is When the sliding in one direction slid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tate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other dire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2탄성체가 인장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측면에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타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When the second sliding plate is sli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elastic body is in a tensioned state, sliding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n the other direction is caused because the first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late. Slid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limited.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표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장공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간격을 제어하는 제2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The second sliding plate has a long hole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n the surface, and a second stopper penetrately coupled to the long hole to control the sliding interval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second stopp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Slid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청구항 1의 슬라이드 모듈;The slide module of claim 1; 상면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하부바디;A lower body to which the base plate of 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서브바디; 및A sub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to slide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And 하면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후방으로 자동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first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be integrally slidable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including, when the subbody is slid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is the lower bod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sliding to the rear of the. 청구항 6의 슬라이드 모듈;A slide module of claim 6; 상면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하부바디;A lower body to which the base plate of 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 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서브바디; 및A sub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to slide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And 하면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후방으로 자동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바디의 타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이후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타측 방향으로 자동 슬라이딩 되어 최초상태로 환원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바디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first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be integrally slidable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including, when the subbody slides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is the lower body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ub-body and the sli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ody is limited, and after the upper body is sli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the sub-body automatically slides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ody to the initial stat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be reduced and the sliding of the upper body at the same time reduced.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를 갖는 슬라이드 모듈;A base plate, a first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second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liding plate, and one end thereof A slide modul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having a first elastic bod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and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상면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하부바디;A lower body to which the base plate of 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서브바디; 및A sub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to slide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And 하면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되면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될 때 동시에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 upper body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lide module and slidable integrally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including the upper body when the upper body is slid to a rear of the lowe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reafter; As the body slides automatically and the subbody slides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automatically, and when the upper body is sli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of the lower body at the same time the subbody is the other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is slid to the side and the upper body is automatically slid thereafter.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상부바디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홈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홈은 상기 상부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상부바디의 측방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는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ha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late, the rail groov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of the upper body Is formed, the rail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aight portion is formed long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curved portion is bent to the side of the upper body from the straight portion is formed long.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상부바디의 레일홈의 직 선부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레일홈의 곡선부로 진입하면 슬라이딩 제한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sliding plat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is limited while the locking projection is located in the straight portion of the rail groove of the upper body and the sliding restriction is released when the locking projection enters the curved portion of the rail groove.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상기 상부바디의 레일홈의 직선부 및 곡선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면 상기 제1탄성체가 데드 포인트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elastic member is in a dead point state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rail groove of the upper body are connected. 청구항 12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5,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서브바디의 자동 슬라이딩을 보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so as to assist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sub-body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to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econd elastic body.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체를 갖는 슬라이드 모듈;A base plate, a first slid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a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liding plate, based on a center of the base plate A pair of second sliding plates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nd a first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plate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for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plate A slide module having an elastic body; 상면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하부바디;A lower body to which the base plate of 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하부바디의 양측에 결합되되, 각각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서브바디; 및A pair of sub-bodie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each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to be integrally slidable with the second sliding plate; And 하면에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1슬라이딩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플레이트와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되면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서브바디가 각각 상기 하부바디의 양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하부바디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될 때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서브바디가 각각 상기 하부바디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그 이후부터 상기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 upper body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lide module and slidable integrally with the first sliding plate; including the upper body when the upper body is slid to a rear of the lowe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reafter; The pair of sub-bodies are automatically slid to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at the same time the body slides automatically, and then the pair of sub-subs at the same time when the upper body is sli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of the lower body. And a body slid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respectively, and the upper body slides automatically thereafter.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상부바디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홈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홈은 상기 상부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상부바디의 측방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는 곡선부로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sliding plate of the slide module ha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late, and the rail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inser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of the upper body. Is formed, the rail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aight portion is formed long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curved portion is bent to the side of the upper body from the straight portion is formed long. 청구항 17 또는 1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or 18,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서브바디의 자동 슬라이딩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as to assist the automatic sliding of the sub-body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second sliding plate further provides a second elastic body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second sliding pl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청구항 19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2탄성체는 코일부가 고정핀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 중앙부에 고정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제2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elastic bod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portion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by a fixing pin and both ends are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sliding plate, respectively. 청구항 20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elastic bod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is arranged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KR1020090074989A 2009-08-14 2009-08-14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101035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89A KR101035125B1 (en) 2009-08-14 2009-08-14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89A KR101035125B1 (en) 2009-08-14 2009-08-14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02A KR20110017502A (en) 2011-02-22
KR101035125B1 true KR101035125B1 (en) 2011-05-19

Family

ID=4377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989A KR101035125B1 (en) 2009-08-14 2009-08-14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309A (en) * 2005-04-25 2006-11-01 오형종 Portable telephone having game operrating panel
KR20070018396A (en) * 2005-08-10 2007-02-14 주식회사 팬택 Mobile terminal having a additional keypad
KR20090129024A (en) * 2008-06-12 200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309A (en) * 2005-04-25 2006-11-01 오형종 Portable telephone having game operrating panel
KR20070018396A (en) * 2005-08-10 2007-02-14 주식회사 팬택 Mobile terminal having a additional keypad
KR20090129024A (en) * 2008-06-12 200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02A (en)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90B1 (en)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CN1953470B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518168B1 (en) Sliding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KR100865967B1 (en)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395928Y1 (en) Sliding system of slide portable terminal
KR100844434B1 (en) Slide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650695B1 (en)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1035125B1 (en)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543777B1 (en) Cellular phone having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0751260B1 (en) Sliding-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KR100719518B1 (en) Simple type slide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KR101016523B1 (en)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397455Y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97454Y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120058389A (en) Elastic Driving Device for Sliding Hinge
KR20100009708U (en) Slide hinge module
KR20070018349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KR200353334Y1 (en) Slid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376816Y1 (en) Slide type Module of cellular phone
KR100656894B1 (en) Sliding assembly for handphone
KR101024410B1 (en)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60102975A (en) Slide Assembly Structure of Sliding Cell Phone
KR200408293Y1 (en) Hing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0619819B1 (en) Sliding type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