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196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96B1
KR101034196B1 KR1020040044321A KR20040044321A KR101034196B1 KR 101034196 B1 KR101034196 B1 KR 101034196B1 KR 1020040044321 A KR1020040044321 A KR 1020040044321A KR 20040044321 A KR20040044321 A KR 20040044321A KR 101034196 B1 KR101034196 B1 KR 10103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fixing bracket
housing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267A (ko
Inventor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96B1/ko
Priority to CA002506502A priority patent/CA2506502C/en
Priority to EP05252890A priority patent/EP1607514B1/en
Priority to US11/126,148 priority patent/US7596884B2/en
Publication of KR2005011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16L3/24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the special member being inserted in the profiled girder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배기관을 쉽게 고정할 수 있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이 끼워맞춰지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류건조기, 배기관, 고정구조.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측단면도.
도3 내지 도5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배기관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도어
12: 조작부 20: 건조통
21: 전면브라켓 23: 후면브라켓
25: 흡기덕트 27: 배기덕트
30: 배기관 31: 제1고정브라켓
32: 제2고정브라켓 33: 제3고정브라켓
40: 구동모터 50: 후면커버
51: 배기관홀 52: 테두리부
55: 고정홀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관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류건조기는 젖은 의류가 투입된 건조통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가 함유하고 있는 물기를 증발시켜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일반적으로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흡기덕트와, 건조통 내부의 열풍을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열풍배출덕트와, 열풍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송풍팬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의류건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 송풍팬과 건조통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그 전단부가 상기 송풍팬의 팬케이싱 출구측에 마련되는 안착부에 지지되고, 그 중앙부는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며, 그 후단부는 하우징 후면의 개구부를 관통한 상태로 하우징 후면판에 의해 지지된다.
배기관의 중앙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은 일단이 배기관의 외주면상에 리벳이나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저면에 나사로 체결된다. 따라서 배기관을 조립할 때 고정브라켓을 하우징 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기관을 분해해야 할 경우에도 고정브라켓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분해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배기관을 쉽게 고정할 수 있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이 끼워맞춰지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는 걸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는 상기 걸이부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상기 배기관을 그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착탈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이부의 회전방향으로 오목하게 만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브라켓은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 기 걸이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의 후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3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맞춤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브라켓은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전면에는 건조할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11)가 구비되고, 도어(11)의 상부에는 의류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2)가 구비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건조통(20)이 구비되며, 이 건조통(20)은 그 전후 양단부의 내주면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전면브라켓(21)과 후면브라켓(23)에 의해 지지된다. 건조통(20)의 회전 운동이 원할하도록 건조통(20)과 전면브라켓(21) 사이 및 건조 통(20)과 후면브라켓(23) 사이에는 미끄럼패드(43)가 개재된다.
후면브라켓(23)의 상부에는 열풍흡입을 위한 흡기구(24)가 형성되며, 후면브라켓(23)의 후방에는 상기 열풍 흡기구(24)로 열풍을 안내하는 흡기덕트(25)가 구비된다. 흡기덕트(25)는 건조통(20)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흡기구(24)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흡기덕트(25) 입구에는 하우징(10) 내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6)가 구비된다.
전면브라켓(21)은 도어(11) 측으로부터 건조 대상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그 중앙부가 개구되며, 그 하부에는 건조 대상물로부터 증발된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2)가 형성된다.
건조통(20)의 하부에는 배기구(22)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의류건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27)와, 송풍팬(28)과, 배기관(30)이 구비된다. 배기덕트(27)는 배기구(22)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하우징(10)의 하부로 안내하며, 이 배기덕트(27)는 의류건조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28)에 연결된다. 송풍팬(28)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는 일단이 송풍팬(28)의 팬케이싱(29)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0) 외부로 연장되는 배기관(30)에 의해 의류건조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송풍팬(28)과 건조통(20)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40)가 설치된다. 구동모터(40)는 그 구동축이 전후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은 송풍팬(28)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는 건조통(20)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41)가 설치된다. 이 풀리(41)와 건조통(20)은 벨트(44)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건조통(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의류건조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어(11)를 통하여 건조통(20)에 젖은 의류 등의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고, 조작부(12)를 통하여 운전을 시작하면 구동모터(40)가 건조통(20)과 송풍팬(28)을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건조통(20)은 회전하면서 건조 대상물을 뒤섞어 주어 대상물이 고르게 건조되도록 한다. 송풍팬(28)이 회전하면 건조통(20)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27)와 배기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공기가 빠져나가 압력이 낮아진 건조통(20)으로는 흡기덕트(2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공급되어 압력을 보상하게 된다. 건조통(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히터(26)를 지나면서 고온으로 가열된 열풍상태로 제공되며 이 열풍에 의해 의류에 흡수되어 있던 물이 증발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은 도3내지 도5를 참조하여 배기관(30)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배기관(30)은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전단부는 송풍팬(28)의 팬케이싱(29) 출구 측에 마련되는 안착부(29a)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배기관(30)의 중앙부는 하우징(10)의 저면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배기관(30)의 외면에는 일측이 배기관(30)에 고정된 제1고정브라켓(31)이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저면에는 제1고정브라켓(31)이 끼워 맞춰지도록 걸림홈(32c)이 형성된 제2고정브라켓(32)이 구비된다. 제1고정브라켓(31)은 배기관(30)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31a)와, 이 고정부(31a)로부터 배기관(3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1b)와, 연장부(31b)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제2고정브라켓(32)의 걸림홈(32c)에 끼워맞춤 되는 걸이부(31c)를 구비한다. 제2고정브라켓(32)의 하단부에는 하우징(10) 저면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하우징(10)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32a)가 구비되고, 이 고정부(32a)에서 하우징(10) 저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32b)에 상기 걸림홈(32c)이 형성된다. 이 걸림홈(32c)은 연장부(32b)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입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배기관(30)을 그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착탈되도록 걸이부(31c)가 걸림홈(32c)에 착탈되도록 걸림홈(32c)의 형성 방향을 걸이부(31c)의 회전방향을 따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30)의 후단부에는 하우징(10) 후면에 결합되는 제3고정브라켓(33)이 구비된다. 제3고정브라켓(33)은 배기관(30)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33a)와, 이 고정부(33a)로부터 배기관(3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b)와, 이 연장부(33b)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하우징(10) 후면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33c)를 구비한다.
한편, 하우징(10) 후면 하부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13)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3)를 개폐하기 위한 후면커버(50)가 구비된다. 이 개구부(13)는 배기관(30)의 후단 근방에 마련되며, 후면커버(50)에는 배기관(30)이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배기관홀(51)이 형성된다. 이 배기관홀(51)로부터 소정정도 이격된 일 지점에는 상기 제3고정브라켓(33)의 돌출부(33c)가 끼워맞춤 되어 배기관(30)의 방향을 고정하는 고정홀(55)이 구비된다. 그리고 배기관홀(51)과 고정홀(55) 사이에는 제3고정브라켓(33)의 연장부(33b)와 후면커버(50)를 체결하는 고정나사(61)가 체결된다. 후면커버(50)는 상기 개구부(13)의 가장자리를 하우징(10)의 외측에서 덮도록 결합되며, 후면커버(50)와 하우징(10) 후면이 겹치는 부분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나사홀이 형성된다.
배기관(30)의 조립 시 그 전단부를 상기 팬케이싱(29)의 안착부(29a)에 삽입한 후, 제1고정브라켓(31)의 걸이부(31c)가 제2고정브라켓(32)의 걸림홈(32c)에 끼워맞춰지도록 배기관(30)을 회전시키면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배기관(3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후면커버(50)를 덮고 제3고정브라켓(33)을 후면커버(50)에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배기관(30)의 분해 시에는 고정나사(61)를 풀고 후면커버(50)을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한 후 조립할 때의 반대방향으로 배기관(30)을 돌리면 제1고정브라켓(31)과 제2고정브라켓(32)이 분리되고, 배기관(3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배기관(30)의 전단부가 안착부(29a)로부터 분리되면서 완전히 분해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배기관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에 걸이부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저면에는 이 걸이부가 걸리도록 걸림홈을 구비하는 제2고정브라켓을 구비하고 있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배기관을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은 체결부재 없이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어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이 끼워맞춰지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는 걸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는 상기 걸이부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상기 배기관을 그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착탈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이부의 회전방향으로 오목하게 만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브라켓은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후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3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맞춤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브라켓은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40044321A 2004-06-16 2004-06-16 의류건조기 KR10103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321A KR101034196B1 (ko) 2004-06-16 2004-06-16 의류건조기
CA002506502A CA2506502C (en) 2004-06-16 2005-05-06 Laundry dryer with novel exhaust pipe installation structure
EP05252890A EP1607514B1 (en) 2004-06-16 2005-05-11 Clothing dryer and method of assembling a clothing dryer
US11/126,148 US7596884B2 (en) 2004-06-16 2005-05-11 Clothing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321A KR101034196B1 (ko) 2004-06-16 2004-06-16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67A KR20050119267A (ko) 2005-12-21
KR101034196B1 true KR101034196B1 (ko) 2011-05-12

Family

ID=3729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321A KR101034196B1 (ko) 2004-06-16 2004-06-16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1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264A (ko) *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0853665B1 (ko) 2008-02-29 2008-08-26 (주)제이엠씨텍 드럼 타입 세탁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264A (ko) *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0853665B1 (ko) 2008-02-29 2008-08-26 (주)제이엠씨텍 드럼 타입 세탁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67A (ko)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478A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KR20100041032A (ko) 의류건조기
US20060101666A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condensing duct
KR20170028037A (ko) 의류건조기
AU2015309202A1 (en) Laundry dryer
EP2990521B1 (en) Laundry dryer
CA2506502C (en) Laundry dryer with novel exhaust pipe installation structure
US20110030234A1 (en) Clothes Dryer Having Liquid Injection Nozzle
KR101034196B1 (ko) 의류건조기
KR100611316B1 (ko) 의류건조기
KR101059814B1 (ko) 의류건조기
US7350319B2 (en) Clothing dryer
KR100599040B1 (ko) 의류건조기
EP3124679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126168B1 (ko) 의류건조기
KR100570530B1 (ko) 의류건조기
KR101041074B1 (ko) 의류건조기
KR100599041B1 (ko) 의류건조기
KR102627706B1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76616B1 (ko) 의류건조기
KR100641688B1 (ko) 의류건조기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KR101071834B1 (ko) 의류건조기의 롤러 구조
KR880002113B1 (ko) 의류건조기
JP2004222763A (ja) 洗濯乾燥機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