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748B1 -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748B1
KR101032748B1 KR1020090093051A KR20090093051A KR101032748B1 KR 101032748 B1 KR101032748 B1 KR 101032748B1 KR 1020090093051 A KR1020090093051 A KR 1020090093051A KR 20090093051 A KR20090093051 A KR 20090093051A KR 101032748 B1 KR101032748 B1 KR 10103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application server
data exchan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374A (ko
Inventor
이은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9009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7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은 RFID 판독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부, 상기 디바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 및 필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미들웨어부,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부로부터 데이터 교환의 대상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부를 포함함으로써, RFID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RFID, 데이터 교환, 관리, BPM,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Description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RFI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RFID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합 관리하는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각 주파수 대역별 RF 신호를 사용하여 고유의 ID를 식별함으로써 객체들을 인식할 수 있는 비접촉 인식기술 중 하나이다. RFID 기술은 고유 데이터를 담고 있는 RFID 태그와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RFID 리더(Reader), 그리고 RFID 리더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ID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외부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거나(수동형 방식) 또는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전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능동형 방식) 태그에 저장된 고유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RFID 리더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이를 해독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RFID 태그와 리더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기업 등의 내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유용한 정보로서 이용되는데, 이러한 RFID 기술을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크게 디바이스 계층, 미들웨어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미들웨어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간의 태그 데이터 교환은 종래의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 1에서와 같이 각각의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미들웨어 A에서 애플리케이션 A, B, C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애플리케이션 A, B, C 각각과 통신하여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들웨어 C는 애플리케이션 B, C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B, C와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데이터 교환 방식에서는 각각의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에 통신에 따른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다른 계층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할 경우 다른 계층과의 통신을 위한 수단을 각각 마련해야 하므로 비용적, 시간적 부담이 가중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RFID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합 관리하는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은 RFID 태그와 RFID 판독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부, 상기 디바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 및 필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미들웨어부,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부로부터 데이터 교환의 대상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교환 관리부는 데이터 교환의 대상이 되는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 및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제어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부 및 데이터 교환 관리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국제 물류 항공 솔루션, 국제 물류 해상 솔루션, 국제 물류 기업 솔류선,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을 처리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는 데이터 교환의 대상이 되는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등록된 데이터 베이스, 상기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목표 지점을 상기 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 내 등록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선정하는 데이터 교환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목표 지점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교환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목표 지점의 선정은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제어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교환 제어부는 상기 BPM 제어를 수행하는 BMP부를 포함하고, 상기 BPM부는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전송받아 액티비티(activity) 실행 제어에 따라 기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구동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국제 물류 항공 솔루션, 국제 물류 해상 솔루션, 국제 물류 기업 솔류선을 처리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을 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할 정보 및 설정 파일을 등록하는 단계, 액티비티 실행 제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상기 전달할 정보로서 태그 데이터를 등록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하는 단계, 미들웨어부로부터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로 전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의 실행에 따라 선정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 실행 결과 및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전송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 데이터는 마스터 정보와 디테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는 적어도 상기 마스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정보는, 상기 디테일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자의 고유 식별 계정, 상기 디테일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자의 고유 식별 계정, 상기 디테일 정보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와 디테일 정보를 매칭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맵핑키를 포함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디테일 정보는 의뢰 번호, 항공화물송장 번호, 수입자 상호, 납세의무자 상호, 납세의무자 주소, 납세의무자 사업자번호, 공급자 상호, 인도조건, 결제통화, 결제금액, 결제방법, 순번, HS코드, 원산지 코드, 규격, 수량단위, 수량, 단가, 금액단위, 금액, 사용수량, 사용단위, 요건확인번호 및 발급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교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은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 사이에서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함으로써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부하를 경감할 수 있으며 새로운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추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은 RFID 판독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부(110), 상기 디바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 및 필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미들웨어부(130),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부(150) 및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부로부터 데이터 교환의 대상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부(170)를 포함하고 있다.
디바이스부(110)는 RFID 판독기를 구비하는 요소로 복수의 RFID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RFID 판독기에 의해 판독되는 RFID 태그가 포함될 수도 있는데, RFID 태그의 수는 RFID 판독기의 수보다 많을 수 있으며 다양한 사물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는 화물, 차량, 선박, 항공기, 화물 포장, 컨테이너, 개인 소지 카드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RFID 판독기가 복수의 RFID 태그를 처리할 수 있다.
RFID 태그는 부착되어지는 사물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태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그 데이터는 RFID 판독기에 의해 판독되어 미들웨어부로 전송된다.
미들웨어부(130)는 디바이스부, 구체적으로 RFID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태그 데이터를 수집 및 필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미들웨어부는 위의 기능을 수행하는 미들웨어가 탑재된 서버 또는 시스템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미들웨어는 소프트웨어적 성격의 미들웨어가 탑재된 서버 또는 시스템 각각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RFID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태그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및 그외의 정보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의 효율 향상, 데이터 보안(애플리케이션부에 전송하지 말아야 할 미들웨어부의 정보 보안)을 위해 미들웨어부에서 필터링 및 처리된다. 미들웨어부는 일반적으로 RFID 판독기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관리한다. 따라서, 일정 애플리케이션부에서 관리를 원하는 RFID 태그의 태그 데이터 외의 태그 데이터 또한 전송받아 관리하고 아울러 상기 애플리케이션부에서 관심을 갖지 않는 디바이스(RFID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태그 데이터 또한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미들웨어는 애플리케이션부에서 관심을 갖는 디바이스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전송받아 애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태그 데이터 중에서도 상기 애플리케이션부가 관심을 갖는 태그 데이터를 선별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미들웨어부에 대해 태그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부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이루어진 경우 미들웨어부는 태그 데이터를 전송할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적절하게 선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 사이의 통신이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부에서 데이터 교환을 통합 관리한다.
데이터 교환 관리부(170)는 미들웨어부(130)와 애플리케이션부(150) 사이에서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요소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각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 교환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교환 관리부로 전송하기만 하면 교환 대상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미들웨어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미들웨어 A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C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C를 호출하여 직접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 A는 데이터 교환 대상인 애플리케이션 서버 C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데이터를 데이터 교환 관리부로 전송하기만 하면 된다.
데이터 교환 관리부는 미들웨어 A로부터 전송된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교환 대상인 애플리케이션 서버 C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기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C가 있는지 검색하고 존재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버 C의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 C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은 복수의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통신이 동시에 수행될 경우 우열 관계 등 복잡한 요소가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교환 관리부는 데이터 교환의 대상이 되는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제어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business process)란 기업이 타 기업과 개인 고객을 포함한 모든 파트너에게 가치(서비스, 제품 등)를 제공하기 위해 순차적이거나 동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연관된 업무들의 모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은 기업 내외와 고객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제대로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관련 기술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BPM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시스템 차원에서 관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프로세스에 대한 자동화와 생산성 및 효율성의 확대,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고 분석·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게 된다. BPMS는 이러한 BPM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혹은 플랫폼을 지칭한다.
BPM에 의하면 데이터 교환 관리부 내의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데이터 교환 관리부는 미들웨어부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들웨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부(150)는 미들웨어부(130)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애플리케 이션 서버에 적용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부는 태그 데이터를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서버 또는 시스템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요소이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서버 또는 시스템 각각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애플리케이션부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국제 물류 항공 솔루션, 국제 물류 해상 솔루션, 국제 물류 기업 솔류선,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을 처리하는 서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EPCIS는 광의로 보았을 경우 미들웨어부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협의의 미들웨어부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요소로 처리하여 애플리케이션부에 포함시켰다.
EPCIS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고 갱신되는 EPC 데이터의 중앙 저장소로 기능하며 각종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규정된 EPC가 공유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들웨어부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할 수도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EPCIS와의 데이터 교환 등 내부적으로도 태그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 터 교환 관리부를 통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교환 관리부를 통하여 미들웨어부와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통신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애플리케이션 내부 간의 통신 또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통신 부하가 경감되며 새로운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참여가 용이하다. 새로운 미들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 교환 관리부에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데이터 교환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언급된 디바이스부, 미들웨어부, 애플리케이션부는 각각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비아스부와 미들웨어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디바이스부, 미들웨어부, 애플리케이션부 모두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 2의 데이터 교환 관리부를 나타내기도 한다.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는 데이터 교환의 대상이 되는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등록된 데이터 베이스(230), 상기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210),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목표 지점을 상기 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 내 등록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선정하는 데이터 교환 제어부(250) 및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목표 지점으로 전송하는 송신부(270)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베이스(230)는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에 통신망 등을 통하여 접속한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등록 정보에는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하여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는 요소이다.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통신부와 호환이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하여야 하며, 서로 다른 통신망을 이용하는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RFID 태그 데이터가 될 것이나 그외의 데이터일 수도 있다.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는 자체에서 데이터를 가공하여 처리하는 요소가 아니라 수신된 데이터를 적정 목표 지점으로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에는 목표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목표 지점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교환 제어부(250)는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목표 지점을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추출된 목표 지점을 데이터 베이스 내 등록 정보와 비교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목표 지점과 일치하는 데이터 베이스 내 등록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 정보를 등록한 미들웨어부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미들웨어부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곧 목표 지점이 된다.
송신부(270)는 데이터 교환 제어부에서 선정된 목표 지점으로 데이터를 전송 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목표 지점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모든 전송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지점을 검색하여 적절하게 목표 지점인 미들웨어부 또는 애플리케이션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전적으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가 일임하게 된다.
목표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는 전달 목표가 되는 미들웨어부 또는 애플리케이션부 자체를 지정하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각 데이터가 추출된 디바이스(RFID 판독기)의 정보와 같이 친송신측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이 예를 들어 '00fc 판독기의 추출 결과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A, B,..X'와 같으면 목표 지점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할 수 있다. 즉, 목표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부를 파악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해당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일견 간단해 보이나, 수많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미들웨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수가 방대한 상황,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복수인 상황을 고려하면 데이터 전송의 우열 관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데이터 교환 제어부(250)에서 이루어지는 목표 지점의 선정은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제어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데이터 교환 제어부는 상기 BPM 제어를 수행하는 BMP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PM부는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전 송받아 액티비티(activity) 실행 제어에 따라 기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구동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국제 물류 항공 솔루션, 국제 물류 해상 솔루션, 국제 물류 기업 솔류선을 처리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EPCI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를 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BPM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제어부의 동작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먼저, 애플리케이션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할 정보 및 설정 파일을 등록한다(S 510).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정의(Process Definition)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액티비티(Activity) 실행 제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상기 전달할 정보로서 태그 데이터를 등록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한다(S 530). 액티비티는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요소로, 그 중 액티비티 실행 제어에 의해 해당 프로세스가 구동된다.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교환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에서 필요로 하는 RFID 태그 데이터를 RFID 미들웨어부로부터 전송받아 전달하도록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의 실행에 따라 선정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그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 실행 결과 및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전송 결과를 모니터링한다(S 550). 진행되는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로 실시간으로 수행되거나 수행된 기록을 통하여 이력을 추적할 수도 있다. 업무를 수행하는 관점에서 그리고 프로세스를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과정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데이터 교환 제어부는 RFID 미들웨어로부터 전송된 태그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물론,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처리되어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미들웨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웨어로부터 전송된 태그 데이터(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정보(310)와 디테일 정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는 적어도 상기 마스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터 정보(310)는 상기 디테일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자의 고유 식별 계정, 상기 디테일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자의 고유 식별 계정, 상기 디테일 정보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와 디테일 정보를 매칭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맵핑키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테일 정보(3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뢰 번호, 항공화물송장 번 호, 수입자 상호, 납세의무자 상호, 납세의무자 주소, 납세의무자 사업자번호, 공급자 상호, 인도조건, 결제통화, 결제금액, 결제방법, 순번, HS코드, 원산지 코드, 규격, 수량단가, 수량, 단가, 금액단위, 금액, 사용수량, 사용단위, 요건확인번호, 발급 일자 및 물품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테일 정보는 일련번호(SEQ)로 정열되며, 항목 이름(Field Label), 데이터의 형태(Type), 십진수(Dec), 필수 정보 여부(필수), 코드 등을 포함하는 표의 형태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테일 정보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디테일 정보 중 필수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은 전자 문서의 작성에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정보이며, 그 외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 전자 문서의 작성이나 BPM 프로세스의 특정 기능 수행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앞에서 설명된 데이터 교환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FID 태그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복수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미들웨어부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시에 유용하다.
도 1은 종래의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의 처리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에서 교환되는 태그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에서 교환되는 태그 데이터의 디테일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디바이스부 130...미들웨어부
150...애플리케이션부 170...데이터 교환 관리부
210...수신부 230...데이터 베이스
250...데이터 교환 제어부 270...송신부

Claims (14)

  1. RFID 판독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부;
    상기 디바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 및 필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미들웨어부;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부로부터 데이터 교환의 대상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미들웨어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 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교환 관리부는,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제어를 수행하는 BPM부를 포함하며,
    상기 BPM부는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전송받아 액티비티(activity) 실행 제어에 따라 기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부 및 데이터 교환 관리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국제 물류 항공 솔루션, 국제 물류 해상 솔루션, 국제 물류 기업 솔류선,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을 처리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데이터 교환의 대상이 되는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등록된 데이터 베이스;
    상기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목표 지점을 상기 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 내 등록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선정하는 데이터 교환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목표 지점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교환 제어부는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제어를 수행하는 BPM부를 포함하며,
    상기 BPM부는 상기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태그 데이터를 전송받아 액티비티(activity) 실행 제어에 따라 기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태그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8. 데이터 교환의 대상이 되는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등록된 데이터 베이스;
    상기 RFID 미들웨어부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목표 지점을 상기 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 내 등록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선정하는 데이터 교환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목표 지점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국제 물류 항공 솔루션, 국제 물류 해상 솔루션, 국제 물류 기업 솔루선을 처리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을 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10. 애플리케이션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할 정보 및 설정 파일을 등록하는 단계;
    액티비티 실행 제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상기 전달할 정보로서 태그 데이터를 등록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하는 단계;
    RFID 미들웨어부로부터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로 전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의 실행에 따라 선정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 실행 결과 및 상기 태그 데이터의 전송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는 마스터 정보와 디테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호출 프로세스는 적어도 상기 마스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선정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정보는,
    상기 디테일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자의 고유 식별 계정;
    상기 디테일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자의 고유 식별 계정;
    상기 디테일 정보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와 디테일 정보를 매칭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맵핑키;
    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테일 정보는 의뢰 번호, 항공화물송장 번호, 수입자 상호, 납세의무 자 상호, 납세의무자 주소, 납세의무자 사업자번호, 공급자 상호, 인도조건, 결제통화, 결제금액, 결제방법, 순번, HS코드, 원산지 코드, 규격, 수량단위, 수량, 단가, 금액단위, 금액, 사용수량, 사용단위, 요건확인번호 및 발급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90093051A 2009-09-30 2009-09-30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KR101032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051A KR101032748B1 (ko) 2009-09-30 2009-09-30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051A KR101032748B1 (ko) 2009-09-30 2009-09-30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374A KR20110035374A (ko) 2011-04-06
KR101032748B1 true KR101032748B1 (ko) 2011-05-06

Family

ID=4404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051A KR101032748B1 (ko) 2009-09-30 2009-09-30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7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409A (ko) * 2007-01-23 2008-07-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이기종의 rfid 애플리케이션 지원을 위한 rfid 비즈니스 이벤트 프레임워크를 갖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409A (ko) * 2007-01-23 2008-07-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이기종의 rfid 애플리케이션 지원을 위한 rfid 비즈니스 이벤트 프레임워크를 갖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374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Review of RFID and IoT integr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Musa et al. Supply chain product visibility: Methods, systems and impacts
Zhou et al. An RFID-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enterprise internal production management
US7707064B2 (en) RFID receiving process for use with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CN203070353U (zh) 通过物联网实现的货物追踪信息系统
M’hand et al. A scalable real-time tracking and monitoring architecture for logistics and transport in RoRo terminals
CN103955812A (zh) 基于rfid的重点物资监控的设备仓储管理系统
CN101582121A (zh) 利用rfid标签的物流信息管理系统
CN101661581A (zh) 一种基于rfid技术的远程动产管理系统
Liu et al. Applications of RFID technology for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in an integrated-circuit packaging house
CN108830516A (zh) 一种物流跟踪系统及其方法
Jamal et al. Cloud computing solution and services for RFID based supply chain management
Tan Survey of RFID-IoTin Supply Chain Management
CN103136650A (zh) 一种物流信息全程可视化系统
Yan et al. Animal intelligent logistics management based on RFID technology.
KR101032748B1 (ko)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데이터 교환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교환 관리 방법
Puica Improving Supply Chain Management by Integrating RFID with IoT Shared Database: Proposing a System Architecture
Hasan et al. IoT-Based Warehouse Management System
CN113850553A (zh) 一种基于rfid的物品数据采集与智能仓储管理系统
CN202404650U (zh) 一种物流信息管理系统
Ivantysynova RFID in Manufacturing
Liu et al. An electronic material flow control system for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in integrated-circuit assembly industry
Tian et al. Analysis and research for fourth party logistic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won et al. RFID warehouse management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ased on manufacturing industry
KR100898229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에서 전자문서 정보 기반 자동화 정제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