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496B1 -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 Google Patents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496B1
KR101032496B1 KR1020090022497A KR20090022497A KR101032496B1 KR 101032496 B1 KR101032496 B1 KR 101032496B1 KR 1020090022497 A KR1020090022497 A KR 1020090022497A KR 20090022497 A KR20090022497 A KR 20090022497A KR 101032496 B1 KR101032496 B1 KR 10103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wall
loader
holes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222A (ko
Inventor
이상화
이태환
박진서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앤에스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4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형벽과, 원형벽의 하단에 결합되며 차우림물이 통과하여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찻물 통과공이 형성된 하부벽과, 상기 원형벽의 상단테두리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어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가지는 로우더와; 로우더의 상부로 찻물이 그 내부에 장전된 찻잎 위로 공급되도록 형성한 다수의 유입구멍들이 형성되어 로우더의 상부를 덮는 원판형 바닥벽과, 바닥벽의 외측 하단에서 링 형상으로 연장되어 제1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와, 바닥벽의 중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다기의 두껑과 접촉되어 지지 가능한 지지막대와, 바닥벽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도록 연장되어 다기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다수의 물 통과공이 형성된 지지벽을 가지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지지벽은, 바닥벽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그 직경이 원형벽보다 작은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확장형성되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회수구멍과 제1회수구멍보다 작은 사이즈로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회수구멍을 가지는 경사면과; 경사면의 상단에서 경사면보다 큰 기울기로 띠 형상으로 확장형성되어 다기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가 개시된다.
찻잎, 컵, 로우더, 다기, 우림

Description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Tea Vessel Structure for Straining out Tea Leaves}
본 발명은 각종 찻잎 중, 특히 인진쑥잎, 녹찻잎, 자스민잎 및 허브잎 등을 담아 차우림을 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일회용 컵을 포함한 각종 컵 형상 용기에 착탈식이거나 일체식으로 로우더(Loader)를 축조한 다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로우더는 차 우림기의 기능을 수행하나 찻잎이 장전되는 상태로 각종 차 음용을 위한 컵에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에 따라 일체 또는 착탈식으로 축조되는 새로운 구조로써 부합되는 다기 구조체의 일 요소로써 이해된다.
종래에는 녹차 등의 찻잎을 우려내는 방식으로는 찻잔에 차우림구(Strainer)를 설치하고 찻잎을 우림구에 장전한 후 더운 물을 찻잎 위로 부어 차를 우려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다른 방법으로는 찻잎을 티백형태로 포장하여 일회용 찻잔이나 다른 찻잔에 이 티백을 직접 넣어 우려내는 방식이 그 편리성으로 인하여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잔에 직접 넣어 우려내는 방식의 경우, 차우림구에 대한 그 전용 찻잔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찻물을 적게 부은 경우 찻잎을 충분히 우려낼 수 없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찻잎을 거름종이에 포장한 티백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티백을 찻잔에 담가 찻잎의 차 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와야 하나, 티백의 낮은 우림 성능으로 인하여 차 본래의 맛을 충분히 우려내지 못하여 차맛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일회용 컵 등에 별체 또는 일체로 장착하여 찻잎 등 내용물을 충분히 우려내고, 마실 때 차 본래의 맛을 훼손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차우림용 다기 구조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각종 찻잎을 담아 차 본래의 맛이 충분히 우러나올 수 있도록 차우림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형벽과, 상기 원형벽의 하단에 결합되며 차우림물이 통과하여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찻물 통과공이 형성된 하부벽과, 상기 원형벽의 상단테두리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어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가지는 로우더와; 상기 로우더의 상부로 찻물이 그 내부에 장전된 찻잎 위로 공급되도록 형성한 다수의 유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상기 로우더의 상부를 덮는 원판형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외측 하단에서 링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와, 상기 바닥벽의 중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다기의 두껑과 접촉되어 지지 가능한 지지막대와, 상기 바닥벽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도록 연장되어 다기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다수의 물 통과공이 형성된 지지벽을 가지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벽은, 상기 바닥벽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그 직경이 상기 원형벽보다 작은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확장형성되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회수구멍과 상기 제1회수구멍보다 작은 사이즈로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회수구멍을 가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상기 경사면보다 큰 기울기로 띠 형상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다기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제1플랜지부에 로킹 결합되는 로킹결합용 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유입구멍들은,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그 사이즈가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찻물 통과공은, 상기 다수의 유입구멍들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유입구멍들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부벽의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의 찻물 통과공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벽의 하부면으로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들에 찻물이 응집되어 상기 찻물 통과공을 통한 찻물의 낙하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찻물 통과공은 행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찻물 통과공에 모두 경유하도록 상기 하부벽의 하부면에 격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찻잎 우림용 다기 조립체에 따르면, 각종 컵 형상 용기에 착탈식 또는 일체식으로 로우더를 축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일회용 컵 등에 별체 또는 일체로 장착하여 찻잎 등 내용물을 충분히 우려내고, 마실 때에는 우려진 찻잎과 2차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실 수 있으므로 차 본래의 맛을 훼손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인진쑥잎, 녹찻잎, 자스민잎 및 허브잎을 담아 차우림을 하여 남는 잔맛으로 되는 쓴맛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우더의 하부벽에 형성된 찻물 통과공을 테이퍼진 형상으로 작게 형성시키고, 하부벽의 하부면에 돌출리브를 형성시킴으로써 찻잎이 찻물 통과공을 통해 컵 몸체로 빠져서 우려진 찻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찻물의 고유한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로우더에 남은 소량의 찻물까지도 돌출리브에 의한 물분자 응집기능을 통해 모두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찻물을 우려내는 효율을 높이고, 찻물이 로우더에 남은 상태에서, 컵 몸체에 담긴 찻물을 음용 할 때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정한 차맛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10)는 일회용 컵이나 기타 다른 어떠한 종류의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기 구조체(10)가 일회용 컵(1)에 설치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며, 상기 컵(1)은 컵 몸체(2)와, 뚜껑(3)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3)은 컵 몸체(2)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용 할 수 있는 구멍(3a)이 형성된다. 상기 컵 몸체(2)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 구조체(10)는 상기 컵 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로우더(100)와, 상기 로우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00)를 구비한다.
상기 로우더(100)는 내부에 찻잎이 장전되는 용기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원형벽(110)과, 상기 원형벽(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벽(120) 및 원형벽(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30)를 가진다.
상기 원형벽(1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원형벽(110)의 하단을 막도록 하부벽(120)이 원형벽(1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벽(120)에는 다수의 찻물 통과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찻물 통과공(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과 열로 배열된 구조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찻물 통과공(121)은 그 사이즈가 후술할 유입구멍(211)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로우더(100) 내에 장전된 찻잎 등이 찻물 통과공(121)을 통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찻물만 효과적으로 배출되어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벽(12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찻물 통과공(121) 각각에 연결되도록 하부벽(12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돌출리브(123)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리 브(123)는 격자형태로 형성되고 찻물 통과공(121)도 격자 배열로 형성됨으로써 돌출리브들(123)이 모든 찻물 통과공(121)에 연결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리브(123)를 형성시킴으로써, 찻물 통과공(121)을 통해 흘러나오는 찻물(물 분자)이 돌출리브(123)에서 보다 쉽게 응집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적은 양의 찻물까지도 모두 로우더(100)에서 흘러나와 돌출리브(123)에 물방울 형태로 응집되어 떨어지게 하여 컵(1)에 고이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크기가 작은 찻물 통과공(121)을 형성시켜서 찻잎이 찻물과 함께 로우더(100)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 찻물 통과공(121)을 통과하는 찻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찻물 통과공(121)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리브(123)에 물방울 형태로 응집되어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로우더(100) 내부에 소량으로 남은 찻물까지도 찻잎과 섞이지 않도록 모두 우려내어 음용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130)는 원형벽(110)의 상단테두리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00)는 바닥벽(210)과, 제2플랜지부(220)와, 지지막대(230)와, 지지벽(240)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벽(210)은 로우더(100)의 상부로 물이 그 내부에 장전된 찻잎 위로 공급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입구멍들(211)을 가지며, 로우더(10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원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유입구멍들(211)은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그 개수가 증가하여 조밀하게 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그 사이즈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물이 중심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유입되어 로우더(1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220)는 상기 바닥벽(210)의 외측 하단에서 링 형상으로 연장되어 로우더(100)의 제1플랜지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제2플랜지부(220)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로킹결합용 돌기(221)가 형성된다. 상기 로킹결합용 돌기(221)는 제1플랜지부(130)의 하단턱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막대(230)는 바닥벽(210)의 상부 중앙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막대(230)는 다기 구조체(10)를 컵(1)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컵(1)의 뚜껑(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벽(240)은 바닥벽(210)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확장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다기 즉, 컵(1)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벽(240)은 구체적으로, 경사면(241)과, 지지면(24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41)은 바닥벽(210)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그 직경이 상기 원형벽(110)보다 작은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회수구멍(241a)과, 제1회수구멍(241a) 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회수구멍(241b)을 가진다. 상기 제1회수구멍(241a)은 한 쌍이 지지막대(23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2회수구멍(241b)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241)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컵(1)을 기울여서 찻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 컵 몸체(2)에 담긴 찻물은 로우더(100) 내의 찻입과 닿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회수구멍(241a,241b)을 통해서 뚜껑(3)의 구멍(3a)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통과공들(241b)이 경사면(241)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찻물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243)은 경사면(241)의 상단에서 경사면(241)보다 큰 기울기로 확장 형성되며, 소정 폭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지지면(243)은 다기 즉, 컵 몸체(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다기 구조체(10)가 컵(1) 내부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지지면(243)의 경사각은 컵 몸체(2)의 내측면의 경사각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 구조체의 경우에는, 각종 컵 형상 용기에 착탈식 또는 일체식으로 로우더를 축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일회용 컵 등에 별체 또는 일체로 장착하여 찻잎 등 내용물을 충분히 우려내고, 마실 때에는 우려진 찻잎과 2차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실 수 있으므로 차 본래의 맛을 훼손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녹찻잎 및 자스민잎을 담아 차우림을 하여 남는 잔맛으로 되는 쓴맛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우더(100)의 하부벽(210)에 형성된 찻물 통과공(121)을 테이퍼진 형상으로 작게 형성시키고, 하부벽(210)의 하부면에 돌출리브(121)를 형성시킴으로써 찻잎이 찻물 통과공(121)을 통해 컵 몸체(2)로 빠져서 우려진 찻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찻물의 고유한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로우더(100)에 남은 소량의 찻물까지도 돌출리브(121)에 의한 물분자 응집기능을 통해 모두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찻물을 우려내는 효율을 높이고, 찻물이 로우더에 남은 상태에서, 컵 몸체(2)에 담긴 찻물을 음용 할 때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정한 차맛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찻잎 우림용 다기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 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 조립체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다기 구조체 100..로우더
110..원형벽 120..하부벽
130..제1플랜지부 200..덮개부
210..바닥벽 220..제2플랜지부
230..지지막대 240..지지벽

Claims (6)

  1.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형벽과, 상기 원형벽의 하단에 결합되며 차우림물이 통과하여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찻물 통과공이 형성된 하부벽과, 상기 원형벽의 상단테두리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어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가지는 로우더와;
    상기 로우더의 상부로 찻물이 그 내부에 장전된 찻잎 위로 공급되도록 형성한 다수의 유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상기 로우더의 상부를 덮는 원판형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외측 하단에서 링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와, 상기 바닥벽의 중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다기의 두껑과 접촉되어 지지 가능한 지지막대와, 상기 바닥벽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도록 연장되어 다기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다수의 물 통과공이 형성된 지지벽을 가지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유입구멍들은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그 사이즈가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은, 상기 바닥벽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그 직경이 상기 원형벽보다 작은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확장형성되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회수구멍과 상기 제1회수구멍보다 작은 사이즈로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회수구멍을 가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상기 경사면보다 큰 기울기로 띠 형상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다기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제1플랜지부에 로킹 결합되는 로킹결합용 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찻물 통과공은,
    상기 다수의 유입구멍들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유입구멍들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의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의 찻물 통과공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벽의 하부면으로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들에 찻물이 응집되어 상기 찻물 통과공을 통한 찻물의 낙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찻물 통과공은 행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찻물 통과공에 모두 경유하도록 상기 하부벽의 하부면에 격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1020090022497A 2009-03-17 2009-03-17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10103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497A KR101032496B1 (ko) 2009-03-17 2009-03-17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497A KR101032496B1 (ko) 2009-03-17 2009-03-17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22A KR20100104222A (ko) 2010-09-29
KR101032496B1 true KR101032496B1 (ko) 2011-05-04

Family

ID=4300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497A KR101032496B1 (ko) 2009-03-17 2009-03-17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2B1 (ko) * 2015-01-26 2015-07-31 허상열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127A (ja) 1996-11-14 1998-05-26 Seretsuku Kk 漉し網内蔵の蓋付きカップ
JP2006129988A (ja) 2004-11-04 2006-05-25 Morii:Kk 麦茶用容器
KR20070114940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비앤에스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127A (ja) 1996-11-14 1998-05-26 Seretsuku Kk 漉し網内蔵の蓋付きカップ
JP2006129988A (ja) 2004-11-04 2006-05-25 Morii:Kk 麦茶用容器
KR20070114940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비앤에스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100847063B1 (ko) * 2006-05-30 2008-07-17 주식회사 비앤에스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2B1 (ko) * 2015-01-26 2015-07-31 허상열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22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136B2 (en) Pad and assembly of a holder and such a pad
US10206411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rewed drink
US20090229472A1 (en)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US6038963A (en) Disposable beverage brewing system
RU2465187C2 (ru)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6263781B1 (en) Cup receptacle with filter insert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use
US10589907B2 (en) Disposable lid having spout with filter for beverage container
US5168140A (en) Microwave coffee brewer and travel mug
US3971305A (en) Disposable beverage brewer
US20110278314A1 (en) Sealing means for beverage container
CA2788283A1 (en) Beverage capsule
WO1997022286A1 (en) Infusion vessel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JP2014508690A (ja) 飲料用容器
US6921480B2 (en) Flat-foldable filter funnel
US20130045307A1 (en) Brew Cartridge
US20170121065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WO2002030249A1 (en) Plunger for brewing a drink
KR20150138358A (ko) 커피 머신에서 사용을 위한 커피 패드
KR101032496B1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US20150150405A1 (en) Sediment filter
JP2004238037A (ja) 濾過器付きコップ蓋
KR100847063B1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JPH07298973A (ja) 茶漉し付き湯飲み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