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029B1 -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 Google Patents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029B1
KR101032029B1 KR1020080029449A KR20080029449A KR101032029B1 KR 101032029 B1 KR101032029 B1 KR 101032029B1 KR 1020080029449 A KR1020080029449 A KR 1020080029449A KR 20080029449 A KR20080029449 A KR 20080029449A KR 101032029 B1 KR101032029 B1 KR 10103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nopole antenna
radiation
parasitic element
broad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161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서승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8002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02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소자에 U-Slot을 삽입하여 저지대역 특성을 이용한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고, 모노폴 안테나의 대역폭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방형 기생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대역폭을 광대역화 하며, 접지판의 크기를 λ/2가 아닌 λ/2.5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 안테나를 소형화한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U-Slot을 갖는 모노폴 형태의 복사소자를 포함하는 복사부; 상기 복사소자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방형 기생소자부; 상기 복사부 및 기생소자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사부로 급전 신호를 공급하는 콘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사부는 상기 복사소자를 양면 유전체 기판의 앞면 및 뒷면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를 제공한다.
기생소자,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Description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Wide-band Printed-Monopole Antenna using parasitic elements}
본 발명은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사소자에 U-Slot을 삽입하여 저지대역 특성을 이용한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고, 모노폴 안테나의 대역폭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방형 기생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대역폭을 광대역화 하며, 접지판의 크기를 λ/2가 아닌 λ/2.5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 안테나를 소형화한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는 방송, 멀티미디어, 영상, e-mail, 멀티미디어 메시지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새로운 시장의 형성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지금까지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단계를 지나 3세대의 동기식 1X EVDO방식에서 2Mbps 까지 패킷데이터 서비스 중이며, 비동기식(W-CDMA)3세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서비스 대역과 넓은 주파수 대역을 만족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그에 발맞춰 이동통신 안테나 분야의 연구.개발 또한 광대역 및 소형화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중의 하나로 선형 모노폴 안테나의 대역폭을 개선하고 소형. 경량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기존의 선형 모노폴 안테나는 복사소자의 길이를 사용주파수의 λ/4 로 맞춰 안테나를 간단히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광대역 통신방식에 적용하기에는 대역폭이 좁은 것이 매우 큰 단점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선형 모노폴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복사소자의 두께를 늘리거나 복사소자의 끝에 디스크형태의 부하를 장착하는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UWB 통신 시스템 등 다양한 광대역 통신시스템에 안테나를 평면화 시킨 다양한 형태의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UWB 시스템은 큰 출력신호를 사용하는 IEEE 802.11a와 HIPERLAN/2에 의해 5.15~5.825GHz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에 따라 주파수 대역 저지특성을 갖는 UWB 통신용 안테나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복사소자에 U-Slot을 삽입하여 저지대역 특성을 이용한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고, 모노폴 안테나의 대역폭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방형 기생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대역폭을 광대역화 하며, 접지판의 크기를 λ/2가 아닌 λ/2.5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 안테나를 소형화한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U-Slot을 갖는 모노폴 형태의 복사소자를 포함하는 복사부; 상기 복사소자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방형 기생소자부; 상기 복사부 및 기생소자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사부로 급전 신호를 공급하는 콘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사부는 상기 복사소자를 양면 유전체 기판의 앞면 및 뒷면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는 0.8~1.2 GHz의 광대역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면 유전체 기판은 두께 1.6mm이고 비유전율이 εr=4.9인 FR-4 양면 유전체 기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접지판은 λ/2.5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판은 두께가 1.5mm이고, 직경이 150mm인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사소자에 U-Slot을 삽입하여 저지대역 특성을 이용한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고, 모노폴 안테나의 대역폭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방형 기생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대역폭을 광대역화 하며, 접지판의 크기를 λ/2가 아닌 λ/2.5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 안테나를 소형화한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를 제공한다.
상기 안테나는 수평면내 무지향성, 수직면내 지향성 특성을 갖고, VSWR은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2.0 이하의 특성을 갖으며 안테나 이득은 1.7~4.6dBi 를 만족시켜 TRS-800, CDMA, GSM-900(0.806~0.960GHz)밴드에 사용가능한 광대역 특성을 갖는 중계기용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를 개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상기 안테나의 정면도이고, 1b는 평면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는 U-Slot을 갖는 복사부(110), 상기 복사부(110)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방형 기생소자부(120), 상기 복사부(110) 및 기생소자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접지판(130) 및 상기 접지판(13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사부(110)로 급전 신호를 공급하는 콘넥터(140)를 포함한다.
도 1a에서 U는 U-Slot을 갖는 복사소자의 길이, D는 개방형 기생소자와 복사소자간의 간격, L은 개방형 기생소자의 길이이며, S는 접지판과 복사소자간의 간격이다. 도 1b의 W는 접지판의 직경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는 0.8~1.2 GHz의 광대역에서 동작하며, 이를 위하여 안테나의 U-Slot을 갖는 모노폴 형태의 복사소자를 앞뒤로 삽입하고 안테나의 접지판의 크기를 λ/2가 아닌 약 λ/2.5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안테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복사소자는 두께 1.6mm이고 비유전율이 εr=4.9인 FR -4 양면 유전체 기판을 사용한다. 접지판은 두께가 1.5mm이고, 직경이 150mm인 알루미늄 판을 사용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치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2c에 개시된 반사손실 측정을 위하여 CST사의 MWS (Microwave Studio)5.1 시물레이션 툴이 사용되었다.
도 2a는 복사소자의 U-Slot의 길이 U=85mm, 기생소자의 길이 L=59mm 일때, 복사소자와 양옆의 기생소자간의 간격 D를 0.5mm에서 4.5mm까지 1mm씩 변화시키면서 계산한 반사손실이다. D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공진주파수가 약간씩 하향 이동하면서 대역폭이 좁아지는 특성을 나타내며 반사손실 또한 증가된다.
도 2b는 복사소자와 양옆의 기생소자의 간격 D=1.5mm, 기생소자의 길이 L=59mm 일때 복사소자의 U-Slot 길이 U를 87.5mm에서 7.5mm까지 20mm씩 변화시키면서 계산한 반사손실이다. U의 Slot 길이가 줄어들수록 저지대역특성을 갖는 주파수가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Slot의 길이를 사용 주파수대역의 λ/2 이상이나 이하의 길이를 갖는 Slot을 이용하여 기존의 U-Slot이 갖는 저지대역 특성이 아닌 반사손실을 개선하거나 대역폭특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도 3a 참조).
도 2c는 복사소자와 기생소자간의 간격 D=1.5mm, U-Slot의 길이 U=85mm일때 기생소자의 길이 L을 59mm에서 19 mm 까지 10mm씩 변화시키면서 계산한 반사손실이다. L이 감소할수록 상측 대역폭이 좁아지며 반사손실이 증가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슬롯 유무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3b는 기생소자 유무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의 그래프는 복사소자와 양옆의 기생소자의 간격 D=1.5mm, 기생소자의 길이 L=29mm일때 복사소자에 U-Slot의 유무에 의한 반사손실을 비교한 것이다. U- Slot에 의해 대역폭이(RL=-10dB기준) 약 10MHz 정도 개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b의 그래프는 복사소자의 U-Slot의 길이 U=85mm, 기생소자의 길이 L=29mm, 복사소자와 양옆의 기생소자의 간격 D=1.5mm 일때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양옆에 있는 기생소자의 유무에 의한 반사손실을 비교한 것이다. 기생소자의 유무에 의해 안테나의 공진주파수의 변화폭이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기생소자에 의해 반사손실 특성이 개선되면서 광대역 특성을 나타나며 공진주파수 이동됨을 보이고 있다.
이하, 실제 제작한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터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사특성을 측정하므로써 제안된 안테나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를 개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에 개시된 안테나는 주파수 0.8 ~ 1.2 GHz에서 VSWR 2:1 이하의 특성을 갖도록 설계 및 제작된 안테나이며 안테나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U-Slot을 갖는 복사소자와 기생소자는 도 2 및 3의 계산에 사용된 동일한 기판으로써 두께 T=1.6mm, 비유전율 εr=4.9의 양면 기판으로 기생소자의 길이 L=29mm, 복사소자와 기생소자의 간격 D=1.5mm이며 모노폴의 복사소자의 U-Slot의 길이 U=85mm 복사소자와 접지판간의 간격 S=1.5mm, 접지판의 크기 W=150mm를 갖는다.
도 5는 실제 제작된 안테나의 계산치와 측정치를 비교한 것이다. 반사손실은 Agilent사의 8753D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무반사실에서 측정하였다. 도 4에 서 제작된 안테나의 반사손실은 측정치가 계산치에 비해 중심주파수가 약간 상향 이동하였으나 유사한 반사손실 특성을 갖으며 제안한 주파수대역인 0.8 ~ 1.2GHz에서 설계 목표치인 VSWR 2:1이하를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
도 6은 제작된 안테나의 이득으로 측정치와 계산치를 비교한 것이다. 이득 측정은 무반사실에서 이루어졌으며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득의 측정치는 1.7 ~ 1.9 dBi 이고 계산치는 1.7 ~ 4.6 dBi 이다. 측정치의 전력 이득은 계산치의 이득값을 만족하며 높은 주파수쪽으로 올라갈수록 이득이 증가한다. 이는 측정환경, 및 측정오차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를 개시한 도면.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치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슬롯 유무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기생소자 유무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를 개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제 제작된 안테나의 계산치와 측정치를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작된 안테나의 이득으로 측정치와 계산치를 비교한 그래프.

Claims (7)

  1. U-Slot을 갖는 모노폴 형태의 복사소자를 포함하는 복사부;
    상기 복사소자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방형 기생소자부;
    상기 복사부 및 기생소자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사부로 급전 신호를 공급하는 콘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사부는 상기 복사소자를 양면 유전체 기판의 앞면 및 뒷면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는 0.8~1.2 GHz의 광대역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유전체 기판은 두께 1.6mm이고 비유전율이 εr=4.9인 FR-4 양면 유전체 기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λ/2.5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두께가 1.5mm이고, 직경이 150mm인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
KR1020080029449A 2008-03-31 2008-03-31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KR10103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449A KR101032029B1 (ko) 2008-03-31 2008-03-31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449A KR101032029B1 (ko) 2008-03-31 2008-03-31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161A KR20090104161A (ko) 2009-10-06
KR101032029B1 true KR101032029B1 (ko) 2011-05-02

Family

ID=4153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449A KR101032029B1 (ko) 2008-03-31 2008-03-31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2978B (en) * 2014-12-04 2016-12-14 Frontier Silicon Ltd Antenna module
CN110061347B (zh) * 2019-03-13 2023-11-28 东莞理工学院 频带可重构的多缺口频带超宽带平面天线
KR102580030B1 (ko) * 2023-04-11 2023-09-19 주식회사 숨비 플렉시블 반사판이 구비된 안테나 성능 증폭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7905A (ja) * 1990-10-22 1992-05-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広帯域平面アンテナ
KR20040108212A (ko) * 2003-06-17 2004-12-23 윤영중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7905A (ja) * 1990-10-22 1992-05-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広帯域平面アンテナ
KR20040108212A (ko) * 2003-06-17 2004-12-23 윤영중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161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ildirim et al. Integrated Bluetooth and UWB antenna
Liang et al. CPW-fed circular disc monopole antenna for UWB applications
Dzagbletey et al. Quarter-wave balun fed Vivaldi antenna pair for V2X communication measurement
Lin et al. A low-sidelobe and wideband series-fed linea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
Pazin et al. A compact 60-GHz tapered slot antenna printed on LCP substrate for WPAN applications
Wang et al. A UWB MIMO slot antenna using defected ground structures for high isolation
Sadeghzadeh-Sheikhan et al. Planar monopole antenna employing back-plane ladder-shaped resonant structure for ultra-wideband performance
KR101032029B1 (ko) 기생소자를 이용한 광대역 프린트 모노폴 안테나
Saed et al. Design of microstrip antenna for WLAN
Sipal et al. UWB MIMO USB dongle antenna for personal area network application
KR101025910B1 (ko) 광대역 위상 배열용 패치 안테나
Liu et al. A compact CPW-fed monopole antenna with a U-shaped strip and a pair of L-slits ground for WLAN and WiMAX applications
Zhan et al. A miniature planar antenna for Bluetooth and UWB applications
Annalakshmi et al. A patch array antenna for 5G mobile phone applications
Chen et al. Design of broadband probe-fed plate antenna with stub
Kuroki et al. Wall-hanging type of self-complementary spiral patch antenna for indoor reception of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Ranga et al. Gain enhancement of UWB slot with the use of surface mounted short horn
Jan et al. CPW-fed wideband printed planar monopole antenna for ultra-wideband operation
KR100858969B1 (ko) 향상된 대역저지 특성을 갖는 보우타이형 광대역 모노폴안테나
KR20090028356A (ko) 광대역 모노폴 내장형 안테나
KR100997540B1 (ko) Uwb용 소형 모노폴 안테나
Thiruvenkadam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UWB antenna for IoT applications
Zheng et al. Compact ultra-wideband slot antenna with stepped slots
Ge et al. A novel compact ultrawideband antenna
Khalid et al. Design of a spiral antenna for Wi-Fi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